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르마 공작 로베르토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르마 공작 로베르토 1세는 1848년 피렌체에서 태어나, 파르마 공작 카를로 3세와 아르투아의 루이즈 마리 테레즈의 장남이었다. 1854년 아버지의 암살로 6세의 나이에 파르마 공작위를 계승했으나, 11세에 이탈리아 왕국이 형성되면서 폐위되었다. 그는 두 번 결혼하여 24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1907년에 사망했다. 그의 자녀 중 일부는 유럽 왕족과 결혼하여 룩셈부르크와 오스트리아의 왕실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르마 공작 - 카를로스 3세 (스페인)
카를로스 3세는 스페인 부르봉 왕가의 국왕으로, 파르마 공작과 나폴리-시칠리아 왕을 거쳐 스페인 왕위를 계승한 계몽 군주였으나, 예수회 추방, 빵 폭동, 식민지 반란 등의 어려움도 겪으며 스페인 제국의 절정기와 사회적 혼란을 동시에 경험했다. - 파르마 공작 - 파르마 공작 필리포
스페인 국왕 펠리페 5세의 아들이자 부르봉-파르마 왕가의 시조인 파르마 공작 필리포는 폴란드와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을 통해 파르마 공국을 얻어 통치하며 경제 회복과 교육, 철학 장려에 힘쓴 계몽주의 군주였다. - 보르보네파르마가 - 장 (룩셈부르크)
장은 1921년 룩셈부르크에서 태어나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1964년 대공이 되어 룩셈부르크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2000년 퇴위 후 2019년 사망했다. - 보르보네파르마가 - 마리아 아말리아 폰 외스터라이히 (1746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난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가의 대공녀 마리아 아말리아 폰 외스터라이히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란츠 1세와 여제 마리아 테레지아의 딸로, 파르마 공작 페르디난트 1세와 결혼하여 파르마 공국의 공작부인이 되었으며, 정략결혼으로 어머니와 불화하고 방탕한 생활을 했지만 파르마의 실질적인 통치자로서 공국의 독립을 옹호하고 문화와 예술을 지원했다. - 스페인의 왕자 - 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페르디난트 1세는 1556년부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1526년부터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왕, 1521년부터 오스트리아 대공을 지냈으며 합스부르크 왕가의 오스트리아 분가를 창시하고 헝가리와 보헤미아 왕위를 계승하여 합스부르크 제국의 기틀을 마련, 종교 갈등을 조정하여 아우크스부르크 화의를 이끌어냈고 중앙집권화와 가톨릭 부흥을 추진했다. - 스페인의 왕자 - 카를로스 2세 (스페인)
카를로스 2세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근친혼으로 인한 건강 문제와 후계자 부재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을 야기하고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가의 종말을 가져온 스페인 국왕이다.
파르마 공작 로베르토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작위 | 파르마 공작 |
재위 기간 | 1854년 3월 27일 – 1859년 6월 9일 |
이전 통치자 | 카를로 3세 |
섭정 | 루이즈 마리 테레즈 다르투아 |
가문 | 부르봉파르마 가문 |
아버지 | 카를로 3세 디 파르마 |
어머니 | 루이즈 마리 테레즈 다르투아 |
출생지 | 피렌체, 토스카나 대공국 |
출생일 | 1848년 7월 9일 |
사망지 | 비아레조, 이탈리아 왕국 |
사망일 | 1907년 11월 16일 |
결혼과 자녀 | |
배우자 | 마리아 피아 디 보르보네-두에 시칠리에 (1869년 4월 5일 결혼, 1882년 9월 29일 사망) 마리아 안토니아 드 포르투갈 (1884년 10월 15일 결혼) |
자녀 | 마리 루이제, 불가리아 공비 엔리코, 파르마 공작 주세페, 파르마 공작 엘리아, 파르마 공작 시스토 공 사베리오, 파르마 공작 치타, 오스트리아 황후 펠리체, 룩셈부르크 공 배우자 레나토 공 가에타노 공 |
파르마 공위 주장 | |
기간 | 1859년 6월 9일 – 1907년 11월 16일 |
후임 | 엔리코 |
2. 생애
토스카나 대공국의 피렌체에서 태어난 로베르토 1세는 1854년 아버지 파르마 공작 카를로 3세가 암살되자 6세의 나이로 파르마 공작위를 계승했다. 어머니 아르투아의 루이즈 마리 테레즈가 섭정을 맡아 통치했으나, 이탈리아 통일 운동의 물결 속에서 1860년 파르마 공국이 주민 투표를 통해 사르데냐 왕국으로 병합되면서 12세의 나이에 군주 지위를 잃었다. 사르데냐 왕국은 이듬해인 1861년 이탈리아 왕국으로 발전했다.
