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라쿠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라쿠사는 이탈리아 시칠리아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기원전 734년 또는 733년에 그리스 식민 도시로 건설되었다. 고대에는 지중해 전역에서 가장 강력한 도시 중 하나로 번영했으며, 아테네와의 전쟁, 카르타고와의 갈등 등 격동의 역사를 겪었다. 로마 시대에는 시칠리아의 중심지로, 비잔틴 제국과 이슬람 지배를 거쳐 노르만인의 지배를 받았다. 1990년대부터 역사 지구 복원 사업이 진행 중이며, 2005년 판탈리카 바위 네크로폴리스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주요 관광 명소로는 아폴론 신전, 아레투사 분수, 그리스 극장, 로마 원형극장 등이 있으며, 아르키메데스, 성녀 루치아 등 역사적으로 유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라쿠사 - 콘스탄스 2세
    콘스탄스 2세는 641년부터 668년까지 동로마 제국을 통치했으며, 이슬람 세력의 확장과 종교적 갈등 속에서 영토 상실과 로마 교황과의 갈등을 겪었으며, 시칠리아에서 암살당했다.
  • 코린토스인의 식민지 - 아폴로니아 (일리리아)
    아폴로니아는 기원전 588년 그리스인들이 일리리아에 건설한 고대 도시로, 아폴론을 기리는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헬레니즘 및 로마 시대에 번성했으나 지진과 환경 변화로 쇠퇴하여 현재는 유적지로 남아있다.
  • 코린토스인의 식민지 - 케르키라섬
    그리스 북서쪽 이오니아 제도에 위치한 케르키라섬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특히 베네치아 공화국 시절 코르푸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졌고, 지중해성 기후, 석회암 지질, 아름다운 해변과 함께 여러 외세의 지배를 받아 독특한 유산을 간직한 그리스 주요 관광지이며, 코르푸 구시가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시라쿠사도의 코무네 - 렌티니
    렌티니는 이탈리아 시칠리아 섬 동부 시라쿠사 현에 위치한 코무네로, 고대 그리스 식민 도시에서 유래한 중요한 고고학적 유적지이며, 시칠리아 레드 오렌지 주요 생산지로 "오렌지 도시"라고도 불리는 농업 중심지이다.
  • 시라쿠사도의 코무네 - 노토 (시칠리아주)
    노토는 이탈리아 시칠리아주 시라쿠사현에 있는 도시로, 1693년 지진 이후 시칠리아 바로크 양식으로 재건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고 인피오라타 축제가 열린다.
시라쿠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오르티기아 섬, 시라쿠사가 고대 그리스 시대에 건설됨
오르티기아 섬, 시라쿠사가 고대 그리스 시대에 건설됨
그리스 극장
그리스 극장
Palazzo Dell'Orologio
Palazzo Dell'Orologio
아르키메데스 기념비
아르키메데스 광장의 아르키메데스 기념비
시라쿠사 대성당
시라쿠사 대성당
오르티기아 다리
오르티기아 다리
디아나 분수
디아나 분수
공식 명칭코무네 디 시라쿠사
토착어 명칭
시간대UTC+1 (CET)
행정 구역
국가이탈리아
시칠리아
시라쿠사 현
시장프란체스코 이탈리아
프라치오니벨베데레, 카시빌레
코무네 인접 지역참조 #隣接コムーネ
인구 통계
전체 인구121605
인구 밀도}}
인구 조사 기준 날짜2017년 12월 31일
인구 약칭시라쿠사인 시라쿠스인 (en)}}
시라쿠사노 (it)
추가 정보
고도17m
ISTAT 코드089017
우편 번호96100
지역 전화 번호0931
성인(聖人)성 루치아
축일12월 13일
지진 구역2
주민 명칭시라쿠사니 아레투세이
Gradi Giorno799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comune.siracusa.it

2. 역사

시라쿠사의 테트라드라크마(기원전 415~405년경), 아레투사와 사륜마차가 그려져 있다.


디오니시오스 1세 시대 시라쿠사에서 주조된 데카드라크마


기원전 400년경, 에우클레이다스가 제작한 아테나 초상이 새겨진 시라쿠사 테트라드라크마


시라쿠사는 기원전 734년 또는 733년에 코린토스와 테네아 출신 그리스 정착민들이 오이키스트(식민지 개척자)인 아르키아스의 지휘 아래 건설되었다.[45] 도시 이름에는 시라코우사이/Συράκουσαιgrc, 시라코사이/Συράκοσαιgrc, 시라코/Συρακώgrc 등 여러 가지 변형이 있다.[45] 비비우스 세퀘스테르[48]가 인용한 시라쿠사의 명칭 기원 추정에 첫 번째로는 스테파누스 비잔티우스[45][49]가 ''시라코''라고 불린 시라쿠사의 습지 (λίμνηgrc)가 있어서 그랬다는 것과 두 번째로는 마리키아노스의 ''페리에게시스''에서 아르키아스가 인근 습지의 이름을 도시에 붙였고, 따라서 ''시라코'' (그로 인한 ''Syrakousai'' 및 다른 이름)를 시라쿠사의 이름으로 갖게 되었다는 것이며, 이는 에피카르무스에 의해서도 증명된다.[45][50] 정착민들은 토지가 비옥하고 원주민 부족들이 그들의 존재에 대해 상당히 우호적이라는 것을 알았다. 도시는 성장하고 번영하여 한동안 지중해 전역에서 가장 강력한 그리스 도시로 군림했다. 아크라이(기원전 664년), 카스메나이(기원전 643년), 아크릴라이(기원전 7세기), 헬로루스(기원전 7세기), 카마리나(기원전 598년)에 식민지가 건설되었다.

최초의 식민지 개척민들의 후손인 ‘가모로이’(Gamoroi)는 도시의 하층민과 헤로트와 비슷한 지위의 노예로 여겨지는 토착민의 도움으로 축출될 때까지 권력을 잡고 있었다.[13][14] 그러나 그들은 기원전 485년 겔라의 통치자 겔론의 도움으로 권력을 되찾았다. 겔론 자신이 도시의 독재자가 되어 겔라, 카마리나, 메가라의 많은 주민들을 시라쿠사로 이주시키고, 성벽 밖에 티케(Tyche)와 네아폴리스(Neapolis)라는 새로운 지역을 건설했다. 그의 새로운 건설 계획에는 다모코포스(Damocopos)가 설계한 새로운 극장도 포함되어 도시에 번영하는 문화 생활을 가져왔다. 이는 아이스킬로스, 메팀나(Methymna)의 아리오(Ario), 코린토스의 에우멜로스(Eumelos)와 같은 인물들을 시라쿠사로 끌어들였다. 시라쿠사의 확대된 권력은 시칠리아 서부를 지배하던 고대 카르타고인들과의 충돌을 불가피하게 만들었다. 히메라 전투에서 아그리젠토의 테론(Theron)과 동맹을 맺은 겔론은 하밀카르가 이끄는 아프리카 군대를 결정적으로 패배시켰다. 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도시에는 아테나 신전(오늘날의 대성당 자리)이 세워졌다.

