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라와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라와어는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공동체를 위해 재구성된 언어이다. 19세기 초 태즈메이니아의 영국 식민지화와 검은 전쟁으로 인해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언어가 소멸된 후, 20세기 말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센터가 기록 부족에도 불구하고 여러 태즈메이니아 언어를 조합하여 팔라와어를 만들었다. 1990년대에 언어 프로그램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지역 사회 단체에서 교육되고 있다. 팔라와어는 2013년 태즈메이니아 주 정부의 원주민 및 이중 명명 정책을 통해 공식적으로 인정받았으며, 여러 지명과 문화 콘텐츠에 활용된다. 팔라와어의 음운론과 문법은 영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고유한 문법적 특징과 어휘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즈메이니아주 -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태즈메이니아 원주민은 빙하기 시대에 오스트레일리아 본토에서 이주하여 고립 후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으나, 유럽인과의 접촉으로 인구 감소와 문화적 훼손을 겪었으며, 현재는 전통 문화 복원과 정체성 확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언어 되살리기 - 현대 히브리어
현대 히브리어는 히브리어의 현대적인 형태로, 닿소리는 여러 음운으로 분류되고, 홀소리는 전설, 중설, 후설 모음으로 분류되며, 외래어에서만 나타나는 음운과 다양한 발음 변화를 보인다. - 언어 되살리기 - 고대 프로이센어
고대 프로이센어는 서부 발트어에 속하는 인도유럽어의 일종으로, 18세기 초에 사멸되었으나 언어학자들의 부활 운동을 통해 웹사이트, 온라인 사전 등이 제작되었으며, 1545년, 1545년, 1561년에 출판된 세 권의 교리문답서가 주요 문헌으로 남아있다.
팔라와어 | |
---|---|
개요 | |
![]() | |
유형 | 인공어 |
창시자 |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센터 |
창작 시기 | 1992년 |
사용 민족 |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
사용 지역 | 태즈메이니아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
계통 | 인공어 지역 보조어 사후 언어 |
기반 언어 | 초기 유럽인들이 기록한 8~16개의 태즈메이니아 언어의 구전 전통 및 단편 |
문자 체계 | |
문자 | 로마자 |
언어 코드 | |
ISO 639-3 | 없음 (인공어) |
Glottolog | pala1356 |
AIATSIS | T16 |
IETF | art-x-palawa (비공식) |
사용 현황 | |
화자 수 | 약 400명 |
2. 배경
태즈메이니아어는 영국의 태즈메이니아 식민지화와 검은 전쟁 이후 쇠퇴하여, 마지막 모어 화자인 패니 코크란 스미스가 1905년에 사망했다.[14]
1972년, 로버트 M. W. 딕슨과 테리 크롤리는 호주 원주민 및 토레스 해협 제도 연구소의 자금 지원을 받아 태즈메이니아어 재구성 연구를 진행했으나, 자료 부족으로 중단되었다.[15]
20세기 말,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센터는 태즈메이니아 문화를 되살리려는 지역 사회의 노력으로, 원주민 공동체를 위해 언어 재구성을 시도했다. 팔라와 카니는 기록 부족으로 인해 추정되는 12개의 원래 태즈메이니아 언어 중 여러 언어를 조합하여 구성되었다.
2. 1.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언어의 소멸
태즈메이니아어는 영국의 태즈메이니아 식민지화와 검은 전쟁 이후 쇠퇴했다. 마지막 모어 화자인 패니 코크란 스미스는 1905년에 사망했다.[14]1972년, 로버트 M. W. 딕슨과 테리 크롤리는 호주 원주민 및 토레스 해협 제도 연구소의 자금 지원을 받아 기존 기록을 바탕으로 태즈메이니아어를 재구성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이들은 패니 코크란 스미스의 두 손녀를 인터뷰했는데, 그녀들은 "다섯 단어, 한 문장, 짧은 노래"를 기억하고 있었다. 딕슨과 크롤리는 "문법에 대한 데이터는 거의 없고, 연속된 텍스트도 없다"는 것을 발견했고, "태즈메이니아 언어에 대해 언어학적으로 흥미로운 점을 거의 말할 수 없다"고 언급하며 연구를 더 진행하지 않았다.[15]
20세기 말, 원래의 태즈메이니아 문화를 최대한 되살리려는 지역 사회의 노력의 일환으로,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센터는 원주민 공동체를 위해 언어를 재구성하려 시도했다. 기록이 부족했기 때문에 팔라와 카니는 추정되는 12개의 원래 태즈메이니아 언어 중 여러 언어를 조합하여 구성되었다.
