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우스 메디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우스 메디아는 궁수자리에 있는 쌍성계로, K3 III 분광형 거성과 백색 왜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성은 태양 질량의 약 3.21배이며, 약 2억 6천만 년 된 것으로 추정된다. 세 개의 희미한 안시 동반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이 주성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는 불확실하다. 국제천문연맹(IAU)이 승인한 공식 명칭은 카우스 메디아(Kaus Media)이며, 아랍어와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색왜성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백색왜성 - 프로키온
    프로키온은 작은개자리에 있는 밝은 쌍성계로, F형 주계열성 단계를 거의 마친 주성 프로키온 A와 백색 왜성인 프로키온 B로 이루어져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게 보이며 여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과학적으로 연구되는 별이다.
  • K형 거성 - 쉐다르
    쉐다르는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별로, 아랍어로는 "가슴", 중국에서는 '왕량사'로 불리며, 북반구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적색 초거성이다.
  • K형 거성 - 사자자리 뮤
    사자자리 뮤는 사자자리에 위치한 K형 적색 거성으로, 라살라스라는 고유 명칭을 가지며, 2014년에 외계 행성 사자자리 뮤 b가 발견되었다.
  • 궁수자리 - 메시에 24
    메시에 24는 샤를 메시에가 발견한 은하수 내 성운으로, 밝기가 다양한 별들이 흩어져 있으며 NGC 6603을 포함하고, 존 허셜의 관측 기록은 추후 연구에 혼란을 주기도 했다.
  • 궁수자리 - 아치스 성단
    아치스 성단은 짙은 먼지로 둘러싸여 가시광선 관측이 어렵지만 엑스선, 적외선, 전파 관측으로 연구되는, 반지름 약 1광년의 젊고 뜨거운 별 약 150개로 이루어진 성단으로, 별들은 밝고 빠른 항성풍을 방출하며 수백만 년 안에 수소를 소모한다.
카우스 메디아
명칭
명칭카우스 메디아
별칭카우스 메리디오날리스
메디아
기타 명칭いて座δ星
いて座19番星
CD -29 14834
FK5 687
HD 168454
HIP 89931
HR 6859
SAO 186681
관측 정보
별자리궁수자리
겉보기 등급+2.70
특징
분광형K3 III
B-V 색지수+1.38
U-B 색지수+1.55
위치 및 운동
시선 속도–19.9 km/s
고유 운동 (적경)+32.54 밀리초/년
고유 운동 (적위)−25.57 밀리초/년
연주 시차9.38
연주 시차 오차0.18
절대 등급−1.99
물리적 특징
질량3.21 M☉
반지름16 R☉
광도1,660 L☉
표면 온도4203 K
표면 중력0.30
금속 함량−0.32
자전 속도3.6 km/s
나이2억 6천만 년
기타
바이어 명명법궁수자리 델타 (δ Sgr)
HD168454
HIP89931
HR6859
SAO186681
WDSJ18210-2950A
CCDMJ18210-2950A
GC25024
IDS18146-2952 A
PPM268275

2. 특징

카우스 메디아는 궁수자리 델타의 고유 명칭이다. 이 별은 진화가 상당히 진행된 분광형 K3 III의 거성백색왜성으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분류된다. 주성인 거성은 태양의 약 3.21배이며 나이는 약 2억 6천만 년으로 추정된다. 특히, 이 거성은 약한 바륨별의 특징을 나타내는데, 이는 동반성인 백색왜성으로부터 과거에 질량 교환이 일어나 표면에 S과정 원소가 풍부하게 쌓였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2. 1. 주성 (카우스 메디아)

궁수자리 델타의 주성은 진화가 이루어진 분광형 K3 III의 거성이다. 이 별은 백색왜성으로 추정되는 반성과 함께 쌍성계를 이루고 있다.[1] 주성의 질량은 태양의 약 3.21배이며, 나이는 약 2억 6천만 년으로 추정된다. 핵에서는 헬륨탄소로 융합하는 단계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1]

주성은 약한 바륨별의 특징을 보이는데, 이는 과거에 반성인 백색왜성과의 질량 교환을 통해 항성 표면에 S과정으로 생성된 원소들이 풍부하게 쌓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성간 물질의 양이 불확실하여 정확하지는 않지만, 관측된 값보다 실제 광도는 약 30%, 반지름은 약 15% 더 클 것으로 추정된다.

