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스퇴르 비지뭉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스퇴르 비지뭉구는 1950년 르완다에서 태어났으며, 르완다 내전 시기에 르완다 애국 전선(RPF)에 가담하여 활동했다. 1994년 르완다 집단 학살 이후 RPF가 국가를 장악하면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실질적인 권한은 부통령인 폴 카가메에게 있었다. 2001년 민주 쇄신당(PDR)을 창당했으나, 정부에 의해 금지되고 체포되어 투옥되었으며, 2007년 사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르완다의 대통령 - 폴 카가메
    폴 카가메는 1957년 르완다에서 태어나 군사 경력을 시작하여 르완다 애국전선 최고 사령관, 부통령 겸 국방장관을 거쳐 2000년 대통령이 되었으며, 경제 성장을 이끌었지만 권위주의적 통치와 인권 탄압에 대한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르완다의 대통령 - 그레구아르 카이반다
    그레구아르 카이반다는 르완다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서 후투족 해방 운동을 주도하여 1962년 르완다 독립을 이끌고 초대 대통령이 되었으나, 권위주의 통치와 투치족 차별 정책으로 비판받으며 쿠데타로 실각 후 옥중에서 사망했다.
  • 르완다 집단학살 - 키베호의 성모
    키베호의 성모는 1980년대 르완다 키베호에서 발생한 성모 마리아 발현 현상으로, 불안정한 사회 속 평화를 위한 기도와 참회, 속죄를 강조하며 1994년 르완다 학살을 예고하는 듯한 종말론적 환상을 담고 있어, 로마 가톨릭 교회로부터 진정성을 인정받아 '슬픔의 성모 성지'로 조성되었다.
  • 르완다 집단학살 - 르완다 애국전선
    르완다 애국전선(RPF)은 투치족 출신 르완다 난민을 주축으로 1987년 설립된 정치·군사 조직으로, 르완다 내전과 대량학살을 거치며 르완다를 장악하여 현재까지 집권 세력으로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지만, 장기 집권과 관련하여 민주주의적 가치와 인권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 1950년 출생 - 이완구
    이완구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국회의원과 충청남도지사를 지냈으며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나 성완종 리스트 사건 연루 의혹으로 사퇴 후 혈액암으로 사망했다.
  • 1950년 출생 - 정세균
    정세균은 대한민국의 6선 국회의원, 산업자원부 장관, 민주당 대표, 국회의장, 그리고 국무총리를 역임한 정치인으로, '세균맨'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파스퇴르 비지뭉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98년의 비지뭉구
직위르완다의 대통령
임기 시작1994년 7월 19일
임기 종료2000년 3월 23일
선임자테오도르 신디쿠브와보
후임자폴 카가메
부통령폴 카가메
총리포스탱 트와기람웅구
피에르-셀레스탱 르위게마
베르나르 마쿠자
출생일1950년 4월
출생지기세니, 르완다-우룬디
정당개발국민혁명운동(1980년대-1990년)
르완다 애국 전선(1990년–2000년)
민주개혁당(2001년–)
배우자세라피나 비지뭉구
모교르완다 국립 대학교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2. 초기 생애 및 MRND와의 관계

1980년대1990년대에 파스퇴르 비지뭉구는 1994년까지 르완다를 통치한 개발 국민 혁명 운동(MRND)에서 일했다. 1990년 이전까지 비지뭉구는 후투족 대통령인 쥐베날 하브자리마나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18] 이 시기에 그는 국영 전기 회사인 일렉트로가즈의 국장을 포함한 여러 직책을 맡았다.[19]

1990년, 르완다 방위군 대령이었던 그의 형이 살해된 후, 비지뭉구는 르완다 애국전선(RPF)에 합류했다.[20] 당시 RPF는 우간다에서 르완다로 침입하여 르완다 내전을 막 시작한 참이었다.[19] 비지뭉구는 벨기에에서 망명 생활을 하며 RPF 정보 책임자 역할을 했다.[21] 1993년에는 아루샤 협정 협상에 기여했다.[19]

