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크레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탄크레디》는 조아키노 로시니가 작곡한 오페라 세리아로, 1813년 베네치아의 라 페니체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추방된 시라쿠사의 군인 탄크레디와 귀족 가문의 딸 아메나이데의 비극적인 사랑을 다룬다. 초연 당시에는 주연 가수의 컨디션 난조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이후 성공을 거두며 이탈리아 전역에 로시니의 명성을 알렸다. 페라라 버전에서는 비극적 결말이 채택되었으나, 이후 베네치아 버전의 해피엔딩으로 돌아갔다. 1970년대 페라라 판이 재발견된 이후, 《탄크레디》는 《세미라미데》와 함께 인기 있는 오페라 세리아로 자리 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아키노 로시니의 오페라 - 빌헬름 텔 (오페라)
조아키노 로시니가 작곡한 오페라 빌헬름 텔은 14세기 스위스를 배경으로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의 압제에 저항하는 빌헬름 텔의 전설을 그린 작품이며, 긴 상연 시간과 높은 음역대 요구에도 불구하고 그랜드 오페라의 대표작이자 서곡이 독립적으로 자주 연주되는 작품이다. - 조아키노 로시니의 오페라 - 세비야의 이발사
조아키노 로시니가 작곡하고 피에르 보마르셰의 희곡을 바탕으로 한 《세비야의 이발사》는 재치 있는 이발사 피가로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2막의 희극 오페라로, 초연 당시에는 실패했으나 현재는 오페라 레퍼토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탄크레디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오페라 세리아 |
작곡가 | 조아키노 로시니 |
대본가 | 가에타노 로시 |
언어 | 이탈리아어 |
원작 | 볼테르의 탱크레드 |
초연일 | 1813년 2월 6일 |
초연 장소 | 베네치아 라 페니체 극장 |
2. 작곡 및 초연
1813년, 로시니는 베네치아 피니체 극장의 위촉을 받아 오페라 세리아 《탄크레디》를 작곡했다.[5] 같은 해, 로시니는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도 작곡하여 초연하였다. 이 두 작품의 성공으로 로시니의 명성은 이탈리아 전역에 퍼졌다.
초연 당시 두 주연 가수의 컨디션 난조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이후 공연은 성공을 거두었다. 1813년 3월 페라라에서는 볼테르의 원작에 따른 비극적 결말이 채택되었으나 관객의 반응은 좋지 않았고,[6][7] 이후 베네치아 버전의 해피엔딩으로 돌아갔다.[9]
페라라 버전에서는 1막의 듀엣 ''L'aura che interno spiri''가 삭제되고 2막의 ''Lasciami: non t'ascolto''로 대체되었으며,[12] 2막 피날레에서 탄크레디가 전투 중 부상을 입고 아메나이데의 진실을 알게 된 후 죽는 장면이 추가되었다.[8] 이 비극적 결말은 1976년까지 발견되지 않았다.[10]
1813년 12월 밀라노의 테아트로 레 공연에서는 해피엔딩이 복원되었고, 잘린 두 번째 듀엣과 아르지리오의 아리아가 복원되었다. 또한, 로지에로의 새 아리아 ''Torni d'amor la face''가 추가되었고, 아르지리오를 위한 두 개의 다른 아리아가 작곡되었으며, 탄크레디와 아메나이데를 위한 두 개의 듀엣이 원래 위치로 복원되었다.[12]
3. 등장인물
역할 | 성악 성부 | 초연 배우, 1813년 2월 6일 |
---|---|---|
탄크레디 | 알토 또는 메조소프라노 | 아델라이데 멜라노테-몬트레소르 |
아메나이데 | 소프라노 | 엘리자베타 만프레디니-과르마니 |
아르지리오 | 테너 | 피에트로 토드란 |
오르바차노 | 베이스 | 루치아노 비안키 |
