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크 곡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흐 곡선은 헬게 폰 코흐가 고안한 프랙탈 곡선으로, 선분을 반복적으로 변형하여 무한한 길이와 유한한 면적을 갖는 도형을 생성한다. 코흐 곡선은 정삼각형의 각 변을 변형하여 코흐 눈송이를 만들 수 있으며, 자기 유사성을 특징으로 한다. 코흐 곡선은 둘레는 무한대지만 면적은 유한하며, 프랙탈 차원은 약 1.261이다. 코흐 곡선은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며, 컴퓨터 그래픽, 린덴마이어 시스템, 투에-모스 수열 등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랙탈 곡선 - 바이어슈트라스 함수
    바이어슈트라스 함수는 특정 조건의 상수 ab를 사용하여 f(x)= \sum_{n=0}^\infin a^n\cos (b^n\pi x)와 같은 무한 급수 형태로 정의되며 모든 점에서 연속이지만 어느 곳에서도 미분 불가능한 자기 유사성을 지닌 최초로 연구된 프랙탈 중 하나이다.
  • 프랙탈 곡선 - 페아노 곡선
    페아노 곡선은 단위 정사각형을 점진적으로 더 작은 정사각형으로 나누고 중심점을 연결하는 과정을 무한히 반복하여 얻어지는 곡선으로, 린덴마이어 시스템으로 구성하거나 힐베르트 곡선처럼 변형될 수 있다.
코크 곡선
코흐 곡선
코흐 반눈송이의 처음 네 번의 반복
코흐 반눈송이의 처음 네 번의 반복
코흐 반눈송이
여섯 번째 반복
개요
종류프랙탈 곡선
고안자헬게 폰 코흐
창작년도1904년
속성
차원ln 4/ln 3 ≈ 1.26186
길이무한대
관련 항목
관련 항목코흐 눈송이

2. 역사

폰 코흐 곡선에 기반을 둔 눈송이 곡선은 1904년 스웨덴의 수학자 헬게 폰 코흐의 논문에 처음 발표되었으나,[3] 해당 논문과 1906년 확장된 회고록[4]에는 눈송이 그림이 나타나지 않았다. 최초로 눈송이 그림을 구성한 사람은 미국의 수학자 에드워드 카스너로 추정된다.[5][6]

3. 구성

코흐 곡선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진다.

1. 선분을 3등분한다.

2. 가운데 선분을 밑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을 그리고, 아래 변을 지운다.

3.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 과정을 무한히 반복하면 코흐 곡선이 된다.

여러 코흐 곡선 반복으로 구성된 프랙탈 거친 표면


명목상 평평한 표면에 대한 코흐 곡선 기반 표현은 주어진 각도로 세그먼트의 톱니 패턴에서 각 선분을 반복적으로 분할하여 유사하게 만들 수 있다.[7]

코흐 눈송이는 코흐 곡선 3개를 연결하여 시작점과 종점을 일치시킨 것으로, '''코흐 섬'''이라고도 한다. 코흐 곡선과 마찬가지로 코흐 눈송이의 둘레도 무한한 길이를 가진다. 반면 코흐 눈송이로 둘러싸인 면적은 유한하게 유지된다. 최초 정삼각형의 면적을 1로 하면, 코흐 눈송이의 면적은 1.6에 수렴한다.

3. 1. 코흐 곡선 구성 단계

코흐 곡선은 정삼각형에서 시작하여 각 선분을 다음과 같은 단계로 반복하여 구성한다.

1. 선분을 같은 길이의 세 부분으로 나눈다.

2. 1단계에서 나눈 가운데 부분을 밑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을 그리고, 바깥쪽을 향하게 한다.

3. 2단계에서 그린 정삼각형의 밑변을 제거한다.

이 과정을 처음 한 번 반복하면 육각형 별 모양이 만들어진다.

코흐 곡선은 위의 과정을 무한히 반복했을 때 만들어지는 도형이다. 헬게 폰 코흐가 처음 설명한 코흐 곡선은 원래 삼각형의 세 변 중 하나만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즉, 세 개의 코흐 곡선을 합치면 코흐 눈송이가 된다.[7]

코흐 곡선을 만드는 방법


코흐 곡선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무한히 반복하여 만들 수 있다.

1. 선분을 긋는다. (단계 0)

2. 선분을 3등분하여 가운데 선분을 한 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을 그린 후, 아래 변을 지운다. (단계 1)

3. 만들어진 4개의 선분에 대해 같은 작업을 반복한다. (단계 2)

4. 만들어진 16개의 선분에 대해 같은 작업을 반복한다. (단계 3)

이 과정을 무한히 반복하면 코흐 곡선이 된다. 다음은 단계 6까지 수행했을 때의 도형이다.

