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클랑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랑항은 말레이시아 셀랑고르주에 위치한 항구이다. 1880년 셀랑고르 주의 주도가 쿠알라룸푸르로 이전하면서 클랑은 철도 건설을 통해 항구로서의 중요성을 갖게 되었다. 1901년 "포트 스웨트넘"으로 개장했으며,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노력을 통해 무역항으로서의 발전을 이루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확장되었으며, 1963년 말레이시아 정부가 관리권을 인수하여 클랑항만청을 설립했다. 현재 노스포트, 사우스포인트, 웨스트포트 세 항구를 관리하며, 컨테이너 처리량은 2005년 1억 970만 톤에 달한다. 클랑항은 도로 및 대중교통망과 연결되어 있으며, 말레이시아의 주요 해상 실크로드 거점 중 하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클랑항 - [지명]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자위ڤلابوهن کلڠ
타밀어கிள்ளான் துறைமுகம்
Northport Malaysia Wharve
유형도시
국가말레이시아
셀랑고르
클랑 구
지방 정부클랑 왕립 시의회
지역 당국포트 클랑 당국
설립일1901년 9월 15일
면적573km2
시간대MST
UTC 오프셋+8
우편 번호42000
지역 코드+60 3
차량 번호 접두사B
웹사이트포트 클랑 당국
치안
경찰포트 클랑, 풀라우 케탐, 판다마란
소방노스포트, 포트 클랑
지리 정보
기타 정보
이전 이름

설명


2. 역사

클랑항의 역사는 19세기 말 셀랑고르 주의 주도가 클랑에서 쿠알라룸푸르로 이전되고, 새로운 행정 중심지가 급격히 성장하면서 시작되었다.[4][5] 당시 주요 산업이었던 주석 채굴업의 물류 문제를 해결하고 쿠알라룸푸르와의 교통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철도가 건설되었으며, 기존 강 항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새로운 항구 건설이 추진되었다.[7][8]

1882년 셀랑고르의 영국 거주민으로 임명된 프랭크 애슬스테인 스웨트넘 경의 주도로 철도 건설이 진행되었고,[9][10][11][12][13] 1901년에는 강 어귀 근처에 새로 건설된 항구가 '포트 스웨트넘'이라는 이름으로 공식 개항했다. 초기에는 항구가 위치한 맹그로브 습지 환경으로 인해 말라리아가 심각한 문제였으나,[14][15] 로널드 로스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방역 조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항구 운영을 정상화했다.[16]

이후 포트 스웨트넘은 꾸준히 성장하여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사이 기간 동안 무역량이 크게 증가했으며, 전쟁 이후에는 손상된 시설 복구와 함께 팜유, 라텍스 등 새로운 주요 수출품을 처리하기 위한 시설 확장이 이루어졌다.[19]

말레이시아 독립 후인 1963년, 항만 운영 주체가 말레이 철도청에서 새로 설립된 스웨트넘 항만청(이후 클랑항만청(Port Klang Authority)으로 변경)으로 이관되었다. 1970년대부터는 컨테이너 화물 처리를 위한 현대적인 심해 부두가 건설되었고, 벌크 화물 처리 능력도 지속적으로 확충되었다.[20] 1980년대 후반에는 정부의 민영화 정책에 따라 일부 터미널 운영이 민간 기업으로 넘어갔으며,[19] 1993년에는 국가 하역 센터(National Load Centre)로 지정되어 말레이시아의 핵심 무역항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했다.

현재 클랑항은 전 세계 120개국 이상, 500개 이상의 항구와 연결되는 국제적인 물류 허브로 자리 잡았으며,[21] 중국과 유럽을 잇는 해상 실크로드(Silk Road)의 중요한 거점 중 하나로 기능하고 있다.[22][23][24][25] 또한, 세계 최대 금속 거래소인 LME의 주요 알루미늄 저장 기지로서 국제 원자재 시장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3]

2. 1. 초기 역사 (19세기 후반)

클랑은 과거 셀랑고르 주 정부 철도의 종착역이자 주의 항구였다.[4] 1880년, 셀랑고르 주의 주도는 클랑에서 전략적으로 더 유리한 쿠알라룸푸르로 이전되었다.[5] 1800년대 후반, 새로운 행정 중심지인 쿠알라룸푸르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사업가와 일자리를 찾는 사람들이 클랑에서 쿠알라룸푸르로 이동했다. 당시 클랑과 쿠알라룸푸르를 오가는 유일한 교통 수단은 이나 물소가 끄는 마차, 또는 클랑강을 따라 다만사라까지 가는 배편뿐이었다. 이 때문에 프랭크 스웨트넘은 당시 셀랑고르의 영국 거주민이었던 윌리엄 블룸필드 더글러스[6]에게 쿠알라룸푸르까지의 여정이 "매우 길고 지루하다"고 말하며[7] 대체 교통 수단으로 철도 건설을 제안했다.

