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3)은 갑상선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으로, 티록신(T4)으로부터 합성되거나 직접 생성될 수 있다. T3는 핵 수용체에 결합하여 기초 대사율을 증가시키고, 단백질, 포도당, 지질 대사에 영향을 미치며, 심혈관계, 발생, 신경전달물질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조절한다. T3는 우울증 치료, 지방 감소 보조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1950년 잭 그로스에 의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갑상샘 호르몬 - 칼시토닌
칼시토닌은 갑상선에서 분비되는 32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 호르몬으로, 뼈의 파골세포 활동을 억제하여 혈중 칼슘 수치를 낮추는 역할을 하며, 갑상선 수질암 진단 및 골다공증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 갑상샘 호르몬 - 3'-모노아이오도티로닌
- 사람의 호르몬 - 칼시토닌
칼시토닌은 갑상선에서 분비되는 32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 호르몬으로, 뼈의 파골세포 활동을 억제하여 혈중 칼슘 수치를 낮추는 역할을 하며, 갑상선 수질암 진단 및 골다공증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 사람의 호르몬 - 3'-모노아이오도티로닌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 | |
![]() | |
IUPAC 이름 | (2S)-2-아미노-3-[4-(4-하이드록시-3-아이오도페녹시)-3,5-다이아이오도페닐]프로판산 |
다른 이름 |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 T3 3,3′,5-트라이아이오도-L-티로닌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6893-02-3 |
베일슈타인 등록번호 | 2710227 |
IUPHAR 리간드 | 2634 |
ChemSpider ID | 5707 |
UNII | 06LU7C9H1V |
InChI | 1/C15H12I3NO4/c16-9-6-8(1-2-13(9)20)23-14-10(17)3-7(4-11(14)18)5-12(19)15(21)22/h1-4,6,12,20H,5,19H2,(H,21,22)/t12-/m0/s1 |
InChIKey | AUYYCJSJGJYCDS-LBPRGKRZBY |
ChEMBL | 1544 |
KEGG | C02465 |
PubChem | 5920 |
DrugBank | DB00279 |
ChEBI | 18258 |
표준 InChI | 1S/C15H12I3NO4/c16-9-6-8(1-2-13(9)20)23-14-10(17)3-7(4-11(14)18)5-12(19)15(21)22/h1-4,6,12,20H,5,19H2,(H,21,22)/t12-/m0/s1 |
표준 InChIKey | AUYYCJSJGJYCDS-LBPRGKRZSA-N |
SMILES | OC(=O)[C@@H](N)Cc1cc(I)c(c(I)c1)Oc2ccc(O)c(I)c2 |
특성 | |
분자식 | C15H12I3NO4 |
분자량 | 650.9776 g mol−1 |
겉모습 | # 정보 없음 - 비워둠 |
밀도 | # 정보 없음 - 비워둠 |
녹는점 | # 정보 없음 - 비워둠 |
끓는점 | # 정보 없음 - 비워둠 |
위험성 | |
GHS 신호어 | 경고 |
NFPA 704 | H: 1 F: 1 R: 0 |
주요 위험 | # 정보 없음 - 비워둠 |
인화점 | # 정보 없음 - 비워둠 |
자연 발화점 | # 정보 없음 - 비워둠 |
2. 생성
갑상샘은 소량의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3)을 직접 생성한다. 여포강에서 티로신 잔기는 과산화 수소를 필요로 하는 아이오딘화 반응을 받는다. 아이오딘의 유기화 과정에서 티로글로불린의 티로신 잔기의 3번 탄소 또는 5번 탄소에 아이오딘이 결합하여 모노아이오도티로신(MIT) 및 다이아이오도티로신(DIT)을 생성한다. 모노아이오도티로신과 다이아이오도티로신은 갑상샘 과산화효소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3)을 생성한다.[7]
2. 1. 티록신(T4)으로부터 합성
Triiodothyronine|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영어(T3)은 티록신(T4)으로부터 생성되는 대사 활성이 더 높은 호르몬이다. 티록신(T4)은 3가지 유형의 탈아이오딘화효소에 의해 탈아이오딘화되어 보다 활성이 높은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3)을 생성한다.[34]- '''제I형 탈아이오딘화효소'''는 간, 콩팥, 갑상샘 및 뇌하수체에 존재한다. 제I형 탈아이오딘화효소는 T4의 탈아이오딘화의 80%를 담당한다.