단계 6 시점의 코흐 곡선

3. 2. 코흐 눈송이 구성

코흐 눈송이는 정삼각형에서 시작하여 각 선분을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변경하여 구성한다.

1. 선분을 동일한 길이의 세 개의 세그먼트로 나눈다.

2. 1단계의 중간 세그먼트를 밑변으로 하고 바깥쪽을 향하는 정삼각형을 그린다.

3. 2단계에서 삼각형의 밑변인 선분을 제거한다.

이 과정을 처음 반복하면 육각형 별의 윤곽이 생성된다.

코흐 눈송이는 위 단계를 무한정 반복할 때 접근하는 극한이다. 헬게 폰 코흐가 원래 설명한 코흐 곡선은 원래 삼각형의 세 변 중 하나만 사용하여 구성된다. 즉, 세 개의 코흐 곡선이 코흐 눈송이를 만든다.[7]

6단계까지의 과정을 보여주는 애니메이션

4. 성질

코흐 곡선은 자기유사성을 띠는 도형이다. 연속적인 곡선이지만, 모든 점에서 미분이 불가능하다.[25] 하우스도르프 차원은 \bold{log}_3 4\approx 1.261이다.

코흐 눈송이는 중앙에 큰 도형이 있고, 그 주위를 6개의 작은 도형이 둘러싸고 있는 모양으로, 7-rep 타일이다. 코흐 곡선의 프랙탈 차원\tfrac{\ln 4}{\ln 3} \approx 1.26186인데, 이는 1차원(선)보다는 크고 2차원(페아노의 공간 채움 곡선)보다는 작다. 또한, 곡선의 어느 점에서도 접선을 그릴 수 없다.

4. 1. 둘레

코크 곡선은 각 반복마다 변의 수는 4배, 각 변의 길이는 1/3이 된다. n번 반복 후 둘레는 처음 정삼각형 둘레의 (4/3)ⁿ 배가 되므로, 무한대 길이를 가진다.[25] 반복 횟수가 무한대로 커짐에 따라 둘레는 무한대로 발산한다.

4. 2. 면적

코크 곡선의 면적은 각 반복마다 이전에 추가된 삼각형 면적의 1/9 크기의 삼각형이 추가되는 방식으로 계산된다. n번 반복 후 추가되는 삼각형의 수는 3 * 4ⁿ⁻¹ 개이다.

n번째 반복에서 추가되는 새로운 삼각형의 수는 다음과 같다.

:Tn = Nn-1 = 3 * 4ⁿ⁻¹ = 3/4 * 4ⁿ

각 반복에서 추가되는 각 새로운 삼각형의 면적은 이전 반복에서 추가된 각 삼각형의 면적의 1/9이므로, n번째 반복에서 추가되는 각 삼각형의 면적은 다음과 같다.

:an = an-1 / 9 = a₀ / 9ⁿ

여기서 a₀는 원래 삼각형의 면적이다. 따라서 n번째 반복에서 추가된 총 새로운 면적은 다음과 같다.

:bn = Tn * an = 3/4 * (4/9)ⁿ * a₀

n번의 반복 후 눈송이의 총 면적은 다음과 같다.

:An = a₀ + Σ(k=1 to n) bk = a₀(1 + 3/4 Σ(k=1 to n) (4/9)k) = a₀(1 + 1/3 Σ(k=0 to n-1) (4/9)k)

등비수열의 합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An = a₀ ( 1 + 3/5 ( 1 - (4/9)ⁿ ) ) = a₀ / 5 ( 8 - 3 (4/9)ⁿ )

면적의 극한은 다음과 같다.

:lim(n→∞) An = lim(n→∞) a₀ / 5 * (8 - 3 (4/9)ⁿ) = 8/5 * a₀

이는 4/9 < 1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코흐 눈송이의 면적은 원래 삼각형 면적의 8/5배이다. 원래 삼각형의 변의 길이 s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2s²√3 / 5

코흐 곡선은 무한한 길이를 가지므로, 코흐 눈송이의 둘레도 무한한 길이를 가진다. 한편, 코흐 눈송이의 곡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은 유한하게 유지된다. 최초 정삼각형의 면적을 1로 하면, 코흐 눈송이의 면적은 1.6에 수렴한다.[25]

