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크티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크티파는 힌두교의 주요 종파 중 하나로, 여성 신인 샤크티를 최고 실재로 숭배한다. 기원전 9000년~8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증거가 있으며, 힌두교의 브라만 개념과 동일시하기도 한다. 샤크티즘은 데비를 창조의 근원으로 보며, 주요 경전으로는 '데비 마하트미야'와 '데비 기타' 등이 있다. 스리쿨라와 칼리쿨라의 두 주요 학파로 나뉘며, 다양한 축제와 사원을 통해 숭배된다. 탄트라 수행과 동물 희생이 나타나기도 하며, 다른 힌두교 전통 및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과도 관련성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샤크티파 - 탄트라
탄트라는 인도에서 기원한 종교적, 철학적 전통으로, 만트라, 만다라, 요가 등의 수행법을 포함하며, 힌두교, 불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나타난다.
샤크티파 | |
---|---|
개요 | |
![]() | |
종교 | 힌두교 |
유형 | 宗派 |
창시자 | 알려지지 않음 |
기원 | 기원전 6세기부터 |
신 | 데비 (여신) |
경전 | 탄트라 |
분파 | 스마트파 데비 트리푸라 칼리 그 외 지역 및 절충주의 전통 |
특징 | |
주요 특징 | 여신을 최고 존재로 숭배 |
관련 | 힌두교 |
2. 역사
샤크티 숭배의 초기 증거는 인도 마디아 프라데시 주 시디 구의 바고르 I(바고르 석) 유적에서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9000년에서 기원전 8000년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샤크티 숭배의 기원은 인더스 문명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샥타교도들은 여신을 모든 존재의 최고, 궁극적, 영원한 실재로, 또는 힌두교의 브라만 개념과 동일하게 여긴다. 그녀는 모든 창조의 근원, 그 화신, 그것을 생동시키고 지배하는 에너지이며, 모든 것이 궁극적으로 용해될 존재로 여겨진다. 마하데비는 데비 우파니샤드 2절에서 "나는 본질적으로 브라만이다"라고 말했다. 인도 역사 교수인 V. R. 라마찬드라 딕시타르에 따르면, 샥티즘 신학에서 "브라만은 정적인 샥티이며, 샥티는 역동적인 브라만이다."
샥티즘의 주요 경전으로는 ''샥타 우파니샤드'', ''데비 푸라나''와 ''칼리카 푸라나''와 같은 샥타 지향적인 우파 푸라나 문헌, 그리고 ''브라흐만다 푸라나''의 ''라리타 사하스라나마''가 있다. ''트리푸라 우파니샤드''는 샥타 탄트라에 대한 가장 완벽한 소개로 여겨지며, 샥타 탄트라 전통의 거의 모든 중요한 주제를 16개의 구절로 요약하고 있다. ''트리푸라 우파니샤드''와 ''트리푸라타피니 우파니샤드''는 2천년대 후반에 바스카라라야와 라마난드의 주석을 받았다. 이 텍스트들은 샥티 탄트라 전통을 베다와 연결하지만, 학자들은 이러한 연결에 대해 논쟁을 제기한다.
샥티즘은 힌두교의 여신 중심 전통으로, 많은 여신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모두 동일한 최고 여신 샥티의 다양한 측면, 현현 또는 인격화로 여겨진다. 샥타들은 데비를 다양한 형태로 접근하지만, 모두 유일한 최고 여신의 다양한 측면으로 간주된다. 샥타 신봉자가 숭배하는 주요 데비 형태는 그 또는 그녀의 ''이슈타-데비'', 즉 개인적으로 선택된 데비이다. 이 신을 선택하는 것은 가족 전통, 지역 관습, 구루 계보 및 개인적 공명과 같은 많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샤크티즘의 하위 전통에는 기술, 수행 및 의식 문법을 의미하는 "탄트라"가 포함되며, 이는 적절한 입문(''딕샤'') 후 자격을 갖춘 구루의 지도하에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전통적인 쿤달리니 요가의 특정 요소와 함께 ''만트라'', ''얀트라'', ''냐사'', ''무드라''를 포함하며 다양한 서면 자료를 보완하기 위한 구두 지침을 제공한다. 샤크타 신학자들 사이에서는 그들의 탄트라 수행이 베다적인지, 아니면 비베다적인지에 대한 역사적인 논쟁이 있었다.
힌두교에서 여성적 측면에 대한 존경을 보여주는 초기 증거는 리그 베다 10.125장의 데비 숙탐 찬가에 나타난다.[1] 이 찬가에서 데비는 여왕이자 보물의 수집가이며, 숭배받을 가치가 있는 존재라고 묘사된다. 또한 데비는 모든 생명을 먹여 살리고, 우주의 본질에 거하며, 진실을 선언하는 존재로 나타난다.[1]
베다 문헌에는 우샤스(새벽), 바크(말, 지혜), 사라스바티(강), 프리티비(지구) 등 여러 여신들이 등장한다. 우마와 같은 여신들은 우파니샤드에 나타나 신성함의 또 다른 측면이자 궁극적인 지식(브라만)을 아는 자로 묘사된다.
여신에 대한 찬가는 고대 힌두 서사시 마하바라타와 하리밤사에 나타난다. 고고학적 및 텍스트 증거에 따르면, 기원후 3~4세기경 여신은 힌두교 전통에서 신만큼 중요하게 여겨지게 되었다. 샤크티 신학 문헌은 고대 인도에서 발전하여 데비 마하트미야에서 절정에 달했다. 데비 마하트미야는 샤크티즘에서 바가바드 기타만큼 중요한 텍스트로 간주된다.
3. 신학
샥티즘은 데비를 창조의 근원, 본질, 실체로 본다. ''데비-바가바타 푸라나''와 같은 샥티즘 경전은 데비를 현현된 신성, 비현현된 신성, 초월적인 신성으로 묘사하며, 브라흐마, 비슈누, 시바를 비롯한 여러 신들과 동일시한다. 또한 데비는 태양, 별, 달, 모든 동물과 새, 심지어 아웃캐스트와 도둑까지 포괄하는 존재이며, 끔찍한 행위를 하는 낮은 사람과 훌륭한 행위를 하는 훌륭한 사람 모두 데비의 현현이라고 설명한다.
