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이시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이시아는 남쪽으로는 발칸 산맥, 서쪽으로는 드리나 강, 북쪽으로는 다뉴브 강, 동쪽으로는 흑해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고대 지역이다. 트라키아인, 일리리아인, 트라코-일리리아인 등이 거주했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모이시아 속주로 편입되었다. 기원전 82년부터 44년까지 다키아 왕국의 일부였으며, 로마 공화국 시기부터 로마의 영향력 아래에 놓였다. 아우구스투스는 제국의 남동부 유럽 국경을 확장하기 위해 이 지역을 정복하려 했으며, 도미티아누스 황제 시대에 모이시아 수페리오르와 모이시아 인페리오르로 분할되었다. 238년 이후 고트족의 침입을 받았으며, 훈족의 침입으로 고트족이 모이시아에 정착하기도 했다.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슬라브족, 불가르족 등의 침입을 거쳐 세르비아와 불가리아 왕국이 세워졌다. 주요 도시로는 비미나키움과 토미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시대의 세르비아 - 판노니아 인페리오르
    판노니아 인페리오는 현재의 헝가리 서부, 오스트리아 동부, 크로아티아 북부, 세르비아 일부 지역에 걸쳐 있던 로마 제국의 속주로, 로마의 통치 하에 군사적 요충지이자 경제, 문화적 발전을 이룬 지역이었다.
  • 로마 시대의 세르비아 - 이아지게스족
    이아지게스족은 사르마티아계 부족으로, 아조프해 북쪽에서 판노니아 분지로 이주하여 다뉴브강과 티서강 사이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로마와 충돌하거나 동맹을 맺기도 했고, 유목민적 기원과 정착 생활이 혼합된 문화를 가졌으며 기병 중심의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했다.
  • 불가리아의 역사적 지역 - 트라키아
    트라키아는 동남유럽의 다뉴브 강, 흑해, 북부 마케도니아, 일리리아를 경계로 하는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여러 세력의 지배를 받았으며 현재는 불가리아, 그리스, 터키 3개국에 걸쳐있는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지역이다.
  • 불가리아의 역사적 지역 - 마케도니아 (지역)
    마케도니아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 왕국으로 존재했고 로마, 비잔티움 제국 시대를 거쳐 오늘날 여러 국가에 걸쳐 있으며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는 지역이다.
모이시아
지도
일반 정보
라틴어 이름Moesia
그리스어 이름Μοισία (Moisía)
불가리아어 이름Мизия (Miziya)
세르비아어 이름Мезија (Mezija)
역사
국가로마
동로마 제국
위치발칸 반도
현재 국가세르비아
불가리아
루마니아
북마케도니아
알바니아
지리
경계북쪽: 다뉴브 강
서쪽: 달마티아
동쪽: 흑해
주요 도시싱기두눔 (Singidunum)
라시아리아 (Ratiaria)
오에스쿠스 (Oescus)
세르디카 (Serdica)
나이수스 (Naissus)
토미스 (Tomis)
칼라티스 (Callatis)
마르시아노폴리스 (Marcianopolis)
니코폴리스 (Nicopolis)
인구
주요 민족트라키아인
다키아인
켈트족
사르마티아인
로마인

2. 지리

모이시아는 남쪽으로는 발칸 산맥과 Šar 산맥, 서쪽으로는 드리나 강, 북쪽으로는 다뉴브 강, 동쪽으로는 흑해를 경계로 하는 지역이었다.[9]

도시명현재 지명
비미나키움(Viminacium)코스톨라츠 (주도)
싱기두눔(Singidunum)베오그라드
레메시아나(Remesiana)벨라 팔란카
보노니아(Bononia)비딘
라티아리아(Ratiaria)아르차르



도시명현재 지명
토미스(Tomis)콘스탄차 (주도)
오데수스(Odessus)바르나
오에스쿠스(Oescus)기겐
노바에(Novae)스비슈토프 근교



토미스는 시인 오비디우스가 사망한 곳이며, 노바에는 동고트 왕국의 창시자 테오도릭 대왕의 주요 거점이었다. 이스트로스, 메삼브리아, 아폴로니아는 그리스인의 도시이며, 토미스, 오데수스와 함께 펜타폴리스를 형성했다.

