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아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아이톨리아의 칼리돈 왕 안드라이몬의 아들이자 트로이 전쟁에 참전한 영웅이다. 그는 헬레네의 구혼자였으며, 트로이 전쟁에서 40척의 아이톨리아 군대를 이끌고 참전하여 《일리아스》에 여러 번 등장하며 활약했다. 전쟁 이후에는 아이톨리아로 돌아가 통치를 재개하거나 이탈리아에 정착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딸이 오디세우스와 결혼하여 레온토포누스를 낳았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톨리아 신화 - 세이렌
세이렌은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아름다운 노랫소리로 선원들을 유혹해 파멸시키는 존재로, 본래는 여성의 머리와 새의 몸을 가졌으나 후에는 인어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유혹과 파멸의 상징으로서 여러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현대에는 스타벅스 로고나 사이렌의 어원으로 사용된다. - 아이톨리아 신화 - 멜레아그로스
멜레아그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칼리돈의 왕자로, 칼리돈의 멧돼지 사냥에서 아탈란테와 사랑에 빠지지만 외삼촌들을 살해한 후 어머니에 의해 죽음을 맞이하고 아르고호 원정대에도 참여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칼리케 가 - 멜레아그로스
멜레아그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칼리돈의 왕자로, 칼리돈의 멧돼지 사냥에서 아탈란테와 사랑에 빠지지만 외삼촌들을 살해한 후 어머니에 의해 죽음을 맞이하고 아르고호 원정대에도 참여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칼리케 가 - 데이아네이라
데이아네이라는 그리스 신화 속 인물로, 헤라클레스의 아내가 되었으나 켄타우로스 네소스의 피가 섞인 독으로 헤라클레스를 죽게 한 원인을 제공한 인물로 묘사된다. - 트로이아 전쟁 관련자 - 아킬레우스
아킬레우스는 그리스 신화의 트로이 전쟁 영웅으로, 아가멤논과의 갈등,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이후 복수, 헥토르를 비롯한 트로이군 용사들을 물리치는 활약, 그리고 파리스의 화살에 맞아 죽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고대 그리스는 물론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고 있다. - 트로이아 전쟁 관련자 - 펜테실레이아
펜테실레이아는 트로이 전쟁에 참전한 아마존의 여왕으로, 트로이를 지원하여 용맹을 떨쳤으나 아킬레우스에게 죽임을 당했으며, 그녀의 이야기는 여러 문헌과 예술 작품, 후대 문학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토아스 |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Thoas |
가족 | |
아버지 | 안드라이몬 |
어머니 | 고르게 |
배우자 | 이프시필레 다른 기록에서는 미리나 |
자녀 | 에우네오스 (이아손과의 사이에서) 데이필로스 옥시피로스 |
신화적 정보 | |
주요 역할 | 칼리돈 멧돼지 사냥 참가자 트로이아 전쟁의 영웅 아이톨리아 군대의 지휘관 |
관련 장소 | 칼리돈 아이톨리아 트로이아 |
특징 | 용맹한 전사 뛰어난 지휘관 이아손의 손자 (일부 기록) |
추가 정보 | |
참고 문헌 | 호메로스, 일리아스 아폴로도로스, 비블리오테케 퀸투스 스미르나이우스, 트로이아 함락 |
2. 가계
토아스의 아버지는 안드라이몬이며, 그의 출생과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2] 안드라이몬은 칼리돈의 왕 오이네우스의 딸 고르게와 결혼했으며, 오이네우스는 디오메데스의 할아버지였다. 오이네우스는 왕국을 잃었으나, 디오메데스가 왕국을 되찾고 안드라이몬을 칼리돈의 왕으로 세웠다.[3]
토아스는 아들 하이몬과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딸을 두었다.[4] 하이몬은 옥쉴루스의 아버지였고, 옥쉴루스는 엘리스의 왕위를 받았다.[5] 토아스의 딸은 오디세우스와 결혼하여 아들 레온토포누스를 낳았다.[6]
