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터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터븀은 1878년 스위스 화학자 장 샤를 갈리사르 드 마리냐크에 의해 발견된 희토류 원소이다. 이터븀은 무르고 전성이 큰 금속으로, 1907년 조르주 위르뱅에 의해 네오이트륨과 루테시아로 분리되었으며, 1909년 위르뱅에게 우선권이 부여되어 이터븀으로 명명되었다. 이터븀은 여러 희귀 광물에서 다른 희토류 원소와 함께 발견되며, 상업적으로는 모나자이트 모래에서 주로 얻는다. 이터븀은 감마선원, 스테인리스강 도핑, 레이저 분야 등에 사용되며, 몇몇 화합물은 인체에 자극을 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터븀 - 이터븀 동위 원소
이터븀은 원자 번호 70번의 희토류 원소로, 다양한 동위 원소들이 핵 구조, 질량, 반감기, 붕괴 방식 등의 특성을 가지며 방사성 붕괴를 통해 다른 원소로 변환된다. - 란타넘족 - 가돌리늄
가돌리늄은 은백색의 연성과 전성을 가진 희토류 원소로, 특정 온도에서 강자성 또는 강한 상자성을 띠어 MRI 조영제, 중성자 차폐물, 합금, 형광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핀란드 화학자의 이름을 딴 원소이다. - 란타넘족 - 루테튬
루테튬은 원소 기호 Lu, 원자 번호 71을 갖는 희토류 원소로, 란타넘족 중 밀도, 녹는점, 경도가 가장 높고, 주로 +3의 산화 상태를 가지며, 안정 동위원소와 방사성 동위원소 형태로 존재하고, 제한적인 상업적 용도에도 불구하고 촉매, LED, PET, 연대 측정, 암 치료 등에 사용된다. - 원소 정보 - 토륨
토륨은 은백색의 방사성 악티늄족 금속 원소로, 높은 녹는점과 끓는점을 가지며 지구 지각에 풍부하게 존재하고 핵연료로서의 잠재력을 지니지만, 방사능으로 인해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 원소 정보 - 아연
아연은 청회색 금속으로, 적당한 반응성을 지닌 환원제이며, 내식성이 뛰어나 도금에 사용되고, 합금의 주요 성분이며, 인체 필수 미량 원소이지만 과다 섭취 시 독성을 나타낸다.
이터븀 | |
---|---|
일반 정보 | |
![]() | |
원소 이름 | 이테르븀 |
영어 이름 | Ytterbium |
원소 기호 | Yb |
원자 번호 | '70' |
주기율표 정보 | |
위치 | 란타넘족 |
족 | '3' |
주기 | '6' |
구역 | f |
왼쪽 원소 | 툴륨 |
오른쪽 원소 | 루테튬 |
위쪽 원소 | 해당 없음 |
아래쪽 원소 | No |
물리적 성질 | |
겉모습 | 은백색 |
원자 질량 | 173.054(5) |
전자 배치 | [Xe] 4f14 6s2 |
껍질 당 전자 수 | 2, 8, 18, 32, 8, 2 |
상태 | 고체 |
밀도 (상온) | 6.90 g/cm3 |
액체 밀도 (녹는점) | 6.21 g/cm3 |
녹는점 | 1097 K (824 °C) |
끓는점 | 1469 K (1196 °C) |
융해열 | 7.66 kJ/mol |
기화열 | 159 kJ/mol |
열용량 | 26.74 J/(mol·K) |
증기압 | P (Pa) 1 736 10 813 100 910 1 k 1047 10 k (1266) 100 k (1465) |
결정 구조 | 면심 입방 |
자기 정렬 | 상자성 |
