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리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리돈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도시로, 아이톨로스가 쿠레테스족의 땅에 세웠으며, 그의 아들 칼리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칼리돈은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 언급되었으며, 멜레아거와 칼리돈 멧돼지 사냥, 토아스 왕이 이끄는 트로이 전쟁 참전 등 영웅담의 배경이 되었다. 역사 시대에는 아카이아인의 지배를 받기도 했지만, 아우구스투스가 니코폴리스를 건설하면서 쇠퇴했다. 칼리돈은 아르테미스 라프리아 숭배의 중심지였으며, 현재 유적은 에비노호리 북쪽에 위치하고, A5 고속도로의 칼리돈 터널이 이 지역을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톨로아카르나니아현 - 메솔롱기
메솔롱기는 그리스 서부 아이톨리아-아카르나니아 현에 위치한 도시로, 어업과 농업이 활발하며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영웅적인 항전으로 '히에라 폴리스'라는 칭호를 얻었고 바이런 경이 사망한 곳이기도 하다. - 에톨로아카르나니아현 - 아이톨리아
아이톨리아는 아켈루스강을 경계로 고대 그리스 지역과 접경하며 큐레테스족과 레레게스족이 거주했던 곳으로, 그리스인들의 식민지 건설과 아이톨리아 동맹 결성을 통해 강력한 세력을 형성하고 여러 전쟁과 외교적 행보를 거쳐 중세 시대에는 동로마 제국과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 고대 그리스의 도시 - 사르디스
사르디스는 터키 서부의 고대 도시로, 뤼디아 왕국의 수도로서 번성했으나 페르시아 제국에 정복되었고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를 거치며 재건되었지만 지진과 침략으로 쇠퇴했으며, 비잔티움 제국 시대에는 중요성이 감소했으나 초기 기독교 공동체가 존재했고 현재는 다양한 시대의 유물이 발굴되는 고고학적 유적지이다. - 고대 그리스의 도시 - 에페소스
에페소스는 튀르키예 서부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아르테미스 숭배와 동지중해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 번영을 누렸으나 잦은 침략과 항구 매몰로 쇠퇴하여 15세기 이후 버려졌다.
칼리돈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유형 | 고대 도시 |
위치 | 아이톨리아 |
좌표 | 38°22′41″N 21°31′58″E |
역사 | |
관련 신화 | 칼리돈 멧돼지 사냥 |
기타 | |
로마자 표기 | Kalydon |
그리스어 | |
그리스어 표기 | Καλυδών |
로마자 표기 | Kalydōn |
2. 신화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아이톨로스가 쿠레테스의 땅에 세운 칼리돈은 그의 아들 칼리돈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스트라본은 칼리돈과 인접한 도시 플레우론이 한때 그리스의 "장식"이었다고 전하지만, 그가 살았던 기원전 1세기 후반에는 중요성이 떨어졌다고 한다.[2]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는 칼리돈 평원의 비옥함과 쿠레테스와의 전투에 대한 묘사가 실려 있다.[2][3][4]