기원전 5세기에는 성벽이 약 120 헥타르를 에워쌌지만, 기원전 470년대 초부터 주민들은 성벽 밖으로 건설을 시작했다. 기원전 415년 시라쿠사 영토의 전체 인구는 약 250,000명이었고, 도시 자체의 인구 규모는 아테네와 비슷했을 것이다.

겔론은 그의 형제인 히에론에게 계승되었고, 그는 기원전 474년 쿠마이에서 에트루리아인들과 싸웠다. 그의 통치는 그의 궁정을 방문했던 케오스의 시모니데스, 바키리데스, 핀다로스와 같은 시인들에 의해 칭송받았다. 기원전 467년 트라시불루스에 의해 민주 정권이 도입되었다.[15] 도시는 시칠리아에서 반란을 일으킨 시쿨리와 싸우고, 티레니아 해에서 코르시카와 엘바까지 원정을 떠나면서 계속 확장되었다.

기원전 5세기 후반, 시라쿠사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을 치르기 위한 더 많은 자원을 찾던 아테네와 전쟁을 벌였다. 시라쿠사인들은 전쟁에서 아테네의 적이었던 스파르타 출신의 장군의 도움을 받아 아테네 군을 물리치고, 그들의 배를 파괴하고, 그들을 섬에 굶주리게 했다(시칠리아 원정 참조). 기원전 401년 시라쿠사는 300명의 호플리테스와 장군 한 명을 쿠루스의 만 명의 군대에 지원했다.[16]

기원전 4세기 초, 참주 디오니시오스 1세는 다시 카르타고와 전쟁을 벌였고, 겔라와 카마리나를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카르타고가 시칠리아 전체를 정복하는 것을 막았다. 분쟁이 끝난 후 디오니시오스는 오르티기아(Ortygia)에 거대한 요새와 시라쿠사 전체를 둘러싼 22km 길이의 성벽을 건설했다. 또 다른 확장 기간 동안 낙소스, 카타니아, 렌티니가 파괴되었고, 시라쿠사는 다시 카르타고와 전쟁에 돌입했다(기원전 397년). 여러 번의 운명의 변화 끝에 카르타고인들은 시라쿠사를 포위했지만, 결국 전염병으로 인해 물러났다. 기원전 392년의 조약은 시라쿠사가 아드라노, 틴다리온, 타우로메노스 도시를 건설하고 대륙의 레기온을 정복하면서 영토를 더욱 확장할 수 있게 했다. 그의 전투 행위 외에도 디오니시오스는 예술의 후원자로 유명했고, 플라톤 자신도 시라쿠사를 여러 번 방문했다.[17]

그의 후계자는 디오니시오스 2세였지만, 기원전 356년 디온에 의해 축출되었다. 그러나 후자의 전제적인 통치는 차례로 그의 축출로 이어졌고, 디오니시오스는 기원전 347년 왕좌를 되찾았다. 디오니시오스는 기원전 344년 시라쿠사 장군 히케타스에 의해 시라쿠사에서 포위 공격을 받았다. 다음 해 코린토스의 티몰레온은 디오니시오스를 추방하고 히케타스를 물리친 후 도시에 민주 정권을 수립했다. 오랜 내전으로 시라쿠사의 섬에서의 권력이 약해졌고, 티몰레온은 크리미소스 전투(기원전 339년)에서 카르타고인들을 물리치면서 이를 바로잡으려고 했다.

17세기 판화에 묘사된 시라쿠사 포위전


티몰레온 사후 도시 내 당파 간의 투쟁이 재개되어 또 다른 폭군인 아가토클레스의 등장으로 끝났다. 그는 기원전 317년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했다. 그는 카르타고와의 전쟁을 재개했고, 승패가 엇갈렸다. 그는 기원전 311년 카르타고군에 의해 시라쿠사에서 포위되었지만, 소규모 함대를 이끌고 도시에서 탈출했다. 그는 전쟁을 카르타고의 본토인 아프리카로 끌고 가 적에게 큰 손실을 입히면서 도덕적 승리를 거두었다. 시라쿠사의 수비군은 그들을 포위한 카르타고군을 격파했다. 그러나 아가토클레스는 결국 아프리카에서도 패배했다. 전쟁은 또 다른 평화 조약으로 끝났지만, 아가토클레스 사후(기원전 289년) 카르타고가 시라쿠사의 정치에 간섭하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 그들은 기원전 278년 네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시라쿠사를 포위했다. 시라쿠사가 도움을 요청한 에피루스의 피르우스 왕이 도착하자 그들은 후퇴했다. 에피루스 통치하에 짧은 기간이 지난 후, 히에론 2세가 기원전 275년 권력을 장악했다.

히에론은 50년간의 평화와 번영의 시대를 열었고, 시라쿠사는 고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수도 중 하나가 되었다. 그는 소위 '히에로니카 법률'을 제정했는데, 이 법은 나중에 로마인들이 시칠리아 행정에 채택했다. 그는 또한 극장을 확장하고 "히에론의 제단"이라는 거대한 새로운 제단을 건설했다. 그의 통치하에 가장 유명한 시라쿠사 시민인 수학자이자 자연철학자 아르키메데스가 살았다. 그의 많은 발명품 중에는 아르키메데스의 발톱을 포함한 여러 가지 군사 기구가 있었는데, 이것은 나중에 기원전 214-212년 로마의 포위 공격에 저항하는 데 사용되었다. 문학 인물로는 테오크리토스 등이 있었다.

히에론의 후계자인 젊은 히에로니무스(기원전 215년부터 통치)는 칸나이 전투에서 로마의 패배 후 로마와의 동맹을 깨고 카르타고의 지원을 받아들였다.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 집정관이 이끄는 로마군은 기원전 214년 도시를 포위했다. 도시는 3년 동안 버텼지만 기원전 212년 함락되었다. 이 과정에서 아르키메데스가 사망했다.

로마 원형극장


아폴론 신전


두오모 광장


시라쿠사 대성당


시라쿠사는 로마의 시칠리아 통치 중심지이자 법무관의 근무지로, 제국 동부와 서부 사이의 교역 중심지로 남았다.[18][54] 바울로와 시라쿠사 초대 주교 성 마르차노의 노력으로 기독교가 전파되어 서방의 주요 개종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기독교 박해 시대에 조성된 시라쿠사 카타콤의 규모는 로마 다음으로 크다.

반달족 (469–477년), 오도아케르 (476–491년), 테오도리크 대왕 (491–526년)의 지배를 거쳐, 535년 12월 31일 비잔티움 제국의 벨리사리우스에 의해 시라쿠사와 시칠리아섬은 로마의 지배권으로 회복되었다.[18][54] 663년부터 668년까지 시라쿠사는 콘스탄스 2세 황제의 거처이자 비잔티움 제국의 수도였으며, 시칠리아 전체 교회의 중심지였다.