2. 1. 가계도
토아스는 출생과 기원이 알려지지 않은 안드라이몬의 아들이었다.[2] 안드라이몬은 고대 아이톨리아의 도시 국가인 칼리돈의 왕이었던 오이네우스의 딸 고르게와 결혼했다. 오이네우스는 테베 원정 일곱 영웅 중 한 명인 영웅 티데우스와 칼리돈의 멧돼지 사냥의 주최자이자 아르고 원정대 중 한 명인 멜레아게르의 아버지이자, 트로이 전쟁의 영웅인 디오메데스의 할아버지였다. 늙은 오이네우스는 그의 형제인 아그리우스의 아들들에게 왕국을 잃었으나, 그의 손자 디오메데스가 왕국을 되찾고 오이네우스의 사위인 안드라이몬을 칼리돈의 왕으로 세웠다.[3]토아스는 하이몬이라는 아들과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딸을 두었다.[4] 하이몬은 펠로폰네소스 침공에서 헤라클레이다이를 안내한 옥쉴루스의 아버지였고, 옥쉴루스는 그에 대한 보상으로 엘리스의 왕위를 받았다.[5] 토아스의 딸은 오디세우스와 결혼하여 아들 레온토포누스(사자 살해자)를 낳았다.[6]
3. 트로이 전쟁
토아스는 트로이 전쟁에서 아이톨리아 군대를 이끌고 참전한 그리스 영웅 중 한 명이다. 헬레네의 구혼자 중 한 명이었던 토아스는 맹세에 따라 40척의 배를 이끌고 전쟁에 참여했다.[8][9][10]
3. 1. 참전 배경
토아스는 트로이 전쟁 시기에 아버지 안드라이몬의 뒤를 이어 칼리돈 왕위에 오른 것으로 보인다. 《일리아스》는 그가 칼리돈과 인근 도시인 플레우론을 다스렸으며, 그곳에서 "신과 같이 존경받았다"고 묘사한다.[7] 헤시오도스의 《여인 열전》에 따르면 토아스는 헬레네의 구혼자 중 한 명이었다.[8] 따라서 그는 다른 구혼자들처럼 헬레네를 남편 메넬라오스에게 돌려주기 위해 트로이와 전쟁을 벌여야 한다는 맹세를 했다.[9] 《일리아스》의 선박 목록에 따르면, 오이네우스와 그의 아들들, 손자 멜레아게르가 모두 죽었기 때문에, 토아스는 40척의 아이톨리아 군대를 이끌고 트로이에서 싸웠다.[10]3. 2. 《일리아스》에서의 활약
토아스는 트로이 전쟁에서 아버지 안드라이몬의 뒤를 이어 칼리돈의 왕위를 이어받아 참전했다. 일리아스에서는 칼리돈과 인근 도시 플레우론을 다스렸으며, 그곳에서 "신과 같이 존경받았다"고 묘사된다.[7] 헤시오도스의 《여인 열전》에 따르면, 토아스는 헬레네의 구혼자 중 한 명이었다.[8] 그래서 그는 다른 구혼자들처럼 헬레네를 남편 메넬라오스에게 돌려주기 위해 트로이와 전쟁을 해야 한다는 맹세를 했다.[9] 일리아스의 선박 목록에 따르면, 오이네우스와 그의 아들들, 손자 멜레아게르가 모두 죽었기 때문에 토아스는 40척의 아이톨리아 군대를 이끌고 트로이에서 싸웠다.[10]일리아스에서 토아스는 비록 작은 지도자에 불과하지만,[11] 개성이나 특별한 업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번 언급될 정도로 존경받고 있다.[12] 그는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
:아이톨리아인들 중에서 가장 뛰어나며, 창을 던지는 데 능숙할 뿐만 아니라 백병전에도 능하며, 젊은이들이 논쟁을 벌일 때 아카이아인들 중 그를 능가할 자는 거의 없었다.
4권에서 토아스는 트라키아인을 죽이지만, 죽은 전사의 동료 몇 명에게 밀려나 갑옷을 벗길 수 없었다.[13] 7권에서 그는 네스토르에게 꾸중을 들은 후 마침내 헥토르와 일대일로 싸우겠다고 자원한 아홉 명의 그리스 전사 중 한 명이다.[14] 13권에서 포세이돈은 그리스인들 사이를 돌아다니며 싸움을 독려하는데, 먼저 테우케르, 다음은 레이토스, 페넬레오스, 토아스, 데이피루스, 메리오네스, 안틸로코스에게 간다.[15] 같은 권에서 그리스인들이 필사적으로 배를 구하기 위해 싸우자, 포세이돈은 토아스로 변장하여 그리스 영웅 이도메네우스에게 묻는다. "우리 그리스인들이 트로이인들에게 했던 모든 자랑스러운 위협은 다 어디로 갔는가?" 그러자 이도메네우스는 제우스가 우리 모두가 집에서 멀리 떨어진 채 잊혀지기를 바라는 것이 틀림없다고 대답하지만, 다음과 같이 말한다.
:토아스여, 그대가 전부터 항상 싸움에 굳건했고, 싸움을 피하는 자가 있으면 그를 격려하니, 이제 멈추지 말고 모든 사람에게 외치시오. [16]
그의 유일한 연설은 15권에서 나오는데, 그리스인들이 헥토르가 기적적으로 전장에 다시 나타난 것을 보고 "공포에 휩싸였다."[17] 그러나 토아스는 그리스인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한다.