샥티즘은 신성한 여성에 초점을 맞추지만, 남성을 거부하지 않으며 남성-여성, 영혼-육체, 초월-내재 이원론을 거부하고, 자연을 신성으로 간주한다. 데비는 우주 자체로 간주되며, 에너지, 물질, 영혼의 화신이자 물질 우주에서 모든 행동과 존재의 동기 부여 원동력이다. 샥티즘에서 남성적이고 여성적인 문화적 개념은 신성하고 초월적인 실재의 측면이다. 힌두교 도상학에서 남성-여성 또는 남성-여성의 상호 의존성 및 동등성의 우주적 역학은 아르다나리쉬바라로 알려진 반 샥티, 반 시바 신성으로 표현된다.
종교학 교수 주니 맥다니엘은 많은 샥타 텍스트의 철학적 전제는 힌두 철학의 삼키아와 아드바이타 베단타 학파의 통합이며, 이를 ''샥타다바이타바다''(문자 그대로, 비이원론적 샥티의 길)라고 부른다고 말한다.
힌두교 승려 스와미 비베카난다는 우주에 편재하는 힘이 신이라는 것을 알고, 여성에게 그 힘의 현현을 보는 자가 진정한 '샥티 숭배자'라고 언급했다. 샥타-보편주의자 스리 라마크리슈나는 모든 힌두 여신은 동일한 어머니 여신의 현현이라고 믿었다. 18세기 샥타 박티 시와 노래는 벵골 궁정 시인 바라트찬드라 레이와 람프라사드 센에 의해 작곡되었으며, 타밀어 모음집 아비라미 안다디는 아비라미 바타르에 의해 작곡되었다.
4. 주요 경전
''데비 마하트미야'', 데비-바가바타 푸라나, 칼리카 푸라나, 그리고 데비 우파니샤드와 같은 샥타 우파니샤드가 특히 존경받는다. 『스리마드 데비-바가바탐』의 일곱 번째 책인 "데비 기타"는 샥티즘의 신학을 제시한다. 여신은 자신이 세상을 창조한 브라만이라고 설명하며, 영적 해방은 자신의 영혼과 브라만의 동일성을 완전히 이해할 때 일어난다는 아드바이타의 전제를 주장한다.
『데비 기타』는 『바가바드 기타』와 마찬가지로 철학 논문이다. 이 책은 강력하고 자비로운 창조주, 우주의 편만자이자 보호자로서의 신성한 여성을 제시한다. 그녀는 『데비 기타』의 첫 번째 장에서 '부바네슈바리'(우주의 지배자)로 불리는 자애롭고 아름다운 세계의 어머니로 제시된다. 이 텍스트는 아드바이타 베단타 사상을 바탕으로 모든 이원성은 부정확하며, 모든 살아있는 존재의 영혼이 브라만과 연결된 일체성이 해방적인 지식이라고 강조한다. 그러나 트레이시 핀치만은 『데비 기타』가 탄트라 사상을 통합하여 데비에게 형태와 어머니의 성격을 부여한다고 덧붙였다.제목 무크티카 일련 번호 첨부된 베다 창작 시기 시타 우파니샤드 45 아타르바 베다 최소 10,000년 전 트리푸라타피니 우파니샤드 80 아타르바 베다 최소 10,000년 전 데비 우파니샤드 81 아타르바 베다 최소 10,000년 전 트리푸라 우파니샤드 82 리그 베다 최소 10,000년 전 바바나 우파니샤드 84 아타르바 베다 최소 10,000년 전 사우바갸락슈미 우파니샤드 105 리그 베다 알 수 없음 사라스바티-라하샤 우파니샤드 106 크리슈나 야주르 베다 최소 10,000년 전 바흐브리차 우파니샤드 107 리그 베다 최소 10,000년 전
5. 주요 여신
일부 형태의 여신은 힌두 세계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적어도 서기 1천년기 중반까지 힌두교 사상에서 인기 있는 샥티즘의 일반적인 여신들에는 파르바티, 두르가, 칼리, 요가마야, 락슈미, 사라스바티, 가야트리, 라다, 그리고 시타가 있다.
인도 동부 지역에서는 인도에서의 불교 쇠퇴 이후, 다양한 힌두교와 불교 여신들이 결합되어 열 명의 여신으로 구성된 마하비드야, 판테온을 형성했다.
탄트라 샥타에서 발견되는 더 희귀한 형태의 데비는 마하비드야로, 특히 트리푸라 순다리, 부바네슈바리, 타라, 바이라비, 치남마스타, 두마바티, 바가라마키, 마탕기, 그리고 카말라가 있다.
다른 주요 여신 그룹에는 "다양한 주요 신들의 에너지이며, 위대한 샥타 데비가 악마들과 싸우는 것을 돕는 것으로 묘사"되는 ''사프타-마트리카'' ("일곱 어머니")와 64명의 ''요기니''가 포함된다. 여신 락슈미의 여덟 가지 형태, 아슈탈락슈미; 그리고 여신 두르가의 아홉 가지 형태인 나바두르가는 주로 나바라트리 축제 기간 동안 숭배된다. 또한 인도 마을 전역에서 수많은 그라마데바타가 정기적으로 숭배된다.
6. 탄트라 전통
샤크타 탄트라의 기원은 불분명하며, 아마도 고대이며 힌두교의 베다 전통과는 독립적일 것이다. 베다와 탄트라 전통 간의 상호 작용은 적어도 6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제프리 사무엘은 중세 후기에 탄트라 전통의 급증은 14세기 이후 이슬람 침략과 정치적 불안정에 맞서 대처하는 수단이었다고 말한다.