이사우라 | 알토 | 테레사 마르케시 |
로지에로 | 메조소프라노 또는 테너 | 카롤리나 시벨리 |
기사, 귀족, 시종, 시라쿠사인, 사라센인; 시녀, 전사, 시동, 경비병 등 |
4. 줄거리
시라쿠사는 최근 비잔틴 제국(불안정한 휴전 상태)과 사라센 군대(솔라미르가 이끄는)와의 경쟁과 전쟁을 겪었지만, 지쳐서 내부 갈등도 겪고 있다. 군인 탄크레디와 그의 가족은 땅과 재산을 빼앗겼고, 탄크레디는 젊은 시절부터 추방당했다. 아르기리오와 오르바차노가 이끄는 두 귀족 가문은 수년 동안 전쟁을 벌여 왔지만 화해를 시작한다. 또한 무어인 장군 솔라미르도 참석한다. 아르기리오의 딸 아메나이드는 비밀리에 탄크레디를 사랑한다. 오페라가 시작되기 전에, 그녀는 그에게 편지를 보냈는데 (그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고), 이 편지가 상황을 복잡하게 만든다.[21]
:장소: 시라쿠사 시
:시간: 서기 1005년
:[이 줄거리는 1813년 2월 베니스 초연 버전에서 일어난 사건을 반영한다]
== 1막 ==
1막 1장, 베네치아 1833
시라쿠사 원로원 지도자 아르지리오와 오르바차노는 휴전을 통해 내전을 종식하고 사라센 군대에 맞서기로 한다.[21] 합창: ''Pace, onore, fede, amore'' / "평화, 명예, 신념, 사랑 / 이제 다스리네". 아르지리오는 딸 아메나이데를 오르바차노와 결혼시키려 하지만, 아메나이데는 비밀리에 탄크레디를 사랑하고 있다.[21] 아메나이데는 탄크레디가 변장하고 돌아오고 있다는 것을 알고 그에게 그렇게 해달라고 편지를 썼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그녀에게 돌아오지 않아 불안해한다.
이른 아침, 해안가 근처 정원에서 탄크레디와 그의 부하들이 배에서 내린다. 아메나이데의 편지를 받지 못한 그는 침략자로부터 도시를 방어하고 연인을 찾겠다고 맹세한다.[21] 아리아: ''Oh patria! dolce, e ingrata patria'' / 오 나의 조국, 사랑스럽고, 은혜롭지 못한 조국". 그의 생각은 아메나이데에게 향한다: ''Tu che accendi questo core'' / "당신은 이 마음을 불태우고", 그리고 그녀에게 얼마나 많은 고통을 주었는지: ''Di tanti palpiti, di tante pene'' / "이토록 가슴이 뛰고, 고통을 받은 후에".[21]
아르지리오는 아메나이데에게 탄크레디가 메시나로 돌아왔고, 원로원은 그를 반역죄로 사형에 처했다고 말하며, 오르바차노와의 결혼을 강요한다.[21] 아르지리오의 아리아: ''Pensa che sei mia figlia'' / "당신은 내 딸이라는 것을 생각해 보세요".[21] 아메나이데는 탄크레디에게 편지를 쓴 것을 후회하며, 탄크레디에게 즉시 탈출해야 한다고 말한다.[21] 이중창: ''L'aura che interno spiri'' / "당신이 숨쉬는 공기는 치명적인 위험을 가져다줍니다".[21]
사람들이 결혼식을 위해 광장에 모이고, 아르지리오는 두 파벌 간의 새로 발견된 화합이 결혼으로 강화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변장한 탄크레디가 나타나 자신의 봉사를 제안한다. 아메나이데가 결혼을 거부하자, 오르바차노는 그녀를 반역자로 몰아세우는 편지를 공개한다. [사실, 그것은 아메나이데가 탄크레디에게 보낸 편지였으며, 그의 보호를 위해 의도적으로 그의 이름을 생략했고, 그에게 도달한 적이 없었다].[21] 아메나이데는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는다.[21]
== 2막 ==
아르지리오는 딸의 배신에 고뇌하며 사형 집행 영장에 서명한다.[22] 아메나이데는 죽음을 앞두고 탄크레디가 자신의 결백을 알아주기를 바란다. '''(아리아 「아니오, 죽음이란」)'''
탄크레디는 아메나이데를 위해 오르바차노에게 결투를 신청하고, 건틀릿을 던진다. 아르지리오는 탄크레디에게 간청한다. '''(이중창 「아, 만약 나의 불행을」)''' 결투에서 승리한 탄크레디는 사람들의 환호를 받는다. '''(합창 "환호하자, 사람들이여")'''.