:"보시오, 내 눈으로 보는 것은 실로 놀라운 일입니다. 헥토르가 다시 일어났고 운명을 피했으니 말입니다. 진실로 우리 각자의 마음은 그가 텔라몬의 아들 아이아스의 손에 죽었기를 바랐습니다. 그러나 보십시오, 어떤 신이 헥토르를 다시 구출했고, 그가 많은 다나아인들의 무릎을 풀었습니다. 내 생각에는 지금도 그럴 것이니, 천둥 소리를 내는 제우스의 뜻이 없이는 그가 이토록 열렬하게 챔피언으로 나서지는 않을 것입니다. 자, 내가 시키는 대로 우리 모두 따르도록 합시다. 대중에게는 배로 돌아가라고 명령하고, 우리 자신, 우리 군대에서 가장 뛰어난 자라고 자처하는 자들은 그와 맞서 먼저 그를 막을 수 있다면 창을 뻗어 그를 밀어내도록 합시다. 내 생각에는, 그가 아무리 열심이라 해도 다나아인들의 무리에 들어가는 것을 두려워할 것입니다."[18]
마지막으로, 19권에서 토아스는 오디세우스가 브리세이스를 데려간 것에 대한 보상으로 아가멤논이 아킬레우스에게 주기로 약속한 많은 선물을 돌려주기 위해 그와 함께 아가멤논의 천막으로 데려간 소규모 그리스 사절단 중 한 명이다.[19]
3. 3. 《일리아스》 이후의 활약
토아스는 트로이 전쟁 시기에 아버지 안드라이몬의 뒤를 이어 칼리돈 왕위에 오른 것으로 보인다. 《일리아스》에는 그가 칼리돈과 인근 도시인 플레우론을 다스렸으며, 그곳에서 "신과 같이 존경받았다"고 묘사되어 있다.[7] 트로이 전쟁 주기의 시인 《작은 일리아스》에서는 아킬레우스의 죽음에서부터 트로이의 목마 건설까지의 전쟁을 다루는데, 토아스는 오디세우스가 트로이 내부 첩보 작전을 수행하는 동안 그를 부상시켜 알아보지 못하게 만들었다.[20] 몇몇 후대 자료에서는 토아스를 트로이의 목마 안에 숨어있던 그리스 전사 중 한 명으로 언급하고 있다.[21] 이 두 사건은 《일리아스》에서 다룬 사건 이후에 발생했으며, 다른 후대의 자료에 언급되어 있다.4. 전쟁 이후
토아스는 전쟁에서 무사히 돌아온 몇 안 되는 그리스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23] 일부 기록에 따르면 그는 아이톨리아로 돌아가 통치를 재개한 것으로 보이며, 다른 기록에 따르면 토아스는 브루티의 땅인 이탈리아에 정착했다고 한다.[24]
지역 전통은 토아스를 암피사와 연관 지었는데, 이곳은 서부 로크리스의 주요 도시였다. 지리학자 파우사니아스는 암피사에서 토아스의 부모 안드라에몬과 고르게의 무덤으로 알려진 무덤과 암피사 아크로폴리스에 있는 아테나 신전의 청동 조각상을 보았다고 기록했는데, 이는 토아스가 전쟁 전리품으로 트로이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한다.[25] 아폴로도로스는 오디세우스가 이타카에서 페넬로페의 구혼자들을 죽인 죄로 추방된 후 아이톨리아의 토아스에게 피신했다고 한다. 그곳에서 그는 토아스의 딸과 결혼하여 아들 레온토포누스를 낳고 노령으로 사망했다.[26]
참조
[1]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θοάς
https://www.perseus.[...]
2024-03-09
[2]
서적
p. 419
https://books.google[...]
Hard
[3]
서적
p. 419
https://books.google[...]
Hard
[4]
서적
p. 420
https://books.google[...]
Hard
[5]
문헌
5.3.6
http://data.perseus.[...]
[6]
서적
E.7.40
http://data.perseus.[...]
Gantz
[7]
서적
p. 419
https://books.google[...]
Hard
[8]
서적
p. 440
https://books.google[...]
Hard
[9]
서적
p. 440
https://books.google[...]
Hard
[10]
서적
p. 419
https://books.google[...]
Hard
[11]
서적
Gantz, p. 609
[12]
서적
p. 419
https://books.google[...]
Hard
[13]
서사시
4.527–535
http://data.perseus.[...]
[14]
서사시
7.161–169
http://data.perseus.[...]
[15]
서사시
13.89–98
http://data.perseus.[...]
[16]
서사시
13.213–235
http://data.perseus.[...]
[17]
서사시
15.280
http://data.perseus.[...]
[18]
서사시
15.286–299
http://data.perseus.[...]
[19]
서사시
19.238–241
http://data.perseus.[...]
[20]
서적
p. 419
https://books.google[...]
Hard
[21]
서적
p. 419
https://books.google[...]
Hard
[22]
서사시
14.494–501
http://data.perseus.[...]
[23]
서적
Tripp, s.v. Thoas 3
[24]
서적
p. 419
https://books.google[...]
Hard
[25]
서적
p. 419
https://books.google[...]
Hard
[26]
서적
p. 501
https://books.google[...]
Hard
[27]
서사시
제2권 638행 이하
[28]
서사시
제2권 311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