4. 3. 기타 성질


  • 자기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 연속적이지만 모든 점에서 미분 불가능하다.
  • 하우스도르프 차원은 \bold{log}_3 4\approx 1.261이다.
  • 코흐 눈송이의 회전체의 부피는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삼각형의 대칭축을 기준으로 할 때 \frac{11\sqrt{3}}{135} \pi이다.[10]
  • 코흐 눈송이는 자기 복제 도형이며, 중앙의 더 큰 사본을 둘러싸는 6개의 작은 사본이 있다. 따라서, 이것은 irrep-7 irrep-타일이다 (자세한 내용은 Rep-타일 참조).
  • 코흐 곡선의 프랙탈 차원\tfrac{\ln 4}{\ln 3} \approx 1.26186이다. 이는 선의 차원(=1)보다 크지만, 페아노의 공간 채움 곡선의 차원(=2)보다는 작다.
  • 곡선의 어떤 점에서도 접선을 그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5. 변형

폰 코흐의 개념에 따라 코흐 곡선의 여러 변형이 설계되었으며, 직각(2차), 다른 각도(세사로), 원 및 다면체를 고려하고 이를 고차원으로 확장했다. 스피어플레이크(Sphereflake) 및 코흐큐브(Kochcube)가 그 예시이다.[1]

변형 (차원, 각도)그림구성
≤1D, 60-90° 각도150px
세사로 프랙탈(85°)
세사로 프랙탈은 60°와 90° 사이의 각도를 가진 코흐 곡선의 변형이다.

세사로 안티스노우플레이크의 처음 네 번의 반복(90° 사각형에 배열된 네 개의 60° 곡선)
≈1.46D, 90° 각도150px
2차 유형 1 곡선

처음 두 번의 반복
1.5D, 90° 각도150px
2차 유형 2 곡선
민코프스키 소시지[12]
450px
처음 두 번의 반복. 프랙탈 차원은 3/2이고, 차원 1과 2의 정확히 중간이다. 따라서 비정수 프랙탈 객체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할 때 종종 선택된다.
≤2D, 90° 각도

세 번째 반복
민코프스키 섬

사각형에 배열된 네 개의 2차 유형 2 곡선
≈1.37D, 90° 각도150px
2차 플래이크
450px
다각형에 배열된 4개의 2차 유형 1 곡선: 처음 두 번의 반복. "민코프스키 소시지"로 알려져 있으며,[13][14][15] 프랙탈 차원은 ln 3/ln √5 = 1.36521영어이다.[16]
≤2D, 90° 각도

2차 안티플래이크
안티십자수 곡선, 2차 플래이크 유형 1으로, 곡선이 바깥쪽이 아닌 안쪽을 향한다(빅섹 프랙탈).
≈1.49D, 90° 각도150px
2차 십자
또 다른 변형. 프랙탈 차원은 ln 3.33/ln √5 = 1.49영어이다.
≤2D, 90° 각도

2차 섬[17]

2차 곡선, 반복 0, 1, 2; ln 18/ln 6 ≈ 1.61영어의 차원
≤2D, 60° 각도150px
폰 코흐 표면
450px
2차원에서 코흐 곡선의 자연스러운 확장의 처음 세 번의 반복.
≤2D, 90° 각도150px
2차 유형 1 3D 코흐 프랙탈의 첫 번째(파란색 블록), 두 번째(녹색 블록 추가), 세 번째(노란색 블록 추가) 및 네 번째(투명 블록 추가) 반복
2차 유형 1 곡선의 확장. 왼쪽의 그림은 두 번째 반복 후의 프랙탈을 보여준다.
300px
2차 표면 애니메이션
≤3D, 임의150px
3D 코흐 곡선
코흐 곡선으로 구성된 3차원 프랙탈. 이 모양은 시에르핀스키 피라미드와 멩거 스펀지시에르핀스키 삼각형시에르핀스키 카펫의 확장으로 간주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의미에서 곡선의 3차원 확장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 모양에 사용된 곡선 버전은 85° 각도를 사용한다.



사각형을 사용하여 유사한 프랙탈 곡선을 생성할 수 있다. 단위 사각형에서 시작하여 각 반복에서 각 변에 이전 반복의 사각형의 크기의 사각형을 추가하면, 둘레의 길이와 총 면적 모두 기하 급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면적에 대한 진행은 2로 수렴하는 반면, 둘레에 대한 진행은 무한대로 발산하므로, 코흐 눈송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무한 프랙탈 곡선으로 둘러싸인 유한 면적을 갖는다.[18] 결과 면적은 원래 사각형과 동일한 중심을 갖지만, 면적이 두 배이고 만큼 회전된 사각형을 채우고, 둘레가 서로 닿지만 겹치지 않는다.

n번째 반복에서 덮인 총 면적은 다음과 같다.