- '''제II형 탈아이오딘화효소'''는 중추신경계, 뇌하수체, 갈색 지방 조직 및 심장 혈관에 존재한다. 뇌하수체에서 제II형 탈아이오딘화효소는 갑상샘 자극 호르몬에 대한 음성 피드백을 조절한다.
- '''제III형 탈아이오딘화효소'''는 태반, 중추신경계 및 혈관종에 존재한다. 제III형 탈아이오딘화효소는 T4를 리버스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으로 전환하는데, 리버스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은 T3와는 달리 비활성형이다.
T4는 다음과 같이 갑상샘 소포 세포에서 합성된다.
# 나트륨/아이오딘화물 공동수송체는 아이오딘 이온과 함께 갑상샘 소포 세포의 기저막을 가로질러 2개의 나트륨 이온을 소포 세포 안으로 운반한다. 나트륨/아이오딘화물 공동수송체는 농도기울기에 역행하여 I−를 운반시키기 위해 Na+의 농도 기울기를 이용하는 2차 능동수송체이다.
# I−는 정단막을 가로 질러 소포의 콜로이드로 이동한다.
# 갑상샘 과산화효소는 2개의 I−를 산화시켜 I2를 형성한다. 아이오딘화물은 비반응성이며, 다음 단계에는 보다 반응성이 큰 아이오딘이 필요하다.
# 갑상샘 과산화효소는 콜로이드 내에서 티로글로불린의 티로실 잔기를 아이오딘화한다. 티로글로불린은 소포 세포의 소포체에서 합성되어 콜로이드로 분비되었다.
#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된 갑상샘 자극 호르몬(TSH)은 세포의 기저측막에 있는 TSH 수용체(Gs 단백질 연결 수용체)와 결합하여 콜로이드의 세포 내 섭취를 자극한다.
# 세포 내 섭취된 소낭은 소포 세포의 리소좀과 융합된다. 리소좀의 효소들은 아이오딘화된 티로글로불린으로부터 T4를 절단한다.
# 그런 다음 이 소낭은 세포 외 배출되어 갑상샘 호르몬을 방출한다.
여포강에서 티로신 잔기는 요오드화 반응을 받는다. 이 반응에는 과산화 수소가 필요하다. 요오드의 유기화 과정에서 티로글로불린의 티로신 잔기의 3위와 5위 탄소에 요오드가 결합하여 모노요오드티로신(MIT), 다이아이오도티로신(DIT)이 형성된다. MIT 1개와 DIT 1개가 과산화 효소에 의해 중합되어 T3를 형성한다.
2. 2. 갑상샘 직접 합성
갑상샘은 소량의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3)을 직접 생성한다. 소포 세포 내강에서 티로신 잔기는 아이오딘화된다. 이 반응에는 과산화 수소가 필요하다. 아이오딘의 유기화라고 불리는 과정에서 아이오딘은 티로글로불린의 티로신 잔기의 3번 탄소 또는 5번 탄소와 결합한다. 특정 티로신 잔기의 아이오딘화는 모노아이오도티로신(MIT) 및 다이아이오도티로신(DIT)을 생성한다. 모노아이오도티로신과 다이아이오도티로신은 갑상샘 과산화효소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3)을 생성한다.[7]3. 작용 메커니즘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3)과 티록신(T4)은 핵 수용체에 결합한다.[35] T3와 T4는 소수성이지만 표적 세포의 인지질 이중층을 통과하여 수동적으로 확산될 수 없기 때문에 표적 세포 막의 아이오딘티로닌 운반체에 의해 이동된다.[36] T3와 T4의 소수성으로 인해 이들의 혈액에서의 수송을 위해 운반 단백질(티록신 결합 글로불린, 티록신 결합 프리알부민, 혈청 알부민)과 결합이 필요하다. 갑상샘 수용체는 유전자의 프로모터의 반응 요소에 결합하여, 전사를 활성화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T3에 대한 조직의 민감도는 갑상샘 수용체를 통해 조절된다.
