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리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리누스는 283년부터 285년까지 로마 제국의 황제였다. 그는 아버지 카루스가 페르시아 원정 중에 사망한 후 동생 누메리아누스와 함께 공동 황제가 되었다. 카리누스는 서방 지역을 통치하며 사치스러운 생활과 폭정으로 원로원의 반감을 샀고, 디오클레티아누스와의 내전에서 패하여 사망했다. 그는 로마 역사상 최악의 황제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사후에는 기억 삭제형을 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83년 사망 - 산도 (서진)
    산도는 죽림칠현 중 한 명으로, 위나라 말부터 서진 시대에 이르러 이부상서, 태자소부, 사도를 역임했으며 노장사상에 심취했고 사마씨 정권에 협력했다.
  • 283년 사망 - 사마유
    사마유는 서진 시대의 인물로, 사마의의 손자이자 사마소의 차남이며, 사마염의 동복 동생으로, 총명하고 온화한 인품을 가졌으나 정치적 모함으로 청주 제군사로 임명되어 귀국 후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이 팔왕의 난의 시초가 되었다고 평가받는다.
  • 군인 황제 시대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는 268년부터 270년까지 로마 제국을 통치한 황제로, 군대에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으며 고트족과 알레만니족의 침략을 격퇴하여 칭호를 얻었으나 전염병으로 사망하며 짧지만 중요한 역할을 했다.
  • 군인 황제 시대 - 제노비아
    제노비아는 로마 제국 시대 팔미라의 여왕으로, 남편 오데나투스 사후 아들 바발라투스를 내세워 팔미라 제국의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어 이집트와 시리아를 정복하며 세력을 확장했으나 로마 제국에 패배하여 포로로 잡혔고, 역사적으로 다양한 평가를 받으며 시리아에서는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살해된 로마 황제 - 율리우스 네포스
    율리우스 네포스는 474년부터 475년까지 서로마 제국 황제였으며, 오레스테스의 반란으로 달마티아로 망명한 후 480년 암살당할 때까지 황제 지위를 유지했다.
  • 살해된 로마 황제 - 갈리에누스
    갈리에누스는 253년부터 268년까지 로마 황제로 재위했으며, 게르만족 격퇴, 군사 개혁을 시도했으나 여러 반란과 암살을 겪고 사후 로마 제국은 분열되었다.
카리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카리누스 조각상
카리누스 두상 (실물 크기보다 큼)
로마자 표기Marcus Aurelius Carinus
칭호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리누스 아우구스투스
재위 기간283년 봄 – 285년 7월
이전카루스
이후디오클레티아누스 (284년부터 경쟁)
공동 황제카루스(283년)
누메리아누스(283–284년)
출생알 수 없음
사망285년 7월
사망 장소모이시아, 마르구스 강
배우자마그니아 우르비카
자녀니그리니아누스 (논쟁 중, 입양 가능성 있음)
아버지카루스
통치
후임디오클레티아누스

2. 통치

프로부스 황제가 282년 군대 반란으로 사망한 후, 그의 근위대장이었던 카루스가 황제 자리에 올랐다. 카루스는 페르시아 정벌을 위해 원정을 떠나면서 두 아들을 카이사르로 임명하고 최측근으로 삼았다. 장남 카리누스는 제국 서쪽 지방에서 내정을 유지하는 역할을 맡았고, 동생 누메리아누스는 카루스와 함께 동방 정복 임무를 맡았다.

카리누스는 초기에는 골 족들을 통제하고 야만족들을 막아내는 등 제국 서쪽 방위선을 지키는 데 어느 정도 성과를 보였다. 하지만 곧 서북부 방위선 통제를 휘하 장군들에게 맡기고 로마로 돌아왔다. 기록에 따르면, 그는 로마에서 짧은 시간 동안 9명의 여인들과 결혼과 이혼을 반복하고 난잡한 사생활을 즐기는 등 사치를 일삼았다. 또한, 자신을 기분 나쁘게 대한 자들을 숙청하거나 쫓아내는 등 폭력적인 강압 통치를 시작했고, 원로원을 공개적으로 경멸하여 성난 시민들에 의해 로마에서 쫓겨났다.

카루스는 아들이 수도에서 쫓겨났다는 소식을 듣고 카리누스를 해임하고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를 대신 앉히려 했다. 그러나 카루스는 페르시아 원정 도중 낙뢰를 맞아 사망했고, 결국 두 아들이 공동 황제로 추대되었다.

카리누스는 황제 즉위 후 로마로 돌아와 유례없이 거대한 로마 축제를 열어 시민들의 지지를 확보했다. 한편, 누메리아누스는 군사들의 압박으로 티그리스 강 저편으로 후퇴해야 했고, 전선이 고착되자 원정을 중단하고 로마로 돌아오려 했다. 그러나 귀환 도중 건강이 악화되었고, 이후 누메리아누스 휘하 근위대장이었던 아리우스 아페르가 지나치게 활동적인 모습과 월권이 의심될 정도의 권한 행사로 인해 병사들의 의심을 샀다. 결국 누메리아누스가 침상에서 죽은 채 발견되자, 유일하게 황제를 알현할 수 있었던 아페르는 황제 암살범으로 지목되어 사형되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이 사건으로 군대 지휘권을 확보하고 병사들의 추대를 받아 황제 자리에 올랐다.