3. 역사

모이시아 지역은 트라키아인, 일리리아인, 트라코-일리리아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던 곳이다. 이 지역의 이름은 로마의 다키아 정복 이전에 이 곳에 살았던 트라키아 부족인 모에시에서 유래했다.

기원전 82년부터 기원전 44년 사이, 모이시아 일부는 게타이(다키아) 왕 부레비스타의 폴리티에 속했다. 부레비스타는 중앙 및 남동부 유럽에서 약탈과 정복을 위한 원정을 이끌었고, 이웃 부족 대부분을 정복했다. 그러나 궁정 암투로 인해 부레비스타가 암살된 후, 그의 제국은 여러 개의 작은 국가로 분열되었다.

기원전 74년, 마케도니아(로마 속주) 집정관 C.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는 군대를 이끌고 도나우강까지 진격하여 게토-다키아인을 그들의 외딴 나라 국경까지 쫓아냈다.

악티움 해전 이후 기원전 30년 아우구스투스가 로마 국가의 유일한 통치자가 되자,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계획을 이어받아 제국의 남동부 유럽 국경을 마케도니아에서 도나우강으로 확장하려 했다. 이 임무를 위해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가 임명되었다. 크라수스는 모에시족을 상대로 성공적인 원정을 벌였고, 바스타르나이를 도나우강 방향으로 몰아내어 전투에서 승리하고 그들의 왕 델도를 일대일 전투에서 죽였다.

모이시아는 기원전 10년 이전에 별도의 군사 지휘부로 분리되었다. 도나우강이 얼어붙을 때마다 다키아인들의 끊임없는 약탈이 발생하자, 아우구스투스는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아우구르와 같은 검증된 장군들을 보냈다. 렌툴루스는 다키아인들을 도나우강 너머로 밀어냈고, 미래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강 오른쪽 제방에 수많은 수비대를 배치했다. 이 지역은 아우구스투스 통치 말기인 서기 6년에 속주로 조직되었다.

86년 다키아 왕 두라스가 모이시아를 공격하자, 로마 황제 도미티아누스87년에 모이시아를 체브루스 (치아브루스) 강을 경계로 두 개의 속주로 재편성했다. 서쪽은 '모이시아 수페리오르'(상류)였고, 동쪽은 '모이시아 인페리오르'였다.

트라야누스 황제 시기 로마 제국다키아 사이에서 벌어진 트라야누스의 다키아 전쟁(101–102년, 105–106년)은 두 차례의 군사 작전이었다. 이 전쟁은 모이시아에 대한 다키아의 지속적인 위협과 로마 제국의 경제에 필요한 자원 확보를 위해 일어났다.

238년 이후 모이시아는 카르피족과 고트족의 침입을 여러 차례 받았다. 251년 아브리투스 전투에서는 로마 황제 데키우스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가 전사했다.

아우렐리아누스 황제(270-275)는 다키아 속주를 고트족에게 넘겨주고, 로마 시민들을 다뉴브 강 남쪽으로 이주시켰다. 이후 모이시아 중앙부는 '''다키아 아우렐리아나'''로 불리게 되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284-305)의 행정 개혁으로 두 개의 모이시아 속주가 재편성되었다. 모이시아 수페리오르는 둘로 나뉘어 북쪽은 비미나키움과 싱기두눔을 포함하는 '''모이시아 프리마'''가 되었고, 남쪽은 스쿠피와 울피아나를 포함하는 다르다니아 속주가 되었다. 동시에 모이시아 인페리오르는 '''모이시아 세쿤다'''와 스키티아 미노르로 나뉘었다.