아메나이데는 탄크레디의 승리에 기뻐하지만, '''(아리아 「공손히 숭배하는 정의의 신이여」)''' 탄크레디는 여전히 그녀를 의심한다. '''(이중창 "내버려 둬: 들을 귀는 없다")'''
== 베네치아 판 (해피엔딩) ==
탄크레디는 전투에서 승리하여 돌아오고, 죽어가는 솔라미르의 입을 통해 아메나이데의 결백을 듣게 된다. 모두 기쁨 속에 화해한다. '''''(피날레 "이 감미로운 설렘 속에서")''''''[22]
== 페라라 판 (비극적 결말) ==
탄크레디는 전투에서 승리하지만 치명상을 입는다. 그는 죽어가는 솔라미르로부터 아메나이데가 무죄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22] 알지리오는 탄크레디에게 "딸은 당신을 사랑했습니다. 우리는 모든 것을 오해했던 것입니다."라고 말한다. 탄크레디는 자신의 비원이 성취되었음을 알고, 아메나이데에게 작별을 고하고 그녀의 품에서 숨을 거둔다. (아리아 "아메나이데… 간직해 주세요, 당신의")[22]
4. 1. 1막
시라쿠사 원로원 지도자 아르지리오와 오르바차노는 휴전을 통해 내전을 종식하고 사라센 군대에 맞서기로 한다.[21] 합창: ''Pace, onore, fede, amore'' / "평화, 명예, 신념, 사랑 / 이제 다스리네". 아르지리오는 딸 아메나이데를 오르바차노와 결혼시키려 하지만, 아메나이데는 비밀리에 탄크레디를 사랑하고 있다.[21] 아메나이데는 탄크레디가 변장하고 돌아오고 있다는 것을 알고 그에게 그렇게 해달라고 편지를 썼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그녀에게 돌아오지 않아 불안해한다.
이른 아침, 해안가 근처 정원에서 탄크레디와 그의 부하들이 배에서 내린다. 아메나이데의 편지를 받지 못한 그는 침략자로부터 도시를 방어하고 연인을 찾겠다고 맹세한다.[21] 아리아: ''Oh patria! dolce, e ingrata patria'' / 오 나의 조국, 사랑스럽고, 은혜롭지 못한 조국". 그의 생각은 아메나이데에게 향한다: ''Tu che accendi questo core'' / "당신은 이 마음을 불태우고", 그리고 그녀에게 얼마나 많은 고통을 주었는지: ''Di tanti palpiti, di tante pene'' / "이토록 가슴이 뛰고, 고통을 받은 후에".[21]
아르지리오는 아메나이데에게 탄크레디가 메시나로 돌아왔고, 원로원은 그를 반역죄로 사형에 처했다고 말하며, 오르바차노와의 결혼을 강요한다.[21] 아르지리오의 아리아: ''Pensa che sei mia figlia'' / "당신은 내 딸이라는 것을 생각해 보세요".[21] 아메나이데는 탄크레디에게 편지를 쓴 것을 후회하며, 탄크레디에게 즉시 탈출해야 한다고 말한다.[21] 이중창: ''L'aura che interno spiri'' / "당신이 숨쉬는 공기는 치명적인 위험을 가져다줍니다".[21]
사람들이 결혼식을 위해 광장에 모이고, 아르지리오는 두 파벌 간의 새로 발견된 화합이 결혼으로 강화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변장한 탄크레디가 나타나 자신의 봉사를 제안한다. 아메나이데가 결혼을 거부하자, 오르바차노는 그녀를 반역자로 몰아세우는 편지를 공개한다. [사실, 그것은 아메나이데가 탄크레디에게 보낸 편지였으며, 그의 보호를 위해 의도적으로 그의 이름을 생략했고, 그에게 도달한 적이 없었다].[21] 아메나이데는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는다.[21]
4. 2. 2막
아르지리오는 딸의 배신에 고뇌하며 사형 집행 영장에 서명한다.[22] 아메나이데는 죽음을 앞두고 탄크레디가 자신의 결백을 알아주기를 바란다. '''(아리아 「아니오, 죽음이란」)'''탄크레디는 아메나이데를 위해 오르바차노에게 결투를 신청하고, 건틀릿을 던진다. 아르지리오는 탄크레디에게 간청한다. '''(이중창 「아, 만약 나의 불행을」)''' 결투에서 승리한 탄크레디는 사람들의 환호를 받는다. '''(합창 "환호하자, 사람들이여")'''.