878년, 아글라브 왕조는 시라쿠사를 점령하고 2세기 동안 이슬람 지배 시대를 열었다. 시칠리아 토후국의 수도는 팔레르모로 옮겨졌지만, 시라쿠사는 중요한 무역 관계를 유지하며 문화 예술이 번성했다. 12세기 시칠리아 아랍어 시인 이븐 함디스가 시라쿠사에서 활동했다. 시라쿠사 대성당은 모스크로 변경되었고 오르티기아 지구는 이슬람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1038년, 비잔티움 제국의 장군 게오르기오스 마니아케스가 시라쿠사를 탈환하고, 성녀 루치아의 성물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보냈다. 1085년, 노르만인들은 로제르와 그의 아들 오트빌의 주르댕이 시라쿠사를 점령했다. 이후 새로운 지구들이 건설되었고, 대성당을 포함한 여러 교회들이 복구되었다.

1194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6세가 시라쿠사를 점령했다. 알라만노 다 코스타의 지휘 아래 제노바인들의 짧은 통치(1205–1220) 이후, 프리드리히 2세가 왕권을 재확립하고 마니아체성, 주교궁, 벨로모 궁전 등을 건설했다. 프리드리히 2세 사후, 시칠리아 만종 전쟁에서 시라쿠사는 아라곤 왕국 편에 서서 앙주 가문을 몰아내고 특권을 얻었다. 이 시기 아벨라가, 키아라몬테가, 나바가, 몬탈토가 등 여러 귀족 가문들이 궁전을 건설하며 번영했다.

시라쿠사는 1542년과 1693년 두 차례의 파괴적인 지진과 1729년의 역병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44] 17세기의 파괴는 발 디 노토 전체 뿐만 아니라 시라쿠사의 모습을 영원히 바꿔놓았고, 이후 도시들은 시칠리아 바로크의 전형적인 형식을 따라 재건되었다.[44] 1837년 시라쿠사의 콜레라 발병은 부르봉 정권에 반대하는 폭동을 일으켰다. 이로 인해 현도가 노토로 옮겨졌지만, 시라쿠사인들은 1848년 시칠리아 독림 혁명에 동참하는 등, 동요는 완전히 잦아들지 않았다.[44]

이탈리아 통일 이후, 시라쿠사는 현도 지위를 되찾았다.[44] 1870년에 시라쿠사의 성벽을 허물고 본토와 오르티기아섬을 연결하는 다리가 세워졌으며, 다음 해에는 철도의 접속로가 세워졌다.

제2차 세계대전 기간인 1943년에 연합군과 독일 양측의 폭격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44]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의 암호명 ''허스키 작전''이 영국군의 시칠리아섬 남동쪽 공격과 함께 1943년 7월 9-10일 사이 밤에 이뤄졌다. 작전 계획은 버나드 로 몽고메리의 제8군 휘하 부대인 영국 제5 보병 사단이 침공 첫 날에 시라쿠사를 점령하는 것이었다. 이 작전은 계획에 따라 성공적으로 이뤄졌고, 영국군은 작전 첫 번째 밤에 시라쿠사를 점령해냈다.[19][55] 시라쿠사의 항구는 영국 왕립 해군의 기지로 쓰였다.[20][56] 도시 서쪽에는 대략 1천명이 묻혀있는 영연방전쟁묘소가 있다. 종전후, 시라쿠사 북쪽 지구는 빠른 산업화의 과정으로 크고, 잦은 혼란스러움을 겪었다.

오늘날 시라쿠사는 약 125,000명의 거주민과 디오니소스의 귀 같은 역사적 유적지에 관심이 있는 방문객들을 위한 다양한 관광지를 지니고 있다. 1990년대부터 역사 지구 복원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인근 주요 도시들에는 카타니아, 노토, 모디카, 라구사 등이 있다.

2. 1. 고대 그리스 시대



시라쿠사는 기원전 734년 또는 733년에 코린토스와 테네아 출신 그리스 정착민들이 오이키스트(식민지 개척자)인 아르키아스의 지휘 아래 건설되었다.[45] 도시 이름에는 Συράκουσαιgrc ''시라코우사이'', Συράκοσαιgrc ''시라코사이'', Συρακώgrc ''시라코'' 등 여러 가지 변형이 있다.[45] 비비우스 세퀘스테르[48]가 인용한 시라쿠사의 명칭 기원 추정에 첫 번째로는 스테파누스 비잔티우스[45][49]가 ''시라코''라고 불린 시라쿠사의 습지 (λίμνηgrc)가 있어서 그랬다는 것과 두 번째로는 마리키아노스의 ''페리에게시스''에서 아르키아스가 인근 습지의 이름을 도시에 붙였고, 따라서 ''시라코'' (그로 인한 ''Syrakousai'' 및 다른 이름)를 시라쿠사의 이름으로 갖게 되었다는 것이며, 이는 에피카르무스에 의해서도 증명된다.[45][50] 정착민들은 토지가 비옥하고 원주민 부족들이 그들의 존재에 대해 상당히 우호적이라는 것을 알았다. 도시는 성장하고 번영하여 한동안 지중해 전역에서 가장 강력한 그리스 도시로 군림했다. 아크라이(기원전 664년), 카스메나이(기원전 643년), 아크릴라이(기원전 7세기), 헬로루스(기원전 7세기), 카마리나(기원전 598년)에 식민지가 건설되었다.

최초의 식민지 개척민들의 후손인 ‘가모로이’(Gamoroi)는 도시의 하층민과 헤로트와 비슷한 지위의 노예로 여겨지는 토착민의 도움으로 축출될 때까지 권력을 잡고 있었다.[13][14] 그러나 그들은 기원전 485년 겔라의 통치자 겔론의 도움으로 권력을 되찾았다. 겔론 자신이 도시의 독재자가 되어 겔라, 카마리나, 메가라의 많은 주민들을 시라쿠사로 이주시키고, 성벽 밖에 티케(Tyche)와 네아폴리스(Neapolis)라는 새로운 지역을 건설했다. 그의 새로운 건설 계획에는 다모코포스(Damocopos)가 설계한 새로운 극장도 포함되어 도시에 번영하는 문화 생활을 가져왔다. 이는 아이스킬로스, 메팀나(Methymna)의 아리오(Ario), 코린토스의 에우멜로스(Eumelos)와 같은 인물들을 시라쿠사로 끌어들였다. 시라쿠사의 확대된 권력은 시칠리아 서부를 지배하던 고대 카르타고인들과의 충돌을 불가피하게 만들었다. 히메라 전투에서 아그리젠토의 테론(Theron)과 동맹을 맺은 겔론은 하밀카르가 이끄는 아프리카 군대를 결정적으로 패배시켰다. 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도시에는 아테나 신전(오늘날의 대성당 자리)이 세워졌다.

기원전 5세기에는 성벽이 약 120 헥타르를 에워쌌지만, 기원전 470년대 초부터 주민들은 성벽 밖으로 건설을 시작했다. 기원전 415년 시라쿠사 영토의 전체 인구는 약 250,000명이었고, 도시 자체의 인구 규모는 아테네와 비슷했을 것이다.