전기 저항 (상온) | (β, poly) 0.250 µΩ·m |
열전도율 | 38.5 W/(m·K) |
열팽창 (상온) | (β, poly) 26.3 µm/(m·K) |
소리 속도 (막대, 20°C) | 1590 m/s |
영률 (β 형태) | 23.9 GPa |
전단 탄성 계수 (β 형태) | 9.9 GPa |
부피 탄성 계수 (β 형태) | 30.5 GPa |
포아송 비 (β 형태) | 0.207 |
비커스 경도 | 206 MPa |
브리넬 경도 | 343 MPa |
원자 정보 | |
산화 상태 | '3', 2 (약염기성 산화물) |
전기 음성도 | ? 1.1 (폴링 척도) |
이온화 에너지 | 1차: 603.4 kJ/mol 2차: 1174.8 kJ/mol 3차: 2417 kJ/mol |
원자 반지름 | 176 pm |
공유 반지름 | 187 ± 8 pm |
기타 정보 | |
CAS 등록 번호 | 7440-64-4 |
동위 원소 | |
주요 동위 원소 | 166Yb (syn) 168Yb (0.13%) 169Yb (syn) 170Yb (3.04%) 171Yb (14.28%) 172Yb (21.83%) 173Yb (16.13%) 174Yb (31.83%) 175Yb (syn) 176Yb (12.76%) 177Yb (syn) |
동위 원소 감쇠 정보 | 166Yb: ε, 56.7 h, 0.304, 166Tm 168Yb: α, >1.3×1014 y, 1.9508, 164Er, β+β+, 1.4221, 168Er 169Yb: ε, 32.026 d, 0.909, 169Tm 175Yb: β-, 4.185 d, 0.470, 175Lu 176Yb: α, >1.6×1017 y, 0.570, 172[[에르븀]], β-β-, 1.083, 176Hf 177Yb: β-, 1.911 h, 1.399, 177Lu |
2. 역사
이터븀은 스웨덴의 작은 마을인 이테르비(Ytterby)에서 발견되었다는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같은 희토류 원소인 이트륨(Yttrium)과 기원이 같다. 발음과 원소 기호가 비슷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구리 산화물계 고온 초전도체가 발견되었을 당시, 이트륨을 포함하는 구리 산화물(이트륨계 초전도체(YBCO) 계)이 초전도성을 나타낸다는 정보가 퍼졌을 때, “이터븀(Ytterbium)”이 포함되어 있다는 잘못된 정보(사실은 이트륨)가 퍼져 이터븀의 재고가 일시적으로 바닥나기 직전이었던 적이 있다. 장 샤를 갈리사르 드 마리냐크(Jean Charles Galissard de Marignac)가 1878년에 이터븀을 분리했다.[57] 이테르비(Ytterby)에서는 이테르븀 외에도 이트륨, 테르븀, 에르븀 등 총 4가지의 새로운 원소가 발견되었다.
이터븀의 가격은 1953년부터 1998년까지 약 1000USD/kg으로 비교적 안정적이었다.[30]
2. 1. 발견

이트륨은 1878년 스위스 화학자 장 샤를 갈리사르 드 마리냐크(Jean Charles Galissard de Marignac)가 발견했다.[8][18][23][24][25] 마리냐크는 가돌리나이트 샘플을 조사하던 중 당시 에르븀으로 알려진 원소에서 새로운 성분을 발견했고, 이를 새로운 에르븀 성분이 발견된 스웨덴 마을 이테르비(Ytterby)의 이름을 따 이테르븀(ytterbia)이라고 명명했다. 마리냐크는 이테르븀이 자신이 "이트륨"이라고 부르는 새로운 원소의 화합물이라고 추측했다.
