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텔레오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텔레오사우루스는 멸종된 악어류의 일종으로, 1758년부터 과학계에 알려졌다. 19세기 초에 발견된 화석 표본을 바탕으로 1825년 텔레오사우루스 카도멘시스(Teleosaurus cadomensis)로 명명되었으며, 이후 여러 종이 추가되었으나 2019년과 2020년 연구를 통해 T. cadomensis만이 유효한 종으로 인정되었다. 현대의 가비알과 유사하게 길쭉한 턱과 가늘고 긴 몸통을 가지고 있었으며, 날카로운 이빨로 물고기와 오징어를 잡아먹고 열린 바다에서 생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쥐라기 유럽의 파충류 - 게오사우루스
    게오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에서 백악기 초기에 서식한 바다악어과의 한 속으로, 수직 꼬리 지느러미와 지느러미 형태의 사지를 가진 것이 특징이며, 기가스테우스, 그란디스, 라파렌티 등의 유효한 종이 있다.
  • 1820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인목
    인목은 석탄기에 번성한 30m 높이의 거대한 석송류 식물로, 비늘처럼 촘촘한 잎痕, 2개씩 갈라지는 가지와 뿌리, 포자 번식, 스티그마리아 지하 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탄산기 말에 멸종했다.
  • 고대 해양 악어형류 - 크리코사우루스
    크리코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에 살았던 바다악어의 일종으로, 긴 주둥이와 톱 모양 이빨, 염분 배설 땀샘, 유선형 몸체와 지느러미 꼬리 등 바다 생활에 적응한 특징을 가진다.
  • 고대 해양 악어형류 - 스테네오사우루스
    스테네오사우루스는 쥐라기 초기에 동부 대서양에 서식했던 바다악어의 일종으로, 큰 두개골, 뼈의 돌기, 염분 배출 기능이 특징이며, 모식종인 'S. 로스트로마요르'가 인정되었으나 속 'Steneosaurus'는 무효명이 되었다.
텔레오사우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모식표본 T. cadomensis (MNHN AC 8746) 여러 각도에서 본 모습
학명Teleosaurus
어원그리스어 τέλειος(el) (téleios, "완전한")
그리스어 σαῦρος(el) (saûros, "도마뱀")
명명자조프루아, 1825 vide 퀴비에, 1824
모식종Teleosaurus cadomensis
모식종 명명자(라무루, 1820)
다른 종T. geoffroyi? 외드-데롱샹, 1868c
동의어Crocodylus cadomensis 라무루, 1820
Teleosaurus asthenodirus 오언, 1842
Teleosaurus brevior 오언, 1884
Teleosaurus eucephalus 실리, 1880
Teleosaurus gladius 외드-데롱샹, 1868c
Teleosaurus lacunosae 퀸슈테트, 1858
Teleosaurus latifrons 오언, 1884
Teleosaurus minimus 퀸슈테트, 1852
Teleosaurus ornati 퀸슈테트, 1852
Teleosaurus soemmeringii 홀, 1829
Teleosaurus subulidens 필립스, 1871
생물학적 분류
진핵생물
동물계
척삭동물문
파충강
텔레오사우루스과
텔레오사우루스속 (Teleosaurus)
화석 정보
화석 발견 시기쥐라기 중기 (바조시절~바트절, 년 전)

2. 역사

텔레오사우루스 유해는 적어도 1758년부터 과학계에 알려져 있었지만,[7][8] 처음에는 멸종된 악어나 앨리게이터의 일종으로 여겨졌다.[9][10] 19세기 초, 피에르 테송이 모식 표본을 발견하여 라모루와 거래했고, 이는 1820년 장 빈센트 펠릭스 라무룩스에 의해 'Crocodilus cadomensis'로 간략하게 언급되었다.[11] 이후 표본은 조르주 퀴비에에게 보내져 1824년에 자세히 기술되었고,[12] 1825년 에티엔 조프루아 생틸레르에 의해 출판되면서 현재의 학명인 텔레오사우루스 카도멘시스(Teleosaurus cadomensis)로 명명되었다.[13]

