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밀라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밀라캄은 타밀어 '타밀'과 '-아캄'의 합성어로, "타밀인의 고향"을 의미하며, 고대 타밀 지역을 지칭하는 가장 오래된 용어이다. 이 용어는 톨카피암, 실라파디카람 등 고대 문헌에 등장하며, 북쪽의 벤카타 언덕에서 남쪽의 카냐쿠마리까지, 현재의 케랄라를 포함하는 지역을 가리킨다. 타밀라캄은 체라, 초라, 판디아 왕조를 비롯한 여러 정치적 지역으로 나뉘었으며, 13개의 사회 지리적 지역(나두)으로 구분되었다. 기원전 6세기부터 서기 3세기까지 촐라, 판디아, 체라 왕조가 타밀라캄을 통치했으며, 힌두교, 자이나교, 불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했다. 스리랑카는 고대 타밀라캄과 문화적으로 연결되어 있었으며, 타밀 상인들의 무역 활동과 타밀 왕들의 통치 기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밀나두주의 지역 - 톤다이만달람
    톤다이만달람은 안드라 프라데시 주와 타밀나두 주에 걸쳐 촐라, 팔라바,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지배를 받으며 농업 확장과 도시화가 이루어진 역사적인 지역이다.
  • 타밀나두주의 고대사 - 무쉬카 왕조
    무쉬카 왕조는 고대 타밀 시대에 케랄라주 북부 에질말라이 지역을 중심으로 성장한 왕조로, 족장 에질말라이 난난의 용맹함과 여러 통치자들의 통치, 그리고 촐라 왕조의 공격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는 비문들을 통해 그 역사와 문화를 엿볼 수 있다.
  • 타밀나두주의 고대사 - 일랑고 무타라이야르
    일랑고 무타라이야르는 825년에 시바 신에게 헌정된 비자얄라야 촐레스와람 사원과 우타마다네스와라르 사원으로도 알려진 키자타니얌 사원을 건설한 인물이며, 두 사원은 현재 인도 고고학 조사국에 의해 보호 유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타밀라캄
개요
언어타밀어
위치인도 아대륙의 남쪽 지역
문화적 중심지고대 타밀족
존속 기간기원전 3세기 ~ 서기 4세기
지리
범위현재의 타밀나두 주
케랄라 주
카르나타카 주 일부
안드라프라데시 주 일부
특징다양한 지형 (산, 강, 평야) 포함
역사
형성기원전 3세기경
주요 왕조촐라
체라
판디아
문화적 특징상감 문학 발달
사회
주요 민족타밀족
언어타밀어 (주요 드라비다어족 언어)
문화
문학상감 문학
종교힌두교, 자이나교, 불교

2. 어원

"타밀라캄"은 타밀어 단어와 접미사인 ''타밀''과 -아캄의 합성어이다. 이는 대략 "타밀어의 고향"으로 번역될 수 있다. 카밀 즈베레빌에 따르면, 이 용어는 인도 아대륙에서 타밀 지역을 지정하는 데 사용된 가장 오래된 용어인 것으로 보인다.

홍해의 항해기와 프톨레마이오스의 저작에는 인도 남서부 말라바르 해안에 해당하는 "리미리케"라는 용어가 언급되어 있다. 로마 지도 ''타불라 페우틴게리아나''에는 "다미리카"(또는 "다미리케")라는 장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단어가 "타밀"과 비슷하기 때문에 일부 현대 학자들은 이를 리미리케와 동일시하여 모두 "타밀라캄"의 동의어로 간주한다. 그러나 ''타불라 페우틴게리아나''에 언급된 "다미리케"는 실제로 히말라야 산맥과 갠지스 강 사이의 지역을 지칭한다.[2]