1907년, 프랑스 화학자 조르주 위르뱅(Georges Urbain)은 마리냐크의 이테르븀을 두 가지 성분, 즉 ''네오이트륨(neoytterbia)''과 ''루테시아(lutecia)''로 분리했다. 네오이트륨은 나중에 이테르븀 원소가 되었고, 루테시아는 루테튬 원소가 되었다. 오스트리아 화학자 칼 아우어 폰 벨스바흐(Carl Auer von Welsbach)도 거의 동시에 이테르븀으로부터 이 원소들을 독립적으로 분리했지만, 그는 이들을 각각 ''알데바라늄(aldebaranium)''(''Ad''; 알데바란(Aldebaran)에서 유래)과 ''카시오페이움(cassiopeium)''이라고 불렀다.[8] 미국 화학자 찰스 제임스(Charles James (chemist))도 거의 동시에 이 원소들을 독립적으로 분리했다.[26] 위르뱅과 벨스바흐는 서로 상대방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표했다고 비난했다.[27][28][29] 당시 새로운 원소 이름을 부여할 책임이 있었던 프랭크 위글스워스 클라크(Frank Wigglesworth Clarke), 빌헬름 오스트발트(Wilhelm Ostwald), 조르주 위르뱅으로 구성된 원자량 위원회는 1909년 마리냐크의 이테르븀으로부터 루테튬의 분리가 위르뱅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되었다는 사실을 근거로 위르뱅에게 우선권을 부여하고 그의 이름을 공식 명칭으로 채택함으로써 논쟁을 종식시켰다.[27] 위르뱅의 이름이 인정된 후, ''네오이트륨(neoytterbium)''은 다시 ''이트륨(ytterbium)''으로 바뀌었다.
1953년 이온 교환 공정을 사용하여 거의 순수한 이테르븀 금속이 처음 생산될 때까지 이테르븀의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었다.[8]
2. 2. 분리 및 명명 논쟁
1907년, 프랑스 화학자 조르주 위르뱅(Georges Urbain)은 장 샤를 갈리사르 드 마리냐크(Jean Charles Galissard de Marignac)의 이테르븀을 ''네오이트륨(neoytterbia)''과 ''루테시아(lutecia)'' 두 가지 성분으로 분리하였다. 네오이트륨은 나중에 이테르븀 원소로, 루테시아는 루테튬 원소로 알려지게 되었다. 오스트리아 화학자 칼 아우어 폰 벨스바흐(Carl Auer von Welsbach)도 거의 동시에 이테르븀으로부터 이 원소들을 독립적으로 분리하였지만, 그는 이들을 각각 ''알데바라늄(aldebaranium)''(''Ad''; 알데바란(Aldebaran)에서 유래)과 ''카시오페이움(cassiopeium)''이라고 불렀다.[8] 미국 화학자 찰스 제임스(Charles James (chemist))도 거의 동시에 이 원소들을 독립적으로 분리하였다.[26] 위르뱅과 벨스바흐는 서로 상대방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표했다고 비난하였다.[27][28][29] 프랭크 위글스워스 클라크(Frank Wigglesworth Clarke), 빌헬름 오스트발트(Wilhelm Ostwald), 조르주 위르뱅으로 구성된 원자량 위원회는 1909년 마리냐크의 이테르븀으로부터 루테튬의 분리가 위르뱅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되었다는 사실을 근거로 위르뱅에게 우선권을 부여하고 그의 이름을 공식 명칭으로 채택함으로써 논쟁을 종식시켰다.[27] 위르뱅의 이름이 인정된 후, ''네오이트륨(neoytterbium)''은 다시 ''이터븀(ytterbium)''으로 바뀌었다.1953년 이온 교환 공정을 사용하여 거의 순수한 이테르븀 금속이 처음 생산될 때까지 이테르븀의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었다.[8]
3. 물리적 성질
이터븀은 무르고, 전성이 크며 연성이 큰 금속 원소이다.[1] 신선하게 준비된 이터븀은 금색을 띤다.[1] 희토류 원소이며, 강한 무기산에 쉽게 용해된다.[1] 물에 서서히 녹으며, 산과 액체 암모니아에도 녹는다. 수소와 할로겐과도 반응한다.