주목할 만한 샤크타 탄트라로는 락쉬마나데시카의 ''사라다틸라카 탄트라''(11세기), ''칼리 탄트라''(), 요기니 탄트라, 사르바난다나타의 ''사르볼라사 탄트라'', 브라흐마난다 기리의 ''삭타난다 타랑기니'' (''타라라하스야'' 포함) 및 푸르나난다 기리의 ''샤마라하스야'' (''스리타트바친타마니'' 포함) (16세기), 크리슈난다 아가마바기사의 ''탄트라사라'' 및 라구나트나 타르카바기사 바타차르야 ''아가마타트바빌라사''(17세기), 바스카라차르야의 작품(18세기) 등이 있다.
6. 1. Vidyāpīṭha
Vidyāpīṭha는 Vāmatantra, Yāmalatantra, Śaktitantra로 세분된다.
6. 2. Kulamārga
쿨라마르가는 그것이 파생된 카팔리카 전통의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보존한다. 각각 쿨레슈바리, 쿠브지카, 칼리 및 트리푸라순다리 여신을 기반으로 텍스트를 네 개의 하위 범주로 세분화된다. 트리카 텍스트는 쿨레슈바리 텍스트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쿨라마르가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7. 숭배
샤크티즘은 애니미즘에서부터 최고 수준의 철학적 사변에 이르기까지, 데비의 본성과 형태라고 여겨지는 샤크티(신성한 에너지 또는 힘)에 접근하려는 거의 무한한 종류의 믿음과 관행을 포괄한다. 샤크티즘의 가장 크고 눈에 띄는 두 학파는 남인도에서 가장 강력한 ''스리쿨라''(트리푸라 순다리의 가족)와 북부 및 동부 인도에서 우세한 ''칼리쿨라''(칼리의 가족)이다.
;스리쿨라: 락슈미 트리푸라 순다리 가족
''스리쿨라''(스리의 가족) 전통(''삼프라다야'')은 락슈미 트리푸라 순다리 여신 형태의 데비 숭배에 초점을 맞춘다. 서기 1세기에 뿌리를 둔 스리쿨라는 7세기 늦어도 남인도에서 세력을 떨치게 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케랄라, 타밀 나두, 스리랑카의 타밀 지역과 같은 남인도 지역에서 행해지는 샤크티즘의 주된 형태이다.
스리쿨라에서 가장 잘 알려진 학파는 스리비디야이며, 그 중심 상징인 ''스리 차크라''는 힌두 탄트라 전통에서 가장 유명한 시각적 이미지 중 하나이다. 스리비디야는 여신을 자애롭고 아름다운 존재로 보며, 악의적이든 온화하든 여신의 모든 측면을 락슈미와 동일시한다.
스리쿨라의 신봉자들은 종종 추상적인 ''스리 차크라'' 얀트라를 사용하여 락슈미를 숭배한다. 스리 차크라는 2차원 다이어그램 또는 3차원 피라미드 형태인 ''스리 메루''로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현대 수행자들은 ''스리차크라'' 숭배가 데비의 최고 형태이며 일부 수행은 공개적으로 할 수 없다고 여기기 때문에, 남인도 사원에서 ''스리 차크라'' 또는 ''스리 메루''를 설치하는 것은 드문 일이다.
스리비디야 ''파람파라''는 ''카울라''(a ''바마마르가'' 수행)와 ''사마야''(a ''닥시나마르가'' 수행)의 두 가지 흐름으로 나뉜다. ''카울라''는 8세기에 중부 인도에서 일관된 의식 체계로 처음 등장했으며, 18세기 철학자 바스카라라야는 샤크타 철학의 최고의 해설자로 널리 여겨진다.
''사마야''는 16세기 해설가 락슈미다라의 저작에서 그 뿌리를 찾으며, 고위 카스트 브라만교도의 규범에 따라 탄트라 수행을 개혁하려는 시도를 한다. 많은 사마야 수행자들은 샤크타나 탄트라라는 것을 명시적으로 부인하지만, 학자들은 그들의 종교가 기술적으로 두 가지 모두에 해당한다고 주장한다. 사마야-카울라 분열은 힌두 탄트리즘 내의 오래된 논쟁을 나타낸다.
;칼리쿨라: 칼리 가족
칼리쿨라(칼리's family) 형태의 샤크티즘은 인도 북동부에서 가장 지배적이며, 서벵골, 아삼, 비하르, 오디샤, 네팔 및 케랄라에서 가장 널리 퍼져 있다. 쿠브지카, 쿨레스바리, 차문다, 찬디, 삼샨 칼리(화장터의 여신), 닥시나 칼리, 시데스와리 여신은 벵골 지역에서 질병, 천연두, 불길한 징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숭배된다. 칼리쿨라 계보는 지혜(비디야)와 해방(목샤)의 근원으로 데비를 집중하며, 탄트라 부분은 일반적으로 "과도하게 보수적이고 종교의 경험적 부분을 부정"하는 브라만 전통에 반대한다.
칼리쿨라 전통의 주요 신은 칼리, 찬디, 비마, 두르가이다. 존경받는 다른 여신으로는 타라와 다른 모든 마하비디야, 카우마리, 그리고 지역 여신인 뱀 여신 마나사, 아이들의 보호자인 사스티, 천연두 여신 시탈라, 우마(파르바티의 벵골어 이름)가 있으며, 이들 모두는 다시, 신성한 어머니의 측면으로 간주된다.
네팔에서 데비는 주로 바바니 여신으로 숭배되며, 네팔에서 중요한 힌두교 신 중 하나이다.
서벵골 샤크티즘의 두 주요 중심지는 칼리의 두개골이 그녀의 25가지 형태와 함께 숭배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칼리가트와 타라피트이다. 칼리가트 사원은 캘커타에 위치하고 타라피트는 비르붐 지구에 위치해 있다. 캘커타에서는 여신 칼리에 대한 헌신(바크티)이 강조된다. 여신(칼리)은 악을 파괴하는 자로 여겨진다.