376년, 훈족에게 압박받은 고트족은 발렌스 황제 시대에 다시 다뉴브 강을 건너 그의 허락을 받아 모이시아에 정착했다. 그 후 곧 다툼이 벌어졌고, 프리티게른 휘하의 고트족은 아드리아노플 근처의 대규모 전투에서 발렌스를 격파했다.

7세기슬라브족과 불가르족이 이 영역에 침입하여, 세르비아불가리아의 왕국을 세웠다.

3. 1. 로마 이전 시대

모이시아 지역은 주로 트라키아인일리리아인, 그리고 트라코-일리리아인들이 거주했다. 이 지역의 이름은 로마의 다키아 정복 이전 이곳에 살았던 트라키아 부족인 모에시의 라틴어 이름에서 유래했다.

기원전 82년에서 기원전 44년 사이, 모이시아의 일부는 북부 발칸 반도의 상당 부분을 지배했던 게타이(다키아) 왕 부레비스타의 폴리티에 속했다. 부레비스타는 중앙 및 남동부 유럽에서 약탈과 정복을 위한 원정을 이끌었고, 이웃 부족 대부분을 정복했다. 그러나 궁정 암투로 인해 부레비스타가 암살된 후, 그의 제국은 여러 개의 작은 국가로 분열되었다.[5]

3. 2. 로마 공화정 시대

기원전 74년, 마케도니아(로마 속주) 집정관 C.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는 군대를 이끌고 도나우강까지 진격하여 게토-다키아인을 그들의 외딴 나라 국경까지 쫓아냈다.[5]

도나우강 중하류 지역에서 다키아인의 확장은 로마를 불안하게 하였고, 다키아 세력의 파괴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기원전 44년경 마케도니아에서 공세를 시작하려 했던 주요 정치적 목표 중 하나였다.

3. 3. 로마 제국 초기

악티움 해전 이후 기원전 30년 아우구스투스가 로마 국가의 유일한 통치자가 되자, 그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계획을 이어받아 제국의 남동부 유럽 국경을 마케도니아에서 도나우강으로 확장하려 했다. 주요 목표는 국경과 이탈리아 사이의 전략적 깊이를 늘리고, 이 지역의 로마 군대에 주요 강 공급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었다.[6]

이 임무를 위해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가 임명되었다.[9] 그는 기원전 29년부터 마케도니아의 집정관이었다.[10] 크라수스는 모에시족을 상대로 성공적인 원정을 벌였고, 바스타르나이를 도나우강 방향으로 몰아내어 전투에서 승리하고 그들의 왕 델도를 일대일 전투에서 죽였다.[11]

모이시아는 기원전 10년 이전에 별도의 군사 지휘부로 분리되었다.[12] 도나우강이 얼어붙을 때마다 다키아인들의 끊임없는 약탈이 발생하자, 아우구스투스는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아우구르와 같은 검증된 장군들을 보냈다. 렌툴루스는 다키아인들을 도나우강 너머로 밀어냈고, 미래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강 오른쪽 제방에 수많은 수비대를 배치했다.[14]

이 지역은 아우구스투스 통치 말기인 서기 6년에 속주로 조직되었다. 카에키나 세베루스가 서기 6년에 총독으로 언급되었다.[15]

3. 4. 도미티아누스 시대

86년 다키아 왕 두라스가 모이시아를 공격하자, 로마 황제 도미티아누스는 직접 모이시아에 도착하여 87년에 모이시아를 체브루스 (치아브루스) 강을 경계로 두 개의 속주로 재편성했다.[9] 서쪽은 '모이시아 수페리오르'(상류)였고, 동쪽은 '모이시아 인페리오르' 또는 '리파 트라키아'(다뉴브강 하구에서 상류)였다. 각각 황제의 집정관 사령관과 프로쿠라토르가 통치했다.[9]

도미티아누스는 모이시아에서 다키아로의 원정을 계획했고, 도미티아누스의 다키아 전쟁은 장군 코르넬리우스 푸스쿠스에게 공격을 명령하면서 시작되었는데, 그는 87년 여름에 5개 또는 6개 군단을 이끌고 다뉴브강을 건넜다. 이 전쟁은 결정적인 결과 없이 끝났고, 다키아의 데체발루스는 나중에 합의된 평화 조약(89년)의 조건을 어겼다.