2. 1. 초기 생애
토스카나 대공국의 피렌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파르마 공작 카를로 3세, 어머니는 아르투아의 루이즈 마리 테레즈로, 프랑스 베리 공작 샤를 페르디낭의 딸이자 샤를 10세 국왕의 손녀였다.1854년 아버지가 암살당하자 6세의 나이로 공작위를 계승했고, 어머니 루이즈 마리가 섭정을 맡았다. 섭정 초기, 루이즈 마리는 대중의 지지를 얻지 못했던 남편의 반동적인 정책 일부를 되돌리려 했으나, 1854년 7월 마치니파의 봉기가 일어나자 다시 강경한 탄압 정책으로 돌아섰다. 이러한 정책은 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발발 시점까지 이어졌다.
로베르토가 11세가 되던 해인 1859년, 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중 사르데냐 왕국(피에몬테) 군대가 파르마를 포함한 여러 이탈리아 국가들을 점령하기 시작했다. 1860년 파르마 공국에서는 주민 투표를 통해 사르데냐 왕국으로의 병합이 결정되었고, 로베르토는 군주의 지위를 잃게 되었다. 사르데냐 왕국은 이듬해인 1861년 이탈리아 왕국으로 발전했다.
왕위를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로베르토와 그의 가족은 상당한 부를 유지했다. 그들은 빈 근처의 슈바르차우암슈타인펠트 성, 이탈리아 북서부의 빌라 피아노레, 프랑스의 샹보르 성 등 여러 저택을 소유했으며, 12량 이상의 개인 열차를 이용해 이들 사이를 오갔다.
2. 2. 통치 기간과 폐위
토스카나 대공국의 피렌체에서 파르마 공작 카를로 3세와 프랑스 왕족인 아르투아의 루이즈 마리 테레즈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베리 공작 샤를 페르디낭의 딸이자 프랑스 국왕 샤를 10세의 손녀였다.1854년, 아버지 카를로 3세가 암살되자 로베르토는 불과 6세의 나이로 파르마 공작위를 계승했다.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어머니 루이즈 마리 테레즈가 섭정을 맡았다. 섭정 초기, 공작 부인은 백성들에게 인기 없었던 남편의 반동적인 정책을 일부 되돌리려 했으나, 1854년 7월 주세페 마치니가 이끄는 봉기가 일어나자 다시 강경한 탄압 정책으로 돌아섰다. 이러한 억압적인 통치는 이탈리아 통일 운동의 중요한 계기 중 하나인 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시기까지 계속되었다.
1860년, 로베르토가 11세(또는 12세)가 되던 해에 사르데냐 왕국이 주도하는 이탈리아 통일 운동 과정에서 파르마 공국은 주민 투표를 통해 사르데냐 왕국으로의 병합을 결정했다. 이로 인해 로베르토는 공작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사르데냐 왕국은 이듬해인 1861년에 이탈리아 왕국으로 발전했다.
왕위를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로베르토와 그의 가족은 막대한 재산을 그대로 유지했다. 그들은 오스트리아 빈 근처의 슈바르차우암슈타인펠트 성, 이탈리아 북서부의 빌라 피아노레, 프랑스의 샹보르 성 등 여러 저택을 소유했으며, 12량이 넘는 개인 열차를 타고 이들 사이를 여행할 정도로 부유한 생활을 이어갔다.