타라피트에서는 데비가 타라("그녀는 구원하는 자") 또는 우그라타라("맹렬한 타라")로 현현하여 해방(카이발리아다야니)을 주는 여신으로 부상한다. 여기서 수행되는 사다나의 형태는 헌신적이라기보다는 더 요가적이고 탄트라적이며, 종종 재와 뼈로 둘러싸인 화장터에 혼자 앉아 있는 것을 포함한다. 타라피트 전통과 관련된 샤머니즘 요소가 있으며, 여기에는 "여신 정복, 악령 추방, 황홀경, 영혼 통제"가 포함된다.
19세기 성자 라마크리슈나는 현대 벵골 샤크티즘의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으로서, 칼리는 브라만과 다르지 않으며, 브라만이라고 불리는 것은 실제로 칼리이고, 그녀는 원초적인 에너지라고 표현했다. 그 에너지가 비활성 상태로 남아 있을 때 브라만이라고 부르고, 창조, 보존 또는 파괴할 때는 샤크티 또는 칼리라고 부른다고 하였다. 즉, 브라만과 칼리는 불과 불의 힘과 같이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7. 1. 스리쿨라: 락슈미 트리푸라 순다리 가족
''스리쿨라''(스리의 가족) 전통(''삼프라다야'')은 락슈미 트리푸라 순다리 여신 형태의 데비 숭배에 초점을 맞춘다. 서기 1세기에 뿌리를 둔 Srikula는 7세기 늦어도 남인도에서 세력을 떨치게 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케랄라, 타밀 나두, 스리랑카의 타밀 지역과 같은 남인도 지역에서 행해지는 샤크티즘의 주된 형태이다.스리쿨라에서 가장 잘 알려진 학파는 스리비디야이며, 그 중심 상징인 ''스리 차크라''는 힌두 탄트라 전통에서 가장 유명한 시각적 이미지 중 하나이다. 스리비디야는 여신을 자애롭고 아름다운 존재로 보며, 악의적이든 온화하든 여신의 모든 측면을 락슈미와 동일시한다.
스리쿨라의 신봉자들은 종종 추상적인 ''스리 차크라'' 얀트라를 사용하여 락슈미를 숭배한다. 스리 차크라는 2차원 다이어그램 또는 3차원 피라미드 형태인 ''스리 메루''로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현대 수행자들은 ''스리차크라'' 숭배가 데비의 최고 형태이며 일부 수행은 공개적으로 할 수 없다고 여기기 때문에, 남인도 사원에서 ''스리 차크라'' 또는 ''스리 메루''를 설치하는 것은 드문 일이다.
스리비디야 ''파람파라''는 ''카울라''(a ''바마마르가'' 수행)와 ''사마야''(a ''닥시나마르가'' 수행)의 두 가지 흐름으로 나뉜다. ''카울라''는 8세기에 중부 인도에서 일관된 의식 체계로 처음 등장했으며, 18세기 철학자 바스카라라야는 샤크타 철학의 최고의 해설자로 널리 여겨진다.
''사마야''는 16세기 해설가 락슈미다라의 저작에서 그 뿌리를 찾으며, 고위 카스트 브라만교도의 규범에 따라 탄트라 수행을 개혁하려는 시도를 한다. 많은 사마야 수행자들은 샤크타나 탄트라라는 것을 명시적으로 부인하지만, 학자들은 그들의 종교가 기술적으로 두 가지 모두에 해당한다고 주장한다. 사마야-카울라 분열은 힌두 탄트리즘 내의 오래된 논쟁을 나타낸다.
7. 2. 칼리쿨라: 칼리 가족
칼리쿨라(Kali's family) 형태의 샤크티즘은 인도 북동부에서 가장 지배적이며, 서벵골, 아삼, 비하르, 오디샤, 네팔 및 케랄라에서 가장 널리 퍼져 있다. 쿠브지카, 쿨레스바리, 차문다, 찬디, 삼샨 칼리(화장터의 여신), 닥시나 칼리, 시데스와리 여신은 벵골 지역에서 질병, 천연두, 불길한 징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숭배된다. 칼리쿨라 계보는 지혜(비디야)와 해방(목샤)의 근원으로 데비를 집중하며, 탄트라 부분은 일반적으로 "과도하게 보수적이고 종교의 경험적 부분을 부정"하는 브라만 전통에 반대한다.칼리쿨라 전통의 주요 신은 칼리, 찬디, 비마, 두르가이다. 존경받는 다른 여신으로는 타라와 다른 모든 마하비디야, 카우마리, 그리고 지역 여신인 뱀 여신 마나사, 아이들의 보호자인 사스티, 천연두 여신 시탈라, 우마(파르바티의 벵골어 이름)가 있으며, 이들 모두는 다시, 신성한 어머니의 측면으로 간주된다.
네팔에서 데비는 주로 바바니 여신으로 숭배되며, 네팔에서 중요한 힌두교 신 중 하나이다.
서벵골 샤크티즘의 두 주요 중심지는 칼리의 두개골이 그녀의 25가지 형태와 함께 숭배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칼리가트와 타라피트이다. 칼리가트 사원은 캘커타에 위치하고 타라피트는 비르붐 지구에 위치해 있다. 캘커타에서는 여신 칼리에 대한 헌신(바크티)이 강조된다. 여신(칼리)은 악을 파괴하는 자로 여겨진다.
타라피트에서는 데비가 타라("그녀는 구원하는 자") 또는 우그라타라("맹렬한 타라")로 현현하여 해방(카이발리아다야니)을 주는 여신으로 부상한다. 여기서 수행되는 사다나의 형태는 헌신적이라기보다는 더 요가적이고 탄트라적이며, 종종 재와 뼈로 둘러싸인 화장터에 혼자 앉아 있는 것을 포함한다. 타라피트 전통과 관련된 샤머니즘 요소가 있으며, 여기에는 "여신 정복, 악령 추방, 황홀경, 영혼 통제"가 포함된다.