:

:

반면 둘레의 총 길이는 다음과 같다.

:

이는 n이 증가함에 따라 무한대로 접근한다.

5. 1. 함수화

코흐 곡선은 모든 점에서 연속이지만 미분 불가능한 함수의 예시로 사용된다.[3] 코흐 곡선은 드 람 곡선의 특별한 경우로 나타나는데, 드 람 곡선은 칸토어 집합을 평면으로 매핑하여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곡선을 형성한다. 코흐 곡선의 경우, 눈송이의 팁은 이진 유리수에 해당하며, 각 팁은 고유한 이진 유리수로 고유하게 레이블될 수 있다.[25]

코흐 함수의 그래프


헬게 폰 코흐(Helge von Koch)는 곡선 외에도, 당시에 기하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던 모든 곳에서 연속 함수이면서 미분 불가능한 함수의 예시로 곡선의 변형을 제시했다.[3]

코흐 곡선은 아핀 변환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다음 4개의 반복 함수계(IFS)로 나타낼 수 있다.[20]

  • 로 스케일링:

:

f_1(x,y) = \begin{bmatrix} \ \dfrac{1}{3} & \ 0 \ \\ 0 & \ \dfrac{1}{3} \end{bmatrix} \begin{bmatrix} \ x \\ y \end{bmatrix}


  • 로 스케일링하고, 회전:

:

f_2(x,y) = \begin{bmatrix} \ \dfrac{1}{6} & \ -\dfrac{\sqrt{3}}{6} \ \\ \dfrac

{\sqrt{3}}

{6} & \ \dfrac{1}{6} \end{bmatrix} \begin{bmatrix} \ x \\ y \end{bmatrix} + \begin{bmatrix} \ \dfrac{1}{3} \\ 0 \end{bmatrix}


  • 로 스케일링하고, 회전:

:

f_3(x,y) = \begin{bmatrix} \ \dfrac{1}{6} & \ \dfrac{\sqrt{3}}{6} \ \\ -\dfrac{\sqrt{3}}{6} & \ \dfrac{1}{6} \end{bmatrix} \begin{bmatrix} \ x \\ y \end{bmatrix} + \begin{bmatrix} \ \dfrac{1}{2} \\ \dfrac{\sqrt{3}}{6} \end{bmatrix}


  • 로 스케일링:

:

f_4(x,y) = \begin{bmatrix} \ \dfrac{1}{3} & \ 0 \ \\ 0 & \ \dfrac{1}{3 }\end{bmatrix} \begin{bmatrix} \ x \\ y \end{bmatrix} + \begin{bmatrix} \ \dfrac{2}{3} \\ 0 \end{bmatrix}



이러한 반복 함수는 C, 파이썬, Basic 등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프로그래밍하여 순차적으로 반복 계산을 수행하면 코흐 곡선을 그릴 수 있다.[21]

또한, 아래 표와 같이 각 반복 함수의 확률 인자를 설정[22]하고, 컴퓨터에서 난수를 발생시켜 확률 인자 p에 따른 난수 범위 내에서 사용할 함수를 결정하고 계산을 반복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코흐 곡선을 그릴 수 있다. 이것은 랜덤 알고리즘이라고 불리는 기법이다.[23][24]

wabcdefp변환 내용
ƒ11/3001/3000.251/3로 스케일링
ƒ21/6-√3/6√3/61/61/300.251/3로 스케일링, 60° 회전
ƒ31/6√3/6-√3/61/61/2√3/60.251/3로 스케일링, -60° 회전
ƒ41/3001/32/300.251/3로 스케일링



스프레드시트 소프트웨어의 함수를 사용해도 동일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300px

6. 컴퓨터 생성

반복 함수계(IFS)를 사용하여 코흐 곡선을 생성할 수 있다[20]。 코흐 곡선은 린덴마이어 시스템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알파벳''': F
  • '''상수''': +, −
  • '''공리''': F
  • '''생성 규칙''': F → F+F--F+F


여기서 'F'는 "앞으로 그리기", '-'는 "오른쪽으로 60° 회전", '+'는 "왼쪽으로 60° 회전"을 의미한다. 코흐 눈송이를 만들려면 F--F--F(정삼각형)를 공리로 사용한다.

또한, 투에-모스 수열과 터틀 그래픽을 이용하여 코흐 곡선을 생성할 수 있다. 투에-모스 수열의 각 항에 따라 터틀 그래픽의 상태를 다음과 같이 변경한다.

