카르티에 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르티에 인자는 국소환 달린 공간의 유리 함수층을 사용하여 정의되는 아벨 군층이다. 카르티에 인자층은 유리 함수층의 가역원층으로 정의되며, 카르티에 인자군은 카르티에 인자층의 대역 단면들의 아벨 군이다. 카르티에 인자는 카르티에 인자층의 대역 단면으로, 효과적 카르티에 인자와 카르티에 주인자로 구분된다. 카르티에 인자 유군은 카르티에 인자군을 카르티에 주인자로 나눈 몫군으로, 피카르 군의 부분군이다. 카르티에 인자는 선다발과 관련되며, 인자의 합은 선다발의 텐서곱에 해당한다. 이 개념은 1950년대 피에르 카르티에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특이점이 있는 공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수기하학 - 타원곡선
타원곡선은 체 위에서 정의되고 특이점이 없으며 종수가 1인 사영 대수 곡선으로, 유리점을 가지며, 특정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실수체 위에서는 연결 성분 개수가 판별식에 따라 달라지며, 복소수체 위에서는 원환면과 위상적으로 동형이고, 점들 간에 군 연산이 정의되어 암호학 및 정수론에 활용된다. - 대수기하학 - 매끄러운 함수
매끄러운 함수는 함수의 미분 가능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k번 미분 가능하고 그 미분 함수가 연속일 경우 Ck로 표기하며, 무한히 미분 가능한 함수를 의미하고, 곡선의 부드러움을 측정하는 데 활용된다.
카르티에 인자 | |
---|---|
일반 정보 | |
종류 | 수학적 개념 |
분야 | 대수기하학 |
정의 | |
정의 | 대수다양체 위의 국소적으로 주분인 가역층의 국소적 생성원 |
성질 | |
성질 | 대수다양체의 선다발과 선형계를 정의하는 데 사용됨. |
연관 개념 | 바일 인자 선형계 가역층 |
2. 정의
국소환 달린 공간 의 유리 함수층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아벨 군 층의 짧은 완전열이 존재한다.
:
여기서 는 가역원층을 뜻하며, 은 자명군의 상수층이다.
의 '''카르티에 인자층'''(Cartier主因層, sheaf of Cartier divisors영어)은 다음과 같은 아벨 군층이다.
:
의 '''카르티에 인자군'''은 카르티에 인자층의 대역 단면들의 아벨 군, 즉
:
이다. 의 '''카르티에 인자'''는 카르티에 인자층의 대역 단면, 즉 카르티에 인자군의 원소이다.[1] 즉, 구체적으로 의 카르티에 인자는 의 열린 덮개 및 유리 함수 로 정의되며, 이 경우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
이어야 한다.
2. 1. 효과적 인자
'''효과적 카르티에 인자'''(效果的Cartier因子, effective Cartier divisor영어)는 모노이드 준동형:
의 상에 속하는 카르티에 인자이다.[2] 즉, 로 나타내었을 때, 로 잡을 수 있는 카르티에 인자이다.[1] 이 경우, 각 는 아이디얼 층 를 정의하며, 이는 여차원이 1인 부분 스킴을 정의한다.
2. 2. 카르티에 인자 유군
층의 짧은 완전열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아벨 군의 긴 완전열이 존재한다.:
'''카르티에 주인자'''(Cartier主因子, principal Cartier divisor영어)는 의 상에 속하는 카르티에 인자이다.[2] 이에 대한 몫군
:
을 '''카르티에 인자 유군'''(Cartier divisor class group영어)이라고 한다.[2]
완전열의 정의에 따라 카르티에 인자 유군은 피카르 군 의 부분군이며, 만약 이라면 카르티에 인자 유군은 피카르 군과 일치한다. 이것이 성립할 충분 조건은 가 축소 뇌터 스킴인 것이다.[2]
3. 성질
정역 스킴 에서 피카르 군 은 가역층들의 동치류들로 구성되며, 카르티에 인자 유군은 피카르 군의 부분군이다. 따라서 카르티에 인자 에 대응하는 선다발 (또는 가역층 )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인자의 합은 이 선다발의 텐서곱에 해당한다.
의 열린 덮개 에 대하여, 선다발은 와 사이의 전이 사상(transition map영어) 들로 정의된다. 카르티에 인자
:
:
:
가 주어졌을 때, 전이 사상들을
:
로 정의하면, 이는 전이 사상의 성질들 , 을 만족시킨다.
4. 역사
피에르 카르티에가 1950년대에 층 이론을 사용하여 베유 인자의 개념을 개량한 카르티에 인자를 도입하였다.[3] 카르티에 인자는 특이점이 있는 공간에도 적용할 수 있다.[3]
참조
[1]
서적
Algebraic Geometry
Springer
[2]
서적
Algebraic geometry and arithmetic curves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06-29
[3]
간행물
Questions de rationalité des diviseurs en géometrie algébrique
http://www.numdam.or[...]
195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