3. 5. 다키아 전쟁

트라야누스 황제 시기 로마 제국다키아 사이에서 벌어진 트라야누스의 다키아 전쟁(101–102년, 105–106년)은 두 차례의 군사 작전이었다. 이 전쟁은 모이시아에 대한 다키아의 지속적인 위협과 로마 제국의 경제에 필요한 자원 확보를 위해 일어났다.

데케발루스 왕의 통치 아래 다키아는 서기 85년부터 통일되었다. 다키아가 모이시아를 침략하여 총독 가이우스 오피우스 사비누스가 사망하자, 로마와 다키아 사이에 여러 분쟁이 발생했다. 서기 88년 로마는 타파에에서 중요한 전략적 승리를 거두었지만, 도미티아누스 황제는 다키아에게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며 로마의 종주권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트라야누스 황제는 101-102년에 전쟁을 다시 시작했고, 105-106년에 다시 전쟁을 일으켜 다키아 대부분을 합병하고 로마 속주로 만들었다.[1]

3. 6. 고트족의 침입

238년 카르피족이 히스트리아와 트로파이움 트라야니를 약탈한 이후,[19] 모이시아는 카르피족과 고트족의 침입을 여러 차례 받았다.[19] 고트 전쟁 (248–253)에서 250년경 고트족은 모이시아 침략에 부분적으로 성공했고, 251년 아브리투스 전투에서는 로마 황제 데키우스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가 전사했다.[20][21] 이는 로마군 역사상 가장 참혹한 패배 중 하나였다.[21]

3. 7. 로마 제국의 쇠퇴

아우렐리아누스 황제(270-275)는 다키아 속주를 고트족에게 넘겨주고, 로마 시민들을 다뉴브 강 남쪽으로 이주시켰다. 이후 모이시아 중앙부는 '''다키아 아우렐리아나'''로 불리게 되었다.[9]

400년의 트라키아 관구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284-305)의 행정 개혁으로 두 개의 모이시아 속주가 재편성되었다. 모이시아 수페리오르는 둘로 나뉘어 북쪽은 비미나키움과 싱기두눔을 포함하는 '''모이시아 프리마'''가 되었고, 남쪽은 스쿠피와 울피아나를 포함하는 다르다니아 속주가 되었다. 동시에 모이시아 인페리오르는 '''모이시아 세쿤다'''와 스키티아 미노르로 나뉘었다.[9]

후기 고대 시대의 모이시아 속주와 북부 발칸


변경 지역인 모이시아는 다뉴브 강 남쪽 둑을 따라 세워진 역과 요새로 강화되었고, 악시오폴리스에서 토미스까지 벽이 건설되어 스키타이족과 사르마티아족의 침입을 막았다.[9] 모이시아 세쿤다의 수비대에는 제1 이탈리카 군단과 제11 클라우디아 군단, 보조 보병 부대, 기병 부대, 강 함대가 포함되었다.