아메나이데는 탄크레디의 승리에 기뻐하지만, '''(아리아 「공손히 숭배하는 정의의 신이여」)''' 탄크레디는 여전히 그녀를 의심한다. '''(이중창 "내버려 둬: 들을 귀는 없다")'''
4. 2. 1. 베네치아 판 (해피엔딩)
탄크레디는 전투에서 승리하여 돌아오고, 죽어가는 솔라미르의 입을 통해 아메나이데의 결백을 듣게 된다. 모두 기쁨 속에 화해한다. '''''(피날레 "이 감미로운 설렘 속에서")''''''[22]4. 2. 2. 페라라 판 (비극적 결말)
탄크레디는 전투에서 승리하지만 치명상을 입는다. 그는 죽어가는 솔라미르로부터 아메나이데가 무죄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22] 알지리오는 탄크레디에게 "딸은 당신을 사랑했습니다. 우리는 모든 것을 오해했던 것입니다."라고 말한다. 탄크레디는 자신의 비원이 성취되었음을 알고, 아메나이데에게 작별을 고하고 그녀의 품에서 숨을 거둔다. (아리아 "아메나이데… 간직해 주세요, 당신의")[22]5. 음악적 특징
로시니는 오페라 세리아 《탄크레디》에서 혁신적인 시도를 보여주었다.[23][24] 레치타티보는 짧고 아리아와 연결되며, 극적, 서정적, 음악적 요소 사이에 새로운 균형을 이루었다. 코러스는 오페라 세리아에 처음 등장했다.[24]
필립 고셋은 페라라 판 피날레가 기존의 틀에서 벗어난 가장 눈에 띄는 혁신이라고 말한다.[25] 로시니가 '카바티나 피날레'라고 부른 이 마지막 장면은 콜로라투라 장식, 정교한 오케스트레이션, 구절 구성, 종지 반복 등 기존 이탈리아 오페라의 관습을 벗어던졌다. 대신 현악기 반주와 함께 죽어가는 영웅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집중했다.[25]
고셋과 브라우너는 로시니의 작곡 스타일이 '폐쇄형 넘버'를 사용하면서도 넘버 내에서 극적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유연성을 보여준다고 설명한다.[26] 듀엣에서는 단락 형식을 사용하여 등장인물 간의 극적인 대립을 표현하고, 서정적인 섹션을 거쳐 카발레타로 이어지며 극적 구성의 변화를 반영한다.[26]
《탄크레디》는 여성 콘트랄토(또는 메조소프라노) 가수가 주인공 탄크레디 역을 맡은 것이 특징이다. 프랑스 혁명 이후 카스트라토가 추방되고 테너가 아직 주역을 맡기 미숙한 상황에서, 로시니는 카스트라토와 같은 음역을 가진 콘트랄토 가수를 기용했다. 콘트랄토 가수의 깊은 목소리와 소프라노 가수의 중창은 뛰어난 효과를 가져왔고, 이후 로시니의 오페라 세리아에서 남장 여성 가수가 주역을 맡는 경우가 많아졌다.
1970년대 페라라 판이 재발견된 이후, 《탄크레디》는 《세미라미데》와 함께 인기 있는 오페라 세리아로 자리 잡았다. 메조소프라노 가수 마릴린 혼은 페라라 판 상연을 고집했으며, 최근에는 페라라 판 피날레 후에 베네치아 판 피날레를 상영하는 연출도 이루어지고 있다.