19세기 성자 라마크리슈나는 현대 벵골 샤크티즘의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으로서, 칼리는 브라만과 다르지 않으며, 브라만이라고 불리는 것은 실제로 칼리이고, 그녀는 원초적인 에너지라고 표현했다. 그 에너지가 비활성 상태로 남아 있을 때 브라만이라고 부르고, 창조, 보존 또는 파괴할 때는 샤크티 또는 칼리라고 부른다고 하였다. 즉, 브라만과 칼리는 불과 불의 힘과 같이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8. 축제
샤크타들은 주요 힌두교 축제 대부분과 더불어, 지역, 사찰 또는 특정 신을 위한 다양한 행사를 기념한다.
가장 중요한 샤크티파 축제는 "아홉 밤의 축제"를 뜻하는 ''나바라트리''이며, 샤라드 계절(9월/10월/11월)에 열리기 때문에 "샤라드 나바라트리"라고도 불린다. 이 축제는 데비의 형태인 나바두르가를 숭배한다. 종종 ''두세라'' 또는 ''비자야다사미''로 알려진 열 번째 날과 함께, ''데비 마하트마야''에 묘사된 강력한 악마들에 대한 여신 두르가의 승리를 기념한다. 벵골에서는 나바라트리의 마지막 4일을 두르가 푸자라고 부르며, 특히 두르가가 마히샤수라("물소 악마")를 상징적으로 처치하는 한 에피소드를 기념한다. 두르가 푸자는 서방 세계의 벵골 디아스포라 내에서 주요 종교 문화 축제로 자리 잡았다.
모든 종파의 힌두교도들이 가을 나바라트리 축제를 기념하는 반면, 샤크티파는 봄과 여름에 두 개의 추가 나바라트리를 기념한다. 봄 축제는 ''바산타 나바라트리'' 또는 ''차이트라 나바라트리''로 알려져 있으며, 차이트라 (3월/4월)의 힌두교 달에 기념된다. 스리비디야 계보는 이 축제를 여신 트리푸라 순다리로서의 데비의 형태에 바친다. 여름 축제는 아사다 (6월/7월)의 힌두교 달에 열리므로 ''아사다 나바라트리''라고 불린다. 잠무의 바이슈노 데비 사원은 나바라트리를 기념한다. 반면에 ''아사다 나바라트리''는 ''데비 마하트마야''에 언급된 일곱 마트리카 중 하나인 멧돼지 머리 여신 바라히 숭배자들에게 특히 길조로 여겨진다.
바산트 판차미는 예술, 기술, 지성, 지식, 지혜의 여신인 사라스바티 여신에게 헌정되는 축제이다. 그녀는 창조신인 브라흐마의 배우자이다. 그녀는 주로 인도 학교와 대학의 학생들에게 숭배받는다. 그녀는 고대 시대에 구루쿨에서 숭배받았던 베다 인도의 중요한 여신 중 한 명이었다. 그녀는 소리와 목소리 자체를 구현한다. 바산트 판차미는 주로 2월에 기념된다.
락슈미 푸자는 샤크타교도들이 두르가 푸자 축제에서 기념하는 행사 중 하나로, 락슈미는 풍요와 가을 수확의 여신을 상징한다. 락슈미의 가장 큰 축제는 인도와 네팔에서 티하르로 기념되는 주요 힌두교 축제인 디왈리(또는 디파발리, "빛의 축제")이다. 북인도에서 디왈리는 전통적인 새해의 시작을 알리며, 카르티카 힌두교 달(보통 10월 또는 11월)의 그믐날 밤에 열린다. 샤크타교도(및 많은 비샤크타교도)들은 이것을 또 다른 락슈미 푸자로 기념하며, 집 밖에 작은 기름 램프를 놓고 여신의 축복을 기원한다. 디왈리는 벵골에서 인기 있는 칼리 푸자 축제와 일치하며, 일부 샤크타교 전통은 락슈미보다 파르바티로서 데비에 예배를 집중한다.
락슈미 푸자는 샤크타교도들이 두르가 푸자 축제에서 기념하는 행사 중 하나로, 락슈미는 풍요와 가을 수확의 여신을 상징한다. 락슈미의 가장 큰 축제는 인도와 네팔에서 티하르로 기념되는 주요 힌두교 축제인 디왈리(''디파발리''; "빛의 축제")이다. 북인도에서 디왈리는 전통적인 새해의 시작을 알리며, 카르티카 힌두교 달(보통 10월 또는 11월)의 그믐날 밤에 열린다. 샤크타교도들은 이것을 또 다른 락슈미 푸자로 기념하며, 집 밖에 작은 기름 램프를 놓고 여신의 축복을 기원한다. 디왈리는 벵골에서 인기 있는 칼리 푸자 축제와 일치하며, 일부 샤크타교 전통은 락슈미보다 파르바티로서 데비에 예배를 집중한다.
''자갓다트리 푸자''는 칼리 푸자 이후 9일 밤 축제의 마지막 4일 동안 기념된다. 두르가 푸자와 매우 유사하며, 특히 벵골과 동인도의 일부 지역에서 인기가 있다. ''가우리 푸자''는 서인도에서 가네쉬 차투르티 이후 다섯째 날, 가네샤 푸자 동안 가우리의 귀환을 기념하기 위해 수행되며, 그녀는 아들을 집으로 데려온다.
주요 샤크타 사원 축제는 ''미낙시 칼리야남''과 ''암부바치 멜라''이다. ''미낙시 칼리야남''은 남인도에서 가장 큰 축제 중 하나인 치티라이 티루비자 축제의 일부로, 4월/5월경 마두라이에서 열리며, 여신 미낙시 (파르바티)와 시바의 결혼을 기념한다. 이 축제는 비슈누가 그의 여동생 파르바티를 시바에게 시집보내기 때문에 바이슈나바와 샤이바 공동체가 모두 축하에 참여하는 축제이다.
''암부바치 멜라'' 또는 아메티는 6월/7월(몬순 시즌)에 카마크야 사원, 구와하티, 아삼에서 수십만 명의 신도들이 여신의 월경을 기념하는 축제이다. 여기에서 데비는 요니와 같은 돌의 형태로 숭배되며, 이 장소는 샤크티즘의 샤크타 피타 또는 순례지 중 하나이다.