훈족에게 압박받은 고트족은 발렌스 황제 시대(376)에 다시 다뉴브 강을 건너 그의 허락을 받아 모이시아에 정착했다.[9] 그 후 곧 다툼이 벌어졌고, 프리티게른 휘하의 고트족은 아드리아노플 근처의 대규모 전투에서 발렌스를 격파했다. 이 고트족은 모에소고트족으로 알려져 있으며, 울필라스는 그들을 위해 성경고트어 번역본을 만들었다.[9]

3. 8. 후기 로마 제국

376년, 훈족의 압박을 받은 고트족이 다뉴브강을 건너 발렌스 황제의 허락을 받아 모이시아에 정착했다.[9] 정착 후 곧 다툼이 벌어졌고, 프리티게른이 이끄는 고트족은 378년 아드리아노플 전투에서 발렌스 황제가 이끄는 로마군을 격파했다.[9] 이 고트족은 모에소고트족으로 알려졌으며, 울필라스는 그들을 위해 성경고트어 번역본을 만들었다.[9]

7세기슬라브족과 불가르족이 이 지역에 침입하여, 세르비아불가리아의 왕국을 세웠다.

4. 주요 도시

모이시아는 수페리오르(Superior)와 인페리오르(Inferior) 두 속주로 나뉘었다.


  • 모이시아 수페리오르(상모이시아): 비미나키움(현 코스톨라츠)(주도), 싱기두눔(현 베오그라드), 레메시아나(현 벨라 팔란카), 보노니아(현 비딘), 라티아리아(현 아르차르)

  • 모이시아 인페리오르(하모이시아): 토미스(현 콘스탄차)(주도), 오데수스(현 바르나), 오에스쿠스(현 기겐), 노바에(현 스비슈토프 근교)
  • 토미스는 시인 오비디우스가 사망한 곳이다.
  • 노바에는 동고트 왕국의 창시자 테오도릭 대왕의 주요 거점이었다.
  • 이스트로스, 메삼브리아, 아폴로니아는 그리스인 도시로, 펜타폴리스를 형성했다.

4. 1. 모이시아 수페리오르 (상모이시아)

모이시아 수페리오르의 주요 도시는 다음과 같다.

  • '''비미나키움''' (Viminacium, 현 코스톨라츠, 주도)
  • 싱기두눔 (Singidunum, 현 베오그라드)
  • 레메시아나 (Remesiana, 현 벨라 팔란카)
  • 보노니아 (Bononia, 현 비딘)
  • 라티아리아 (Ratiaria, 현 아르차르)

4. 2. 모이시아 인페리오르 (하모이시아)


  • '''토미스''' (콘스탄차, 주도): 시인 오비디우스가 사망한 곳이다.
  • 오데수스 (Odessus, 현재의 바르나)
  • 오에스쿠스 (Oescus, 현재의 기겐)
  • 노바에 (Novae, 현재의 스비슈토프 근교): 동고트 왕국의 창시자 테오도릭 대왕의 주요 거점이다.
  • 위의 도시들은 그리스인의 도시이며, 이스트로스, 메삼브리아, 아폴로니아와 함께 펜타폴리스를 형성했다.

참조

[1] 서적 Oxford BBC Guide to Pronunci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Cambridge Pronouncing Diction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C. Suetonius Tranquillus, Vitellius Maximilian Ihm, Ed. https://www.perseus.[...] perseus.tufts.eud
[4]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Том 1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02-08
[5] 서적 The Romanians: a history Ohio State University Press 1991
[6] 문서 Res gestae divi Augusti (Monumentum Ancyranum) 30 = Dobó, Inscriptiones... 769
[7] 문서 Ptolemy
[8] 문서 Dio LI.26.5
[9] 간행물 Moesia
[10] 문서 Dio LI.23.2
[11] 문서 Cassius Dio https://penelope.uch[...]
[12]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Blackwell Publishing 2010
[13] 문서 Danubian Papers London 1971
[14] 문서 Epitome of Roman History
[15] 문서 Cassius Dio
[16] 문서 Annales
[17] 웹사이트 Dacia ! Europe, Map, Culture, & Histor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10-13
[18] 서적 Marcus Aurelius' rain miracle and the Marcomannic wars Brill 2009
[19] 서적 Goths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0] 서적 History of the Goth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0
[21] 서적 Empires and Barbarians: The Fall of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