2. 2. 언어 재건 노력
1972년, 로버트 M. W. 딕슨과 테리 크롤리는 호주 원주민 및 토레스 해협 제도 연구소의 자금 지원을 받아 기존 기록을 바탕으로 태즈메이니아어를 재구성하는 연구를 진행했다.[15] 이들은 패니 코크란 스미스의 두 손녀를 인터뷰했는데, 그녀들은 다섯 단어, 한 문장, 짧은 노래를 제공했다.[15] 연구진은 문법에 대한 데이터는 거의 없고, 연속된 텍스트도 없다는 것을 발견했고, 태즈메이니아 언어에 대해 언어학적으로 흥미로운 점을 거의 말할 수 없다고 언급하며 연구를 더 진행하지 않았다.[15]20세기 말, 원래의 태즈메이니아 문화를 최대한 되살리려는 지역 사회의 노력의 일환으로,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센터는 원주민 공동체를 위해 언어를 재구성하려 시도했다. 기록이 부족했기 때문에 팔라와 카니는 추정되는 12개의 원래 태즈메이니아 언어 중 여러 언어를 조합하여 구성되었다.
3. 언어 현황
팔라와어는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센터의 언어 프로그램에 의해 1990년대에 개발되었다.[6] 센터는 원주민 공동체가 언어에 익숙해지고 능숙해질 때까지 언어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고자 한다.[7] 이 언어는 주립 학교가 아닌 지역 사회 단체에서만 가르치고 있으며, 비원주민이 사용하려면 센터에 공식 신청을 해야 한다.[12] 센터는 팔라와어를 "구성된 언어"로 분류하는 것을 거부한다.[7]
팔라와어는 태즈메이니아 보호 구역의 여러 표지판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kunanyi''는 마운트 웰링턴의 공식 명칭으로 지정되었고,[20][21] 애스베스토스 레인지 국립 공원은 나라운타푸 국립 공원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2]
3. 1. 교육 및 사용
팔라와어는 1990년대에 테레사 세인티, 제니 롱기, 준 스컬소프를 포함한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센터의 언어 프로그램에 의해 개발되었다.[6] 센터는 원주민 공동체가 언어에 익숙해지고 능숙해질 때까지 언어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고자 한다.[7]이 언어는 주립 학교가 아닌 지역 사회 단체에서만 가르치고 있다. 이 언어가 구성된 이후,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어느 정도, 심지어 유창하게 이 언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16] 그러나 센터는 이 언어를 사용하려는 비원주민에게 먼저 센터에 공식적인 신청을 할 것을 요청한다.[12] 센터는 팔라와어에 대한 "구성된 언어"라는 분류를 거부한다. 2012년, 센터는 저작권 침해를 이유로 이 언어에 대한 위키백과 문서를 삭제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거부당했다.[7][17]
2017년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시리즈 ''리틀 J & 빅 커즈''는 NITV 네트워크에서 방송된 팔라와어로만 구성된 에피소드를 선보인 최초의 텔레비전 쇼였다.[18] 2018년, ''나이팅게일''은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지도자들의 자문을 받아 팔라와어를 사용한 최초의 주요 영화가 되었다.[19] 팔라와어는 또한 태즈메이니아 보호 구역의 여러 표지판에 사용되며, 예를 들어 ''kunanyi''는 마운트 웰링턴의 공식 명칭으로 지정되었고,[20][21] 이전에는 애스베스토스 레인지 국립 공원으로 알려졌던 곳은 현재 나라운타푸 국립 공원으로 알려져 있다.[22]
3. 2. 공식 사용
팔라와어는 1990년대에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센터의 언어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되었다.[6] 이 언어는 주립 학교가 아닌 지역 사회 단체에서만 가르쳐지고 있다.[16]2017년 NITV에서 방송된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시리즈 ''리틀 J & 빅 커즈''의 에피소드에 팔라와어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팔라와어로만 구성된 최초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었다.[18] 2018년에는 영화 ''나이팅게일''에서 팔라와어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지도자들의 자문을 받아 제작된 최초의 주요 영화였다.[19]
팔라와어는 태즈메이니아 보호 구역의 여러 표지판에도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kunanyi''는 마운트 웰링턴의 공식 명칭 중 하나로 지정되었고,[20][21] 애스베스토스 레인지 국립 공원은 나라운타푸 국립 공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2]
2013년 태즈메이니아 주 정부의 원주민 및 이중 명명 정책을 통해 팔라와어는 공식적으로 합법화되었다. 이 정책은 원주민 이름과 도입된 이름을 함께 공식 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새로운 랜드마크를 원주민 유산에 따라 명명할 수 있도록 한다.[1] 카나말루카/태마 강과 쿠나니/마운트 웰링턴이 그 예이다.[23] 역사적으로 기록된 이름이 없는 경우에는 새로 만들어진 이름을 공식적으로 인정할 수 있다.[24]
4. 음운론
팔라와 카니의 음운 체계는 IPA로 표시되며, 철자가 IPA와 다를 경우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모음은 , , 이고 이중 모음은 /ei/ 와 /oi/ 이다. 자음군은 ''pr'', ''tr'', ''kr''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본토 언어와 마찬가지로 태즈메이니아 언어에는 치찰음이 없었으며, 이는 팔라와 카니에도 반영되어 있다.