2. 3. 망명 생활
피렌체에서 태어난 로베르토 1세는 1854년 아버지 파르마 공작 카를로 3세가 암살되자 6세의 어린 나이에 공작위를 계승했다.[1][2] 어머니 아르투아의 루이즈 마리 테레즈가 섭정을 맡았다. 그녀는 베리 공작 샤를 페르디낭의 딸이자 프랑스 국왕 샤를 10세의 손녀였다.[1]섭정을 시작한 공작 부인은 처음에는 대중에게 인기가 없었던 남편의 반동적인 정책을 일부 완화하려 했으나, 1854년 7월 주세페 마치니가 주도한 봉기가 일어나자 다시 강경한 탄압 정책으로 돌아섰다. 이러한 정책은 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발발 전까지 이어졌다.[1]
로베르토 1세가 11세(또는 12세[2]) 되던 해인 1860년, 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의 여파 속에서 피에몬테-사르데냐 왕국이 이탈리아의 여러 국가를 병합하여 이탈리아 왕국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파르마 공국도 주민 투표를 통해 사르데냐 왕국으로의 병합이 결정되었다.[1][2] 이로써 로베르토 1세는 군주 지위를 잃고 폐위되었다. 사르데냐 왕국은 이듬해인 1861년 이탈리아 왕국이 되었다.[2]
비록 왕위는 잃었지만, 로베르토 1세와 그의 가족은 상당한 재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들은 12량이 넘는 개인 열차를 이용하여 빈 근처의 슈바르차우암슈타인펠트 성, 이탈리아 북서부의 빌라 피아노레, 프랑스의 웅장한 샹보르 성 등 여러 곳을 오가며 생활했다.[1]
2. 4. 사망
1907년 11월 로베르토 1세가 사망한 후 4개월도 채 되지 않아, 그의 미망인 마리아 안토니아의 요청에 따라 오스트리아 궁정 대원수는 첫 번째 결혼에서 얻은 자녀 6명에게 법적으로 무능력 선고를 했다. 이들은 심각한 지적 장애를 앓고 있었다. 로베르토의 주요 상속자는 첫 번째 결혼에서 얻은 아들 중 유일하게 자녀를 둔 막내아들 엘리아스였다. 엘리아스는 법적으로 무능력 선고를 받은 여섯 형제자매의 법적 보호자 역할도 맡았다. 엘리아스는 8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그중 알리시아만이 결혼하여 3명의 자녀를 두었다.한편, 로베르토의 두 번째 결혼에서 얻은 아들들인 식스테와 자비에는 이복형 엘리아스를 상대로 공작 영지의 더 많은 지분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그러나 프랑스 법원에서 패소하여 두 번째 결혼의 자녀들은 적은 재산만을 상속받아 생계를 유지해야 했다. 그의 아들 중 일부는 오스트리아 군대에서 복무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번째 결혼의 자녀 중 두 명은 주목할 만한 결혼을 했다. 아들 펠릭스는 샤를로트 대공비가 즉위한 직후 결혼하여 현 앙리 대공의 할아버지가 되었다. 딸 지타는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마지막 황제 카를 1세와 결혼했으며, 현재 합스부르크 가문의 수장인 카를 폰 합스부르크는 그녀의 손자이다.[1]
3. 결혼과 자녀
로베르토 1세는 평생 두 번 결혼하여 총 24명의 자녀를 얻었다.
첫 번째 부인은 1869년 결혼한 양시칠리아의 마리아 피아 공주(1849–1882)로, 12명의 자녀를 두었다.[1][10] 첫 부인 사후 1884년 포르투갈 인판타 마리아 안토니아(1862-1959)와 재혼하여 12명의 자녀를 더 얻었다.[11]
두 번의 결혼을 통해 얻은 총 24명의 자녀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첫 번째 결혼
1869년 4월 5일, 로마에서 망명 생활을 하던 중 양시칠리아의 마리아 피아 공주(1849년–1882년)와 결혼했다.[1] 마리아 피아는 양시칠리아의 페르디난도 2세 국왕의 딸이었으며, 로베르토 1세와는 사촌 관계였다. 마리아 피아의 아버지 페르디난도 2세와 로베르토 1세의 외할머니 양시칠리아의 카롤린 페르디난데 공주는 양시칠리아의 프란체스코 1세의 자녀로서 이복 남매였다.마리아 피아는 양시칠리아 왕국의 폐위된 왕족 출신이었고, 남편 로베르토처럼 부르봉 왕가 사람이었다. 가까운 혈연 관계 때문인지, 그녀가 낳은 12명의 자녀 중 상당수가 지적 장애를 앓거나 요절했다.[10] 그럼에도 로베르토는 건강한 아이들과 장애를 가진 아이들을 차별 없이 대했다고 전해진다.[10] 마리아 피아는 1882년 마지막 아이를 사산한 후 사망했다.