겔론은 그의 형제인 히에론에게 계승되었고, 그는 기원전 474년 쿠마이에서 에트루리아인들과 싸웠다. 그의 통치는 그의 궁정을 방문했던 케오스의 시모니데스, 바키리데스, 핀다로스와 같은 시인들에 의해 칭송받았다. 기원전 467년 트라시불루스에 의해 민주 정권이 도입되었다.[15] 도시는 시칠리아에서 반란을 일으킨 시쿨리와 싸우고, 티레니아 해에서 코르시카와 엘바까지 원정을 떠나면서 계속 확장되었다.

기원전 5세기 후반, 시라쿠사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을 치르기 위한 더 많은 자원을 찾던 아테네와 전쟁을 벌였다. 시라쿠사인들은 전쟁에서 아테네의 적이었던 스파르타 출신의 장군의 도움을 받아 아테네 군을 물리치고, 그들의 배를 파괴하고, 그들을 섬에 굶주리게 했다(시칠리아 원정 참조). 기원전 401년 시라쿠사는 300명의 호플리테스와 장군 한 명을 쿠루스의 만 명의 군대에 지원했다.[16]

기원전 4세기 초, 참주 디오니시오스 1세는 다시 카르타고와 전쟁을 벌였고, 겔라와 카마리나를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카르타고가 시칠리아 전체를 정복하는 것을 막았다. 분쟁이 끝난 후 디오니시오스는 오르티기아(Ortygia)에 거대한 요새와 시라쿠사 전체를 둘러싼 22km 길이의 성벽을 건설했다. 또 다른 확장 기간 동안 낙소스, 카타니아, 렌티니가 파괴되었고, 시라쿠사는 다시 카르타고와 전쟁에 돌입했다(기원전 397년). 여러 번의 운명의 변화 끝에 카르타고인들은 시라쿠사를 포위했지만, 결국 전염병으로 인해 물러났다. 기원전 392년의 조약은 시라쿠사가 아드라노, 틴다리온, 타우로메노스 도시를 건설하고 대륙의 레기온을 정복하면서 영토를 더욱 확장할 수 있게 했다. 그의 전투 행위 외에도 디오니시오스는 예술의 후원자로 유명했고, 플라톤 자신도 시라쿠사를 여러 번 방문했다.[17]

그의 후계자는 디오니시오스 2세였지만, 기원전 356년 디온에 의해 축출되었다. 그러나 후자의 전제적인 통치는 차례로 그의 축출로 이어졌고, 디오니시오스는 기원전 347년 왕좌를 되찾았다. 디오니시오스는 기원전 344년 시라쿠사 장군 히케타스에 의해 시라쿠사에서 포위 공격을 받았다. 다음 해 코린토스의 티몰레온은 디오니시오스를 추방하고 히케타스를 물리친 후 도시에 민주 정권을 수립했다. 오랜 내전으로 시라쿠사의 섬에서의 권력이 약해졌고, 티몰레온은 크리미소스 전투(기원전 339년)에서 카르타고인들을 물리치면서 이를 바로잡으려고 했다.

티몰레온 사후 도시 내 당파 간의 투쟁이 재개되어 또 다른 폭군인 아가토클레스의 등장으로 끝났다. 그는 기원전 317년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했다. 그는 카르타고와의 전쟁을 재개했고, 승패가 엇갈렸다. 그는 기원전 311년 카르타고군에 의해 시라쿠사에서 포위되었지만, 소규모 함대를 이끌고 도시에서 탈출했다. 그는 전쟁을 카르타고의 본토인 아프리카로 끌고 가 적에게 큰 손실을 입히면서 도덕적 승리를 거두었다. 시라쿠사의 수비군은 그들을 포위한 카르타고군을 격파했다. 그러나 아가토클레스는 결국 아프리카에서도 패배했다. 전쟁은 또 다른 평화 조약으로 끝났지만, 아가토클레스 사후(기원전 289년) 카르타고가 시라쿠사의 정치에 간섭하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 그들은 기원전 278년 네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시라쿠사를 포위했다. 시라쿠사가 도움을 요청한 에피루스의 피르우스 왕이 도착하자 그들은 후퇴했다. 에피루스 통치하에 짧은 기간이 지난 후, 히에론 2세가 기원전 275년 권력을 장악했다.

히에론은 50년간의 평화와 번영의 시대를 열었고, 시라쿠사는 고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수도 중 하나가 되었다. 그는 소위 '히에로니카 법률'을 제정했는데, 이 법은 나중에 로마인들이 시칠리아 행정에 채택했다. 그는 또한 극장을 확장하고 "히에론의 제단"이라는 거대한 새로운 제단을 건설했다. 그의 통치하에 가장 유명한 시라쿠사 시민인 수학자이자 자연철학자 아르키메데스가 살았다. 그의 많은 발명품 중에는 아르키메데스의 발톱을 포함한 여러 가지 군사 기구가 있었는데, 이것은 나중에 기원전 214-212년 로마의 포위 공격에 저항하는 데 사용되었다. 문학 인물로는 테오크리토스 등이 있었다.

히에론의 후계자인 젊은 히에로니무스(기원전 215년부터 통치)는 칸나이 전투에서 로마의 패배 후 로마와의 동맹을 깨고 카르타고의 지원을 받아들였다.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 집정관이 이끄는 로마군은 기원전 214년 도시를 포위했다. 도시는 3년 동안 버텼지만 기원전 212년 함락되었다. 이 과정에서 아르키메데스가 사망했다.

2. 2. 로마 제국과 비잔티움 시대

시라쿠사는 로마의 시칠리아 통치 중심지이자 법무관의 근무지로, 제국 동부와 서부 사이의 교역 중심지로 남았다.[18][54] 바울로와 시라쿠사 초대 주교 성 마르차노의 노력으로 기독교가 전파되어 서방의 주요 개종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기독교 박해 시대에 조성된 시라쿠사 카타콤의 규모는 로마 다음으로 크다.

반달족 (469–477년), 오도아케르 (476–491년), 테오도리크 대왕 (491–526년)의 지배를 거쳐, 535년 12월 31일 비잔티움 제국의 벨리사리우스에 의해 시라쿠사와 시칠리아섬은 로마의 지배권으로 회복되었다.[18][54] 663년부터 668년까지 시라쿠사는 콘스탄스 2세 황제의 거처이자 비잔티움 제국의 수도였으며, 시칠리아 전체 교회의 중심지였다.

2. 3. 중세 시대

878년, 아글라브 왕조는 시라쿠사를 점령하고 2세기 동안 이슬람 지배 시대를 열었다. 시칠리아 토후국의 수도는 팔레르모로 옮겨졌지만, 시라쿠사는 중요한 무역 관계를 유지하며 문화 예술이 번성했다. 12세기 시칠리아 아랍어 시인 이븐 함디스가 시라쿠사에서 활동했다. 시라쿠사 대성당은 모스크로 변경되었고 오르티기아 지구는 이슬람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1038년, 비잔티움 제국의 장군 게오르기오스 마니아케스가 시라쿠사를 탈환하고, 성녀 루치아의 성물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보냈다. 1085년, 노르만인들은 로제르와 그의 아들 오트빌의 주르댕이 시라쿠사를 점령했다. 이후 새로운 지구들이 건설되었고, 대성당을 포함한 여러 교회들이 복구되었다.

