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르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뮴은 원자 번호 100번의 인공적으로 합성된 방사성 원소이다. 1952년 수소폭탄 실험인 아이비 마이크 핵실험의 방사성 낙진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엔리코 페르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페르뮴은 20가지 동위원소가 알려져 있으며, 가장 안정한 동위원소는 반감기 100.5일의 페르뮴-257이다. 핵폭발을 통해 생성되며, 현재는 기초 과학 연구에 사용된다. 페르뮴은 방사성 원소이므로 인체에 유해하며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르뮴 - 페르뮴 동위 원소
    페르뮴 동위 원소는 원자 번호 100번인 페르뮴의 다양한 동위 원소들로, 240Fm부터 260Fm까지 20종이 발견되었으며, 각 동위 원소는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악티늄족 - 토륨
    토륨은 은백색의 방사성 악티늄족 금속 원소로, 높은 녹는점과 끓는점을 가지며 지구 지각에 풍부하게 존재하고 핵연료로서의 잠재력을 지니지만, 방사능으로 인해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 악티늄족 - 플루토늄
    플루토늄은 명왕성에서 유래된 이름의 방사성 은백색 금속 원소로, 산화 시 황갈색으로 변하며 여러 동소체와 산화 상태를 가지고 핵무기와 원자력 발전 연료, 우주 탐사용 열원으로 사용되지만 높은 방사능 독성으로 주의가 필요하다.
  • 인명이 포함된 화학 원소 - 가돌리늄
    가돌리늄은 은백색의 연성과 전성을 가진 희토류 원소로, 특정 온도에서 강자성 또는 강한 상자성을 띠어 MRI 조영제, 중성자 차폐물, 합금, 형광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핀란드 화학자의 이름을 딴 원소이다.
  • 인명이 포함된 화학 원소 - 로렌슘
    로렌슘은 기호 Lr, 원자 번호 103번의 악티늄족 초우라늄 인공 방사성 원소로, 1961년과 1965년 각각 다른 방법으로 합성되어 발견 공로를 인정받았으며, 현재 13개의 동위원소가 알려져 있고, 화학적 성질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3가 이온으로 존재하며 d-구역 원소의 특징을 보인다.
페르뮴
페르뮴
기본 정보
이름페르뮴
영어 이름Fermium
일본어 이름フェルミウム
발음/ˈfɜrmiəm/ (퍼미엄)
원자 번호100
원소 기호Fm
왼쪽 원소아인슈타이늄
오른쪽 원소멘델레븀
위쪽 원소에르븀
아래쪽 원소운펜트닐륨
계열악티늄족
n/a
주기7
구역f
겉모습불명
원자 질량[257]
전자 배치[라돈] 5f¹² 7s²
껍질 당 전자 수2, 8, 18, 32, 30, 8, 2
상태고체
녹는점 (K)1800
녹는점 (섭씨)1527
녹는점 (화씨)2781
산화 상태2, 3
전기 음성도1.3
이온화 에너지 개수1
첫 번째 이온화 에너지627
CAS 등록 번호7440-72-4
동위 원소
동위 원소질량수: 252
원자 기호: Fm
존재비: 인공
반감기: 25.39시간
붕괴 방식 1: 자발 핵분열
붕괴 에너지 1: -
붕괴 원소 질량 1: -
붕괴 원소 기호 1: -
붕괴 방식 2: 알파 붕괴
붕괴 에너지 2: 7.153
붕괴 원소 질량 2: 248
붕괴 원소 기호 2: Cf
질량수: 253
원자 기호: Fm
존재비: 인공
반감기: 3일
붕괴 방식 1: 전자 포획
붕괴 에너지 1: 0.333
붕괴 원소 질량 1: 253
붕괴 원소 기호 1: Es
붕괴 방식 2: 알파 붕괴
붕괴 에너지 2: 7.197
붕괴 원소 질량 2: 249
붕괴 원소 기호 2: Cf
질량수: 255
원자 기호: Fm
존재비: 인공
반감기: 20.07시간
붕괴 방식 1: 자발 핵분열
붕괴 에너지 1: -
붕괴 원소 질량 1: -
붕괴 원소 기호 1: -
붕괴 방식 2: 알파 붕괴
붕괴 에너지 2: 7.241
붕괴 원소 질량 2: 251
붕괴 원소 기호 2: Cf
질량수: 257
원자 기호: Fm
존재비: 인공
반감기: 100.5일
붕괴 방식 1: 알파 붕괴
붕괴 에너지 1: 6.864
붕괴 원소 질량 1: 253
붕괴 원소 기호 1: Cf
붕괴 방식 2: 자발 핵분열
붕괴 에너지 2: -
붕괴 원소 질량 2: -
붕괴 원소 기호 2: -
기타 정보
공유 반지름167