로베르토 1세와 마리아 피아 사이의 자녀는 다음과 같다.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
![]() | 마리아 루이사 | 1870년 1월 17일 | 1899년 1월 31일 | 불가리아의 페르디난트 1세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음. 보리스 3세의 어머니. |
페르디난도 공자 | 1871년 3월 5일 | 1871년 4월 14일 | 유아기에 사망. | |
루이사 마리아 공주 | 1872년 3월 24일 | 1943년 6월 22일 | 미혼. 지적 장애. | |
![]() | 엔리코 | 1873년 6월 13일 | 1939년 11월 16일 | 명목상의 파르마 공작 (1907년–1939년). 지적 장애로 동생 엘리아스가 섭정. |
마리아 임마콜라타 공주 | 1874년 7월 21일 | 1914년 5월 16일 | 미혼. 지적 장애. | |
![]() | 주세페 | 1875년 6월 30일 | 1950년 1월 7일 | 명목상의 파르마 공작 (1939년–1950년). 지적 장애로 동생 엘리아스가 섭정. |
마리아 테레사 공주 | 1876년 10월 15일 | 1959년 1월 25일 | 미혼. 지적 장애. | |
마리아 피아 공주 | 1877년 10월 9일 | 1915년 1월 29일 | 미혼. 지적 장애. | |
![]() | 베아트리체 공주 | 1879년 1월 9일 | 1946년 3월 11일 | 피에트로 루케시-팔리 백작과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음. |
![]() | 엘리아스 | 1880년 7월 23일 | 1959년 6월 27일 | 명목상의 파르마 공작 (1950년–1959년).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안나 대공녀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음. 형제자매들의 후견인 역할 수행. |
마리아 아나스타샤 공주 | 1881년 8월 25일 | 1881년 9월 7일 | 유아기에 사망. | |
아우구스토 공자 | 1882년 9월 22일 | 1882년 9월 22일 | 사산. 어머니 마리아 피아가 출산 중 사망. |
3. 2. 두 번째 결혼
첫 번째 부인 마리아 피아가 1882년 마지막 아이를 낳다가 사망한 후, 로베르토 1세는 1884년 10월 15일 포르투갈 인판타 마리아 안토니아(1862-1959)와 재혼했다. 마리아 안토니아는 폐위된 포르투갈의 미겔 1세 국왕과 그의 아내 로이텐슈타인-베르트하임-로젠부르크의 아델라이드의 딸이었다. 마리아 안토니아는 로베르토 1세의 육촌뻘이었는데, 그녀의 외할머니(스페인의 샤를로테)와 로베르토 1세의 고조모(루카의 마리아 루이사 여공작)가 자매였기 때문이다. 두 자매는 모두 스페인의 카를로스 4세와 파르마의 마리아 루이사의 딸이었다.마리아 안토니아는 로베르토 1세와의 사이에서 12명의 자녀를 더 낳았다. 이 자녀들은 딸 헨리에타가 어린 시절 낙상 사고로 청각 장애와 언어 장애를 갖게 된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건강했다.[11]
로베르토 1세의 두 번째 결혼에서 태어난 자녀들은 다음과 같다.
이미지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마리아 델레 네베 아델라이데 공주 | 1885년 8월 5일 | 1959년 2월 6일 | 성 세실리아 수도원의 베네딕토회 수녀. | |
![]() | 시스토 공자 | 1886년 8월 1일 | 1934년 3월 14일 | 라 로슈푸코의 헤드비게 여공작과 결혼하여 딸 이사벨을 둠.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단독 강화 교섭 시도에 관여. |
![]() | 사베리오 공자 | 1889년 5월 25일 | 1977년 5월 7일 | 명목상 파르마 공작(1974–1977). 부르봉-뷔세의 마들렌 백작부인과 결혼하여 자녀를 둠. 칼리스트의 스페인 왕위 요구자. |
프란체스카 공주 | 1890년 4월 22일 | 1978년 10월 7일 | 성 세실리아 수도원의 베네딕토회 수녀. | |
![]() | 치타 공주 | 1892년 5월 9일 | 1989년 3월 14일 | 오스트리아의 카를 1세 황제와 결혼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마지막 황후가 됨. 로베르토 1세의 자녀 중 가장 마지막까지 생존. |
![]() | 펠릭스 공자 | 1893년 10월 28일 | 1970년 4월 8일 | 룩셈부르크의 샤를로트 여대공과 결혼하여 룩셈부르크 대공 부군이 됨. 현 앙리 대공의 할아버지. |
![]() | 레나토 공자 | 1894년 10월 17일 | 1962년 7월 30일 | 덴마크의 마르그레테 공주와 결혼하여 자녀를 둠. 딸 중 한 명은 루마니아의 안나 여왕. |
마리아 안토니아 공주 | 1895년 11월 7일 | 1977년 10월 19일 | 성 세실리아 수도원의 베네딕토회 수녀. | |
이사벨라 공주 | 1898년 6월 14일 | 1984년 7월 28일 | 미혼으로 사망. | |