8. 1. 나바라트리
가장 중요한 샤크티파 축제는 "아홉 밤의 축제"를 뜻하는 ''나바라트리''이며, 샤라드 계절(9월/10월/11월)에 열리기 때문에 "샤라드 나바라트리"라고도 불린다. 이 축제는 데비의 형태인 나바두르가를 숭배한다. 종종 ''두세라'' 또는 ''비자야다사미''로 알려진 열 번째 날과 함께, ''데비 마하트마야''에 묘사된 강력한 악마들에 대한 여신 두르가의 승리를 기념한다. 벵골에서는 나바라트리의 마지막 4일을 두르가 푸자라고 부르며, 특히 두르가가 마히샤수라("물소 악마")를 상징적으로 처치하는 한 에피소드를 기념한다. 두르가 푸자는 서방 세계의 벵골 디아스포라 내에서 주요 종교 문화 축제로 자리 잡았다.모든 종파의 힌두교도들이 가을 나바라트리 축제를 기념하는 반면, 샤크티파는 봄과 여름에 두 개의 추가 나바라트리를 기념한다. 봄 축제는 ''바산타 나바라트리'' 또는 ''차이트라 나바트리''로 알려져 있으며, 차이트라 (3월/4월)의 힌두교 달에 기념된다. 스리비디야 계보는 이 축제를 여신 트리푸라 순다리로서의 데비의 형태에 바친다. 여름 축제는 아사다 (6월/7월)의 힌두교 달에 열리므로 ''아사다 나바라트리''라고 불린다. 잠무의 바이슈노 데비 사원은 나바라트리를 기념한다. 반면에 ''아사다 나바라트리''는 ''데비 마하트마야''에 언급된 일곱 마트리카 중 하나인 멧돼지 머리 여신 바라히 숭배자들에게 특히 길조로 여겨진다.
8. 2. 바산트 판차미
바산트 판차미는 예술, 기술, 지성, 지식, 지혜의 여신인 사라스바티 여신에게 헌정되는 축제이다. 그녀는 창조신인 브라흐마의 배우자이다.그녀는 주로 인도 학교와 대학의 학생들에게 숭배받는다. 그녀는 고대 시대에 구루쿨에서 숭배받았던 베다 인도의 중요한 여신 중 한 명이었다. 그녀는 소리와 목소리 자체를 구현한다. 바산트 판차미는 주로 2월에 기념된다.
8. 3. 디왈리
락슈미 푸자는 샤크타교도들이 두르가 푸자 축제에서 기념하는 행사 중 하나로, 락슈미는 풍요와 가을 수확의 여신을 상징한다. 락슈미의 가장 큰 축제는 인도와 네팔에서 티하르로 기념되는 주요 힌두교 축제인 디왈리(또는 디파발리, "빛의 축제")이다. 북인도에서 디왈리는 전통적인 새해의 시작을 알리며, 카르티카 힌두교 달(보통 10월 또는 11월)의 그믐날 밤에 열린다. 샤크타교도(및 많은 비샤크타교도)들은 이것을 또 다른 락슈미 푸자로 기념하며, 집 밖에 작은 기름 램프를 놓고 여신의 축복을 기원한다. 디왈리는 벵골에서 인기 있는 칼리 푸자 축제와 일치하며, 일부 샤크타교 전통은 락슈미보다 파르바티로서 데비에 예배를 집중한다.8. 4. 기타 축제
락슈미 푸자는 샤크타교도들이 두르가 푸자 축제에서 기념하는 행사 중 하나로, 락슈미는 풍요와 가을 수확의 여신을 상징한다. 락슈미의 가장 큰 축제는 인도와 네팔에서 티하르로 기념되는 주요 힌두교 축제인 디왈리(''디파발리''; "빛의 축제")이다. 북인도에서 디왈리는 전통적인 새해의 시작을 알리며, 카르티카 힌두교 달(보통 10월 또는 11월)의 그믐날 밤에 열린다. 샤크타교도들은 이것을 또 다른 락슈미 푸자로 기념하며, 집 밖에 작은 기름 램프를 놓고 여신의 축복을 기원한다. 디왈리는 벵골에서 인기 있는 칼리 푸자 축제와 일치하며, 일부 샤크타교 전통은 락슈미보다 파르바티로서 데비에 예배를 집중한다.''자갓다트리 푸자''는 칼리 푸자 이후 9일 밤 축제의 마지막 4일 동안 기념된다. 두르가 푸자와 매우 유사하며, 특히 벵골과 동인도의 일부 지역에서 인기가 있다. ''가우리 푸자''는 서인도에서 가네쉬 차투르티 이후 다섯째 날, 가네샤 푸자 동안 가우리의 귀환을 기념하기 위해 수행되며, 그녀는 아들을 집으로 데려온다.
주요 샤크타 사원 축제는 ''미낙시 칼리야남''과 ''암부바치 멜라''이다. ''미낙시 칼리야남''은 남인도에서 가장 큰 축제 중 하나인 치티라이 티루비자 축제의 일부로, 4월/5월경 마두라이에서 열리며, 여신 미낙시 (파르바티)와 시바의 결혼을 기념한다. 이 축제는 비슈누가 그의 여동생 파르바티를 시바에게 시집보내기 때문에 바이슈나바와 샤이바 공동체가 모두 축하에 참여하는 축제이다.
''암부바치 멜라'' 또는 아메티는 6월/7월(몬순 시즌)에 카마크야 사원, 구와하티, 아삼에서 수십만 명의 신도들이 여신의 월경을 기념하는 축제이다. 여기에서 데비는 요니와 같은 돌의 형태로 숭배되며, 이 장소는 샤크티즘의 샤크타 피타 또는 순례지 중 하나이다.