팔라와 카니의 발음은 현재 영어를 사용하는 팔라와 커뮤니티에 보존된 단어를 반영할 수 있지만, 원래의 태즈메이니아 단어가 어떻게 발음되었는지는 반영하지 않는다. Taylor(2006)는 "프로젝트에 기여한 사람들은 유럽 기록자들이 사용한 철자에 대한 적절한 비교 분석을 수행하지 않고 호주 본토 언어의 음운론적 특징을 팔라와 음운론의 지침으로 비판 없이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26]
Taylor는 다음 세 가지 예를 제시하며 팔라와 카니 재구성에 참여한 사람들이 유럽 기록자들이 사용한 철자에 대한 분석 없이 오스트레일리아 본토 언어의 음운론적 특징을 그대로 받아들였다고 비판한다.
- 자음 + 'y' 표기에서 'y'는 Milligan이 'y'와 같은 소리()라고 진술했음에도 불구하고 모음 ''i'' 또는 ''ay''로 간주된다. 단어 종결 위치에서 'y'는 모음을 나타내지 않고 오히려 ''ty'' (), ''ny'', ''ly'' 등의 자음에 대한 이중 자음 문자를 형성한다.
- 'tr' 시퀀스는 영어 ''j'' () 또는 ''ch'' ()에 더 가까운 후치경 파찰음이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자음군으로 취급된다.
- 자음 앞이나 단어의 끝에 표기된 'r'은 장모음 또는 그러한 철자가 있는 현대 호주 영어 단어에서 발견되는 모음 품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태즈메이니아를 기록한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권설 방언의 영어를 사용했고, 다른 사람들은 덴마크어 또는 프랑스어를 사용했으며, 분명히 r's가 발음되어야 했다. 자음 앞에 표기된 'r'은 "rl" () 또는 "rn" ()과 같은 설첨 반전음에 대한 이중 자음 문자의 일부였을 가능성이 크다.
4. 1. 모음
팔라와 카니의 모음은 , , 이고 이중 모음은 /ei/ 와 /oi/ 이다.[26]
위 표에는 IPA가 나열되어 있고, 철자가 IPA와 다를 경우 이탤릭체로 표시되어 있다.
4. 2. 자음
다음 표에는 IPA가 나열되어 있고, 철자가 IPA와 다를 경우 이탤릭체로 표시된다.
자음군은 ''pr'', ''tr'', ''kr''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본토 언어와 마찬가지로 태즈메이니아 언어에는 치찰음이 없었으며, 이는 팔라와 카니에도 반영되어 있다.
팔라와 카니의 발음은 현재 영어를 사용하는 팔라와 커뮤니티에 보존된 단어를 반영할 수 있지만, 원래의 태즈메이니아 단어가 어떻게 발음되었는지는 반영하지 않는다. Taylor(2006)는 "프로젝트에 기여한 사람들은 유럽 기록자들이 사용한 철자에 대한 적절한 비교 분석을 수행하지 않고 호주 본토 언어의 음운론적 특징을 팔라와 음운론의 지침으로 비판 없이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26]
4. 3. 음운론적 특징
팔라와어의 음운은 IPA로 표시되며, 철자가 IPA와 다를 경우 이탤릭체로 표기된다.모음은 , , 이고 이중 모음은 /ei/ 와 /oi/ 이다.