![]() | 루이지 공자 | 1899년 12월 5일 | 1967년 12월 4일 | 사보이의 마리아 프란체스카 공주와 결혼하여 자녀를 둠. |
헨리에타 안나 공주 | 1903년 3월 8일 | 1987년 6월 13일 | 어린 시절 낙상 사고로 청각 및 언어 장애를 가짐. 미혼으로 사망. | |
가에타노 공자 | 1905년 6월 11일 | 1958년 3월 9일 | 투른 운트 탁시스의 마르가레테 공주와 결혼하여 딸 디아나를 두었으나 이혼. |
1907년 11월 로베르토 1세가 사망한 후, 그의 막대한 재산을 둘러싸고 자녀들 간의 분쟁이 발생했다. 특히 두 번째 부인 마리아 안토니아에게서 태어난 아들들인 시스토와 사베리오는 첫 번째 부인 소생의 이복형 엘리아스를 상대로 더 많은 재산 상속분을 요구하며 프랑스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그러나 소송에서 패소하여 두 번째 결혼에서 태어난 자녀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재산을 상속받게 되었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중 일부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군대에서 복무하거나 유럽의 다른 왕족 가문과 혼인 관계를 맺는 등 각자의 삶을 개척해 나갔다. 특히 치타 공주는 오스트리아 황후가 되었고, 펠릭스 공자는 룩셈부르크 대공 부군이 되었다.
4. 가계도
wikitext
4. 1. 부계 혈통
wikitext번호 | 이름 |
---|---|
1 | 파르마 공작 로베르토 1세 |
2 | 파르마 공작 카를로 3세 |
3 | 아르투아의 루이즈 |
4 | 파르마 공작 카를로 2세 |
5 | 사보이의 마리아 테레사 |
6 | 베리 공작 샤를 페르디낭 |
7 |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 |
8 | 에트루리아의 루이 1세 |
9 | 루카의 마리아 루이사 여공작 |
10 | 사르데냐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 |
11 | 오스트리아-에스테의 마리아 테레사 |
12 | 프랑스 국왕 샤를 10세 |
13 | 사보이의 마리아 테레사 |
14 | 양시칠리아의 프란체스코 1세 |
15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클레멘티나 |
16 | 파르마 공작 페르디난도 |
17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아말리아 |
18 |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4세 |
19 | 파르마의 마리아 루이사 |
20 | 사르데냐의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 |
21 | 스페인의 마리아 안토니아 페르난디나 |
22 | 브라이스가우 공작 페르디난트 카를 대공 |
23 | 마사 여공작 에스테의 마리아 베아트리체 |
24 | 프랑스 도팽 루이 |
25 | 작센의 마리아 요제파 |
26 | 사르데냐의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 (= 20) |
27 | 스페인의 마리아 안토니아 페르난디나 (= 21) |
28 | 양시칠리아의 페르디난도 1세 |
29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 |
30 | 신성 로마 황제 레오폴트 2세 |
31 | 스페인의 마리아 루이즈 |
참조
[1]
서적
A Compendium of World Sovereigns: Volume III Early Modern
https://www.google.c[...]
Taylor & Francis
2023-06-30
[2]
서적
The Descendants of Louis XIII
Clearfield Co., Inc.
[3]
서적
Maria Theresia, Elisabeth, Zita; Jugendjahre großer Kaiserinnen
Ueberreuter
[4]
서적
Almanacco di corte: per l'anno ... 1852
https://books.google[...]
Tipografia Reale
[5]
서적
Guía Oficial de España
http://hemerotecadig[...]
2019-03-21
[6]
서적
Almanacco di corte
https://books.google[...]
[7]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 Bayern
1906
[8]
간행물
Großherzoglich Hessische Ordensliste
Staatsverlag
[9]
웹사이트
Ordre du St. Esprit
http://lorl.free.fr/[...]
2024-07-26
[10]
문서
グリセール=ペカール 1995
[11]
문서
グリセール=ペカール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