4. 수송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3)과 티록신(T4)은 혈액 내에서 혈장 단백질과 결합하여 운반된다. 이는 호르몬의 반감기를 증가시키고, 말초 조직에서 흡수되는 속도를 감소시킨다. T3와 T4가 결합하는 주요 단백질은 세 가지이다. 티록신 결합 글로불린(TBG)은 T3보다 T4에 대해 더 높은 친화성을 가지는 당단백질이다. 트랜스티레틴은 T3에 대해서는 거의 친화성이 없고 T4만 운반하는 당단백질이다. T3와 T4는 혈청 알부민에 대해 낮은 친화력으로 결합하지만, 알부민의 이용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용량이 크다.[38]
내인성 T3에 대한 티로닌 결합 글로불린(TBG)의 포화 지점은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 수지 흡수 시험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이 시험은 혈액 샘플을 채취한 후 방사성 원소로 표지된 과량의 외인성 T3를 첨가하고 T3에 결합하는 수지를 추가하여 수행된다. 방사성 원소로 표지된 T3의 일부는 내인성 갑상샘 호르몬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티로닌 결합 글로불린(TBG)과 결합하고, 나머지는 수지와 결합한다. 수지와 결합한 방사성 원소로 표지된 호르몬의 양은 첨가된 총량에서 차감되고, 나머지는 티로닌 결합 글로불린의 결합 자리에 결합된 양이다.[38]
5. 효과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3)은 기초 대사율을 증가시켜 신체의 산소 및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킨다. 기초 대사율은 휴식 중인 사람이 체온 유지, 심장 박동, 호흡 등 생명 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 요구량이다. T3는 비장을 포함한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신체 대부분의 조직에 작용한다. T3는 막을 경계로 이온의 균형을 맞추도록 하면서 Na+/K+-ATPase (일반적으로 세포 내 전체 ATP 소비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함)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일반적으로 합성 및 분해를 증가시켜 다른 내인성 고분자들의 회전율을 증가시킨다.[12]
갑상샘 호르몬은 정상적인 성장과 골 성숙에 필수적이며,[13] 성장 호르몬과 소마토메딘의 효과를 증폭시켜 뼈 성장, 골단 폐쇄 및 골 성숙을 촉진한다.[12][13]
5. 1. 단백질 대사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3)은 RNA 중합효소 I 및 RNA 중합효소 II의 생성을 자극하고, 따라서 단백질 합성 속도를 증가시킨다.[4] T3는 또한 단백질 분해 속도를 증가시키고, 단백질 양이 초과하면 단백질 분해 속도는 단백질 합성 속도를 초과한다.[4] 이러한 상황에서는 신체가 음이온 균형에 들어갈 수 있다.[4]5. 2. 포도당 대사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3)은 β-아드레날린작동성 수용체가 포도당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시킨다. 따라서 포도당신생합성에서 글리코젠의 분해 속도 및 포도당 합성 속도가 증가한다.5. 3. 지질 대사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riiodothyronine영어, T3)은 콜레스테롤 분해를 자극하고, 저밀도 지질단백질(LDL) 수용체의 수를 증가시켜 지방 분해 속도를 증가시킨다.5. 4. 심장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3)은 심근에서 β-아드레날린작동성 수용체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심박수와 수축력을 증가시켜 심박출량을 증가시킨다.[39][14] 이로 인해 수축기 혈압이 증가하고 이완기 혈압이 감소한다. 후자의 두 가지 효과는 갑상샘 기능 항진증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허탈 맥박을 형성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T3는 마이오신 필라멘트를 상향 조절하여 수축성을 증가시킨다. 수축성을 평가하기 위한 유용한 임상적 측정 방법은 QRS파와 두 번째 심음 사이의 시간이다. 이것은 갑상샘 기능 항진증에서 종종 감소한다.5. 5. 발생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3)은 발생 중인 배아와 유아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T3는 폐에 영향을 미치며, 출생 후 중추신경계의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1] T3는 미엘린 생성, 신경전달물질 생성 및 축삭돌기 생장을 자극한다.[1] 또한 T3는 뼈의 성장에서도 중요하다.[1]5. 6. 신경전달물질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3)은 뇌, 특히 대뇌 겉질에서 세로토닌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5HT-2 수용체를 하향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쥐에서 T3가 학습된 무기력을 역전시키는 연구 및 쥐 뇌의 생리학적 연구를 기초로 한다.[40][15]6. 생리 기능
갑상샘 호르몬은 단백질의 회전율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것은 적절한 단백질 섭취를 동반한 장기간의 칼로리 제한과 관련하여 적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16][17] 에너지가 부족한 경우, 단백질 회전율의 감소는 에너지 부족의 영향을 개선시킬 수 있다.[41][42]
7. 측정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3)은 체내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 활성의 지표인 유리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티록신 결합 글로불린에 결합된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에 의존하는 총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으로도 측정할 수 있다.[43]
8. 용도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저해제(SSRI)와 같은 기존 치료제에 추가하여 치료 저항성 우울증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44] 또한, 3,5-다이아이오도티로닌과 3,3'-다이아이오도티로닌은 보디빌딩용 비처방 지방 감소 보충제의 성분으로 사용되어[46][47] 지방산 대사 및 지방 소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낼 수 있다.