자음군은 ''pr'', ''tr'', ''kr''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태즈메이니아 언어와 마찬가지로 치찰음이 없는데, 이는 팔라와 카니에도 반영되어 있다.
팔라와 카니의 발음은 현재 영어를 사용하는 팔라와 커뮤니티에 보존된 단어를 반영하지만, 원래 태즈메이니아 단어의 발음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Taylor(2006)는 팔라와 카니 재구성에 참여한 사람들이 유럽 기록자들이 사용한 철자에 대한 분석 없이 오스트레일리아 본토 언어의 음운론적 특징을 그대로 받아들였다고 비판하며 다음 세 가지 예를 제시한다.[26]
- 자음 + 'y' 표기에서 'y'는 소리임에도 불구하고 모음 ''i'' 또는 ''ay''로 간주된다. 단어 끝 위치에서 'y'는 모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ty'' (), ''ny'', ''ly'' 등의 자음에 대한 이중 문자이다.
- 'tr'은 후치경 파찰음(영어 ''j'' () 또는 ''ch'' ())으로 추정되지만 자음군으로 취급된다.
- 자음 앞이나 단어 끝에 표기된 'r'은 장모음 또는 현대 호주 영어 단어에서 발견되는 모음으로 간주되지만, 태즈메이니아어를 기록한 사람들은 권설 방언 영어를 사용했고, 일부는 덴마크어나 프랑스어를 사용했기에 'r'이 발음되었을 것이다. 자음 앞의 'r'은 "rl" () 또는 "rn" ()과 같은 설첨 반전음의 이중 문자였을 가능성이 크다.
5. 문자 체계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센터는 팔라와 카니를 소문자로만 표기하기로 결정했다.[27] 사람 이름과 "가족/조상 집단"에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쓸 수 있다.[28]
6. 문법
팔라와어의 명사는 수를 나타내지 않으며, 동사는 인칭이나 시제를 나타내지 않는다. 예를 들어 ''waranta takara milaythina nara takara''는 '우리는 그들이 걸었던 곳(장소)을 걷는다'라는 뜻이다.[2]
팔라와 카니 프로젝트 초기에는 원래 태즈메이니아 언어에 문법적 정보가 거의 남아있지 않다고 보았다. 그래서 팔라와 카니가 영어 문법에 크게 의존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이후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센터의 분석을 통해, 태즈메이니아 언어 단어 목록에서 영어와 다른 어순, 차용어, 새로운 개념을 표현하기 위한 단어의 변형, 접미사 등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법적, 어휘적 특징은 팔라와 카니에 반영되었다.[2]
원래의 태즈메이니아 언어에 대해 기록된 유일한 연속 텍스트는 1829년 조지 로빈슨이 브루니 섬에서 설교한 설교문이다. 그는 섬에 온 지 불과 8주밖에 되지 않았으며, 그의 "태즈메이니아어"는 실제로 문법이 제거된 태즈메이니아 단어를 단어 단위로 대체한 영어였으며, 이는 접촉 피진에서 발생하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 로빈슨은 팔라와 카니의 주요 1차 자료 중 하나이다.[29]
6. 1. 명사
팔라와어에서 명사는 수를 나타내지 않으며, 동사는 인칭이나 시제를 나타내지 않는다. 예를 들어, ''waranta takara milaythina nara takara''는 '우리는 그들이 걸었던 곳(장소)을 걷는다'라는 뜻이다.[2]팔라와 카니 프로젝트 초기에는 원래 태즈메이니아 언어에 문법적 정보가 거의 남아있지 않다고 보았다. 그래서 팔라와 카니가 영어 문법에 크게 의존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이후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센터의 분석을 통해, 태즈메이니아 언어 단어 목록에서 영어와 다른 어순, 차용어, 새로운 개념을 표현하기 위한 단어의 변형, 접미사 등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법적, 어휘적 특징은 팔라와 카니에 반영되었다.[2]
6. 2. 동사