이터븀은 알파, 베타, 감마의 세 가지 동소체를 가진다.[1] 변태 온도는 −13 °C와 795 °C이지만,[1] 정확한 변태 온도는 압력과 응력에 따라 달라진다.[3]
- 알파 동소체 (6.903 g/cm3)는 육방정계 결정 구조를 가지며 저온에서 안정적이고,[14] 반자성이다.[3]
- 베타 동소체 (6.966 g/cm3)는 상온에서 존재하며, 면심입방 결정 구조를 가진다.[1] 정상적인 대기압에서 금속적인 전기 전도도를 가지지만, 약 16,000 기압 (1.6 GPa)에서 반도체가 된다.[1][8] 전기 저항률은 39,000 기압 (3.9 GPa)에서 10배 증가하지만, 약 40,000 기압 (4.0 GPa)에서는 상온 저항률의 약 10%로 떨어진다.[1][8]
- 감마 동소체 (6.57 g/cm3)는 체심입방 결정 구조를 가진다.[1]
다른 희토류 금속들이 저온에서 반강자성 및/또는 강자성 특성을 가지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이터븀은 1.0 켈빈 이상의 온도에서 상자성이다.[2]
녹는점은 824 °C이고 끓는점은 1196 °C로, 모든 금속 중에서 액체로 존재하는 온도 범위가 가장 작다.[1] 밀도는 6.973 g/cm3이며, 툴륨 (9.32 g/cm3)과 루테튬 (9.841 g/cm3)보다 상당히 낮다. 녹는점과 끓는점 또한 툴륨과 루테튬보다 상당히 낮다. 이는 이터븀의 닫힌 껍질 전자 배열 ([Xe] 4f14 6s2) 때문인데, 이로 인해 두 개의 6s 전자만이 금속 결합에 사용 가능하며(다른 란타넘족 원소에서는 세 개의 전자가 사용 가능한 것과 대조적으로), 이터븀의 금속 반지름을 증가시킨다.[14] 안정적인 원자가는 +2가와 +3가이다.
4. 화학적 성질
이터븀 금속은 공기 중에서 느리게 광택을 잃고, 고운 분말 형태에서는 산소 존재 하에 쉽게 산화된다. 이터븀 가루를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나 헥사클로로에탄과 섞어 태우면 밝은 에메랄드색 빛을 낸다.[4] 수소와는 비화학량론적 수소화물을 생성한다.[14] 물과는 천천히 반응하지만, 산성 용액에서는 수소 기체를 생성하며 빠르게 반응한다.[14]
이터븀은 전기 양성적인 금속으로, 찬물과는 천천히, 따뜻한 물과는 빠르게 반응하여 수소 기체를 생성한다.[5]
:2 Yb (s) + 6 H2O (l) → 2 Yb(OH)3 (aq) + 3 H2 (g)
이터븀은 모든 할로젠 원소와 반응하여 흰색 이온 결합 화합물을 생성한다.[5]
:2 Yb (s) + 3 F2 (g) → 2 YbF3 (s) [흰색]
:2 Yb (s) + 3 Cl2 (g) → 2 YbCl3 (s) [흰색]
:2 Yb (s) + 3 Br2 (l) → 2 YbBr3 (s) [흰색]
:2 Yb (s) + 3 I2 (s) → 2 YbI3 (s) [흰색]
이터븀(III) 이온은 근적외선 파장의 빛을 흡수하지만 가시광선은 흡수하지 않아 산화이터븀(Yb2O3)은 흰색을 띠며, 다른 이터븀 염들도 무색이다.[5] 이터븀은 묽은 황산에 쉽게 녹아 무색의 Yb(III)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을 형성하며, 이 이온은 노나수화물 착물로 존재한다.[5]
:2 Yb (s) + 3 H2SO4 (aq) + 18 H2O (l) → 2 [Yb(H2O)9]3+ (aq) + 3 SO42- (aq) + 3 H2 (g)