9. 동물 희생
샤크티 전통에서 동물 희생은 인도 동부, 히말라야 지역, 네팔 등에서 칼리와 같은 여신을 숭배하기 위해 행해진다. 실제 동물 또는 채소나 달콤한 음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많은 샤크티 신봉자들은 동물 희생을 꺼려 대체 수단을 실천하기도 한다.
네팔, 서벵골, 오디샤, 아삼의 샤크티 사원에서는 두르가가 물소 악마를 물리친 전설을 기념하여 동물 희생이 행해지며, 염소나 수컷 물소가 희생된다. 이 관행은 샤크티즘의 카울라 탄트라 학파의 필수 요소이지만, 이 지역 외 힌두교도 사이에서는 드물다. 벵골에서는 ''마하니르바나 탄트라''의 지침에 따라 동물을 선택하고, 사제가 기도와 가야트리 만트라를 낭송한 후 희생한다. 희생된 고기는 샤크타 신봉자들이 먹는다.
네팔에서는 가디마이 축제 동안 대규모 동물 희생이 벌어졌으며, 2009년에는 25만 마리 이상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오디샤의 발리 자트라에서는 삼발푸르의 사말레스와리 사원에서 여신에게 수컷 염소를 희생한다.
라자스탄의 라지푸트는 나바라트리에 무기와 말을 숭배하며, 과거에는 쿨데비 여신에게 염소를 희생하는 관행이 있었고, 일부 지역에서는 계속되고 있다. 이 의식은 한 번의 칼질로 동물을 죽여야 하며, 사제가 진행한다. 쿨데비는 전사-파티브라타 수호 여신으로, 라지푸트-무슬림 전쟁 동안 숭배 관련 전설이 있다.
남인도 일부 지역에서는 천연두 유행 시 물소나 염소를 희생하는 풍습이 있었으며, 이는 칼리 여신 신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알프 힐테베이텔에 따르면, 이러한 의식은 길가메시 서사시 등에서 발견되는 여신 관련 동물 희생과 유사하다.
19~20세기 초, 인도 노동자들이 대영 제국 식민지로 이주하면서 카리브해 섬에서도 칼리 푸자 동안 샤크타 동물 희생이 기록되었으나, 다른 의식에 비해 드물었다.
10. 샥티즘과 다른 힌두교 전통과의 비교
탄트라 수행은 은밀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여러 관찰자들의 무지, 오해, 종파적 편견, 그리고 일부 샥타인들의 부도덕한 행위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한다. 많은 힌두교도들은 탄트라가 그들의 전통과 관련이 있는지, 역사적 사실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샤크티즘에서 신에 대한 사랑이 순종보다 더 중요하다는 점은 바슈나바 사상의 이상적인 바바인 라다와 크리슈나 사이의 열정적인 관계에 영향을 주었다. 샤크티즘은 바이슈나비즘과 샤이비즘에 영향을 미쳤는데, 여신은 신 비슈누와 시바의 배우자이자 에너지(shakti)로 여겨진다. 비슈누를 위한 바이슈나비와 시바를 위한 마헤쉬바리, 그리고 배우자인 락슈미와 사티/파르바티가 그 예시이다.
탄트라 외에도 샤크타 하위 전통은 다양한 철학을 따르며, 어떤 측면에서는 유사하고 다른 측면에서는 다르다. 이러한 전통은 바이슈나비즘, 샤이비즘, 스마르티즘과 비교된다.
바이슈나바 전통 | 샤이바 전통 | 샤크타 전통 | 스마르타 전통 | 참고 자료 | |
---|---|---|---|---|---|
경전적 권위 | 베다와 우파니샤드 | 베다와 우파니샤드 | 베다, 우파니샤드, 탄트라 | 베다와 우파니샤드 | |
최고 신 | 신 비슈누 | 신 시바 | 여신 데비 | 없음 | |
창조주 | 비슈누 | 시바 | 데비 | 브라만 원리 | |
아바타 | 핵심 개념 | 중요하지 않음 | 중요 | 중요하지 않음 | |
수도 생활 | 수용 | 권장 | 수용 | 권장 | |
의식, 바크티 | 긍정 | 긍정 | 긍정 | 선택 사항 | |
아힘사와 채식주의 | 긍정 | 권장, 선택 사항 | 선택 사항 | 권장, 선택 사항 권장 | |
자유 의지, 마야, 업 | 긍정 | 긍정 | 긍정 | 긍정 | |
형이상학 | 브라만 (비슈누) 및 아트만 (영혼, 자아) | 브라만 (시바), 아트만 | 브라만 (데비), 아트만 | 브라만, 아트만 | |
인식론 (프라마나) | 1. 지각 2. 추론 3. 신뢰할 수 있는 증언 | 1. 지각 2. 추론 3. 신뢰할 수 있는 증언 4. 자명한 | 1. 지각 2. 추론 3. 신뢰할 수 있는 증언 | 1. 지각 2. 추론 3. 비교 및 유추 4. 가정, 유도 5. 부정/인지 증명 6. 신뢰할 수 있는 증언 | |
철학 | 드바이타, 한정된 아드바이타, 아드바이타, 비시스타아드바이타 | 드바이타, 한정된 아드바이타, 아드바이타 | 샥티-아드바이타, 상키아 | 아드바이타 | |
구원 (소테리올로지) | 비데하묵티, 요가, 가정 생활 옹호 | 지반묵타, 차리야-크리야-요가-지냐나 | 바크티, 탄트라, 요가 | 지반묵타, 아드바이타, 요가, 수도 생활 옹호 |
11. 인구 통계
샤크티즘이나 힌두교 내 다른 종교 전통에 대한 인구 통계적 역사나 추세에 대한 인구 조사 데이터는 없다. 힌두교의 다른 종교 전통에 비해 샤크티즘 신봉자의 상대적인 수에 대한 추정치는 다양하다. Johnson과 Grim의 2010년 추정에 따르면 샤크티즘 전통은 힌두교 신자 중 약 3천만 명, 즉 3.2%로 작은 그룹이다. 샤크티즘 신봉자는 샥타라고 불린다. 대규모 샥타 공동체는 특히 서벵골, 아삼, 비하르, 오디샤, 자르칸드 및 트리푸라와 같은 동부 주에서 발견되며, 펀자브, 잠무, 히마찰프라데시, 우타라칸드, 구자라트 및 중앙 인도에도 상당한 공동체가 존재한다. 서벵골에서 샥타는 상위 카스트뿐만 아니라 최하위 카스트와 부족에 속하는 반면, 중간 계급은 바이슈나바이다. 반면 Gavin Flood는 많은 시바 힌두교도가 여신 샥티를 정기적으로 숭배하기 때문에 시바이즘과 샤크티즘 전통을 분리하기 어렵다고 말한다.[2] 힌두교의 종파는 세계 주요 종교에서 발견되는 것과는 다르다고 Julius Lipner는 말한다. 힌두교 종파는 개인들이 다신교적으로 신과 여신을 숭배하고 많은 시바와 바이슈나바 신봉자들이 스리(락슈미), 파르바티, 사라스와티 및 여신 데비의 다른 측면을 인정하기 때문에 모호하다. 마찬가지로 샥타 힌두교도는 시바와 파르바티(두르가, 라다, 시타 등) 및 시바와 바이슈나바 전통에서 중요한 사라스와티와 같은 여신을 숭배한다.