2. 1. 초기 생애

1950년에 르완다 기세니 현에서 태어났다.[13] 정치학자 필리프 레이텐스에 따르면, 비지뭉구는 1970년대에 학생으로서 급진적인 반투치족 그룹과 관련을 맺었으나,[10] 이후 후투계 정권에 대항하는 르완다 애국 전선(RPF)에 가담했다.[10] 그의 부인 세라피나는 투치족 출신이다.[13]

2. 2. MRND와의 관계

1980년대1990년대에 파스퇴르 비지뭉구는 1994년까지 르완다를 통치한 개발 국민 혁명 운동(MRND) 정부에서 일했다. 1990년 이전까지 비지뭉구는 후투족 대통령인 주베날 하비아리마나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18] 이 시기에 그는 국영 전기 회사인 일렉트로가즈의 국장을 포함한 여러 직책을 맡았다.[19]

2. 3. RPF 합류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비지뭉구는 1994년까지 르완다를 통치한 MRND 정부에서 일했다. 1990년 이전까지 비지뭉구는 후투족 대통령인 쥐베날 하브자리마나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18] 이 시기에 그는 국영 전기 회사인 일렉트로가즈의 국장을 포함한 여러 직책을 맡았다.[19]

1990년에 그는 르완다 방위군의 대령이었던 그의 형이 살해된 후에 르완다 애국전선(RPF)에 합류했다.[20] 그 때, RPF는 르완다 내전을 시작하면서 우간다로부터 르완다에 대한 침략을 막 시작하고 있었다.[19] 비지뭉구는 벨기에에서 망명 생활을 했고, 당의 정보 책임자 역할을 했다.[21] 1993년에 그는 아루샤 협정 협상에 기여했다.[19]

1994년 4월 6일 비행기 사고로 하브자리마나가 사망하자 민족 극단주의자들은 르완다 집단학살을 촉발시켰다.

2. 4. 르완다 집단 학살

1994년 4월 6일 쥐베날 하브자리마나 대통령이 탄 비행기가 격추되어 사망하자, 후투족 극단주의자들은 르완다 집단학살을 일으켰다.[21]

3. 대통령직

1994년 7월, 르완다 애국전선(RPF)이 르완다를 장악하고 국민 통합 정부를 수립하면서 폴 카가메가 부통령에, 비지뭉구가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비지뭉구 재임 기간 동안, 많은 사람들은 그가 명목상의 대통령일 뿐이고, 실권은 카가메에게 있다고 믿었다.[2] 비지뭉구는 카가메와 반대 의견을 억압하는 문제로 갈등을 겪었다.[5] 비평가들은 비지뭉구가 부패한 장관들을 감싸고, 자신의 건물 부지에서 쫓겨난 주민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하지 않았으며, 콩고 민주 공화국에 트럭 두 대를 등록해 세금을 회피했다는 등 부패 혐의를 제기했다.[2]

2000년 3월, 비지뭉구는 내각 구성 분쟁으로 사임했고, 카가메가 대통령이 되었다.[7] 비지뭉구 사임 몇 주 전, 그의 고문 아시엘 카베라가 군복 차림의 남성들에게 살해당했는데, 카가메의 명령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

3. 1. 국민 통합 정부 수립

1994년 7월, 르완다 애국전선(RPF)은 국가를 장악하고 국민 통합 정부를 수립했다. 실질적인 RPF 지도자인 폴 카가메가 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비지뭉구가 대통령이 되었다.

비지뭉구의 행정 기간 동안, 많은 사람들은 그가 단지 명목상의 인물에 불과하다고 믿었고, 카가메가 실권을 쥐고 있었다.[20] 비지뭉구는 곧 카가메와 갈등을 겪었는데, 이는 비지뭉구가 주장했던 반대 의견에 대한 정당하지 않은 억압 때문이었다.[19] 비평가들은 비지뭉구를 부패 혐의로 비난하며, 그가 부패한 장관들을 문책하려는 의회의 시도를 막았고, 그의 건물 부지 중 하나에서 쫓겨난 주민들에게 보상금 지불을 거부했으며, 콩고 민주 공화국에 그의 트럭 두 대를 등록함으로써 르완다 세금을 회피했다고 주장했다.[20]

2000년 3월 내각 구성에 관한 분쟁으로 사임하였고, 카가메는 대통령이 되었다.[21]

비지뭉구가 사임하기 몇 주 전, 그의 고문인 아시엘 카베라는 군복을 입은 남성들에 의해 자택 밖에서 살해당했다. 대량학살 생존자인 카베라가 폴 카가메의 명령에 의해 살해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2]

3. 2. 카가메와의 갈등 및 사임

1994년 7월, 르완다 애국전선(RPF)은 국가를 장악하고 국가 통합 정부를 수립했다. 실질적인 RPF 지도자인 폴 카가메가 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비지뭉구가 대통령이 되었다.