244x244px

3. 지리적 범위

"타밀라캄"이라는 용어는 타밀 지역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 가장 오래된 용어로 보인다. 이를 언급하는 가장 초기의 자료로는 ''푸라나누루'' 168.18과 ''파티르파투 파티캄'' 2.5가 있다.[3] 더 오래된 텍스트인 ''톨카피암''의 특정 서문 (''시라푸파이람'')은 "타밀어가 사용되는 아름다운 세상"을 의미하는 ''타밀-쿠루 날-룰라캄''과 "세련된 타밀의 영토"를 의미하는 ''센타밀 ... 닐람''이라는 용어를 언급한다. 그러나 이 서문은 불확실한 날짜에 작성되었으며, 원래 ''톨카피암''에 나중에 추가된 것이다.[3] ''톨카피암'' 서문에 따르면, "타밀어가 모국어로 사용되는 덕망 있는 땅은 북쪽의 벤카타 언덕과 남쪽의 카냐쿠마리 사이에 위치한다."[4]

''실라파디카람'' ()은 타밀라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5]

이러한 고대 텍스트들은 타밀라캄의 동쪽과 서쪽 경계를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지만, 학자들은 이 경계가 바다였을 것으로 추정하며, 이는 고대 정의에서 이들이 생략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6] 따라서 고대 타밀라캄은 현재의 케랄라를 포함했다.[4] 그러나 스리랑카 북동부 주의 현재 타밀인이 거주하는 지역은 제외되었다.[7]

고대 타밀라캄의 주요 부분은 현대 인도의 케랄라 주와 타밀나두 주에 위치해 있다.


"타밀라캄"이라는 용어가 포괄하는 지역은 여러 왕국으로 나뉘었지만, 고대 문헌에 이 용어가 등장한다는 것은 이 지역 주민들이 문화적 또는 민족적 정체성을 공유했거나, 적어도 스스로를 이웃과 구별되는 존재로 여겼음을 시사한다. 기원전 5세기부터 서기 3세기까지의 고대 타밀 비문 또한 타밀라캄을 나머지 남인도와 구별하는 언어학적 증거로 간주된다. 북부 왕 아쇼카와 카라벨라의 비문과 같은 고대 비타밀 비문에서도 이 지역의 뚜렷한 정체성을 암시한다. 예를 들어, 아쇼카의 비문은 그의 왕국의 남쪽 경계 너머에 있는 독립 국가들을 언급하고, 카라벨라의 하티굼파 비문은 "타밀 세력의 연합" 파괴를 언급한다.

타밀라캄은 "페루나두" 또는 "대국"("나두"는 국가를 의미)이라고 불리는 정치적 지역으로 나뉘었다.[11] 체라 나두,[12][13][14] 초라 나두 및 판디아 나두의 세 개의 중요한 정치적 지역이 있었다.[11] 이 세 지역 외에도 앗티야만 나두(사티야푸타)와 타미라바라니 나두(텐 판디)의 두 개의 정치적 지역이 있었는데, 이 지역들은 기원전 3세기에 체라와 판디아 나두에 흡수되었다. 톤다이 나두는 초라 나두의 지배를 받았지만, 서기 6세기에는 독립적인 팔라바 나두로 부상했다.

타밀라캄은 또한 각각 고유한 타밀 방언을 가진 13개의 사회 지리적 지역, 즉 "나두" 또는 "국가"로 나뉘었다.

  • 아루바 바다탈라이 나두
  • 카카나두[15]
  • 쿠다 나두
  • 쿠타나두
  • 말라이 나두[16]
  • 푸지 나두
  • 에루마이 나두[21]
  • 판리 나두
  • 푸날 나두
  • 시다 나두
  • 텐판디 나두
  • 톤다이 나두
  • 툴루 나두[17]
  • 베나두

3. 1. 세부 지역

타밀라캄은 "페루나두" 또는 "대국"("나두"는 국가를 의미)이라고 불리는 정치적 지역으로 나뉘었다.[11] 체라 나두,[12][13][14] 초라 나두 및 판디아 나두의 세 개의 중요한 정치적 지역이 있었다.[11] 이 세 지역 외에도 앗티야만 나두(사티야푸타)와 타미라바라니 나두(텐 판디)의 두 개의 정치적 지역이 있었는데, 이 지역들은 기원전 3세기에 체라와 판디아 나두에 흡수되었다. 톤다이 나두는 초라 나두의 지배를 받았지만, 서기 6세기에는 독립적인 팔라바 나두로 부상했다.