8. 1. 우울증 치료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저해제(SSRI)와 같은 기존의 치료제에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을 추가하는 것은 치료 저항성 우울증에 대한 가장 널리 연구된 증강 전략 중 하나이지만, 치료의 성공은 T3의 복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44] 켈리와 리버만의 장기 사례 연구에 따르면 치료 저항성 우울증을 앓고 있는 17명의 환자 중 14명이 24개월 동안 평균 80µg의 T3를 복용했을 때 (복용량 범위: 25–150µg) 지속적으로 증상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부 경우에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요구되는 50µg 보다 더 많은 용량이다.[44] 같은 저자들은 이전에 평균 14가지 다른 약물에 반응하지 않았던 양극성 장애 2형과 미분류 양극성 장애를 가진 12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84%가 개선을 경험했고 33%는 평균 20.3개월(표준 편차 9.7)의 기간 동안 완전한 치료를 경험했다고 발표했다. T3를 투여하는 중에 경조증을 겪은 환자는 없었다.[45]8. 2. 지방 감소 보조제
3,5-다이아이오도티로닌과 3,3'-다이아이오도티로닌은 보디빌딩용으로 고안된 특정 비처방 지방 감소 보충제의 성분으로 사용된다.[46][47] 여러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화합물들은 쥐에서 지방산의 대사 및 지방 조직의 지방 소비를 증가시킨다.9. 대체 의학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3)은 주류 의학에서 의학적 상태로 인정하지 않는 대체의학적 진단인 윌슨 체온 증후군 치료에 사용되었다. 이 진단은 일반적인 갑상선 기능 검사 결과가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갑상선에 기인한 여러 비특이적 증상을 포함한다. 미국 갑상샘 학회는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 처방 치료법이 잠재적으로 해로울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48]
10. 역사
1950년, 캐나다의 내분비학자인 잭 그로스 박사는 영국 국립 의학 연구소에 로잘린드 피트-리버스와 함께 박사후 연구원으로 일하기 위해 왔다. 그로스는 맥길 대학교에서 찰스 르블롱 교수의 지도 하에 방사성 요오드를 사용하여 갑상선 호르몬의 생리를 연구하고, 방사성 요오드 치료 후 인간 혈액 내 방사성 요오드화 단백질을 분석하기 위해 크로마토그래피를 적용한 경험이 있었다. 그로스와 르블롱은 방사성 요오드를 투여한 쥐의 혈액에서 알려지지 않은 방사성 화합물을 발견했다. 이 화합물은 크로마토그래피에서 티록신 근처로 이동했으며, 그들은 처음에는 이를 '알 수 없는 1'이라고 명명했다. 그 무렵, 파리의 장 로슈가 이끄는 연구팀은 양의 갑상선에서 탈요오드화 활성을 기술했고, 이로 인해 '알 수 없는 1'이 T4의 덜 요오드화된 유사체인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24] 1952년 3월, 그로스와 피트-리버스는 ''더 랜싯''에 "인간 혈장에서 3:5:3'-L-트리아이오도티로닌의 확인"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25]
그로스와 피트-리버스가 일반적으로 T3를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화합물은 실제로 1948년 멜버른 대학교의 생화학자 허드와 트리코유스에 의해 처음 분리되었다.[26] 그들의 논문은 잘 알려지지 않아 쉽게 무시되었다는 주장이 있다.[27] 또한 피트-리버스가 이 논문을 읽었지만 언급하지 않았다는 주장도 있다.[28]
참조
[1]
웹사이트
Physiologic Effects of Thyroid Hormones
http://www.vivo.colo[...]
Colorado State University
2010-07-24
[2]
웹사이트
How Your Thyroid Works – "A delicate Feedback Mechanism"
http://www.endocrine[...]
endocrineweb
2012-01-30
[3]
웹사이트
Cytomel (Liothyronine Sodium) Drug Information
http://www.rxlist.co[...]
RxList
2011-01-03
[4]
웹사이트
Thyroid Hormone Toxicity
http://emedicine.med[...]
WedMD LLC
2014-04-23
[5]
논문
Single Dose T3 Administration: Kinetics and Effects on Biochemical and Physiologic Parameters
2015-02
[6]
서적
Medical Physiology: A Cellular And Molecular Approach
Elsevier / Saunders
[7]
논문
Differences in hypothalamic type 2 deiodinase ubiquitination explain localized sensitivity to thyroxine
2015-02
[8]
논문
Nuclear thyroid hormone receptors
1990-12
[9]
논문
"[Absorption, transport and bio-availability of iodothyronines]"
2008-08
[10]
문서
[11]
간행물
triiodothyronine resin uptake test
http://medical-dicti[...]