이터븀은 주로 +3가 상태를 가지지만, +2가 화합물도 쉽게 형성한다. 이는 란타넘족 원소에서는 드문 현상이다. +2 상태는 완전히 채워진 f-껍질(4f14 전자 배열)이 안정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노란색을 띤 녹색의 이터븀(II) 이온은 매우 강한 환원제로, 물을 분해하여 수소 기체를 방출하므로 수용액에서는 무색의 이터븀(III) 이온만 존재한다. 사마륨과 툴륨도 +2 상태에서 이와 비슷하게 행동하지만, 유로피움(II)은 수용액에서 안정하다. 이터븀 금속은 유로피움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과 유사하게 액체 암모니아에 용해되어 청색의 전자화물 염을 형성한다.[14]
5. 동위원소
이터븀은 자연에서 ¹⁶⁸Yb, ¹⁷⁰Yb, ¹⁷¹Yb, ¹⁷²Yb, ¹⁷³Yb, ¹⁷⁴Yb, ¹⁷⁶Yb의 7가지 안정 동위 원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¹⁷⁴Yb이 31.8%로 가장 풍부하다.[6] 27가지의 방사성 동위 원소가 알려져 있으며, 가장 안정한 것은 반감기가 32.0일인 ¹⁶⁹Yb, 반감기가 4.18일인 ¹⁷⁵Yb, 반감기가 56.7시간인 ¹⁶⁶Yb이다. 나머지 방사성 동위 원소는 모두 반감기가 2시간 미만이며, 대부분 20분 미만이다. ¹⁷⁴Yb보다 가벼운 이터븀 동위 원소는 주로 전자 포획을 통해 툴륨(Tm) 동위 원소로 붕괴하고, ¹⁷⁴Yb보다 무거운 동위 원소는 주로 베타 붕괴를 통해 루테튬(Lu) 동위 원소로 붕괴한다.[6]
6. 존재 및 생산
이터븀은 여러 희귀 광물에서 다른 희토류 원소들과 함께 발견되며, 상업적으로는 주로 모나자이트 모래에서 추출된다. 이 원소는 유크세나이트와 크세노타임에서도 발견된다. 주요 채굴 지역은 중국, 미국, 브라질, 인도, 스리랑카,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 등이다. 이터븀 화합물은 드물며 아직까지 특성이 잘 규명되지 않았다. 지구 지각에서 이터븀의 존재비는 약 3 mg/kg이다.[8] 세계 생산량은 연간 약 50톤에 불과하며, 이는 상업적 용도가 거의 없음을 반영한다.[8] 이터븀의 미량은 Yb:YAG 레이저의 첨가제로 사용된다.[9]
이터븀은 다른 란타넘족 원소와 성질이 비슷하여 분리하기가 비교적 어렵다. 먼저, 모나자이트나 크세노타임과 같은 광물을 황산과 같은 다양한 산에 녹인다. 그런 다음, 이온 교환을 통해 다른 란타넘족 원소로부터 분리한다. 용액을 수지에 통과시키면, 서로 다른 란타넘족 원소들이 서로 다른 친화도로 결합하며, 착화제를 사용하여 용액을 녹여 화합물을 분리한다.[11][12]
6. 1. 존재
이터븀은 다른 희토류 원소들과 함께 여러 희귀 광물에서 발견된다. 주로 모나자이트 모래(이터븀 0.03%)에서 상업적으로 얻으며, 유크세나이트와 크세노타임에서도 발견된다. 주요 채굴 지역은 중국, 미국, 브라질, 인도, 스리랑카, 오스트레일리아이다. 이터븀 매장량은 약 1000000ton으로 추정된다.[8] 20세기 중후반에 개발된 이온 교환 및 용매 추출 기술 덕분에 다른 희토류 원소와의 분리가 쉬워졌다.[8] 짝수 원자 번호를 가진 란타넘족 원소인 이터븀은 오도-하킨스 규칙에 따라 이웃 원소인 툴륨과 루테튬보다 훨씬 풍부하며, 툴륨과 루테튬은 같은 농축물에서 각각 약 0.5%의 비율로 존재한다.[8]
이터븀은 종종 이트륨 광물에서 가장 일반적인 대체물이다. 매우 드물게 크세노타임-(Yb)과 같이 이터븀이 이트륨보다 우세한 경우가 알려져 있다. 달의 레골리스에서 자연 상태의 이터븀이 발견되었다는 보고서도 있다.[10] 제노타임(인산염 광석), 가돌리나이트, 모나자이트, 바스트네사이트 등에 포함되어 있다.