1194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6세가 시라쿠사를 점령했다. 알라만노 다 코스타의 지휘 아래 제노바인들의 짧은 통치(1205–1220) 이후, 프리드리히 2세가 왕권을 재확립하고 마니아체성, 주교궁, 벨로모 궁전 등을 건설했다. 프리드리히 2세 사후, 시칠리아 만종 전쟁에서 시라쿠사는 아라곤 왕국 편에 서서 앙주 가문을 몰아내고 특권을 얻었다. 이 시기 아벨라가, 키아라몬테가, 나바가, 몬탈토가 등 여러 귀족 가문들이 궁전을 건설하며 번영했다.

2. 4. 근현대

시라쿠사는 1542년과 1693년 두 차례의 파괴적인 지진과 1729년의 역병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44] 17세기의 파괴는 발 디 노토 전체 뿐만 아니라 시라쿠사의 모습을 영원히 바꿔놓았고, 이후 도시들은 시칠리아 바로크의 전형적인 형식을 따라 재건되었다.[44] 1837년 시라쿠사의 콜레라 발병은 부르봉 정권에 반대하는 폭동을 일으켰다. 이로 인해 현도가 노토로 옮겨졌지만, 시라쿠사인들은 1848년 시칠리아 독림 혁명에 동참하는 등, 동요는 완전히 잦아들지 않았다.[44]

이탈리아 통일 이후, 시라쿠사는 현도 지위를 되찾았다.[44] 1870년에 시라쿠사의 성벽을 허물고 본토와 오르티기아섬을 연결하는 다리가 세워졌으며, 다음 해에는 철도의 접속로가 세워졌다.

제2차 세계대전 기간인 1943년에 연합군과 독일 양측의 폭격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44]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의 암호명 ''허스키 작전''이 영국군의 시칠리아섬 남동쪽 공격과 함께 1943년 7월 9-10일 사이 밤에 이뤄졌다. 작전 계획은 버나드 로 몽고메리의 제8군 휘하 부대인 영국 제5 보병 사단이 침공 첫 날에 시라쿠사를 점령하는 것이었다. 이 작전은 계획에 따라 성공적으로 이뤄졌고, 영국군은 작전 첫 번째 밤에 시라쿠사를 점령해냈다.[19][55] 시라쿠사의 항구는 영국 왕립 해군의 기지로 쓰였다.[20][56] 도시 서쪽에는 대략 1천명이 묻혀있는 영연방전쟁묘소가 있다. 종전후, 시라쿠사 북쪽 지구는 빠른 산업화의 과정으로 크고, 잦은 혼란스러움을 겪었다.

오늘날 시라쿠사는 약 125,000명의 거주민과 디오니소스의 귀 같은 역사적 유적지에 관심이 있는 방문객들을 위한 다양한 관광지를 지니고 있다. 1990년대부터 역사 지구 복원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인근 주요 도시들에는 카타니아, 노토, 모디카, 라구사 등이 있다.

3. 지리

시라쿠사는 시칠리아섬 남동부, 시라쿠사현 동부에 위치한 코무네(시)로, 동쪽으로 이오니아해에 면한다. 시라쿠사 시가지는 카타니아에서 남남동쪽으로 약 51km, 라구사에서 북북동쪽으로 약 53km, 메시나에서 남남서쪽으로 약 127km, 주도 팔레르모에서 남동쪽으로 약 206km 떨어져 있다. 해안의 작은 섬인 오르티지아 섬도 시라쿠사 시의 일부이다.

시라쿠사 근처에는 카타니아, 노토, 모디카, 라구사 등의 도시가 있다. 인접 코무네는 아볼라, 카니카티니·바니, 플로리디아, 멜릴리, 노토, 팔라초올로·아크레이데, 프리오로·갈가뇨, 솔라리노이다.

==== 기후 ====

시라쿠사는 온화하고 습한 겨울과 더울 정도로 뜨겁고 매마른 여름을 지닌 지중해성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Csa'')이다. 눈은 자주 내리지 않지만 아예 오지 않는 것은 아니며, 2014년 12월을 마지막으로 시라쿠사에 폭설이 내렸다.[57] 서리는 아주 드물며, 2014년 12월에 0 °C 일 때 마지막으로 한번 발생했다.[57]

2021년 8월 11일, 시라쿠사 인근 플로리디아에서 48.8°C의 기온이 시칠리아 농업기상정보 서비스(SAIS)에 의해 기록되었으며,[22] 이는 세계기상기구에서 유럽 최고 기온 기록으로 인정받고 있다.[22] 그러나 이탈리아 기상청의 기도 구이디 중령은 폭염 당시 기관 관측소에서 기록된 최고 기온은 시고넬라 해군항공기지에서 44.4°C였다고 밝혔다.[23] 구이디는 SAIS가 보고한 데이터는 "관측소에서 직접 생성되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 및 검증 절차를 거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센서 오작동이나 유지보수 작업으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라고 강조했다.[23]

3. 1. 기후

시라쿠사는 온화하고 습한 겨울과 더울 정도로 뜨겁고 매마른 여름을 지닌 지중해성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Csa'')이다. 눈은 자주 내리지 않지만 아예 오지 않는 것은 아니며, 2014년 12월을 마지막으로 시라쿠사에 폭설이 내렸다.[57] 서리는 아주 드물며, 2014년 12월에 0 °C 일 때 마지막으로 한번 발생했다.[57]

2021년 8월 11일, 시라쿠사 인근 플로리디아에서 48.8°C의 기온이 시칠리아 농업기상정보 서비스(SAIS)에 의해 기록되었으며,[22] 이는 세계기상기구에서 유럽 최고 기온 기록으로 인정받고 있다.[22] 그러나 이탈리아 기상청의 기도 구이디 중령은 폭염 당시 기관 관측소에서 기록된 최고 기온은 시고넬라 해군항공기지에서 44.4°C였다고 밝혔다.[23] 구이디는 SAIS가 보고한 데이터는 "관측소에서 직접 생성되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 및 검증 절차를 거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센서 오작동이나 유지보수 작업으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라고 강조했다.[23]

4. 인구

2016년 기준 시칠리아섬 시라쿠사도의 시라쿠사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122,051명이며,[60] 이중 48.7%는 남성이고 51.3%는 여성이다. 미성년자 (18세 이하)는 전체 인구의 18.87%이고 연금 수급자는 16.87%이다. 시라쿠사 거주민 평균 나이는 40세이다. 2002년과 2007년 사이 5년 동안에, 시라쿠사 인구는 0.5% 감소했지만, 이탈리아 전체 인구는 3.6% 증가했다. 감소의 원인은 교외 지역, 북부 이탈리아로 향한 인구 유출이다.[61][62] 2006년 기준 시라쿠사 인구의 97.9%는 이탈리아인이었다. 가장 큰 이민자 집단은 다른 유럽 국가 출신 (특히 폴란드영국): 0.6%, 북아프리카 (주로 튀니지): 0.5%, 남아시아: 0.4% 순이었다.[1][29][30]