궁수자리 델타는 다중성계이며, ADS 11264, CCDM 18210-2950, See 350과 같은 이중성 번호로도 등재되어 있다. 전체적으로는 주성과 10등급 이하의 어두운 반성 셋으로 이루어진 4중성계로 여겨진다. 주성 주변에는 다음과 같은 희미한 안시 동반성 셋이 관측되었다.[4]

궁수자리 델타의 안시 동반성 정보
구분반성의 밝기 (등급)각거리 (각초)위치각 (°)관측 연도
A - B14.525.82761896년
A - C15.040.11651896년
A - D13.058.12211896년



이 세 동반성이 주성과 중력적으로 묶여 있는지, 아니면 단순히 같은 시선 방향에 있는 배경 별인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2. 2. 동반성

2008년 Eggleton과 Tokovinin은 궁수자리 델타를 진화가 이루어진 분광형 K3 III의 거성백색왜성으로 이루어진 쌍성계 목록에 포함시켰다. 이 거성은 약한 바륨별의 특징을 보이는데, 이는 동반성인 백색왜성과의 질량 교환을 통해 항성 표면에 S과정으로 생성된 원소들이 풍부하게 쌓인 결과로 보인다. 주성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약 3.21배이며, 나이는 약 2억 6천만 년으로 추정된다. 주성은 핵에서 헬륨탄소로 융합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1]

궁수자리 델타에는 세 개의 희미한 안시 동반성이 존재한다.[4] 이 별은 ADS 11264, CCDM 18210-2950, See 350과 같은 이중성 번호로도 알려져 있으며, 4중성계로 분류된다. 주성은 K형의 3등급 별이지만, 나머지 세 개의 반성은 모두 10등급 이하의 어두운 별이다.

안시 동반성 정보
구분반성의 밝기 (등급)각거리 (″)위치각 (°)관측 연도
A - B14.525.82761896년
A - C15.040.11651896년
A - D13.058.12211896년



이 세 반성이 주성과 물리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동반성인지, 아니면 단순히 시선 방향에 우연히 놓여 있는 것인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3. 명명법

'''궁수자리 델타'''(δ Sgr)는 이 항성계를 바이어 명명법으로 표기한 것이다. 이 별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왔다.

가장 널리 알려진 고유 명칭은 '''카우스 메디아'''(Kaus Media)로, 이는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이 공식적으로 승인한 이름이기도 하다.[5] 이 외에도 아랍, 중국, 인도 등 여러 문화권의 전통 천문학에서 각각 다른 이름으로 불려왔으며,[6][7] 여러 별들과 함께 찻주전자 별자리와 같은 성군을 이루기도 한다.[8]

3. 1. 전통적인 이름

'''궁수자리 델타'''(δ Sgr)는 이 항성계를 바이어 명명법으로 표기한 것이다.

전통적인 이름 '''카우스 메디아'''(Kaus Media)는 아랍어 قوس|카우스ar(활)와 라틴어 media|메디아la(가운데)에서 유래했다. 이 별은 '''카우스 메리디오날리스'''(Kaus Meridionalis, "카우스의 남쪽 별"이라는 의미), '''메디아'''(Media), '''카우스 메디우스'''(Kaus Medius) 등으로도 불렸다.[5]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항성들의 고유 명칭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별 이름 워킹 그룹(WGSN)을 조직했다.[5] WGSN은 2016년 7월 20일 첫 공고를 통해 '카우스 메디아'(Kaus Media)를 궁수자리 델타별의 공식 명칭으로 승인했다.

'카우스'(Kaus)라는 이름은 궁수자리의 델타(δ, 카우스 메디아), 엡실론(ε, 카우스 오스트랄리스), 람다(λ, 카우스 보레알리스) 세 별에 붙어 사수의 활을 나타낸다. 원래 아랍어 '알-카우스'(القوس|알-카우스ar)는 궁수자리의 ξ2, ο, π, d, ρ 별들로 이루어진 별자리를 가리키는 이름이었다.

알 아크사시 알 무아케트의 성표에는 Thani al Waridah|타니 알 와리다ar로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와리다 중 두 번째 별'이라는 의미이다.[6]

중국 천문학에서는 이십팔수 중 동방 청룡의 일곱 번째 별자리인 (箕, 키질 바구니)에 속한다. 기(箕)는 궁수자리 델타(카우스 메디아), 감마2(알나슬), 엡실론(카우스 오스트랄리스), 에타로 구성된다. 따라서 궁수자리 델타 자체의 중국식 이름은 箕宿二|지수이중국어(기수이, 기수의 두 번째 별)이다.[7]

또한 카우스 메디아는 감마, 엡실론, 제타(아셀라), 람다(카우스 보레알리스), 시그마(눈키), 타우, 파이와 함께 주전자 모양의 성군을 이룬다.[8]

힌두 점성술에서는 엡실론별과 함께 낙샤트라의 20번째 숙(宿)인 푸르바 아샤다(Purva Ashadha, Purvashada Nakshatra|푸르바샤다 나크샤트라sa)를 구성하며 그 기준 별(거성)로 여겨졌다.