악기 편성은 플루트 2 (1은 피콜로 겸함), 오보에 2, 잉글리시 호른, 클라리넷 2, 바순 2, 호른 2, 트럼펫 2, 팀파니, 터키 군악, 현악 5부(제1 바이올린, 제2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남성 합창, 레치타티보용 피아노, 첼로, 콘트라베이스로 구성된다.
주요 아리아와 중창으로는 1막 2장의 "오, 조국이여!…그대는 내 마음을 불타오르게 하네"(탄크레디), 피날레 "신이여! 맙소사", 2막 1장의 "아아! 서명하려 해도 할 수 없네"(알지리오), 2막 2장의 "아니, 죽음이란"(아메나이데), 2막의 이중창 "아아, 만약 나의 불행을"(탄크레디, 알지리오), 2막 2장의 "공손히 숭배하는 정의의 신이여"(아메나이데), 2막 3장의 이중창 "내버려 둬: 들을 귀는 없어"(탄크레디, 아메나이데), 베네치아판 피날레 "이 감미로운 설렘 속에서"(탄크레디, 아메나이데, 알지리오), 페라라판 피날레 "아메나이데…간직해 주오, 그대의"(탄크레디) 등이 있다.
6. 공연 역사
1813년 2월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라 페니체 극장에서 초연된 이후,[13] ''탄크레디''는 19세기 동안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 각지에서 공연되었다. 초연은 두 주연 가수의 음성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곧 성공을 거두었다.[13] 그해 3월 페라라에서 비극적 결말로 수정된 버전이 공연되었으나 관객들의 반발로 베네치아 판본으로 돌아갔고,[13] 12월 밀라노에서 또 다른 수정본이 등장했다.[22] 이후 로마, 토리노, 피렌체, 파도바, 리보르노 등 이탈리아 여러 도시에서 공연되었다.[14][22]
이탈리아 밖에서는 코르푸, 리스본, 제네바, 런던, 파리, 포르투갈 등지에서 공연되었다.[15] 특히 1820년 런던, 1822년 파리, 1823년 라 스칼라 극장에서의 초연은 주목할 만하다.[15] 미국 초연은 1825년 뉴욕에서 이루어졌다.[14]
20세기 중반, 메조소프라노 마릴린 혼은 탄크레디 역을 맡아 이 오페라를 부활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11][16] 그녀는 오페라의 전반적인 분위기와 더 일치한다며 비극적인 페라라 판본의 결말을 고집했다.[11] 1970년대 페라라 판이 재발견된 이후, 페라라 판과 베네치아 판이 번갈아 공연되고 있다. 마릴린 혼은 휴스턴 그랜드 오페라를 시작으로 로마 오페라 극장, 샌프란시스코 오페라 등에서 탄크레디 역을 맡으며, 20세기 후반 오페라 부활에 기여했다.