시라쿠사 인구 변화
연도1861년1871년1881년1901년1911년1921년1931년1936년1951년1961년1971년1981년1991년2001년2011년2021년
인구19,28619,90621,59829,60039,33046,55746,04849,47867,56882,466100,737117,615125,941123,657118,385117,055


5. 문화

5. 1. 세계 유산

2005년, 시라쿠사 도시 전체는 판탈리카 바위 네크로폴리스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다.[63][31] 세계 문화 유산 등재는 세계인의 공동 유산으로서 뛰어난 문화적, 환경적 중요성을 지닌 지역을 분류, 지명, 보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등재 결정 위원회는 시라쿠사를 선정한 이유로 "시라쿠사에 위치한 기념물과 고고학적 유적(오르티지아의 핵심부와 도시 지역 전체에 위치해 있는 유물)은 그리스, 로마, 바로크 등 여러 문화를 아우르는 훌륭한 건축 창조물의 가장 훌륭한 예"이며, 고대 시라쿠사가 "탁월한 보편적 의미를 가지는 사건, 사상, 문학 작품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고 설명했다.[63][31]

5. 2. 관광 명소

시라쿠사는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2005년 시라쿠사 도시 전체는 판탈리카 바위 네크로폴리스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다.[63][31] 이는 시라쿠사가 "그리스, 로마, 바로크 등 여러 문화를 아우르는 훌륭한 건축 창조물의 가장 훌륭한 예"이며, "탁월한 보편적 의미를 가지는 사건, 사상, 문학 작품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는 평가에 따른 것이다.[63][31]

  • '''그리스 시대 건축물'''

  • '''아폴론 신전'''은 기원전 6세기 초에 건설된 도리스 양식 신전으로, 에마누엘레 판칼리 광장 (Piazza Emanuele Pancali)에 위치한다. 비잔티움 시대에는 교회, 아랍 지배기 때는 모스크로 사용되었다.[32] 노르만 시대에는 다시 기독교 교회가 되었고, 스페인 지배하에서는 병영으로 전용되었다.
  • '''아레투사 분수'''는 오르티기아섬에 있는 샘이다. 전설에 따르면 님프 아레투사가 알페이오스에게 쫓겨 이곳에서 쉬었으며, 아르테미스에 의해 샘으로 변하여 이곳에 나타났다고 한다.[32]
  • '''그리스 극장'''은 고대 그리스인들이 지은 가장 큰 카베아가 있는 곳 중 한 곳이다. 67개의 계단이 8개의 통로를 따라 9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있으며, 1만 5천석의 좌석이 있었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쓰이는 이 건물은 로마인들이 보수한 것들이며, 이들은 건물에 서커스 경기 등 그들의 다른 요소들을 도입했다.

  • 로마 원형극장은 부분적으로 바위를 깎아내린 것이다. 시칠리아에서 가장 큰 경기장이며, 기원전 1세기경에 절반은 바위를 파내고 나머지는 자른 돌을 쌓아 만들어졌다.
  • '''아르키메데스 무덤'''은 그로티첼리 네크로폴리스 (Grotticelli Nechropolis)에 있다.
  • '''올림피아 제우스 신전'''은 시라쿠사 외각으로 대략 3km 거리에 있고, 기원전 6세기경에 세워졌다.

  • '''기독교 시대 건축물'''


두오모 광장에 있는 산타 루치아 알라 바디아 교회


시라쿠사의 산타 루치아 알라 바디아 교회(Church of Santa Lucia alla Badia) - 두오모 광장

  • 시라쿠사 대성당은 7세기에 오르티기아섬에 있던 아테나 신전 (기원전 5세기) 위에 지은 것이다. 도리스 양식 건축물로, 이 기둥들은 현재 교회 벽면에 일부분으로 남아 있다.
  • ''산타 루치아 엑스트라 모이니아 바실리카당''은 전승에 따르면 303년에 성녀 루치아가 순교한 같은 장소에 비잔틴 시대에 지어졌다고 한다. 교회의 지하는 ''성 루치아의 카타콤''이다.
  • ''산타 루치아 알라 바디아 교회당''은 1693년 지진 이후에 바로크 양식으로 지어졌다. 카라바조의 성녀 루치아의 매장을 소장하고 있다.
  • ''산 조반니 바티스타 교회당'' (14세기).
  • ''산 파올로 교회당'' (18세기).
  • ''산 크리스토포로 교회당'' (14세기, 18세기 재건).
  • ''산타 마리아 데이 미라콜리 교회당'' (14세기).
  • ''스피리토 산토 교회당'' (18세기).
  • 예수회 교회당은 거대한 바로크 양식 건물이다.
  • 성 베네딕토 교회 (16세기, 1693년 이후 재건)
  • 키에사 델라 콘체치오네 (14세기, 18세기 재건)
  • 산 프란체스코 알림마콜라타 교회당
  • 복음사가 요한 바실리카당은 부분적으로만 복원됐고, 이후 아랍인들에게 파괴된다. ''산 조반니 카타콤''도 존재한다.
  • 우리 성모의 눈물 성소 (20세기).

눈물의 성모 마리아 바실리카(Basilica of the Virgin of Tears)

  • ''산 필리포 아포스톨로 교회당''은 아래층에 유대교 미크바 있음 (18세기).

  • '''기타 건축물'''


마니아케성


베네벤타노 델 보스코 궁전 모습

  • 마니아케성 - 1232년과 1240년 사이에 지어졌으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 시기의 군사 시설의 예이다.
  • 벨로모 궁전 (12세기) - 안토넬로 다 메시나의 ''성수태 고지'' (1474)를 소장하고 있는 미술관이다.
  • 몬탈토궁 (14세기)
  • 대주교 궁전 (17세기, 18세기에 보수)
  • 베르멕시오 궁전 - 현재는 시청으로 쓰이며, 기원전 5세기 때의 이오니아 양식 신전의 일부가 건물 일부를 이루고 있다.
  • 프란시카 나바 궁전
  • 베네벤타노 델 보스코 궁전
  • 밀리아초 궁전 (15세기)
  • 의회 궁전
  • 에우리알로스 성
  • 란차 부케리 궁전 (16세기).
  • 고고학 박물관

5. 2. 1. 그리스 시대 건축물


  • '''아폴론 신전'''은 기원전 6세기 초에 건설된 도리스 양식 신전으로, 에마누엘레 판칼리 광장 (Piazza Emanuele Pancali)에 위치한다. 비잔티움 시대에는 교회, 아랍 지배기 때는 모스크로 사용되었다.[32] 노르만 시대에는 다시 기독교 교회가 되었고, 스페인 지배하에서는 병영으로 전용되었다. 근대 도시 정비 과정에서 중세 건물이 제거되면서 재발견되었다.
  • '''아레투사 분수'''는 오르티기아섬에 있는 샘이다. 전설에 따르면 님프 아레투사가 알페이오스에게 쫓겨 이곳에서 쉬었으며, 아르테미스에 의해 샘으로 변하여 이곳에 나타났다고 한다.[32]
  • '''그리스 극장'''은 고대 그리스인들이 지은 가장 큰 카베아가 있는 곳 중 한 곳이다. 67개의 계단이 8개의 통로를 따라 9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있으며, 1만 5천석의 좌석이 있었다. 무대와 오케스트라 유적들만이 남아있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쓰이는 이 건물은 로마인들이 보수한 것들이며, 이들은 건물에 서커스 경기 등 그들의 다른 요소들을 도입했다. 극장 인근은 채석장들이며, 고대 시대에 죄수들을 부려 운영했다. 가장 유명한 채석장은 ''오레키오 디 디오니시오'' ("디오니스소스의 귀")이다.