2. 발견



페르뮴은 1952년 11월 1일, 아이비 마이크(Ivy Mike) 핵실험의 낙진에서 처음 발견되었다.[1][2][3] 에네웨탁 환초에서 수행된 이 실험은 우라늄-238 원자핵이 다량의 중성자를 흡수하여 새로운 원소가 생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알베르트 기오르소(Albert Ghiorso)가 이끄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연구팀은 실험 후 오염된 산호를 분석하여 아인슈타이늄과 함께 페르뮴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이 발견은 냉전의 긴장 속에서 미국 군부에 의해 비밀로 유지되었고, 1955년에야 기밀이 해제되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3][4][5]

한편, 버클리 팀이 비밀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 전, 스톡홀름의 노벨 물리학 연구소 그룹이 1954년 5월에 산소-16 이온을 우라늄-238에 충격하는 방식으로 페르뮴의 더 가벼운 동위원소를 발견하여 발표했다.[8] 그러나 버클리 팀의 발견이 우선적으로 인정되었으며, 최초의 인공 자기지속형 원자로를 개발한 엔리코 페르미(Enrico Fermi)를 기리기 위해 새로운 원소의 이름을 페르뮴으로 명명할 권한이 주어졌다.

2. 1. 발견 과정

페르뮴은 1952년 11월 1일 최초로 성공한 수소폭탄 실험인 아이비 작전(아이비 마이크)에서 발생한 방사성 낙진에서 처음 발견되었다.[1][2][3] 초기 먼지 분석에서는 우라늄-238이 6개의 중성자를 흡수하고, 그 후 두 번의 베타 붕괴를 거쳐 생성될 수 있는 새로운 플루토늄 동위원소인 플루토늄-244가 검출되었다. 당시 무거운 원자핵이 중성자를 흡수하는 것은 드문 과정으로 여겨졌지만, 플루토늄-244의 검출은 더 많은 중성자가 우라늄 원자핵에 흡수될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새로운 원소 발견으로 이어졌다.[3]

원소 99(아인슈타이늄)는 폭발 구름 속을 떠돌던 여과지에서 곧바로 발견되었다(플루토늄-244 검출과 같은 샘플링 기법).[3] 이는 1952년 12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알베르트 기오르소 연구진에 의해 발견되었다.[1][2][3] 그들이 발견한 것은 우라늄-238이 중성자 15개를 흡수하고, 그 후 7번의 베타 붕괴를 거쳐 생성되는, 반감기 20.5일인 아인슈타이늄-253이었다.

:\mathrm{^{238}_{\ 92}U\ \xrightarrow {+\ 15 n, 7 \beta^-} \ ^{253}_{\ 99}Es}

또한, 우라늄-238이 더 많은(아마도 16개 또는 17개) 중성자를 흡수할 수도 있다고 여겨졌다.

원소 100(페르뮴)은 원소 99보다 10배 적은 수율이 예상되었기 때문에, 발견에는 더 많은 재료가 필요했다. 그래서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 조사단은 오염된 산호를 배로 회수하여 분석했다. 수소폭탄 실험 약 2개월 후, 7.1MeV의 고에너지 알파 입자를 방출하는 반감기가 거의 1일인 새로운 성분이 분리되었다. 이 짧은 반감기로 미루어 볼 때, 이러한 동위원소가 생성되는 것은 아인슈타이늄이 베타 붕괴할 때뿐이므로, 새로운 원소 100으로 여겨졌고, 실제로 곧 페르뮴-255(반감기 20.07시간)로 확인되었다.[3]

이 새로운 원소의 발견과 새로운 중성자 포획 데이터는 냉전 긴장 속에서 미국군의 요청에 따라 1955년까지 공개되지 않았다.[3][4][5] 아이비 마이크 연구 결과는 1955년에 이르러서야 공표되었다.[4]