팔라와어 동사는 인칭이나 시제를 나타내지 않는다. 예를 들어, ''waranta takara milaythina nara takara''는 '우리는 그들이 걸었던 곳(장소)을 걷는다'라는 뜻이다.[2]''팔라와 카니'' 프로젝트 초기에는 원래의 태즈메이니아 언어에서 문법적 정보가 거의 보존되지 않았다고 가정하여, ''팔라와 카니''가 영어의 문법적 특징에 크게 의존해야 할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후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센터의 분석을 통해 태즈메이니아 언어 단어 목록에 수집된 단어와 문장이 영어와 다른 어순, 차용어, 도입된 개념을 이야기하기 위한 단어의 적응, 접미사를 가지고 있다는 증거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문법적 및 어휘적 특징은 ''팔라와 카니''에 통합되었다.[2]
원래의 태즈메이니아 언어에 대해 기록된 유일한 연속 텍스트는 1829년 조지 로빈슨이 브루니 섬에서 설교한 설교문이다. 그는 섬에 온 지 불과 8주밖에 되지 않았으며, 그의 "태즈메이니아어"는 실제로 문법이 제거된 태즈메이니아 단어를 단어 단위로 대체한 영어였으며, 이는 접촉 피진에서 발생하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 로빈슨은 팔라와 카니의 주요 1차 자료 중 하나이다.[29]
6. 3. 대명사
팔라와어에는 두 종류의 대명사가 있다.[25]단수 | 복수 | |
---|---|---|
1인칭 | mina | waranta |
2인칭 | nina | nina-mapali |
3인칭 | nara | nara-mapali |
2인칭 및 3인칭 복수 대명사는 각 단수 대명사에 ''mapali''("많은"이라는 뜻)를 추가하여 형성된다. 원래 타스마니아어의 알려진 문서에는 2인칭 또는 3인칭 복수 대명사가 증명되지 않았다.
단수 | 복수 | |
---|---|---|
1인칭 | mana | mana |
2인칭 | nanya | |
3인칭 | nika |
''mapali'' ('많은'이라는 뜻)는 '내 것'인 ''mana''와 '우리, 너희의 것'인 ''mana-mapali''를 구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nika''는 '이것'을 의미하기도 하며, ''milaythina nika'' ('그들의 땅/이 땅')과 같이 사용된다.
6. 4. 어순
명사는 수를 나타내지 않으며, 동사는 인칭이나 시제를 나타내지 않는다. 예를 들어, ''waranta takara milaythina nara takara''는 '우리는 그들이 걸었던 곳(장소)을 걷는다'라는 뜻이다.''팔라와 카니''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는 원래의 태즈메이니아 언어에서 문법적 정보가 거의 보존되지 않았다고 가정하여, ''팔라와 카니''가 영어의 문법적 특징에 크게 의존해야 할 것으로 여겨졌다. 그 이후,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센터의 더 철저한 분석을 통해 태즈메이니아 언어 단어 목록에 수집된 단어와 문장이 영어와 다른 어순, 차용어, 도입된 개념을 이야기하기 위한 단어의 적응, 접미사를 가지고 있다는 증거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문법적 및 어휘적 특징은 ''팔라와 카니''에 통합되었다.[2]
원래의 태즈메이니아 언어에 대해 기록된 유일한 연속 텍스트는 1829년 조지 로빈슨이 브루니 섬에서 설교한 설교문이다. 그는 섬에 온 지 불과 8주밖에 되지 않았다. 그의 "태즈메이니아어"는 실제로 문법이 제거된 태즈메이니아 단어를 단어 단위로 대체한 영어였으며, 이는 접촉 피진에서 발생하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 로빈슨은 팔라와 카니의 주요 1차 자료 중 하나이다.[29]
6. 5. 기타 문법 특징
명사는 수를 나타내지 않으며, 동사는 인칭이나 시제를 나타내지 않는다. 예를 들어, ''waranta takara milaythina nara takara''는 '우리는 그들이 걸었던 곳(장소)을 걷는다'라는 뜻이다.[2]''팔라와 카니'' 프로젝트 초기에는 원래 태즈메이니아 언어에서 문법 정보가 거의 보존되지 않았다고 가정하여, ''팔라와 카니''가 영어 문법에 크게 의존해야 할 것으로 여겨졌다. 이후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센터의 분석을 통해, 태즈메이니아 언어 단어 목록에 수집된 단어와 문장이 영어와 다른 어순, 차용어, 도입된 개념을 표현하기 위한 단어의 적응, 접미사를 가지고 있다는 증거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문법 및 어휘 특징은 ''팔라와 카니''에 통합되었다.[2]
