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진 카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코진 카툰은 콩기라트 부족 출신으로, 원나라 쿠빌라이 칸의 차남 친킴의 아내였다. 그녀는 친킴과의 사이에서 카마라, 다르마발라, 테무르 세 아들을 낳았으며, 현숙한 부인으로 알려졌다. 차브이 황후 사후 막대한 재산을 상속받았고, 친킴 사후에도 황태자부 관리권을 유지하며 아들들을 쿠빌라이의 후계자 후보로 만들었다. 1294년 쿠빌라이 사후 쿠릴타이를 열어 셋째 아들 테무르를 황제로 옹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테무르 즉위 후 황태후가 되어 융복궁을 기반으로 섭정했다. 1300년 사망했으며, 그녀의 유산은 콩기라트 파벌의 중신들의 거점이 되어 원나라 정치에 영향을 미쳤다.
콩기라트 부족 출신인 코코진은 쿠빌라이의 눈에 띄어 그의 차남 친킴의 아내가 되었다. 1263년부터 1265년까지 카마라, 다르마발라, 테무르 세 아들을 낳았다. 코코진은 현숙한 부인으로 알려졌으며, 황태자 친킴의 궁정(오르도)을 잘 관리하고 시어머니 차브이를 가까이에서 섬겼다.
코코진은 원사 후비전에 총명하고 생각이 깊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코코진을 몽골 제국 역사상 중요한 여성 정치인 중 한 명으로 평가한다. 그녀는 남편 친킴 사후에도 자신의 지위와 영향력을 유지하며, 아들 테무르를 황제로 옹립하고 섭정으로서 권력을 행사하는 등 뛰어난 정치적 능력을 발휘했다.
2. 생애
1281년 차브이가 죽자 몽골 전통에 따라 그녀의 오르도와 재산을 상속받았다. 1286년 남편 친킴이 사망했으나, 황태자부 관리 권한은 코코진에게 있었다. 1294년 쿠빌라이 사후, 코코진은 쿠릴타이를 열어 바얀 등 중신들과 협력하여 테무르를 카안으로 즉위시켰다.
테무르 즉위 후 황태후가 된 코코진은 황태자부를 융복궁으로 개칭하고, 테무르의 후견인으로 활약하다 1300년에 사망했다. 코코진 사후 융복궁은 다기에게 상속되어 흥성궁으로 개편, 인종과 영종 시대까지 정치적 거점으로 기능했다.
2. 1. 생애 초반
쿠빌라이가 옹기라트부 영토로 사냥을 나갔을 때 코코진을 처음 만났는데, 그녀의 현명함에 감탄하여 차남 친킴의 아내로 삼았다. 코코진의 본명은 바이람에게치(伯廉也怯赤)이고, 코코진은 별칭이다. 곤기라트 부족 출신이나, 친정에 대한 상세한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안친 노얀(Анчин ноёны)의 딸이라는 설이 있으나, 친어머니에 대한 기록은 없다.
1263년부터 1265년까지 3년간 아들 카말라, 다르마발라, 테무르를 낳았다. 친킴의 어머니이자 같은 옹기라트 출신인 황후 차브이를 가까이에서 섬기며 황태자비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했다.
2. 2. 황태후
1281년 시어머니 차브이 황후가 사망하자, 몽골 전통에 따라 차브이의 오르도(궁정)와 재산을 상속받았다. 1286년 남편 친킴이 사망했지만, 황태자부의 관리 권한은 코코진에게 그대로 상속되었다.
1294년 쿠빌라이 칸이 사망하자, 코코진은 쿠릴타이(최고 의결 기구)를 주재하여 자신의 아들 테무르를 새 황제로 옹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 과정에서 고려 충렬왕이 쿠릴타이에 참석하여 테무르 즉위에 힘을 보탰다. 테무르 즉위 후 황태후가 되었고, 황태자부는 융복궁(隆福宮)으로 개칭되었다. 코코진은 융복궁을 기반으로 섭정으로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2. 3. 사망과 유산
1294년 쿠빌라이가 사망하자, 코코진은 대칸의 미망인 자격으로 차기 대칸을 선출하는 쿠릴타이를 주도했다. 이 쿠릴타이에는 충렬왕도 쿠빌라이의 부마 자격으로 참석했다. 코코진은 바얀 등 대신들의 도움을 받아 쿠빌라이가 생전에 황태자로 책봉했던 테무르를 차기 대칸으로 옹립했다. 테무르가 즉위하자 그해 5월 10일 코코진은 황태후가 되었고, 황태자부는 융복궁(隆福宮)으로 개칭되었다. 코코진은 융복궁을 기반으로 테무르의 후견인으로 활동하다 1300년 3월 1일에 사망했다.
코코진의 시신은 친킴의 묘 곁에 안장되었다. 코코진의 거처였던 융복궁은 훗날 같은 옹기라트부 출신인 다기에게 상속되어 흥성궁(興聖宮)으로 개편되었으며, 원 인종과 원 영종 시대까지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심지가 되었다.
코코진의 재산 중 일부였던 말들은 1300년 탐라(耽羅)에 방목되었고, 원나라는 총관부를 다시 설치하여 제주도를 직할령으로 삼았다. 이는 쿠빌라이 사후 테무르 즉위 당시 충렬왕의 요청으로 제주도를 반환받은 지 6년 만의 일이었다.
1300년 7월 1일 유성황후(裕聖皇后)의 시호를 받았고, 1310년 10월 원 무종에 의해 휘인(徽仁)의 시호가 추가되어 휘인유성황후(徽仁裕聖皇后)가 되었다.
3. 평가
그러나 코코진의 섭정 기간 동안, 옹기라트 외척 세력이 지나치게 비대해져 이후 원나라 정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비판도 있다.
3. 1. 긍정적 평가
코코진은 몽골 제국의 전통을 존중하면서도 변화하는 시대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여성으로서, 그리고 이민족 출신으로서 몽골 제국의 최고 권력층에 올라 제국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했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쿠빌라이 칸의 차남 친킴의 아내였던 코코진은 콩기라트 부족 출신으로, 1263년부터 1265년까지 3년 동안 카마라, 다르마발라, 테무르 세 아들을 낳았다. 현숙한 부인으로 알려진 코코진은 황태자 친킴의 궁정(오르도)을 잘 지켰으며, 친킴의 어머니이자 같은 콩기라트 부족 출신인 황후 차브이를 가까이에서 섬겼다.
1281년 차브이가 죽자, 몽골의 전통에 따라 차브이의 막대한 재산을 물려받았다. 1286년 친킴이 사망한 후에도 코코진은 황태자부의 관리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세 아들은 쿠빌라이의 유력한 후계자 후보로 남을 수 있었다.
1294년 쿠빌라이가 사망하자, 코코진은 후계 카안을 선출하기 위한 쿠릴타이를 주최했다. 코코진은 바얀 등 중신들과 협력하여 테무르를 지지하여 즉위시켰다.
테무르가 카안이 되자 코코진은 황태후가 되었고, 융복궁의 세력을 배경으로 테무르의 후견인으로서 활약했으며, 1300년에 사망했다. 코코진의 유산은 콩기라트 파의 중신들의 거점이 되었고, 아유르바르와다부터 시데바라 시대까지 막대한 권력을 유지하게 되었다.
3. 2. 부정적 평가
코코진의 섭정 기간 동안, 옹기라트 외척 세력이 지나치게 비대해져 이후 원나라 정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비판이 있다. 특히, 제주도에 대한 원나라의 지배 강화는 고려의 자주성을 침해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점에서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한다.
4. 가족 관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