  • t(n) = 0이면, 한 단위 앞으로 이동한다.
  • t(n) = 1이면, \tfrac{\pi}{3} 각도만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결과 곡선은 코흐 눈송이로 수렴한다.

코흐 곡선은 다음 4개의 반복 함수계(IFS)로 나타낼 수 있다[20]

wabcdefp변환 내용
ƒ11/3001/3000.251/3로 스케일링
ƒ21/6-√3/6√3/61/61/300.251/3로 스케일링, 60° 회전
ƒ31/6√3/6-√3/61/61/2√3/60.251/3로 스케일링, -60° 회전
ƒ41/3001/32/300.251/3로 스케일링



이러한 반복 함수는 C, 파이썬, Basic 등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구현할 수 있으며[21], 순차적인 반복 계산을 통해 코흐 곡선을 그릴 수 있다. 또한, 각 반복 함수의 확률 인자를 설정하고[22], 난수를 발생시켜 확률에 따라 함수를 선택하는 랜덤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코흐 곡선을 생성할 수도 있다[23][24]

스프레드시트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동일한 계산을 수행할 수도 있다.

7. 응용

코흐 곡선은 자기 유사성을 가지는 프랙탈 구조의 대표적인 예시이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프랙탈 안테나: 코흐 곡선의 자기 유사성을 이용하여 안테나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자연 현상 모방: 해안선, 산맥, 나뭇가지 등 복잡한 자연 현상의 형태를 모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컴퓨터 그래픽: 이미지 압축, 텍스처 생성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한국 전통 문양: 한국의 전통 문양이나 지형에서 코흐 곡선과 유사한 패턴이 발견되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Fractals and Chaos: An Illustrated Course Institute of Physics 1997
[2] 서적 Fractals: Endlessly Repeated Geometrical Figur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1
[3] 간행물 Sur une courbe continue sans tangente, obtenue par une construction géométrique élémentaire https://babel.hathit[...]
[4] 간행물 Une méthode géométrique élémentaire pour l’étude de certaines questions de la théorie des courbes planes https://projecteucli[...] 1906
[5] 간행물 Who Invented von Koch’s Snowflake Curve? https://www.tandfonl[...] 2024-09-13
[6] 서적 Mathematics and the imagination Dover Publications 2001
[7] 간행물 Static friction between rigid fractal surfaces https://ses.library.[...]
[8] 간행물 On the Lower Bound of the Hausdorff Measure of the Koch Curve 2003-10
[9] 웹사이트 Koch Snowflake http://ecademy.agnes[...]
[10] 간행물 The area, centroid and volume of revolution of the Koch curve https://pure.ulster.[...] 2020-04-16
[11] 간행물 Fractal tilings
[12] 문서 Paul S. Addison, ''Fractals and Chaos: An illustrated course'', p. 19, CRC Press, 1997
[13] 웹사이트 Weisstein, Eric W. (1999). "[https://archive.lib.msu.edu/crcmath/math/math/m/m263.htm Minkowski Sausage]", ''archive.lib.msu.edu''
[14] 웹사이트 Pamfilos, Paris. "[http://users.math.uoc.gr/~pamfilos/eGallery/problems/Minkowski.html Minkowski Sausage]", ''user.math.uoc.gr/~pamfilos/''
[15] MathWorld Minkowski Sausage 2019-09-22
[16] MathWorld Mandelbrot, B. B. (1983). ''The Fractal Geometry of Nature'', p.48. New York: W. H. Freeman 2019-09-22
[17] 서적 Appignanesi, Richard; ed. (2006). ''Introducing Fractal Geometry'' Icon
[18] 웹사이트 Demonstrated by [[James McDonald (writer)|James McDonald]] in a public lecture at KAUST University on January 27, 2013 http://www.kaust.edu[...] 2013-01-29
[19] 서적 ストロガッツ 非線形ダイナミクスとカオス―数学的基礎から物理・生物・化学・工学への応用まで 丸善出版
[20] 웹사이트 Koch Curve http://larryriddle.a[...] 2020-02-18
[21] 웹사이트 Koch curve - Rosetta Code https://rosettacode.[...] 2020-02-18
[22] 웹사이트 ifs https://cs.lmu.edu/~[...] 2020-02-18
[23] 문서 p370,"8 Application to Computer Graphics", Fractals Everywhere
[24] 웹사이트 Fractal Geometry http://www.math.unio[...] 2020-02-18
[25] 웹사이트 Koch Snowflake http://ecademy.agn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