3. 동위원소

페르뮴의 동위 원소는 NUBASE 2016에 따르면 20가지가 있으며, 원자량은 241에서 260까지이다. 이 중에서 257Fm이 가장 반감기가 긴 동위원소로 100.5일이다. 253Fm의 반감기는 3일, 251Fm은 5.3시간, 252Fm은 25.4시간, 254Fm은 3.2시간, 255Fm은 20.1시간, 256Fm은 2.6시간이다. 나머지 동위원소들의 반감기는 30분에서 1밀리초 미만이다.[10]

페르뮴-257의 중성자 포획 생성물인 258Fm은 반감기가 370(14)마이크로초에 불과한 자발 핵분열을 한다. 259Fm과 260Fm 또한 자발 핵분열을 한다(''t''1/2 = 1.5(3)초 및 4밀리초).[10] 즉, 핵폭발을 제외하고는 중성자 포획을 이용하여 질량수가 257보다 큰 핵종을 생성할 수 없다. 257Fm은 253Cf로 알파 붕괴하고, 알려진 페르뮴 동위원소 중 다음 원소인 멘델레븀으로 베타 마이너스 붕괴하는 것은 없으므로, 페르뮴은 중성자 포획으로 합성할 수 있는 마지막 원소이기도 하다.[11][12][13] 이러한 더 무거운 동위원소 형성의 장벽 때문에, 이러한 반감기가 짧은 258–260Fm 동위원소들은 "페르뮴 갭"을 구성한다.[14]

4. 생성

페르뮴은 주로 원자로에서 가벼운 악티늄족 원소에 중성자를 쬐어 생성된다. 중성자 포획으로 얻을 수 있는 가장 무거운 동위원소는 페르뮴-257이며, 극미량(피코그램 단위)만 생산할 수 있다.[15] 페르뮴의 주요 생산 시설은 미국 테네시주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의 85MW 고플럭스 동위원소 반응로(HFIR)인데, 이곳은 퀴륨보다 무거운 원소(Z > 96) 생산을 전담하고 있다.[16]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에서는 일반적으로 수십 그램의 퀴륨을 조사하여 데시그램(1/10그램) 단위의 캘리포늄, 밀리그램 단위의 버클륨아인슈타이늄, 그리고 피코그램 단위의 페르뮴을 생산한다.[17] 특수한 실험 조건에서는 나노그램[18] 또는 마이크로그램[48] 단위의 페르뮴을 준비할 수도 있다.

생산된 페르뮴은 다른 악티늄족 원소 및 란타넘족 핵분열 생성물로부터 분리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며, 표준 공정에서는 Dowex 50 또는 TEVA와 같은 양이온 교환체를 사용하여 암모늄 α-하이드록시이소부티레이트 용액으로 용리한다.[11][20] 더 작은 양이온은 α-하이드록시이소부티레이트 음이온과 더 안정적인 착물을 형성하므로, 컬럼에서 우선적으로 용리된다.[11] 빠른 분별결정 방법도 사용된다.[11][21]

페르뮴의 가장 안정적인 동위원소는 반감기가 100.5일인 257Fm이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255Es(반감기 39.8일)의 붕괴 생성물로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255Fm(반감기 20.07시간)을 사용한다.[11]

핵폭발로도 페르뮴이 생성될 수 있지만, 그 양은 밀리그램 단위로 추정된다. 하지만, 핵폭발로 생성된 페르뮴은 엄청난 양의 잔해와 섞여 있다. 예를 들어, 1969년 7월 16일 "허치" 실험에서 나온 10킬로그램의 잔해물에서 4.0피코그램의 257Fm이 회수되었다.[19]

4. 1. 핵폭발에서의 합성

10메가톤급 아이비 마이크(Ivy Mike) 핵실험 잔해 분석은 고출력 핵폭발에서 초우라늄 원소 생산 효율을 연구하는 장기 프로젝트의 일환이었다. 핵폭발은 마이크로초 이내에 1023 중성자/cm2 정도의 밀도를 제공하는 강력한 중성자원이기 때문에 이러한 실험이 진행되었다.[22]

1960년대 네바다 핵실험장(Nevada Test Site)에서는 밀폐된 공간에서 강력한 폭발을 일으켜 수율을 높이고 더 무거운 동위원소를 생성하고자 지하 실험 데이터를 축적했다. 그러나 폭발로 인해 생성물이 분산되어 추출이 어려웠고, 시추를 통한 수집은 느리고 비효율적이었다.[22][23]