원래 태즈메이니아 언어에 대해 기록된 유일한 연속 텍스트는 1829년 조지 로빈슨이 브루니 섬에서 설교한 설교문이다. 로빈슨은 섬에 온 지 불과 8주밖에 되지 않았으며, 그의 "태즈메이니아어"는 문법이 제거된 태즈메이니아 단어를 단어 단위로 대체한 영어로, 접촉 피진과 매우 유사하다. 로빈슨은 팔라와 카니의 주요 1차 자료 중 하나이다.[29]
7. 어휘
팔라와 카니어의 어휘는 동사, 명사, 셈말(수사)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팔라와 카니어는 십진법을 따르며 불규칙형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25]
하위 섹션에서 동사, 명사, 땅이름, 셈말(수사)에 대한 자세한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7. 1. 동사
팔라와 카니어의 동사 목록은 다음과 같다.동사 | 뜻 |
---|---|
kipli | 먹다 |
krakapaka | 죽다 |
laykara | 달리다 |
liyini | 노래하다 |
makara | 멈추다 |
mulaka | 사냥하다 |
ningina | 얻다 |
takara | 걷다 |
tapilti | 가다 |
tunapri | 1. 이해하다, 알다 2. 기억하다 |
yangina | 수영하다 |
7. 2. 명사
다음은 팔라와 카니어의 명사 목록이다.- '''''kanaplila''''' : 춤
- '''''kani''''' : 언어
- '''''katin''''' : 수 (명사)
- '''''katina''''' : 해변
- '''''kitana''''' : 소녀
- '''''kunnikung''''' : 피그페이스
- '''''lakri''''' : 나무고사리
- '''''laymi''''' : 결코
- '''''luna''''' : 여자
- '''''lutana''''' : 달
- '''''luwana''''' : 소녀
- '''''luwutina''''' : 아이들
- '''''luyni''''' : 돌, 바위
- '''''mapali''''' : 매우, 많이
- '''''milaythina''''' : 땅
- '''''muka''''' : 바다
- '''''mukra''''' : 개
- '''''munawuka''''' : 닭
- '''''mungalina''''' : 비
- '''''nala''''' : 흙
- '''''nayri''''' : 좋은, 행복한
- '''''nika''''' : 이것
- '''''nuyina''''' : 영혼
- '''''pakana''''' : 사람들
- '''''palawa''''' :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 '''''payathanima''''' : 왈라비
- '''''pliri''''' : 소년
- '''''poatina''''' : 동굴
- '''''purinina''''' : 태즈메이니아 데빌
- '''''putiya''''' : 아니, ~않다
- '''''rayakana''''' : 노래
- '''''raytji''''' : 백인, 유럽인
- '''''redpa''''' : 모기
- '''''ringina''''' : 굴 (명사)
- '''''temma''''' : 오두막
- '''''timita''''' : 주머니쥐
- '''''tiya''''' : 똥
- '''''tiyuratina''''' : 바람
- '''''warina''''' : 연체동물의 일종
- '''''waypa''''' : 남자
- '''''wura''''' : 오리
- '''''wurangkili''''' : 하늘
- '''''yula''''' : 짧은꼬리슴새 (머튼 버드)
7. 2. 1. 땅이름
kunanyi|쿠나니영어 : 마운트 웰링턴larapuna|라라푸나영어 : 에디스톤
lumaranatana|루마라나타나영어 : 케이프 포틀랜드 컨트리
lungtalanana|룽타라나나영어 : 클라크 아일랜드
lutriwita|루트리와이타영어 : 태즈메이니아
narawntapu|나라운타푸영어 : 애즈베스토스 산맥
preminghana|프레밍가나영어 : 마운트 캐머런 웨스트
putalina|푸탈리나영어 : 오이스터 코브
tayaritja|타야리타영어 : 퍼노 제도
truwana|트루와나영어 : 케이프 배런 아일랜드
wargata mina|와르가타 미나영어 : 저즈 동굴
wukalina|우카리나영어 : 마운트 윌리엄
7. 2. 2. 셈말(수사)
팔라와 카니의 수사 체계는 십진법을 따르며 불규칙형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25]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pama | paya | luwa | wulya | mara | nana | tura | pula | tali | kati |
11은 "pamakati", 12는 "payakati"와 같이 표현한다.