카리누스는 이 소식을 듣고 디오클레티아누스를 반역자로 규정, 그를 처치하기 위해 로마에서 군대를 이끌고 동쪽으로 향했다. 그는 모에시아 지방 마르구스 강 전투(현재의 모라바 강)에서 디오클레티아누스 군대와 충돌했다.

2. 1. 제위 계승과 내전

프로부스 황제가 282년에 군대 반란으로 살해된 후, 그의 근위대장이었던 카루스가 황제 자리에 올랐다. 카루스는 페르시아 원정을 떠나면서 두 아들을 카이사르로 임명했다. 장남 카리누스는 제국 서쪽을 통치하게 되었고, 이후 아우구스투스로 승격되었다. 차남 누메리아누스는 아버지와 함께 동방으로 갔다.[4]

카리누스는 초기에 갈리아와 콰디족을 진압하는 등 어느 정도 능력을 보였다.[5][6] 그러나 곧 라인강 상부 방어를 부하 장군에게 맡기고 로마로 돌아갔다. 그곳에서 그는 사치와 과도한 행동을 일삼았다고 전해진다.[9] 그는 로마에서 아홉 명의 여성과 결혼하고 이혼했으며, 사생활이 문란했다고 한다. 황제에 오르기 전 자신을 존경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박해하고, 원로원을 경멸하여 소외시켰으며, 저속한 오락으로 황제 위엄을 더럽혔다고 한다.[7]

카루스는 아들의 행동을 듣고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로 그를 교체하려 했다. 그러나 카루스는 페르시아 원정 중 사망했고, 두 아들이 공동으로 황제를 계승했다.

카리누스는 로마로 돌아와 ''로마 축제''를 크게 열었다.[8][9][10] 한편, 누메리아누스는 아버지 죽음으로 동방 원정을 포기하고 로마로 돌아가던 중 건강이 악화되었다. 아리우스 아페르 근위대장은 의심을 샀고, 누메리아누스가 죽은 채 발견되자 암살범으로 지목되어 처형되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이 사건을 통해 군대 지휘권을 확보하고 황제로 선포되었다.[11][9][12]

카리누스는 즉시 로마를 떠나 동쪽으로 향했다. 판노니아에서 찬탈자 사비누스 율리아누스를 제거하고, 285년 7월 모이시아의 마르구스 강 전투(현재의 모라바 강)에서 디오클레티아누스 군대와 만났다.[6][9]

이후 상황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한 기록에 따르면, 카리누스 군대는 마르구스 강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카리누스는 자신이 유혹했던 트레분(tribune)의 아내에게 살해당했다.[6][13] 다른 기록은 전투가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완전한 승리였으며 카리누스 군대가 그를 버렸다고 주장한다.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카리누스의 프라이토리아니 지휘관 티투스 클라우디우스 아우렐리우스 아리스토불루스를 계속 기용한 사실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다.[6][9]

3. 평가

카리누스는 로마 제국 역사상 최악의 황제들 중 한 명으로 평가된다. 카리누스 자신의 신망이 없었던 것은 분명한 사실이나, 이와 같은 사실이 후임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에 의해 의도적으로 왜곡되었을 가능성 또한 분명히 존재한다. 예를 들어, 로마의 역사서 '아우구스타 열전'(Historia Augusta)에는 카리누스가 9명에 달하는 아내를 가졌다는 사실은 상세히 기록해 두었으나, 그의 정식 아내였던 마그니아 울비카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다.[9]

그의 죽음 이후, 그는 기억 삭제형(damnatio memoriae)을 받았고, 모든 공공건물, 비문, 기록 등에서 그의 이름과 얼굴이 지워지는 형을 받았다.[14]

4. 가계

로마 제국 황제 카루스 가계도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타키투스플로리아누스프로부스
카루스
카리누스 ∞ 마그니아 우르비카누메리아누스갈레리아 발레리아


참조

[1] 서적 Monumenta Graeca et Romana: Mutilation and transformation : damnatio memoriae and Roman imperial portraiture https://books.google[...] BRILL 2004-01-01
[2] 서적 The Prosopography of the Later Roman Empire Volume 1: A.D. 260–395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Cambridge Manual of Latin Epigra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The Modern Library 1932
[5] 서적
[6] 서적 Carinus (283–285 A.D.) http://www.roman-emp[...] 2023-08-08
[7] 서적
[8] 서적 Early Christianity and Paganism Kessinger Publishing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Constantine https://archive.org/[...] Routledge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Mutilation and Transformation: Damnatio Memoriae and Roman Imperial Portraiture Brill Academic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