3. 2. 기타 명칭

'''궁수자리 델타'''(δ Sgr)는 이 항성계를 바이어 명명법으로 표기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불려오던 이름인 '''카우스 메디아'''(''Kaus Media''), '''카우스 메리디오날리스'''(''Kaus Meridionalis''), '''메디아'''(''Media'')는 아랍어 قوس|qawsar('카우스', )와 라틴어 mediala('메디아', 가운데)에서 유래했다. 궁수자리의 델타(δ)별, 엡실론(ε), 람다(λ)에는 궁수의 활을 의미하는 ''Kaus''가 붙어 있다. 원래 아랍어 al-qausar는 궁수자리의 ξ2별, ο별, π별, d별, ρ별로 이루어진 성군에 붙었던 이름이다. 이 별은 '''카우스 메디우스'''(''Kaus Medius'') 등으로도 불렸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항성들의 고유 명칭을 공식화하고 목록화하기 위해 별 이름 워킹 그룹(WGSN)을 조직했다.[5] WGSN은 2016년 7월 20일 '''카우스 메디아'''(''Kaus Media'')를 궁수자리 델타(δ)별의 고유 명칭으로 승인하여 공식 고시했다.

아랍의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가 작성한 성표에는 이 별이 Thani al Waridahar로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와리다 중 두 번째'라는 의미이다.[6]

중국 천문학에서 (箕, 箕중국어, 키질 바구니)는 궁수자리 델타, 감마22) 궁수자리, 엡실론(ε) 궁수자리, 에타(η) 궁수자리로 구성된 성군을 가리킨다. 따라서 궁수자리 델타 자체의 중국식 이름은 '''기수2'''(箕宿二, 箕宿二|Jī Sù èr중국어)이며, '기수의 두 번째 별'이라는 뜻이다.[7] 이는 이십팔수 중 동방 청룡의 일곱 번째 숙이기도 하다.

카우스 메디아는 궁수자리 감마(γ), 엡실론(ε), 제타(ζ), 람다(λ), 시그마(σ), 타우(τ), 피(φ)와 함께 '찻주전자 별자리'라는 성군을 구성한다.[8]

힌두 점성술(인도 천문학)에서는 이 별을 궁수자리 엡실론(ε)별과 함께 낙샤트라의 제20번째 숙(宿)인 '''푸르바 아샤다'''(Purvashada Nakshatrasa)로 보았으며, 그 거성(距星, 기준이 되는 별)으로 여겼다.

4. 문화적 의의

이 항성계의 바이어 명명법상 명칭은 '''궁수자리 델타'''(δ Sgr)이다.

전통적으로 불려온 이름 '''카우스 메디아'''(قوس|카우스ara media|메디아lat), '''카우스 메리디오날리스'''(Kaus Meridionalislat), '''메디아'''(Medialat)는 아랍어 '카우스'(활)와 라틴어 '메디아'(가운데)에서 유래했다. 궁수자리의 델타(δ), 엡실론(ε), 람다(λ) 세 별에는 궁수의 활을 의미하는 '카우스'가 붙어 있다. 원래 '알-카우스'는 궁수자리의 크시22), 오미크론(ο), 파이(π), d, 로(ρ) 별들로 이루어진 별자리를 가리키는 이름이었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 산하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은 여러 항성의 고유 명칭을 정리하면서 '카우스 메디아'(Kaus Mediaeng)를 궁수자리 델타의 공식 명칭으로 확정했다.[5] 이 별은 '카우스 메리디오날리스'(Kaus Meridionalislat, "남쪽의 카우스") 또는 '카우스 메디우스'(Kaus Mediuslat)로 불리기도 했다.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성표》에는 이 별이 '타니 알 와리다'(Thani al Waridahara)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와리다 중 두 번째'라는 의미이다.[6]

중화권에서는 (箕)의 일원으로 본다. 기수는 카우스 메디아(δ) 외에 알나슬(γ), 카우스 오스트랄리스(ε), 궁수자리 에타(η)로 구성된다. 이 중 카우스 메디아만을 특정할 때는 기수2(箕宿二)라고 부른다.[7] 이는 이십팔수 중 동방 청룡의 일곱 번째 별자리인 기수의 두 번째 별이라는 뜻이다.

카우스 메디아는 알나슬(γ), 카우스 오스트랄리스(ε), 아셀라(ζ), 카우스 보레알리스(λ), 눈키(σ), 궁수자리 타우(τ), 궁수자리 피(φ)와 함께 '찻주전자 별자리'를 이룬다.[8]

인도 천문학에서는 궁수자리 엡실론과 함께 낙샤트라의 제20숙 '푸르바 아샤다'를 구성하며 그 거성(距星)으로 여겨졌다. 힌두 점성술에서는 '푸르바샤다 나크샤트라'(Purvashada Nakshatrasan)로 불리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Kaus Media http://stars.astro.i[...] 2024-08-04
[2]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https://archive.org/[...] Sky Pub 2006
[3] 웹인용 IAU Catalog of Star Names http://www.pas.roche[...] 2016-07-28
[4] 저널 Catalogue des composantes d'etoiles doubles et multiples (CCDM) premiere edition - Catalogue of the components of double and multiple stars (CCDM) first edition
[5] 웹인용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6] 저널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1895-06
[7] 웹사이트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5 月 11 日 http://aeea.nmns.edu[...]
[8] 웹인용 Teapot http://www.constella[...] constellation-guide.com 2017-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