비지뭉구의 행정 기간 동안, 많은 사람들은 그가 단지 명목상의 인물에 불과하다고 믿었고, 카가메가 실권을 쥐고 있었다.[20] 비지뭉구는 곧 반대 의견에 대한 정당하지 않은 억압에 대해 카가메와 갈등을 겪었다.[19] 비평가들은 부패한 장관들을 문책하려는 의회의 시도를 막았고, 그의 건물 부지 중 하나에서 쫓겨난 주민들에게 보상금을 지불하기를 거부했으며, 콩고 민주 공화국에 그의 트럭 두 대를 등록함으로써 르완다 세금을 회피했다고 주장하면서, 비지뭉구를 부패로 비난했다.[20]

2000년 3월 내각 구성에 관한 분쟁으로 사임하였고, 카가메는 대통령이 되었다.[21]

비지뭉구가 사임하기 몇 주 전, 그의 고문인 아시엘 카베라는 군복을 입은 남성들에 의해 자택 밖에서 살해당했다. 대량학살 생존자인 카베라가 폴 카가메의 명령에 의해 살해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2]

3. 3. 아시엘 카베라 암살 사건

비지뭉구의 사임 몇 주 전, 그의 고문이었던 아시엘 카베라가 군복을 입은 남성들에 의해 자택 밖에서 살해당했다. 대량학살 생존자인 카베라가 폴 카가메의 명령에 의해 살해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2]

4. 민주 쇄신당(PDR) 창당 및 투옥

비지뭉구는 2001년 민주 쇄신당(PDR)을 창당했으나, 급진적인 후투족 정당이라는 비난을 받으며 곧바로 활동이 금지되었다. 국제앰네스티는 비지뭉구를 양심수로 지정했다.[4]

2002년 4월 19일, 비지뭉구는 당 활동을 계속한 혐의로 가택 연금되었고, 국가 안보 위협 혐의로 기소되었다. 2004년 6월 7일, 민병대 조직, 폭력 선동, 횡령 혐의로 15년 형을 선고받았다. 각 혐의마다 5년 형이 선고되었고, 형은 순차적으로 집행되었다.[5]

2006년 2월 17일, 비지뭉구의 항소는 대법원에서 기각되었다.[6] 그는 2007년 4월 6일 폴 카가메 대통령의 사면으로 석방되었는데, 카가메는 사면 이유를 밝히지 않았다.[7] PDR 공동 창립자인 샤를르 나타키루틴카는 2011년 4월까지 수감되어 있다가 2012년 3월 1일에 석방되었다.[8][9]

4. 1. 민주 쇄신당 창당

2001년 5월, 비지뭉구는 민주 쇄신당(PDR)을 창당했는데, 이는 킨야르완다어로 우부얀자(Ubuyanja)로 알려져 있다. 이 당은 급진적인 후투족 정당이라는 정부의 비난을 받으며 거의 즉시 금지되었다. 비지뭉구는 체포되었고, 국제앰네스티는 그를 양심수로 지명했다.[4]

4. 2. 체포 및 투옥

2001년 5월, 비지뭉구는 킨야르완다어로 우부얀자(Ubuyanja)로 알려진 민주 쇄신당(PDR)을 창당했다. 그러나 이 당은 급진적인 후투족 정당이라는 정부의 비난을 받으며 거의 즉시 금지되었다. 비지뭉구는 체포되었고, 국제앰네스티는 그를 양심수로 지명했다.[4]

2002년 4월 19일, 그는 당의 활동을 계속한 혐의로 가택 연금에 처해졌으며 국가를 위협한 혐의로 기소되었다. 2004년 6월 7일에는 민병대 결성 시도, 폭력 선동, 횡령 혐의로 15년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이 모든 유죄 판결에 대해 각각 5년의 형을 받았으며, 이는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5]