칼리돈은 오이네우스 왕의 거주지로, 그의 아들 멜레아거를 비롯한 영웅들이 아르테미스가 보낸 멧돼지(칼리돈 멧돼지)를 사냥한 이야기로 유명하다. 칼리돈인들은 오이네우스의 아들 토아스 왕 휘하에서 트로이 전쟁에 참여했다.[5]
2. 1. 칼리돈의 어원과 초기 전승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칼리돈은 아이톨로스가 쿠레테스의 땅에 세웠으며, 그의 아들 칼리돈의 이름을 따서 칼리돈이라고 불렸다.[2] 스트라본은 칼리돈과 인접한 도시 플레우론이 한때 그리스의 "장식"이었다고 전하지만, 그가 살았던 기원전 1세기 후반에는 중요성이 떨어졌다고 한다.[2] 칼리돈은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 자주 언급되는데, 그는 "아름다운" 칼리돈 평원의 비옥함을 찬양했다.[2][3] 초기 시대에 칼리돈의 주민들은 그들의 고대 수도 플레우론에 계속 거주하며 침략자들을 그들의 땅에서 몰아내려 했던 쿠레테스와 끊임없이 적대 행위를 벌였던 것으로 보인다. 쿠레테스와 칼리돈인 사이의 전투 중 하나에 대한 생생한 설명은 ''일리아스''의 한 에피소드에 실려 있다.[4]칼리돈의 영웅들은 영웅 시대의 가장 유명한 인물들 중 하나이다. 이곳은 오이네우스의 거주지였는데, 그는 티데우스와 멜레아거의 아버지이자 디오메데스의 할아버지였다. 오이네우스 시대에 아르테미스는 멜레아거와 수많은 다른 영웅들이 사냥한 끔찍한 멧돼지(칼리돈 멧돼지)를 보내 칼리돈의 밭을 황폐하게 했다. 칼리돈인들은 오이네우스의 아들(손자가 아님)인 왕 토아스 휘하에서 트로이 전쟁에 참여했다.[5]
2. 2. 칼리돈 멧돼지 사냥
아이톨로스가 쿠레테스의 땅에 세운 칼리돈은 그의 아들 칼리돈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칼리돈의 영웅들은 영웅 시대의 가장 유명한 인물들 중 하나이다. 이곳은 오이네우스의 거주지였으며, 그의 아들이자 디오메데스의 할아버지인 티데우스와 멜레아거의 아버지이기도 했다. 오이네우스 시대에 아르테미스는 칼리돈의 밭을 황폐하게 만든 끔찍한 멧돼지(칼리돈 멧돼지)를 보냈는데, 멜레아거와 수많은 다른 영웅들이 이 멧돼지를 사냥했다.[5] 칼리돈인들은 오이네우스의 아들(손자가 아님)인 왕 토아스 휘하에서 트로이 전쟁에 참여했다.[5]2. 3. 트로이 전쟁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칼리돈은 아이톨로스가 쿠레테스의 땅에 세웠으며, 그의 아들 칼리돈의 이름을 따서 칼리돈이라고 불렸다. 칼리돈은 오이네우스의 거주지였으며, 그의 아들 멜레아거를 비롯한 수많은 영웅들이 아르테미스가 보낸 멧돼지(칼리돈 멧돼지)를 사냥하는 이야기로 유명하다. 칼리돈인들은 오이네우스의 아들(손자가 아님)인 왕 토아스 휘하에서 트로이 전쟁에 참여했다.[5]3. 역사
칼리돈은 역사 시대에 거의 언급되지 않지만, 기원전 391년에 아카이아인 소유로 기록되었다.[6] 레욱트라 전투 이후 에파미논다스에 의해 아이톨리아인에게 돌아갔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 간의 내전(기원전 48년) 시기에는 꽤 큰 도시였으나, 아우구스투스가 악티움 해전 승리(기원전 31년)를 기념하여 건설한 니코폴리스로 주민들을 이주시켰다.[7][8][9][10][11][12]
칼리돈은 아르테미스 라프리아 숭배 중심지였으며, 주민 이주 후 아우구스투스는 아르테미스 여신상을 파트레에 기증했다.[13] 파트레에는 칼리돈에서 가져온 디오니소스 조각상도 있었다.[14] 칼리돈 근처에는 아폴론 라프리우스 신전[15]과 물고기로 유명한 호수도 있었다.
유적지는 현대 에비노호리 북쪽에 위치한다.[16][17] A5 고속도로의 칼리돈 터널(Σήραγγα Καλυδώναςel)이 유적지 아래를 지난다.