1962년부터 1969년까지 9개의 지하 실험이 수행되었으며,[24] 이 중 허치(Hutch) 실험이 가장 강력하고 초우라늄 원소 수율이 높았다. 그러나 강력한 폭발로 방사성 잔해가 분산되어 수집이 어려웠다.[25] 아나코스티아(Anacostia)와 케네벡(Kennebec) 실험에서는 폭발 전 갱도를 시추하여 방사성 물질을 지표면 근처로 배출하는 방법을 시도했지만, 악티늄족 원소 농도가 낮아 효과적이지 못했다.[26]

핵실험 잔해에서는 아인슈타이늄과 페르뮴 외에 새로운 원소가 검출되지 않았고, 초우라늄 원소 총 수율은 낮았지만, 희귀한 무거운 동위원소를 상당량 제공했다는 의의가 있다.[27]

5. 화학적 성질

페르뮴의 화학적 성질은 추적자 기법을 이용한 용액 연구를 통해서만 조사되었으며, 고체 화합물은 합성되지 않았다. 일반적인 조건에서 페르뮴은 Fm3+ 이온으로 용액에 존재하며, 이 이온의 수화수는 16.9이고 산 해리 상수는 1.6×10-4 (p''K''a = 3.8)이다.[29][30] Fm3+는 산소와 같은 경성 주개 원자를 가진 다양한 유기 리간드와 착물을 형성하며, 이러한 착물은 일반적으로 앞선 악티늄족 원소들의 착물보다 더 안정하다.[11] 또한 염화물이나 질산염과 같은 리간드와 음이온성 착물을 형성하며, 이러한 착물 역시 아인슈타이늄이나 칼리포르늄이 형성하는 착물보다 더 안정적인 것으로 보인다.[31] 후기 악티늄족 원소 착물의 결합은 대부분 이온 결합적 성격을 갖는다고 여겨진다. 페르뮴의 높은 유효 핵전하 때문에 Fm3+ 이온은 앞선 An3+ 이온보다 작을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페르뮴은 더 짧고 강한 금속-리간드 결합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11]

페르뮴(III)은 예를 들어 사마륨(II) 염화물을 사용하여 페르뮴(II)로 비교적 쉽게 환원될 수 있으며,[32] 이때 페르뮴(II)은 공침된다.[33][34] 전극 전위는 이터븀(III)/(II) 쌍과 유사한 것으로 추정되며, 표준 수소 전극에 대해 약 -1.15 V이다.[36] 이 값은 이론적 계산 결과와 일치한다.[37] 폴라로그래피 측정에 따르면 Fm2+/Fm0 쌍의 전극 전위는 -2.37(10) V이다.[38]

6. 용도

현재 페르뮴은 실용적인 용도가 거의 없으며, 주로 기초과학 연구 목적으로 사용된다.

7. 독성

페르뮴과 접촉하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는 두 가지 동위원소에 대해 연간 노출 한계를 정하고 있다. 페르뮴-253의 경우 섭취 한계는 107 베크렐(1 Bq는 초당 붕괴 횟수)이며, 흡입 한계는 105 Bq이다. 페르뮴-257의 경우 섭취 한계는 105 Bq, 흡입 한계는 4000 Bq이다.[39]