  • 로마 원형극장은 부분적으로 바위를 깎아내린 것이다. 시칠리아에서 가장 큰 경기장이며, 기원전 1세기경에 절반은 바위를 파내고 나머지는 자른 돌을 쌓아 만들어졌다. 원형극장 가운데에는 무대 장치로 쓰였을 정사각형 공간이 있다.

  • '''아르키메데스 무덤'''은 그로티첼리 네크로폴리스 (Grotticelli Nechropolis)에 있다. 두 개의 도리스식 기둥으로 꾸며졌다.
  • '''올림피아 제우스 신전'''은 시라쿠사 외각으로 대략 3km 거리에 있고, 기원전 6세기경에 세워졌다.

5. 2. 2. 기독교 시대 건축물


  • 시라쿠사 대성당은 7세기에 조시모 주교가 오르티기아섬에 있던 아테나 신전 (기원전 5세기) 위에 지은 것이다. 이 신전은 도리스 양식 건축물로, 짧은 쪽에 기둥 6개, 긴 쪽에 기둥 14개가 있었으며, 이 기둥들은 현재 교회 벽면에 일부분으로 남아 있다. 신전 하단에는 세 개의 계단이 있었다. 교회 내부는 네이브 하나와 두 개의 복도로 이루어져 있다. 네이브의 천장과 애프스의 모자이크는 노르만 시대의 것이다. 파사드는 1725–1753년 사이에 안드레아 팔마가 만든 이중으로 된 코린트 기둥과 이냐치오 마라비티 (Ignazio Marabitti)가 만든 조각상으로 보수됐다. 내부에서 가장 주목할 것들로는 대리석 바닥으로 된 세례반 (12–13세기), 피에트로 리초 (Pietro Rizzo, 1599년작)가 만든 성 루치아 은상, 루이지 반비텔리가 만든 키보륨, 안토넬로 가지니가 만든 ''마돈나 델라 네베'' (눈의 성모, 1512년 작) 조각상 등이 있다.[33]
  • ''산타 루치아 엑스트라 모이니아 바실리카당''은 전승에 따르면 303년에 성녀 루치아가 순교한 같은 장소에 비잔틴 시대 (노르만 재건 이후)에 지어졌다고 한다. 15-16세기부터 현재의 모습이었다. 가장 오래된 부분인 문, 세 개의 반원형 애프스와 종루의 첫 번째 두 번째 양식 등은 잘 보존되었다. 교회의 지하는 ''성 루치아의 카타콤''이다. 카라바조는 이 교회를 위해 성녀 루치아의 매장을 그렸고, 현재 그 그림은 ''산타 루치아 알라 바디아 교회당''에서 소장하고 있다.
  • ''산타 루치아 알라 바디아 교회당''은 1693년 지진 이후에 바로크 양식으로 지어졌다. 카라바조의 성녀 루치아의 매장을 소장하고 있다.

  • ''산 조반니 바티스타 교회당'' (14세기).
  • ''산 파올로 교회당'' (18세기).
  • ''산 크리스토포로 교회당'' (14세기, 18세기 재건).
  • ''산타 마리아 데이 미라콜리 교회당'' (14세기).
  • ''스피리토 산토 교회당'' (18세기).
  • 예수회 교회당은 거대한 바로크 양식 건물이다.
  • 성 베네딕토 교회 (16세기, 1693년 이후 재건)는 카라바조파 마리오 민니티가 그린 성 베네딕토의 죽음을 소장하고 있다.
  • 키에사 델라 콘체치오네 (14세기, 18세기 재건)는 베네딕토회로 합병되었다.
  • 산 프란체스코 알림마콜라타 교회당은 기둥과 파일스터 조각이 어울어진 볼록한 파사드가 있다. 11월 29일 새벽에 성모 마리아의 그림의 베일을 벗기는 스벨라타(Svelata, "부활")라는 행사가 열린다.
  • 복음사가 요한 바실리카당은 노르만인들이 지었고 1693년에 파괴됐다. 순교자 성 마르치아노의 무덤 위에 세워졌으며, 부분적으로만 복원됐고, 이후 아랍인들에게 파괴된다. 주 제단은 비잔틴 시대의 것이다. 수 천개의 무덤과 프레스코화가 있는 미로 같은 터널인 ''산 조반니 카타콤''도 존재한다.
  • 우리 성모의 눈물 성소 (20세기).

  • ''산 필리포 아포스톨로 교회당''은 아래층에 유대교 미크바 있음 (18세기).

5. 2. 3. 기타 건축물


  • 마니아케성 - 1232년과 1240년 사이에 지어졌으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 시기의 군사 시설의 예이다. 정사각형 건축물로, 네 개의 각마다 원형 탑이 있다. 가장 주목할 점은 다색의 대리석으로 장식된 문이다.
  • 벨로모 궁전 (12세기) - 안토넬로 다 메시나의 ''성수태 고지'' (1474)를 소장하고 있는 미술관이다.
  • 몬탈토궁 (14세기) - 14세기의 오래된 파사드를 보존하고 있다.
  • 대주교 궁전 (17세기, 18세기에 보수) - 18세기 말에 지어진 ''알라고니아 도서관''이 있다.
  • 베르멕시오 궁전 - 현재는 시청으로 쓰이며, 기원전 5세기 때의 이오니아 양식 신전의 일부가 건물 일부를 이루고 있다.
  • 프란시카 나바 궁전 - 건물의 일부가 16세기 본 건물에서 보존된 것들이다.
  • 베네벤타노 델 보스코 궁전 - 원래는 중세 시대에 지어졌으나 1779년과 1788년 사이에 확장 공사되었다. 연회장이 있다.
  • 밀리아초 궁전 (15세기) - 용암 장식으로 유명함.
  • 의회 궁전
  • 에우리알로스 성 - 대 디오니시오스가 시라쿠사 외각에 지었으며, 고대 시대 가장 강력한 요새 중 하나였다. 땅 아래로 파진, 세 개의 연속된 해자가 있었다.
  • 란차 부케리 궁전 (16세기).
  • 고고학 박물관 - 청동기 중기 때부터 기원전 5세기까지 발견물들을 소장