1882년 9월, 프랭크 애슬스테인 스웨트넘 경이 셀랑고르의 새로운 거주민으로 임명되었다. 스웨트넘은 특히 주석 채굴업자들이 광석을 클랑의 항구인 펠라부한 바투[8]로 운반하는 데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클랑과 쿠알라룸푸르를 잇는 철도 연결을 시작했다. 쿠알라룸푸르에서 부킷 쿠두까지 이어지는 약 31.38km 길이의 철로가 1886년 9월에 개통되었고, 1890년에는 클랑까지 약 4.83km 더 연장되었다.[9][10][11][12][13]

그러나 강 항해는 수심이 3.9m 미만인 배만 부두에 접근할 수 있었기 때문에 어려웠고,[8] 따라서 정박지가 좋은 강 어귀 근처에 새로운 항구가 선택되었다. 말레이 철도에 의해 개발되어 15년 후인 1901년 9월 15일에 스웨트넘 자신에 의해 공식적으로 개장된 새로운 항구는 그의 이름을 따 "포트 스웨트넘"으로 명명되었다.

2. 2. 영국 식민 통치 시기 (20세기 초)

1880년대 후반, 새로운 행정 중심지 쿠알라룸푸르의 급속한 발전은 클랑에서 사업가와 구직자들을 끌어들였다. 당시 클랑과 쿠알라룸푸르 사이의 주요 교통 수단은 이나 물소가 끄는 마차, 또는 클랑강을 따라 다만사라까지 가는 배편뿐이었다. 이러한 불편 때문에 당시 셀랑고르의 영국 거주민이었던 윌리엄 블룸필드 더글러스[6]에게 프랭크 스웨트넘은 쿠알라룸푸르까지의 여정이 "매우 길고 지루하다"고 토로하며[7] 대체 교통수단으로 철도 건설을 제안했다.

1882년 9월, 프랭크 애슬스테인 스웨트넘 경이 셀랑고르의 새로운 거주민으로 임명되면서 철도 건설 계획은 본격화되었다. 스웨트넘은 특히 주석 채굴업자들이 광석을 당시 클랑의 항구였던 펠라부한 바투[8]로 운반하는 데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했다. 쿠알라룸푸르에서 부킷 쿠두까지 이어지는 약 31.38km 길이의 철로가 1886년 9월에 개통되었고, 1890년에는 클랑까지 약 4.83km 더 연장되었다.[9][10][11][12][13]

그러나 기존 항구는 강 수심이 얕아 수심 3.9m 미만의 배만 부두에 접근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정박 여건이 더 좋은 강 어귀 근처에 새로운 항구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말레이 철도가 개발을 주도하여 건설된 새 항구는 1901년 9월 15일, 스웨트넘 자신에 의해 공식적으로 개장되었으며 그의 이름을 따 '포트 스웨트넘'으로 명명되었다.

1954년 포트 스웨트넘 지도. 현재는 사우스포인트로 알려져 있다.


개항 초기 클랑과 포트 스웨트넘은 말라리아가 심각한 지역으로 악명이 높았다. 항구 자체가 맹그로브 습지에 위치했던 탓에, 개항 두 달 만에 말라리아가 발생하여 항구가 폐쇄되는 사태를 겪었다.[14][15] 다행히 몇 년 전인 1897년 영국의 의사 로널드 로스가 말라리아가 모기를 통해 전염된다는 사실을 증명했고, 포트 스웨트넘은 이 발견의 혜택을 받아 말라리아 퇴치 작업이 이루어진 최초의 식민지 지역 중 하나가 되었다.[16] 습지를 매립하고 정글을 개간했으며, 지표수를 다른 곳으로 돌려 모기의 번식지를 파괴함으로써 말라리아의 위협은 완전히 제거되었다.