3. 1. 아카이아의 지배와 아게실라오스 2세의 원정
칼리돈은 역사 시대에는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 기원전 391년 아카이아인의 소유로 기록되었지만, 어떻게 소유하게 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나우팍투스가 펠로폰네소스 전쟁 종결 시 아카이아인에게 주어졌다는 기록이 있는데, 아마도 나우팍투스에 정착한 아카이아인들이 칼리돈을 소유하게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6]같은 해, 칼리돈의 아카이아인들은 아카르나니아인에게 심하게 시달려 라케다이몬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그 결과 아게실라오스 2세가 군대를 이끌고 아이톨리아로 파견되었다. 칼리돈은 레욱트라 전투 (기원전 371년)에서 스파르타의 패권이 무너질 때까지 아카이아인의 손에 남아 있었고, 이때 에파미논다스가 이 도시를 아이톨리아인에게 돌려주었다.[7]
3. 2. 에파미논다스와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
칼리돈은 역사 시대에는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 기원전 391년 아카이아인의 소유로 기록되었지만, 소유 방법은 불분명하다. 그러나 나우팍투스가 펠로폰네소스 전쟁 종결 시 아카이아인에게 주어졌다는 것은 더 잘 기록되어 있으며, 아마도 나우팍투스에 정착한 아카이아인들이 이 도시를 소유하게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6]같은 해에 칼리돈의 아카이아인들은 아카르나니아인에게 심하게 시달려 라케다이몬인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그 결과 아게실라오스 2세가 군대를 이끌고 아이톨리아로 파견되었다. 칼리돈은 레욱트라 전투 (기원전 371년)에서 스파르타의 패권이 무너질 때까지 아카이아인의 손에 남아 있었고, 이때 에파미논다스가 이 도시를 아이톨리아인에게 돌려주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 간의 내전 (기원전 48년) 때에도 상당한 규모의 도시로 나타났지만, 몇 년 후 아우구스투스는 기원전 31년 악티움 해전에서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니코폴리스로 주민들을 이주시켰다. 그러나 이후 지리학자들에 의해 계속 언급되고 있다.[7][8][9][10][11][12]
3. 3. 로마 시대와 니코폴리스 건설
칼리돈은 역사 시대에는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 기원전 391년에는 아카이아인의 소유로 기록되었지만, 소유 방법은 불분명하다. 그러나 나우팍투스가 펠로폰네소스 전쟁 종결 시 아카이아인에게 주어졌다는 것은 더 잘 기록되어 있으며, 아마도 나우팍투스에 정착한 아카이아인들이 이 도시를 소유하게 되었을 것이다.[6] 같은 해에 칼리돈의 아카이아인들은 아카르나니아인에게 너무 심하게 시달려 라케다이몬인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그 결과 아게실라오스 2세가 군대를 이끌고 아이톨리아로 파견되었다. 칼리돈은 레욱트라 전투 (기원전 371년)에서 스파르타의 패권이 무너질 때까지 아카이아인의 손에 남아 있었고, 이때 에파미논다스가 이 도시를 아이톨리아인에게 돌려주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 간의 내전 (기원전 48년) 때에도 상당한 규모의 도시로 나타났지만, 몇 년 후 아우구스투스는 기원전 31년 악티움 해전에서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니코폴리스로 주민들을 이주시켰다.[7][8][9][10][11][12]칼리돈은 아르테미스 라프리아 숭배의 중심지였으며, 도시 주민들이 니코폴리스로 이주했을 때 아우구스투스는 칼리돈에 속했던 이 여신의 조각상을 아카이아의 파트레에 기증했다.[13]
4. 종교
칼리돈은 아르테미스 라프리아 숭배의 중심지였다. 아우구스투스는 도시 주민들이 니코폴리스로 이주했을 때 칼리돈에 있던 이 여신의 조각상을 아카이아의 파트레에 기증했다.[13] 파트레에는 칼리돈에서 옮겨진 디오니소스 조각상도 있었다.[14] 칼리돈 근처에는 아폴론 라프리우스 신전[15]과 물고기로 유명한 호수도 있었다.