Farlex Medical Dictionary
2009
[12]
서적
Physiology
Elsevier
2018
[13]
서적
Ganong's review of medical physiology
McGraw-Hill Education
2019
[14]
웹사이트
Thyroid physiology and tests of function
http://www.anaesthet[...]
Anaesthetist.com
[15]
논문
Triiodothyronine-induced reversal of learned helplessness in rats
1985-09
[16]
논문
Effect of long-term calorie restriction with adequate protein and micronutrients on thyroid hormones
2006-08
[17]
논문
Effects of dietary caloric restriction and aging on thyroid hormones of rhesus monkeys
https://zenodo.org/r[...]
2002-07
[18]
간행물
Military Obstetrics & Gynecology – Thyroid Function Tests
http://www.brookside[...]
2001
[19]
논문
Long term augmentation with T3 in refractory major depression
2009-05
[20]
논문
The use of triiodothyronine as an augmentation agent in treatment-resistant bipolar II and bipolar disorder NOS
2009-08
[21]
논문
Effect of 3,5-di-iodo-L-thyronine on the mitochondrial energy-transduction apparatus
1998-02
[22]
논문
3,5-diiodo-L-thyronine powerfully reduces adiposity in rats by increasing the burning of fats
2005-09
[23]
웹사이트
ATA Statement on "Wilson's Syndrome"
http://www.thyroid.o[...]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2005-05-24
[24]
웹사이트
HISTORY: Rosalind Pitt-Rivers, the co-discoverer of T3 hormone
https://thyroidpatie[...]
2018-08-05
[25]
논문
The identification of 3:5:3'-L-triiodothyronine in human plasma
1952-03
[26]
논문
Paper partition chromatography with thyroxine and analogues
1948-06
[27]
학위논문
The comparative physiology of vertebrate metabolism :studies of its evolution, control and development
http://hdl.handle.ne[...]
UNSW Sydney
2001
[28]
기타
Trikojus, Victor Martin (Trik) (1902–1985)
https://adb.anu.edu.[...]
[29]
웹사이트
KEGG COMPOUND: C02465
https://www.genome.j[...]
2021-09-21
[30]
웹인용
Physiologic Effects of Thyroid Hormones
http://www.vivo.colo[...]
Colorado State University
2010-07-24
[31]
웹인용
How Your Thyroid Works – "A delicate Feedback Mechanism"
http://www.endocrine[...]
endocrineweb
2012-01-30
[32]
웹인용
Cytomel (Liothyronine Sodium) Drug Information
http://www.rxlist.co[...]
RxList
2011-01-03
[33]
웹인용
Thyroid Hormone Toxicity
http://emedicine.med[...]
WedMD LLC
2014-04-23
[34]
서적
Medical Physiology: A Cellular And Molecular Approach
https://archive.org/[...]
Elsevier / Saunders
[35]
저널
Nuclear thyroid hormone receptors
1990-12
[36]
저널
Resorption, Transport und Bioverfügbarkeit von Schilddrüsenhormonen
[37]
문서
References used in image are found in image article in Commons:[[Commons:File:Thyroid_system.png#References]].
[38]
웹사이트
triiodothyronine resin uptake test
http://medical-dicti[...]
Farlex Medical Dictionary
[39]
웹인용
Thyroid physiology and tests of function
http://www.anaesthet[...]
Anaesthetist.com
[40]
저널
Triiodothyronine-induced reversal of learned helplessness in rats
[41]
저널
Effect of long-term calorie restriction with adequate protein and micronutrients
[42]
저널
Effects of dietary calorie restriction and ageing on thyroid hormones of rhesus monkeys
https://zenodo.org/r[...]
[43]
웹사이트
Military Obstetrics & Gynecology – Thyroid Function Tests
http://www.brookside[...]
[44]
저널
Long term augmentation with T3 in refractory major depression
[45]
저널
The use of triiodothyronine as an augmentation agent in treatment-resistant bipolar II and bipolar disorder NOS
[46]
저널
Effect of 3,5-di-iodo-L-thyronine on the mitochondrial energy-transduction apparatus
[47]
저널
3,5-Diiodo-L-thyronine powerfully reduces adiposity in rats by increasing the burning of fats
[48]
웹인용
ATA Statement on "Wilson's Syndrome"
http://www.thyroid.o[...]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