말라리아 문제가 해결되자 항구의 무역량은 급속도로 성장했다. 1914년까지 두 개의 새로운 선석과 기타 항만 시설이 추가되었다. 한편, 셀랑고르 폴로 클럽이 1902년 포트 스웨트넘에 설립되었으나 1911년 쿠알라룸푸르로 이전했다.[17]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사이 기간 동안 항구는 지속적인 성장과 확장을 경험했으며, 1940년에는 연간 처리 톤수가 55만 톤에 달하며 최고치를 기록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연합군 항공기가 포트 스웨트넘의 비행장에서 RAF 정비 부대에 의해 정비되기도 했다.[18] 이 비행장의 위치는 1954년 미국 육군 지도에도 표시되어 있다. 전쟁으로 인해 손상된 항구 시설 대부분은 전후 복구되었다. 항구는 남쪽으로 확장되어 당시 중요성이 커지던 수출품인 팜유와 라텍스를 처리하기 위한 영구 시설을 갖추게 되었다. 수입 물동량 역시 크게 증가하여 항구에서 처리되는 화물의 총량은 전쟁 전에 예상했던 수준을 훨씬 넘어섰다.[19]

2. 3. 독립 이후 (20세기 후반 ~ 현재)

1963년 7월 1일, 말레이시아 정부는 말레이 철도청으로부터 클랑항의 관리를 넘겨받기 위해 법정 공사인 스웨트넘 항만청을 설립했으며, 이는 나중에 클랑항만청(Port Klang Authority)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에는 일반 화물뿐만 아니라 컨테이너를 처리할 수 있는 부두를 갖춘 새로운 심해 부두가 건설되었다. 셀랑고르 왕립 요트 클럽은 1969년 7월 "스웨트넘 요트 클럽"이라는 이름으로 이곳에서 처음 등록되었다.[20] 1972년 11월, 당시 총리였던 툰 아브둘 라작(Tun Abdul Razak)은 컨테이너 터미널을 개장했다. 1974년 5월에는 벌크 화물을 위한 7개 부두 건설이 시작되어 1983년에 완공되었다. 1982년 10월에는 북항(North Port)의 액체 벌크 터미널 건설이 완료되었다.

1986년 3월 17일, 클랑항만청이 운영하던 컨테이너 터미널 시설은 정부의 민영화 정책의 일환으로 클랑 컨테이너 터미널 베르하드(Klang Container Terminal Berhad)에 넘어갔다. 1988년 1월에는 서항(West Port) 개발의 즉각적인 대안으로 새로운 약 243.84m 길이의 부두 건설 공사가 시작되었다.[19] 1993년 정부 지침에 따라 클랑항은 국가 하역 센터(National Load Centre)로 지정되어 개발되었다. 이후 클랑항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현재 120개국 이상과 무역 관계를 맺고 있으며, 전 세계 500개 이상의 항구와 거래하고 있다.[21]

이 항구는 중국 해안에서 수에즈 운하(Suez Canal)를 거쳐 지중해, 그리고 트리에스테(Trieste)의 상부 아드리아 해 지역과 중부 유럽(Central Europe), 동부 유럽(Eastern Europe)으로 이어지는 해상 실크로드(Silk Road)의 일부이다.[22][23][24][25]

2020년 7월 기준으로 클랑항은 세계 최대 금속 거래소인 LME의 알루미늄 비축량이 가장 많은 곳이었다. LME는 지난 몇 년간 이 항구가 "LME 알루미늄 저장 전쟁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해왔다"고 보고했으며, 2020년 5월 말 기준으로 등록된 재고 911,000톤과 암시장 재고 434,000톤이 보관되어 있었다.[3]

3. 시설 및 운영

1963년 7월 1일, 말레이시아 정부는 말레이 철도청으로부터 클랑항의 관리권을 넘겨받기 위해 공기업인 스웨트넘 항만청을 설립했으며, 이 기관은 이후 클랑항만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에 걸쳐 일반 화물과 컨테이너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심해 부두가 건설되었다. 1972년 11월에는 당시 총리였던 툰 아브둘 라작이 컨테이너 터미널을 공식 개장했다. 이어서 1974년 5월에는 벌크 화물 처리를 위한 7개 부두 건설이 시작되어 1983년에 완공되었고, 1982년 10월에는 북항(North Port)에 액체 벌크 터미널 건설이 완료되었다.