12. 사원과 영향
샤크타 사원은 남아시아 전역에서 발견된다. 많은 마을, 촌락 및 지리적 랜드마크가 데비의 다양한 형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샤크티즘의 주요 순례지는 문자 그대로 "데비의 좌석"인 "샤크티 피타"라고 불린다. 이들은 4개에서 51개까지 다양하다.
일부 샤크타 사원은 동남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및 기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미국의 예로는 캘리포니아주 라구나 비치의 ''칼리 만디르''와 뉴욕주 러시의 ''스리 라자라제스와리 피탐, 스리비디아 사원이 있다.
일부 페미니스트와 뉴에이지 영성의 참가자들은 여신 숭배에 매료되어 샤크티즘을 "억압된 여성의 힘과 성과 특히 관련된 완전함과 치유의 상징"이라고 제안한다.
=== 불교와의 관계 ===
탄트라 불교(티베트와 네팔에서 발견되는 금강승)는 힌두교의 탄트라 샤크타 전통과 아이디어, 의례 문법, 개념을 상당 부분 공유해 왔다. 두 운동 모두 여성 신을 숭배한다. 미란다 쇼에 따르면, "불교와 샤크티즘의 융합은 탄트라 불교를 샤크타 불교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이다.
아우랑가바드 불교 석굴은 서기 6~7세기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부처 옆에 불교 마트리카(샤크티즘의 어머니 여신)를 보여준다.[3] 이 석굴의 다른 여신들에는 두르가도 포함되어 있다. 이 불교 석굴의 여신 도상은 힌두교 샤크타 전통과 유사하지만 동일하지는 않다. "일곱 여신 어머니"는 불교 텍스트인 ''만주스리물라칼파'' 및 ''바이로차나비삼보디''에 대한 논의와 같이 다른 불교 석굴과 문헌에서도 발견된다.[3]
=== 자이나교와의 관계 ===
자이나교에서는 샥티즘 전통과 유사한 아이디어가 발견되는데, 비디야데비와 샤사나데비가 그 예이다.
=== 시크교와의 관계 ===
다삼 그란트는 구루 고빈드 싱에게 귀속되며, 힌두 여신인 격렬한 전사 형태의 찬디를 포함하여 샤크타 여신에 관한 수많은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종교학 교수인 니키-군더르 카우르 싱에 따르면, ''다삼 그란트''에 나오는 여신 두르가에 대한 이야기는 고대 샤크티 신화의 재작업이다. 이 시크교 경전의 상당 부분은 힌두교의 ''마르칸데야 푸라나''에서 발견되는 샤크타 텍스트 ''데비 마하트미야''의 가르침을 기반으로 한다.
12. 1. 불교와의 관계
탄트라 불교(티베트와 네팔에서 발견되는 금강승)는 힌두교의 탄트라 샤크타 전통과 아이디어, 의례 문법, 개념을 상당 부분 공유해 왔다. 두 운동 모두 여성 신을 숭배한다. 미란다 쇼에 따르면, "불교와 샤크티즘의 융합은 탄트라 불교를 샤크타 불교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이다.아우랑가바드 불교 석굴은 서기 6~7세기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부처 옆에 불교 마트리카(샤크티즘의 어머니 여신)를 보여준다.[3] 이 석굴의 다른 여신들에는 두르가도 포함되어 있다. 이 불교 석굴의 여신 도상은 힌두교 샤크타 전통과 유사하지만 동일하지는 않다. "일곱 여신 어머니"는 불교 텍스트인 ''만주스리물라칼파'' 및 ''바이로차나비삼보디''에 대한 논의와 같이 다른 불교 석굴과 문헌에서도 발견된다.[3]
12. 2. 자이나교와의 관계
자이나교에서는 샥티즘 전통과 유사한 아이디어가 발견되는데, 비디야데비와 샤사나데비가 그 예이다.12. 3. 시크교와의 관계
다삼 그란트는 구루 고빈드 싱에게 귀속되며, 힌두 여신인 격렬한 전사 형태의 찬디를 포함하여 샤크타 여신에 관한 수많은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종교학 교수인 니키-군더르 카우르 싱에 따르면, ''다삼 그란트''에 나오는 여신 두르가에 대한 이야기는 고대 샤크티 신화의 재작업이다. 이 시크교 경전의 상당 부분은 힌두교의 ''마르칸데야 푸라나''에서 발견되는 샤크타 텍스트 ''데비 마하트미야''의 가르침을 기반으로 한다.참조
[1]
웹사이트
https://sa.wikisourc[...]
[2]
서적
[3]
서적
[4]
백과사전
シャクティ派とは
https://kotobank.jp/[...]
[5]
백과사전
シャクティとは
https://kotobank.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