타밀라캄은 또한 각각 고유한 타밀 방언을 가진 13개의 사회 지리적 지역, 즉 "나두" 또는 "국가"로 나뉘었다.

  • 아루바 바다탈라이 나두
  • 카카나두[15]
  • 쿠다 나두
  • 쿠타나두
  • 말라이 나두[16]
  • 푸지 나두
  • 에루마이 나두[21]
  • 판리 나두
  • 푸날 나두
  • 시다 나두
  • 텐판디 나두
  • 톤다이 나두
  • 툴루 나두[17]
  • 베나두

4. 역사

4. 1. 상감 시대 (기원전 6세기 ~ 서기 3세기)

4. 1. 1. 주요 왕조

타밀나두의 역사에서 기원전 600년부터 서기 300년까지[8] 타밀라캄은 촐라 왕조, 판디아 왕조, 체라 왕조의 세 타밀 왕조와 몇몇 독립적인 족장인 벨리르 (사티야푸트라)에 의해 통치되었다. 타밀 왕국에 대한 초기 언급은 마우리아 제국 시대인 기원전 3세기의 비문에서 발견된다.

촐라 왕조는 상감 시대(기원전 3세기경)부터 13세기까지 타밀나두 중부를 통치했으며, 카베리의 비옥한 계곡이 그 중심지였다. 판디아 왕조는 17세기 후반까지 남인도 일부를 통치했으며, 바이가이 강의 비옥한 계곡이 중심지였다. 그들은 처음에는 인도 반도의 최남단 항구 도시인 코르카이에서 통치하다가 나중에 마두라이로 수도를 옮겼다. 체라 왕조는 상감 시대(기원전 3세기경)부터 12세기까지 오늘날의 서부 타밀나두와 케랄라에 해당하는 지역을 통치했다.

벨리르(Vēḷir)는 남인도 초기 역사 시대 타밀라캄의 소규모 왕조 왕들과 귀족 족장들이었다.[9][10]

4. 2. 중세 시대 (3세기 ~ 13세기)

4. 3. 근세 시대 (13세기 ~ 18세기)

4. 4. 현대 (18세기 이후)

5. 문화

5. 1. 언어와 문학

5. 2. 종교

힌두교 (바이슈나바교, 카우마람, 샤크티파, 시바교), 드라비다 민간 신앙, 자이나교불교는 적어도 기원전 2세기부터 타밀 지역에서 공존해 왔다.

5. 3. 기타

6. 스리랑카와의 관계

스리랑카 타밀족도 참조

원사 시대(기원전 1000-500년) 동안 스리랑카는 남인도와 문화적으로 통합되었으며,[23] 동일한 거석 묘, 도기, 철 기술, 농업 기술 및 거석 낙서를 공유했다.[24][25] 이 문화 복합체는 프라크리트어 화자의 이주 이전에 벨리르와 같은 드라비다 씨족과 함께 남인도에서 퍼져나갔다.[26][27][24] 기원전 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아나이코다이 봉인에는 타밀-브라흐미어로 된 이중 언어 비문이 새겨져 있다.[28] 스리랑카 남부의 티사마하라마 지역에서 발굴된 기원전 2세기에서 서기 2세기 사이에 생산된 지역 발행 동전 중 일부는 초기 타밀 문자로 쓰인 타밀 개인 이름을 담고 있는데,[29] 이는 고전 시대 말기에 타밀 상인들이 스리랑카 남부 해안을 따라 무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음을 시사한다.[30] 기원전 237년경, "남인도 출신의 두 모험가"가 아누라다푸라 왕국을 장악했다. 기원전 145년에 엘랄란으로 알려진 촐라 장군 또는 왕자가[31] 아누라다푸라의 왕위를 차지하여 44년 동안 통치했다. 싱할라족의 두투가무누는 그를 상대로 전쟁을 시작하여 그를 물리치고 왕위를 차지했다. 타밀 왕들은 스리랑카에서 적어도 기원전 3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32]