1986년 3월 17일, 정부의 민영화 정책에 따라 클랑항만청이 운영하던 컨테이너 터미널 시설은 클랑 컨테이너 터미널 베르하드(Klang Container Terminal Berhad)라는 민간 기업에 넘어갔다. 1988년 1월에는 서항(West Port)의 즉각적인 개발 대안으로 새로운 약 243.84m 길이의 부두 건설 공사가 시작되었다.[19]

1993년 정부 지침에 따라 클랑항은 말레이시아의 국가 하역 센터(National Load Centre)로 지정되었다. 이후 클랑항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현재 120개국 이상과 무역 관계를 맺고 있으며, 전 세계 500개 이상의 항구와 교류하고 있다.[21] 또한 이 항구는 중국 해안에서 시작하여 수에즈 운하를 거쳐 지중해, 트리에스테의 상부 아드리아 해 지역, 그리고 중부 유럽 및 동부 유럽으로 이어지는 해상 실크로드의 중요한 일부를 구성한다.[22][23][24][25]

2020년 7월 기준으로 클랑항은 세계 최대 금속 거래소인 런던금속거래소(LME)의 알루미늄 비축량이 가장 많은 곳이었다. LME는 이 항구가 수년간 "LME 알루미늄 저장 전쟁에서 중심 역할을 해왔다"고 평가했으며, 2020년 5월 말 기준으로 등록된 재고 911,000톤과 비공식적인 암시장 재고 434,000톤이 보관되어 있었다.[3]

3. 1. 클랑항만청

클랑항만청 (Port Klang Authorityeng)은 클랑항 지역 내의 노스포트 (Northporteng), 사우스포인트 (Southpointeng), 웨스트포트 (Westporteng) 세 항구를 관리한다. 클랑항만청 설립 이전에는 사우스포인트만 존재했으며, 말레이 철도청 (Malayan Railway Administrationeng)이 관리했다. 웨스트포트와 노스포트는 민영화되어 별도의 기업으로 운영되고 있다.

2005년 항만 총 처리량은 1.097억ton이었던 반면, 1940년에는 55만ton이었다.[26]

3. 2. 항만 운영사

노스포트(Northport)는 노스포트(말레이시아) 베르하드(Northport (Malaysia) Bhd)가 소유하고 운영하며, 전용 다목적 항만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노스포트는 켈랑 컨테이너 터미널(KCT)과 켈랑 항만 관리(KPM) 두 회사가 합병하여 설립되었다.[27] 노스포트의 운영 범위에는 일반 화물 처리를 위해 사우스포인트(Southpoint)로 이름이 바뀐 사우스포트가 포함되며, 물류 부문의 일환으로 노스포트 디스트리파크 스단 베르하드(NDSB)를 인수하였다.

클랑항 크루즈 센터


웨스트포트는 웨스트포츠 말레이시아 사(Westports Malaysia Sdn Bhd)(이전 명칭: 켈랑 멀티 터미널 사(Kelang Multi Terminal Sdn Bhd))가 관리한다. 여객 항구인 클랑항 크루즈 센터(Port Klang Cruise Centre)는 1995년 12월 웨스트포트의 화물 터미널 옆 풀라우 인다(Pulau Indah)에 문을 열었다. 크루즈 선사와 군함은 클랑항 크루즈 센터의 세 개 부두 중 한 곳에 정박하는데, 이곳은 과거 스타 크루즈(Star Cruises)가 관리했으나 이후 글렌 해양 그룹(Glenn Marine Group)이 인수하였다.[28]

4. 교통

클랑항은 연방 고속도로를 포함한 주요 도로망을 통해 쿠알라룸푸르 등 인근 도시와 연결된다. 또한, 통근열차와 버스 등 대중교통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으며, 인근 섬과 인도네시아를 잇는 여객선 터미널도 갖추고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29]

4. 1. 도로

클랑항은 연방 고속도로 연방 2번 도로의 서쪽 끝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 고속도로를 통해 쿠알라룸푸르까지 연결된다. 또한, KESAS는 인근 판다마란에서 연방 181번 도로와 만나 웨스트포츠 및 PKFZ로 이어진다.

클랑항 시가지, 사우스포트, 그리고 주택가를 연결하는 주요 도로로는 페르시아란 라자 무다 무사와 잘란 펠라부한 우타라가 있다.