참조

[1] 웹사이트 Einsteinium http://periodic.lanl[...] 2007-12-07
[2] 웹사이트 Fermium – National Research Council Canada http://www.nrc-cnrc.[...] 2007-12-02
[3] 논문 Einsteinium and Fermium http://pubs.acs.org/[...] 2003
[4] 논문 New Elements Einsteinium and Fermium, Atomic Numbers 99 and 100 https://cloudfront.e[...] 1955
[5] 논문 Transplutonium Elements in Thermonuclear Test Debris 1956
[6] 논문 Transcurium Isotopes Produced in the Neutron Irradiation of Plutonium https://escholarship[...] 1954
[7] 논문 Nuclear Properties of Some Isotopes of Californium, Elements 99 and 100 1954
[8] 논문 Element 100 Produced by Means of Cyclotron-Accelerated Oxygen Ions 1954
[9] 서적 The Transuranium People: The Inside Story World Scientific
[10] 문서 NUBASE 2003
[11] 서적 The Chemistry of the Actinide and Transactinide Elements Springer 2006
[12] 문서 Greenwood&Earnshaw1st
[13] 웹사이트 Interactive Chart of Nuclides http://www.nndc.bnl.[...]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2008-06-06
[14] 논문 Future of superheavy element research: Which nuclei could be synthesized within the next few years? http://nrv.jinr.ru/p[...] 2013
[15] 서적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16] 웹사이트 High Flux Isotope Reactor http://neutrons.ornl[...]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2010-09-23
[17] 논문 Fermium Purification Using Teva Resin Extraction Chromatography https://zenodo.org/r[...] 1997
[18] 논문 First Observation of Atomic Levels for the Element Fermium (''Z''=100) 2003
[19] 논문 Engineering with Nuclear Explosives 1970
[20] 논문 A new eluant for the separation of the actinide elements https://escholarship[...] 1956
[21] 논문 High-speed method for the separation of fermium from actinides and lanthanides 1983
[22] 문서 Seaborg, p. 39
[23] 문서 Seaborg, p. 40
[24] 웹사이트 United States Nuclear Tests July 1945 through September 1992 http://www.nv.doe.go[...] 2000-12
[25] 문서 Seaborg, p. 43
[26] 문서 Seaborg, p. 44
[27] 문서 Seaborg, p. 47
[28]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An A-Z Guide to the El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9] 논문 Electromigration Method in Tracer Studies of Complex Chemistry. II. Hydrated Radii and Hydration Numbers of Trivalent Actinides 1981
[30] 논문 1972
[31] 논문 Chemical Properties of Elements 99 and 100 https://digital.libr[...] 1954
[32] 논문 The amalgamation behaviour of heavy elements 1. Observation of anomalous preference in formation of amalgams of californium, einsteinium, and fermium 1967
[33] 논문 Reduction of fermium to divalent state in chloride aqueous ethanolic solutions 1972
[34] 논문 Non-observance of monovalent Md 1979
[35] 서적 Dictionary of Inorganic Compounds Chapman & Hall 1992
[36] 논문 Determination of oxidation potential of the pair Fm{{sup|2+}}/Fm{{sup|3+}} 1977
[37] 논문 1975
[38] 논문 Electrochemical study of mendelevium in aqueous solution: No evidence for monovalent ions 1979
[39] 서적 Transuranium Elements, in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iley 2000
[40] 논문 A new eluant for the separation of the actinide elements 1956
[41] 웹사이트 Einsteinium http://periodic.lanl[...]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추정 2007-12-07
[42] 웹사이트 Fermium – National Research Council Canada http://www.nrc-cnrc.[...] 2007-12-02
[43] 논문 Einsteinium and Fermium http://pubs.acs.org/[...] 2003
[44] 논문 New Elements Einsteinium and Fermium, Atomic Numbers 99 and 100 1955
[45] 논문 Transplutonium Elements in Thermonuclear Test Debris 1956
[46] 논문 The NUBASE evaluation of nuclear and decay properties 2003
[47] 서적 The Chemistry of the Actinide and Transactinide Elements http://radchem.nevad[...] Springer 2006
[48] 서적 #추정 Greenwood&Earnshaw1st
[49] 논문 Radionuclides 2000
[50] 웹사이트 High Flux Isotope Reactor http://neutrons.ornl[...]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2010-09-23
[51] 논문 Fermium Purification Using Teva Resin Extraction Chromatography 1997
[52] 논문 First Observation of Atomic Levels for the Element Fermium (''Z'' = 100) 2003
[53] 논문 Engineering with Nuclear Explosives 1970
[54] 논문 A new eluant for the separation of the actinide elements 1956
[55] 논문 High-speed method for the separation of fermium from actinides and lanthanides 1983
[56] 서적 #추정
[57] 서적 #추정
[58]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An A-Z Guide to the El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59] 논문 Electromigration Method in Tracer Studies of Complex Chemistry. II. Hydrated Radii and Hydration Numbers of Trivalent Actinides 1981
[60] 논문 1972
[61] 논문 Chemical Properties of Elements 99 and 100 1954
[62] 논문 Reduction of fermium to divalent state in chloride aqueous ethanolic solutions 1972
[63] 논문 Non-observance of monovalent Md 1979
[64] 논문 The amalgamation behaviour of heavy elements 1. Observation of anomalous preference in formation of amalgams of californium, einsteinium, and fermium 1967
[65] 논문 Determination of oxidation potential of the pair Fm2+/Fm3+ 1977
[66] 논문 Electrochemical study of mendelevium in aqueous solution: No evidence for monovalent ions 1979
[67] 서적 Transuranium Elements, in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iley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