십 단위는 숫자에 '-ka'를 추가하여 "payaka"(20), "luwaka"(30) 등과 같이 나타낸다. 백 단위와 천 단위는 각각 '-ki'와 '-ku'를 추가하여 "pamaki"(100), "maraki"(500), "pamaku"(1000), "taliku"(9000) 등과 같이 표현한다.
8. 예시 텍스트
이 예시는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센터 언어 프로그램이 2004년 1804년 리스돈 코브 학살 기념식에서 처음 사용한 추도사이다.[30]
참조
[1]
논문
"''Palawa Kani'' and the Value of Language in Aboriginal Tasmania"
2017
[2]
뉴스
Ya pulingina. Bringing these words to life is an extension of our identity
https://www.theguard[...]
2016-09-02
[3]
웹사이트
ConLang Code Registry
https://www.kreative[...]
2022-09-27
[4]
웹사이트
palawa kani, the only Aboriginal language in Lutruwita today
http://tacinc.com.au[...]
[5]
웹사이트
palawa kani
https://tacinc.com.a[...]
2024-04-09
[6]
웹사이트
Explainer: how Tasmania's Aboriginal people reclaimed a language, palawa kani
http://theconversati[...]
2018-07-19
[7]
웹사이트
Can you own a language?
https://www.theverge[...]
2017-10-03
[8]
웹사이트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s://humanrights.[...]
[9]
서적
True Tracks
UNSW Press
[10]
웹사이트
Who owns Indigenous languages? Indigenous Language Materials and Copyright
https://www.terrijan[...]
2019-02-27
[11]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s://www.un.org/e[...]
2012-03-05
[12]
웹사이트
Policy and Protocol for Use of palawa kani Aboriginal Language, 2019
https://tacinc.com.a[...]
Tasmanian Aboriginal Centre
2019
[13]
웹사이트
Policy and Protocol for Use of palawa kani Aboriginal Language, 2019
http://tacinc.com.au[...]
2021-10-24
[14]
웹사이트
language
http://www.andaman.o[...]
2017-09-09
[15]
뉴스
Letters to the Editor: Tasmanian language
https://trove.nla.go[...]
1976-09-01
[16]
웹사이트
National Museum of Australia - palawa kani – teaching Tasmanian Aboriginal languages
[17]
웹사이트
Wikimedia Foundation Transparency Report/2014/Requests for Content Alteration & Takedown
https://meta.wikimed[...]
[18]
Youtube
Little J and Big Cuz 'Hopalong' episode in Palawa kani
https://www.youtube.[...]
2017-05-30
[19]
웹사이트
Interview: Baykali Ganambarr on The Nightingale
https://cinapse.co/i[...]
2019-09-18
[20]
뉴스
Tasmanian dual naming policy announced atop Kunanyi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11-20
[21]
웹사이트
kunanyi / Mount Wellington
http://www.hobartcit[...]
Hobart City Council
2015-06-09
[22]
웹사이트
Aboriginal and Dual Names of places in Lutruwita (Tasmania)
http://tacinc.com.au[...]
2018-12-22
[23]
웹사이트
Tasmanian Aboriginal Centre – Official Aboriginal and Dual Names of places
http://tacinc.com.au[...]
[24]
웹사이트
palawa kani names for two waterfalls
http://tacinc.com.au[...]
2017-03
[25]
뉴스
Breathing new life into Indigenous language
http://www.abc.net.a[...]
ABC Hobart
2012-06-15
[26]
간행물
"The Palawa (Tasmanian Aboriginal) Languages: A Preliminary Discussion"
https://eprints.utas[...]
2006
[27]
웹사이트
Explainer: how Tasmania's Aboriginal people reclaimed a language, palawa kani
https://theconversat[...]
2021-07-29
[28]
웹사이트
our language
https://www.wukalina[...]
2023-01-29
[29]
서적
Atlas of Languag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Pacific, Asia, and the Americas
[30]
웹사이트
The Invasion of Northern Territory Aboriginal Communities and its Implications for Tasmania
https://www.ohchr.or[...]
OHCHR
2019-06-09
[31]
서적
Making Sense of Place
National Museum of Australia
2008
[32]
웹사이트
3rd May 1804 waranta tangara takariliya mumirimina, lungkana risdon cove-ta/We mourn our Mumirimina families, murdered at Risdon Cove on 3rd May 1804
https://tacinc.com.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