알토 에바 포들레스와 메조소프라노 베셀리나 카사로바 역시 탄크레디 역으로 명성을 얻었다.[18] 1982년 페사로 로시니 오페라 페스티벌에서는 피에르 루이지 피치가 연출한 새로운 프로덕션이 공연되었으며,[17] 이 프로덕션은 이후 여러 극장에서 재공연되었다. 2000년대 이후에도 빈 국립 극장, 샹젤리제 극장 등에서 꾸준히 공연되고 있다.[19]
7. 음반 및 영상
1978년 (워너 클래식) 가브리엘레 페로가 지휘하고 피오렌차 코소토(탄크레디), 렐라 쿠베를리(아메나이데), 베르너 홀베그(아르지리오), 니콜라 기우젤레프(오르바차노)가 출연한 음반이 발매되었다.[27] 1995년에는 알베르토 제다가 지휘하고 에바 포들레스(탄크레디), 조수미(아메나이데), 스탠퍼드 올슨(아르지리오), 피에트로 스파뇰리(오르바차노)가 출연한 음반이 낙소스(Naxos)에서 발매되었다.[27] 1996년에는 RCA Victor에서 로베르토 아바도가 지휘하고 베셀리나 카사로바(탄크레디), 에바 메이(아메나이데), 라몬 바르가스(아르지리오), 해리 피터스(오르바차노)가 출연한 음반이 출시되었는데, 이 음반에는 두 가지 엔딩이 모두 수록되어 있다.[27] 마릴린 혼 또한 탄크레디 역을 녹음한 바 있다.[27]
1992년 슈베칭겐 페스티벌 실황 DVD가 Arthaus Musik에서 출시되었으며, 베르나데트 만카 디 니사(탄크레디), 마리아 바요(아메나이데), 라울 히메네스(아르지리오), 일데브란도 다르칸젤로(오르바차노)가 출연하고 잔루이지 젤메티가 지휘하였다.[27] 2003년에는 Tiziano Mancini가 지휘하고 다니엘라 바르첼로나(탄크레디), 마리올라 칸타레로(아메나이데), 찰스 워크먼(아르지리오), 니콜라 울리비에리(오르바차노)가 출연한 공연 실황 DVD가 Kicco Classics에서 출시되었다.[27]
연도 | 출연진 (탄크레디, 아메나이데, 아르지리오, 오르바차노) | 지휘자, 오페라 극장 및 오케스트라 | 음반사[27] |
---|---|---|---|
1977 | 마릴린 혼, 마르게리타 리날디, 렌초 카셀라토, 니콜라 자카리아 | 가브리엘레 페로, 로마 오페라 극장 오케스트라 및 합창단, (12월 로마 오페라 공연의 오디오 및 비디오 녹화) | 오디오 CD: Celestial Audio, Cat: CA 202 |
1981 | 마릴린 혼, 렐라 쿠베를리, 에르네스토 팔라시오, 니콜라 자카리아 | 페라라 버전 랄프 바이케르트, 베네치아 라 페니체 극장 오케스트라 및 합창단 (12월 라 페니체 공연 녹음) | CD: Mondo Musica Cat: MFOH 1074 |
2004 | 마티아스 렉스 로트, 알렉산드라 자발라, 사이먼 에드워즈, 크리스티안 체레비에프, | 빌헬름 카이텔, 민스크 오케스트라 및 "Motet et Madrigal" 실내 합창단, 포젠 | CD: NEF [28] |
2005 | 다니엘라 바르첼로나, 다리아 타코바, 라울 히메네스, 마르코 스포티 | 페라라 버전 리카르도 프리차, 피렌체 코무날레 극장 오케스트라 및 합창단 (10월 21일 피렌체 코무날레 극장 공연 비디오 녹화) | DVD: TDK, Cat: DVWW OPTANC |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Tancredi
booklet accompanying the Naxos recording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A Happy Ending to the Tragic Finale of ''Tancredi''
[12]
간행물
Rossini, Gioachino, ''Tancredi''
1987-01
[13]
서적
[14]
간행물
The 'Candeur Virginale' of 'Tancredi'
1971-01-01
[15]
웹사이트
Performances listed on librettodopera.it
http://www.librettod[...]
2012-12-11
[16]
서적
[17]
웹사이트
Rossini Opera Festival – Festival – Archivio delle edizioni – 1980–1989 – Stagione 1982
http://www.rossiniop[...]
[18]
웹사이트
Obiekty - Archiwum Teatr Wielki
http://archiwum.teat[...]
2017-04-24
[19]
웹사이트
Théâtre des Champs-Élysées website
http://www.theatrech[...]
2013-08-11
[20]
웹사이트
Mayrs "Medea" und Rossinis "Tancredi" auf Originalinstrumenten in Caramoor Philoligisches und Bemerkenswertes
http://operalounge.d[...]
2018-10-24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Grove Dictionary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웹사이트
Recordings of ''Tancredi'' on operadis-opera-discography.org.uk
http://www.operadis-[...]
[28]
웹사이트
Rossini: Tancredi
https://www.amazon.i[...]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