6. 2. 생산
이터븀은 다른 란타넘족 원소들과 화학적 성질이 비슷하여 분리하기 어렵다. 이터븀은 이온 교환 방법을 쓰거나 소듐 아말감(소듐과 수은으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환원시켜서 다른 희토류 금속들로부터 분리한다. 3가의 희토류 금속 이온들이 녹아있는 산성 용액에 용융 상태의 소듐-수은 합금(소듐 아말감)을 부으면 Yb3+를 환원시켜서 녹인다. 이터븀 금속은 용액 안에서 수산염(oxalate) 형태로 분리되고 가열해서 산화물 형태로 바꾼다. 산화이터븀(Yb₂O₃)을 란타넘(La), 알루미늄(Al), 세륨(Ce), 지르코늄(Zr)과 고진공 상태에서 가열하면 금속 이터븀이 생성된다.[13]7. 화합물
이터븀은 다른 란타넘족 원소들과 비슷한 화학적 성질을 보인다. 대부분의 화합물에서 +3의 산화수를 가지며, 3가 이터븀 이온을 포함한 염은 대부분 흰색이다.[1] 유로퓸, 사마륨, 툴륨과 마찬가지로, 이터븀의 삼할로젠화물(YbX3)은 수소나 아연 가루, 이터븀 금속에 의해 이할로젠화물(YbX2)로 환원될 수 있다.[14]
이터븀은 고체 화합물에서만 +2의 산화수를 가지며, 이러한 화합물은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과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예를 들어, 산화 이터븀(II)(YbO)는 산화 칼슘(CaO)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14]
이터븀은 매우 전기 양성적이며, 차가운 물과는 천천히, 뜨거운 물과는 매우 빠르게 반응하여 이터븀(III) 수산화물을 형성한다.[5]
:2 Yb (s) + 6 H2O (l) → 2 Yb(OH)3 (aq) + 3 H2 (g)
이터븀은 모든 할로젠과 반응한다.[5]
:2 Yb (s) + 3 F2 (g) → 2 YbF3 (s) [흰색]
:2 Yb (s) + 3 Cl2 (g) → 2 YbCl3 (s) [흰색]
:2 Yb (s) + 3 Br2 (l) → 2 YbBr3 (s) [흰색]
:2 Yb (s) + 3 I2 (s) → 2 YbI3 (s) [흰색]
이터븀(III) 이온은 근적외선 파장 범위의 빛을 흡수하지만 가시광선은 흡수하지 않으므로 이터비아(Yb2O3)는 흰색이며 이터븀 염도 무색이다. 이터븀은 묽은 황산에 쉽게 녹아 무색의 Yb(III)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을 형성하며, 이 이온은 노나수화물 착물로 존재한다.[5]
:2 Yb (s) + 3 H2SO4 (aq) + 18 H2O (l) → 2 [Yb(H2O)9]3+ (aq) + 3 SO42- (aq) + 3 H2 (g)
7. 1. 주요 화합물
이터븀은 플루오린, 염소, 브로민, 아이오딘과 같은 할로젠 원소와 반응하여 삼할로젠화물(YbX₃)과 이할로젠화물(YbX₂)을 생성한다. 이할로젠화물은 상온에서 삼할로젠화물로 산화되거나, 고온에서 삼할로젠화물과 이터븀 금속으로 분해될 수 있다.[14]:3 YbX2 → 2 YbX3 + Yb (X = F, Cl, Br, I)
일부 이터븀 할로젠화물은 유기합성에 시약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염화 이터븀(III)(YbCl₃)는 루이스 산으로 작용하여 알돌 반응[15] 및 딜스-알더 반응[16]의 촉매로 사용될 수 있다. 아이오딘화 이터븀(II)(YbI₂)는 사마륨(II) 아이오딘화물과 유사하게 짝지음 반응에서 환원제로 사용될 수 있다.[17] 플루오린화 이터븀(III)(YbF₃)은 반응성이 낮고 독성이 없어 치아 수복에 사용되는데, 이는 지속적으로 플루오린화 이온을 방출하여 치아 건강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18]