4. 1. 아르테미스 라프리아 숭배
칼리돈은 아르테미스 라프리아 숭배의 중심지였다. 도시 주민들이 니코폴리스로 이주했을 때 아우구스투스는 칼리돈에 속했던 이 여신의 조각상을 아카이아의 파트레에 기증했다.[13] 파트레에는 칼리돈에서 옮겨진 디오니소스 조각상도 있었다.[14] 칼리돈 근처에는 아폴론 라프리우스 신전이 있었고,[15] 도시 근처에는 물고기로 유명한 호수도 있었다.4. 2. 아폴론 라프리우스 신전
칼리돈 근처에는 아폴론 라프리우스 신전이 있었다.[15]5. 고고학
칼리돈 유적에서는 과거와 최근의 발굴 조사를 통해 여러 건물과 유물이 발견되었다. 아그리니온의 [http://odysseus.culture.gr/h/1/gh155.jsp?obj_id=3253 고고학 박물관]과 아테네 국립 고고학 박물관에는 아르테미스 신전에서 나온 고대 테라코타 등 칼리돈 유적에서 발견된 많은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5. 1. 주요 유적
과거와 최근의 발굴 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많은 건물들이 발견되었다.- 헬레니즘 시대의 독특한 사각형 평면 극장[1]
- 헬레니즘 시대 영웅 사당 (팔라이스트라)과 그 아래 풍부한 유물을 포함한 무덤[2]
- 아르테미스 라프리아 신전. 아르테미스 신전, 아폴론 소규모 신전, 기하학 시대부터 헬레니즘 시대에 걸친 다른 건물들의 유적[3]
- 하부 아크로폴리스. 최근 발굴 조사를 통해 기원전 2세기 주택 발견[4]
- 하부 도시. 주랑식 주택과 가마 발견[5]
5. 2. 유물
칼리돈 유적에서 발견된 많은 유물들이 있는데, 아르테미스 신전에서 나온 고대 테라코타 등이 아그리니온의 [http://odysseus.culture.gr/h/1/gh155.jsp?obj_id=3253 고고학 박물관]과 아테네 국립 고고학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6. 현대의 칼리돈
칼리돈은 아르테미스 라프리아 숭배의 중심지였다. 아우구스투스는 도시 주민들을 니코폴리스로 이주시킬 때 칼리돈에 있던 이 여신의 조각상을 아카이아의 파트레에 기증했다.[13] 파트레에는 칼리돈에서 옮겨진 디오니소스 조각상도 있었다.[14] 칼리돈 근처에는 아폴론 라프리우스 신전이 있었고,[15] 도시 근처에는 물고기로 유명한 호수도 있었다.
그 유적지는 현대 에비노호리 북쪽에 있다.[16][17]
6. 1. 칼리돈 터널
칼리돈은 역사 시대에는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 기원전 391년 아카이아인의 소유로 기록되었지만, 소유 방법은 불분명하다. 그러나 나우팍투스가 펠로폰네소스 전쟁 종결 시 아카이아인에게 주어졌다는 것은 더 잘 기록되어 있으며, 아마도 나우팍투스에 정착한 아카이아인들이 이 도시를 소유하게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6] 같은 해에 칼리돈의 아카이아인들은 아카르나니아인에게 너무 심하게 시달려 라케다이몬인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그 결과 아게실라오스 2세가 군대를 이끌고 아이톨리아로 파견되었다. 칼리돈은 레욱트라 전투 (기원전 371년)에서 스파르타의 패권이 무너질 때까지 아카이아인의 손에 남아 있었고, 이때 에파미논다스가 이 도시를 아이톨리아인에게 돌려주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 간의 내전 (기원전 48년) 때에도 상당한 규모의 도시로 나타났지만, 몇 년 후 아우구스투스는 기원전 31년 악티움 해전에서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니코폴리스로 주민들을 이주시켰다. 그러나 이후 지리학자들에 의해 계속 언급되고 있다.[7][8][9][10][11][12]A5 고속도로의 터널 중 하나가 칼리돈 유적지 아래를 지나가며, 이를 따서 '''칼리돈 터널''' (Σήραγγα Καλυδώνας|시랑가 칼리도나스el)로 명명되었다.
참조
[1]
서적
Calydon
[2]
서적
Apollod 1.7.7; Iliad 2.640, 9.577, 13.217, 14.116
[3]
서적
Strabo pp. 450 et seq., 460.
[4]
서적
Iliad 9.529, et seq.
[5]
서적
Iliad 2.638
[6]
간행물
The Achaians in Naupaktos and Kalydon in the Fourth Century
https://www.jstor.or[...]
1989
[7]
서적
Hellenica 4.6.1
[8]
서적
Pausanias 3.10.2
[9]
서적
Diodorus 15.75
[10]
서적
"Caes. ''B.C.'' 3.35; Mela 2.3.10"
[11]
서적
Pliny 4.3
[12]
서적
Ptolemy 3.15.14
[13]
서적
Pausanias 4.31.7, 7.18.8.
[14]
서적
Pausanias 7.21.1
[15]
서적
Strabo p. 459
[16]
서적
Barrington 55
[17]
서적
DARE 219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