노르망디에서 발견된 ''T. cadomensis''의 도르살 골판(NHMUK PV R 4207). 1914년부터 필드 자연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829년에는 두 번째 종인 ''T. soemmeringii''가 명명되었으나,[14] 현재는 ''T. cadomensis''의 동의어로 간주된다. 1842년에는 ''T. asthenodeirus''가,[18] 1852년에는 ''T. minimus''와 ''T ornati''가 명명되었으나, 이들 역시 현재는 ''T. cadomensis''의 동의어이다.[15]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 퀸슈테트는 1858년에 ''T. lacunosae''를 명명했다. 외드 데롱샹은 1868년에 ''T. geoffroyi''와 ''T. gladius''를 명명했지만, 두 종 모두 1944년 캉에서 파괴된 유해를 바탕으로 했다. 비뇨(1995)는 ''T. geoffroyi''를 유효한 종으로 간주했지만,[16] 2020년에는 ''T. cadomensis''의 잠재적 동의어로 여겨졌다.[4] 리처드 오언은 1884년에 ''T. brevior''와 ''T. latifrons''를 명명했다.[17] 2019년과[6] 2020년의 연구를 통해[4] ''T. cadomensis''만이 유일하게 유효한 종으로 인정되었다.[6][4]

2. 1. 종 목록

3. 특징

''텔레오사우루스''는 현대의 가비알과 유사하게 매우 길쭉한 을 가지고 있었다.[18] 그것은 가늘고 긴 몸통과 물속에서 추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꼬리를 가지고 있었다. 앞다리는 눈에 띄게 짧았으며, 동물의 유선형을 개선하기 위해 수영할 때 몸에 가깝게 유지되었을 것이다. 현대의 악어류와 달리 텔레오사우루스는 열린 바다에서 살았으며, 날카롭고 바늘 같은 이빨로 물고기와 오징어를 잡았을 것이다.[19]

3. 1. 알려진 화석

''텔레오사우루스 카도멘시스''는 다음과 같은 표본으로 알려져 있다.[4]

  • MNHN AC 8746 (모식표본): 두개골의 1/4과 다른 연관된 두개골 이후의 유해
  • NHMUK PV OR 119a: 등쪽 골판
  • NHMUK PV R 4207: 등쪽 골판
  • NHMUK PV OR 32588: 등쪽, 천골 및 꼬리 척추뼈
  • NHMUK PV OR 32657: 대퇴골
  • NHMUK PV OR 32680: 좌골
  • NHMUK PV OR 33124: 하악 결합부
  • NHMUK PV OR 39788: 부분적인 부리
  • NHMUK PV R 880 및 NHMUK PV R 880a: 추가적인 주형

참조

[1] 서적 An etymological and explanatory dictionary of the terms and language of geology https://archive.org/[...] Longman, Orme, Brown, Green, & Longmans 2022-01-01
[2] 서적 The Dinosaur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4
[3] 간행물 A revision of the Teleosauridae in the Oxford University Museum and the British Museum 1951
[4] 논문 The phylogenetics of Teleosauroidea (Crocodylomorpha, Thalattosuchia) and implications for their ecology and evolution 2020
[5] 간행물 A revision of the Teleosauridae in the Oxford University Museum and the British Museum 1951
[6] 웹사이트 The taxonomy, systematics and ecomorphological diversity of Teleosauroidea (Crocodylomorpha, Thalattosuchia), and the evaluation of the genus 'Steneosaurus' https://era.ed.ac.uk[...] 2019
[7] 간행물 An account of the fossile bones of an allegator, found on the sea-shore, near Whitby in Yorkshire 1758
[8] 간행물 A Description of the Fossil Skeleton of an Animal Found in the Alum Rock Near Whitby 1758
[9] 간행물 On a new species of fossil crocodile [in French] 1800
[10] 간행물 On the fossil bones of crocodiles: and especially on those around Le Havre and Honfleur, with remarks on the skeletons of the saurians of Thuringia [in French] 1808
[11] 간행물 Sur le crocodile fossile trouvé dans les carrières du Bourg d'Allemagne, a un quart de lieue de Caen 1820
[12] 간행물 Article IV Des os de deux espèces inconnues de Gavials; trouvés pêle-mêle près de Honfleur et du Hâvre. Sur les Ossemens Fossiles 1824
[13] 간행물 Recherches sur l’organisation des gavials 1825
[14] 간행물 Handbuch der Petrefactenkunde, mit einer Einleitung über die Vorwelt der organischen Wesen auf der Erde von Dr. Ludwig Choulant 1829
[15] 서적 Handbuch der Petrefaktenkunde Laupp 1852
[16] 학위논문 The Thalattosuchia, Mesozoic marine crocodiles: phylogenetic systematics, paleoecology, biochronology and palaeogeographical implications 1995
[17] 간행물 A History of British Fossil Reptiles, Part III 1884
[18] 간행물 Report on British fossil reptiles, part II 1842
[19] 서적 The Marshall Illustrated Encyclopedia of Dinosaurs and Prehistoric Animals Marshall Edi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