2006년 2월 17일, 비지뭉구가 처음 기소된 혐의와 다른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는 사실에 근거한 그의 항소는 대법원에서 기각되었다.[6]

그는 2007년 4월 6일 폴 카가메 대통령에 의해 사면되어 석방되었다. 카가메는 사면에 대한 어떠한 설명도 하지 않았다.[7] 2011년 4월 현재, PDR 공동 창립자이자 나중에는 공동 피고인인 샤를르 나타키루틴카는 여전히 수감되어 있었으며, 국제앰네스티의 "우선 사례"로 지명되었다.[8] 그러나 그는 10년형을 모두 채운 후 2012년 3월 1일에 석방되었다.[9]

4. 3. 항소 및 사면

2006년 2월 17일, 비지뭉구가 처음 기소된 혐의와 다른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그의 항소는 대법원에서 기각되었다.[6]

2007년 4월 6일, 폴 카가메는 비지뭉구를 사면하여 석방하였다. 카가메는 사면에 대한 어떠한 설명도 덧붙이지 않았다.[7] 2011년 4월 당시, 민주 쇄신당 공동 창립자이자 이후 공동 피고인이 된 샤를르 나타키루틴카는 여전히 수감 중이었으며, 국제 사면 위원회는 그를 "우선 사례"로 지명하였다.[8] 그러나 나타키루틴카는 10년형을 모두 채운 후 2012년 3월 1일에 석방되었다.[9]

5. 가족

비지뭉구의 부인은 세라핀 우타물리자이다. 그는 아들 1명, 딸 2명, 알렉산더 타바라, 니콜 타마라, 그리고 카린 큐주조를 두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Three Victors Who Will Lead Rwanda https://www.nytimes.[...] 1994-07-20
[2] 웹사이트 Analysis: Why Bizimungu mattered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3-23
[3] 서적 Do Not Disturb: The Story of a Political Murder and an African Regime Gone Bad PublicAffairs 2021
[4] 웹사이트 Rwanda: Number of prisoners of conscience on the rise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02-06-07
[5] 웹사이트 From president to prison http://news.bbc.co.u[...] BBC News 2004-06-07
[6] 웹사이트 Rwanda's ex-leader loses appeal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2-17
[7] 웹사이트 Rwanda's ex-president freed from prison http://uk.reuters.co[...] 2007-04-06
[8] 웹사이트 Charles Ntakirutinka, prisoner of conscience http://www.amnestyus[...] Amnesty International
[9] 웹사이트 Rwanda: Prisoner of Conscience Released After Decade in Detention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12-03-01
[10] 웹사이트 The Three Victors Who Will Lead Rwanda https://www.nytimes.[...] 1994-07-20
[11] 웹사이트 Analysis: Why Bizimungu mattered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3-23
[12] 웹사이트 Rwanda: Number of prisoners of conscience on the rise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02-06-07
[13] 웹사이트 From president to prison http://news.bbc.co.u[...] BBC News 2004-06-07
[14] 웹사이트 Rwanda's ex-leader loses appeal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2-17
[15] 웹사이트 Rwanda's ex-president freed from prison http://uk.reuters.co[...] Reuters 2007-04-06
[16] 웹사이트 Charles Ntakirutinka, prisoner of conscience http://www.amnestyus[...] Amnesty International
[17] 웹사이트 Rwanda: Prisoner of conscience released after decade in detention https://www.amnesty.[...] アムネスティ・インターナショナル 2012-03-01
[18] 웹인용 The Three Victors Who Will Lead Rwanda https://www.nytimes.[...] 1994-07-20
[19] 웹인용 From president to prison http://news.bbc.co.u[...] BBC News 2004-06-07
[20] 웹인용 Analysis: Why Bizimungu mattered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3-23
[21] 웹인용 Rwanda's ex-president freed from prison http://uk.reuters.co[...] 2007-04-06
[22] 서적 Do Not Disturb: The Story of a Political Murder and an African Regime Gone Bad https://archive.org/[...] PublicAffairs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