7. 현대의 타밀라캄

참조

[1] 서적 India's Ancient Pas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Periplus Maris Erythraei: Text with Introduction, Translation, and Commentar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서적 Buddhism among Tamils in pre-colonial Tamilakam and Īlam https://books.google[...] Almqvist & Wiksell
[4] 서적 Buddhism in Tamilnadu: A New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Asian Studies
[5] 서적 The World of the Tamil Merchant: Pioneers of International Tra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6] 서적 Buddhism in Kerala https://archive.org/[...] Annamalai University
[7] 서적 South India and Ceyl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adras
[8] 뉴스 Keezhadi excavations: Sangam era older than previously thought, finds study https://www.thehindu[...] 2019-09-20
[9] 웹사이트 Meluhha and Agastya : Alpha and Omega of the Indus Script http://www.harappa.c[...]
[10] 서적 The Harappan civilization and its writing. A model for the decipherment of the Indus Script Oxford & IBH
[11] 서적 History of the Tamils from the Earliest Times to 600 A.D.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1929-01-01
[12] 서적 The Spirituality of Basic Ecclesial Communities in the Socio-Religious Context of Trivandrum/Kerala, India Gregorian&Biblical BookShop
[13] 서적 Ancient Tamil country: its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 Navrang
[14] 서적 Madhura kala: silver jubilee commemoration volume CBH Publications
[15] 문서 History of the Tamils from the Earliest Times to 600 A.D. Asian Educational Services 1929
[16] 문서 Sri Varadarajaswami Temple, Kanchi: A Study of Its History, Art and Architecture Abhinav Publications 2003-06-01
[17] 문서 A handbook of Kerala Band 1 International School of Dravidian Linguistics 2000
[18] 문서 Census of India, 1961: India Manager of Publications
[19] 문서 The Sri Lanka Reader: History, Culture, Politics Duke University Press 2011-04-13
[20] 문서 Ancient India: Collected Essays on the Literary and Political History of Southern India Asian Educational Services 1911
[21] 서적 International Journal of Dravidian Linguistics: IJDL.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Linguistics, University of Kerala 2001-01-01
[22] 간행물 The Andaman and Nicobar Islands: Local Gazetteer https://books.google[...] Superintendent of Government Printing, Calcutta
[23] 웹사이트 Reading the past in a more inclusive way - Interview with Dr. Sudharshan Seneviratne https://frontline.th[...] 2006-01-26
[24] 서적 Social base of early Buddhism in south east India and Sri Lanka 1984
[25] 서적 Secondary state formation during the early iron age on the island of Sri Lanka : the evolution of a periphery 2010
[26] 문서 Anuradhapura - The British-Sri Lankan Excavations at Anuradhapura Salgaha Watta
[27] 문서 Pre-State Chieftains And Servants of the State: A Case Study of Parumaka http://dlib.pdn.ac.l[...] 1989
[28] 간행물 Reading the past in a more inclusive way:Interview with Dr. Sudharshan Seneviratne http://www.hindu.com[...] 2006-01-27
[29] 문서 Ancient Tamil coins from Sri Lanka
[30] 문서 Ancient Sri Lanka and Tamil Nadu
[31] 웹사이트 The Five Kings - Mahasiva, Suratissa, Elara, Asela, Sena, and Guttika http://mahavamsa.org[...] mahavamsa.org 2011-10-08
[32] 뉴스 An epigraphic perspective on the antiquity of Tamil http://www.hindu.com[...] 2010-06-24
[33] 문서 Zvelebil 1992 1992
[34] 문서 The Ganges in Myth and History Motilal Banarsidass Publ. 2001-01-01
[35] 서적 History of the Tamils from the Earliest Times to 600 A.D.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1929-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