이터븀은 산소와 반응하여 '희토류 C형 2,3 산화물(Rare-earth C-type sesquioxide)' 구조를 갖는 산화 이터븀(III)(Yb₂O₃)을 생성한다. 이 구조는 형석 결정 구조와 관련이 있다.[19]

이터븀 십이붕화물(YbB₁₂)은 곤도 절연체[20]이자 양자 물질이다.[21] 일반적인 조건에서 결정 내부는 절연체이지만, 표면은 매우 전도성을 띤다.[21] 희토류 원소 중 이터븀은 안정적인 십이붕화물을 형성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원소 중 하나이며, 이는 비교적 작은 원자 반지름 때문으로 여겨진다.[22]
8. 용도
Yb영어3+ 이온은 고체 레이저, 이중 클래드 광섬유 레이저와 같은 레이저에서 도핑 재료로 사용된다.[35] 이터븀 레이저는 효율과 수명이 높고 짧은 펄스광을 발생시킬 수 있어 레이저 재료에 많이 포함된다.[35] 이터븀 레이저는 일반적으로 1.03~1.12 μm 대역에서 방사하며, 900 nm~1 μm 파장에서 광학적으로 펌핑된다.[36] 양자 결함이 작아 효율적인 레이저와 출력 증강을 위한 유망한 도펀트이다.[36]
이터븀이 도핑된 물질에서 여기의 동역학은 간단하며 유효 단면적 개념으로 설명 가능하다. 대부분의 이터븀이 도핑된 레이저 물질은 맥컴버 관계가 성립하지만,[37][38][39] 복합 재료에 대한 적용은 논의 중이다.[40][41]
일반적으로 이터븀 농도는 낮게 사용된다. 고농도에서는 이터븀이 도핑된 물질이 광 암화[42](유리 섬유) 또는 효율적인 레이저 작동 대신 광대역 방출[43](결정 및 세라믹)되는 현상을 보인다. 이는 과열뿐만 아니라 고농도 이터븀 이온에서 전하 보상 조건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44]
이터븀이 도핑된 광섬유로 생산되는 레이저와 증폭기의 출력 증강에 많은 발전이 있었다. 부품 발전과 Yb 도핑 섬유 덕분에 출력 레벨이 1 kW 영역에서 증가했다. 낮은 NA, 큰 모드 영역 섬유 제작을 통해 광대역 구성에서 1.5 kW 이상 2 kW 이상의 출력 레벨에서 거의 완벽한 빔 품질(M2<1.1)을 달성할 수 있다 (~1064 nm).[45] 이터븀이 도핑된 LMA 섬유는 더 큰 모드 필드 직경이라는 장점이 있는데, 이는 자극 브릴루앵 산란 및 자극 라만 산란과 같은 비선형 효과의 영향을 무효화하여 더 높은 출력 레벨을 달성하는 데 제한을 두고 단일 모드 이터븀 도핑 섬유에 비해 뚜렷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터븀 기반 섬유 시스템에서 더 높은 출력 레벨을 달성하려면 섬유의 모든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이는 공진기 내 스플라이스 손실을 줄이기 위해 코어 배경 손실부터 기하학적 특성에 이르기까지 모든 이터븀 섬유 매개변수를 최적화해야만 달성할 수 있다. 출력 증강에는 광 공진기 내 수동 섬유의 매칭 최적화도 필요하다.[46] 다양한 도펀트의 호스트 유리 수정을 통한 이터븀 도핑 유리 자체의 최적화는 유리의 배경 손실 감소, 섬유의 기울기 효율 향상 및 광 암화 성능 개선에 큰 역할을 하며, 이는 모두 1 μm 시스템의 출력 레벨 증가에 기여한다.