2012년부터는 풀라우 인다가 SKVE를 통해 말레이시아의 행정 수도인 푸트라자야카장으로 직접 연결되었다.[29]

4. 2. 대중교통

클랑을 경유하여 쿠알라룸푸르로 가는 버스와 통근열차가 자주 운행된다.

포트클랑에는 KTM 코무터 서비스가 운행되며, 포트클랑 코무터역에 정차한다. 전철 서비스는 클랑, 쿠알라룸푸르, 수방자야, 샤알람을 거쳐 탄중말림까지 이어진다.

프랑키섬으로 가는 여객선 터미널과 탄중발라이 및 인도네시아의 두마이로 가는 국제선 터미널도 이 지역에 있다. 노스포트 다리(Northport Bridge)가 완공되기 전까지는 구 여객선 터미널에서 풀라우 루무트(Pulau Lumut)와 텔록 곤젠(Telok Gonjeng) 터미널로 정기 여객선이 운항되었다.

5. 정치

클랑항은 클랑 시의회의 관할 하에 있다. 말레이시아 의회에서는 클랑 선거구의 국회의원인 가나바티라우 베라만이 대표하고, 셀랑고르주 주 의회에서는 펠라부한 클랑 주 의원인 아즈미잠 자만 후리가 대표한다.

6.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Town built on Selangor's tin trade http://www.nst.com.m[...] New Straits Times (Malaysia) 2009-04-06
[2] 웹사이트 Port Kelang {{!}} Malaysia, Map,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11-23
[3] 뉴스 Column: London Metal Exchange shines a (little) light on shadow stocks https://uk.reuters.c[...] 2020-07-13
[4] 간행물 Bulletin Govt. Print. Office 1910
[5] 백과사전 Kuala Lumpur http://www.britannic[...]
[6] 서적 Australian Dictionary of Biography http://adbonline.anu[...] Melbourne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Info Klang-Port Sweettenham http://www.mpklang.g[...] Majlis Perbandaran Klang 2009-06-19
[8] 웹사이트 Brickfields http://www.studymode[...] StudyMode.com
[9] 문서 Official Government Reports for Selangor, 1886, 1890.
[10] 웹사이트 Various reports in The Straits Times, 1886-1890 http://newspapers.nl[...]
[11] 웹사이트 Transcripts available at http://searail.mymal[...]
[12] 웹사이트 No longer Swettenham Road http://thestar.com.m[...] The Star (Malaysia) 2007-05-26
[13] 서적 One hundred years of Singapore: being some account of the capital of the Straits Settlements from its foundation https://archive.org/[...] London:Murray
[14] 간행물 Tropical Australia http://trove.nla.gov[...] 1906-11-30
[15] 웹사이트 Effective War on Mosquitos. https://timesmachine[...] 1905-04-19
[16] 서적 Welfare in the British Colonies https://books.google[...] Read Books 2007
[17] 웹사이트 Royal Selangor Polo Club History http://www.rspc.org.[...] Royal Selangor Polo Club
[18] 웹사이트 RAF Servicing Commandos 1942-1946 http://www.combinedo[...] Combinedops.com
[19] 웹사이트 Northport Heritage http://www.northport[...] Northport (Malaysia) Bhd
[20]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www.rsyc.com.[...] Royal Selangor Yacht Club
[21] 웹사이트 Background - Malaysia's Principal Port http://www.pka.gov.m[...] Port Klang Authority 2009-03-10
[22] 서적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in Malaysia
[23] 서적 China’s Maritime Silk Road Initiative and South Asia
[24] 서적 Die Renaissance der Seidenstraße
[25] 웹사이트 Malaysia in China’s Belt and Road https://thediplomat.[...]
[26] 웹사이트 Port Swettenham http://pwencycl.kgbu[...] The Pacific War Online Encyclopedia
[27] 뉴스 Economic crisis hitting hard https://eresources.n[...] 1998-05-08
[28] 웹사이트 Star Cruises Terminal - Port Klang http://www.starcruis[...] Star Cruises
[29] 웹사이트 SKVE to boost Klang Valley's growth http://www.nst.com.m[...] 2010-06-25
[30] 웹인용 MP Klang - Pelabuhan Klang http://www.mpklang.g[...] Majlis Perbandaran Klang 2009-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