5. 3. 유명 인물


  • 아르키메데스 -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물리학자 및 공학자
  • 루치아 -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인
  • 교황 스테파노 3세
  • 빈첸초 미라벨라 - 인본주의자 및 고고학의 선구자
  • 시라쿠사의 안티오쿠스 - 시칠리아의 역사가
  • 시라쿠사의 아케우스 - 시칠리아의 비극 작가
  • 디온 - 시칠리아의 폭군
  • 디오니시우스 1세 - 시칠리아의 폭군
  • 디오니시우스 2세 - 시칠리아의 폭군
  • 테오크리토스 - 시칠리아의 시인이자 고대 그리스 전원시의 창시자
  • 이븐 함디스 - 시칠리아 아랍 시인
  • 클라우디오 시파노 (1953년생) - 비형식 회화의 현대 미술가
  • 이냐치오 벨루아르도 (1986년생) - 레이싱 드라이버
  • 살바토레 타바노 (1980년생) - 레이싱 드라이버
  • 토니노 아콜라 (1949년생) - 성우
  • 마리오 미니티 - 미술 모델, 아티스트. 카라바조의 과일 바구니를 든 소년의 모델
  • 엘리오 비토리니 - 작가
  • 엔초 마이올카 - 프리다이버

참조

[1] 웹사이트 Statistiche demografiche ISTAT https://web.archive.[...] 2017-05-06
[2]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19
[3]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19
[4] 웹사이트 Monthly demographic balance: January–April 2009 http://demo.istat.it[...] ISTAT 2018-06-01
[5] 사전 LSJ
[6] 웹사이트 BBC – History – Archimedes https://www.bbc.co.u[...]
[7] 뉴스 Acts Facts: Syracuse https://web.archive.[...] SimplyBible.com 2008-01-08
[8] 서적 Les phéniciens et l'Odyssée https://gallica.bnf.[...] Armand Colin
[9] 서적 De Fluminibus Fontibus Lacubus Nemoribus Paludibus Montibus Gentibus quorum apud poeta mentio fit https://archive.org/[...] apud Amandum König
[10] 서적 Stephani Byzantii Ethnicorvm quae svpersvnt https://books.google[...] Impensis G. Reimeri
[11] 서적 Epicharmi Fragmenta https://archive.org/[...] apud Vincentium Loosjes
[12] 서적 Greek Art and Archaeology Thames and Hudson
[13] 서적 Histories
[14] 사전 Servus https://www.hellenic[...]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15] 서적 Politics
[16] 서적 Anabasis
[17] 웹사이트 Plato https://iep.utm.edu/[...]
[18] 서적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19] 서적 Bitter Victory: The Battle for Sicily, 1943
[20] 웹사이트 Operation Husky, Sicily 1943 http://www.olive-dra[...] olive-drab.com 2008-04-12
[21] 뉴스 Storica nevicata a Siracusa: città imbiancata con 0 °C, non-era mai successo prima [FOTO e VIDEO] http://www.meteoweb.[...] 2014-12-31
[22] 웹사이트 WMO is monitoring potential new temperature records https://wmo.int/medi[...] 2023-07-17
[23] 뉴스 Caldo record: a Siracusa 48,8 gradi, mai una temperatura così alta in Europa https://palermo.repu[...] la Repubblica 2021-08-11
[24] 웹사이트 Clima - Siracusa (Sicilia) https://www.climievi[...] Climi e viaggi
[25] 웹사이트 Profilo climatico dell'Italia: Siracusa https://web.archive.[...] Ente per la Nuove tecnologie, l'Energia e l'Ambiente
[26] 웹사이트 Syracuse, Italy – Detailed climate information and monthly weather forecast https://www.weather-[...] Yu Media Group
[27] 웹사이트 16464: Siracusa (Italy) https://www.ogimet.c[...] OGIMET 2022-01-25
[28] 웹사이트 Temperature estreme in Toscana/Siracusa http://climaintoscan[...] Temperature estreme in Siracusa
[29] 웹사이트 Statistiche demografiche ISTAT https://web.archive.[...] Demo.istat.it
[30] 웹사이트 Statistiche demografiche ISTAT https://web.archive.[...] Demo.istat.it
[31] 뉴스 Syracuse and the Rocky Necropolis of Pantalica https://whc.unesco.o[...] UNESCO 2008-01-08
[32] 서적 The Spring of Arethusa 2023
[33] 서적 St Lucy of Syracuse: A Biography 2024
[34] 웹사이트 Tavola: Popolazione residente - Siracusa (dettaglio loc. abitat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35] 웹사이트 Tavola: Superficie territoriale (Kmq) - Siracusa (dettaglio comunal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36] 웹사이트 Total Resident Population on 1st January 2023 by sex and marital status http://demo.istat.it[...] 2020-08-02
[37] 웹사이트 DiPI Online - Dizionario di Pronuncia Italiana http://www.dipionlin[...] 2013-04-13
[38] 웹사이트 シラクザ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13-04-13
[39] 웹사이트 シラクサ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13-04-13
[40] 서적 なるほど知図帳 世界 2013 쇼분샤
[41] 웹사이트 google map https://maps.google.[...] 2013-04-13
[42] 서적 現代地図帳 2006-2007 니노미야쇼텐
[43] 서적 로마건국사
[44] 웹사이트 Operation Husky, Sicily 1943 http://www.olive-dra[...] olive-drab.com 2008-04-12
[45] 사전 Σύρακουσαι
[46] 웹인용 BBC – History – Archimedes http://www.bbc.co.uk[...]
[47] 뉴스 Acts Facts: Syracuse http://members.dataf[...] SimplyBible.com 2008-01-08
[48] 서적 De Fluminibus Fontibus Lacubus Nemoribus Paludibus Montibus Gentibus quorum apud poeta mentio fit apud Amandum König
[49] 서적 Stephani Byzantii Ethnicorvm quae svpersvnt https://books.google[...] Impensis G. Reimeri
[50] 서적 Epicharmi Fragmenta https://archive.org/[...] apud Vincentium Loosjes
[51] 서적 Greek Art and Archaeology Thames and Hudson
[52] 서적 정치학
[53] 서적 아나바시스
[54] 서적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55] 서적 Bitter Victory: The Battle for Sicily, 1943
[56] 웹인용 Operation Husky, Sicily 1943 http://www.olive-dra[...] olive-drab.com 2008-04-12
[57] 웹인용 Storica nevicata a Siracusa: città imbiancata con 0 °C, non era mai successo prima [FOTO e VIDEO] http://www.meteoweb.[...] 2014-12-31
[58] 웹인용 Profilo climatico dell'Italia: Siracusa https://web.archive.[...] Ente per la Nuove tecnologie, l'Energia e l'Ambiente 2014-12-19
[59] 웹인용 Syracuse, Italy - Detailed climate information and monthly weather forecast https://www.weather-[...] 2019-06-27
[60] 웹인용 Statistiche demografiche ISTAT https://web.archive.[...] 2019-09-14
[61] 웹인용 Statistiche demografiche ISTAT https://web.archive.[...] Demo.istat.it 2009-05-05
[62] 웹인용 Statistiche demografiche ISTAT https://web.archive.[...] Demo.istat.it 2009-05-05
[63] 뉴스 Syracuse and the Rocky Necropolis of Pantalica http://whc.unesco.or[...] UNESCO 2008-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