9. 주의할 점
이터븀은 알칼리 금속 원소들처럼 반응성이 그렇게 높지는 않으나 공기와 수분과 접촉하지 않게 질소처럼 비활성적인 기체가 들어있는 밀봉된 용기 안에 보관한다. 몇몇 이터븀 화합물은 인간의 눈과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분말 상태로는 자발적으로 발화할 수 있다. 대부분 금속 관련 화재처럼 이를 진화할 때 물을 사용하지 말고 금속 화재 전용 소화기를 사용해야 한다.[53] 모든 이터븀 화합물은 고도의 독성을 지닌 것으로 취급되지만, 연구 결과 위험성은 최소한인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터븀 화합물은 사람의 피부와 눈에 자극을 주며, 일부는 기형 유발성이 있을 수 있다.[54] 금속 이터븀 분말은 자연 발화될 수 있다.[55]
참조
[1]
서적
The Elements, in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2000
[2]
웹사이트
Magnetism of Rare Earth
http://www.irm.umn.e[...]
2000
[3]
논문
New First-Order Phase Transition in High-Purity Ytterbium Metal
[4]
논문
Combustion of Ytterbium Metal
[5]
웹사이트
Chemical reactions of Ytterbium
https://www.webeleme[...]
Webelements
2009-06-06
[6]
웹사이트
Nucleonica: Universal Nuclide Chart
http://www.nucleonic[...]
Nucleonica
2011-07-22
[7]
논문
Observation of New Isotopes in the Fragmentation of 198Pt at FRIB
2024
[8]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an A-Z guide to the element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9]
논문
Room-Temperature Diode-Pumped Yb:YAG laser
[10]
웹사이트
Mindat.org
https://www.mindat.o[...]
2018-04-07
[11]
논문
Optimization of Separation of Ytterbium and Lutetium by Displacement Complexing Chromatography
[12]
논문
Anion-Exchange Method for Separation of Ytterbium from Holmium and Erbium
[13]
서적
Handbook of Inorganic Chemical Compounds
https://books.google[...]
McGraw-Hill
2009-06-06
[14]
서적
Lehrbuch der Anorganischen Chemie
Walter de Gruyter
1985
[15]
논문
Decarboxylative Aldol Reactions of Allyl β-Keto Esters via Heterobimetallic Catalysis
[16]
논문
Ytterbium Trichloride-Catalyzed Allylation of Aldehydes with Allyltrimethylsilane
https://zenodo.org/r[...]
[17]
논문
Divalent Lanthanide Derivatives in Organic Synthesis. 1. Mild Preparation of Samarium Iodide and Ytterbium Iodide and Their Use as Reducing or Coupling Agents
[18]
서적
Encyclopedia of the elements: technical data, history, processing,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4
[19]
서적
Structural Inorganic Chemistry
Oxford Science Publications
1984
[20]
논문
On the nature of the energy gap in ytterbium dodecaboride YbB12
[21]
논문
Quantum oscillations of electrical resistivity in an insulator
[22]
논문
Ytterbium and terbium dodecaborides
https://digital.libr[...]
[23]
서적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https://archive.org/[...]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56
[24]
논문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XVI. The rare earth elements
1932-10
[25]
웹사이트
Ytterbium
https://www.rsc.org/[...]
2020-01-04
[26]
웹사이트
Separaton of Rare Earth Elements by Charles James
http://www.acs.org/c[...]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4-02-21
[27]
논문
Un nouvel élément, le lutécium, résultant du dédoublement de l'ytterbium de Marignac
http://gallica.bnf.f[...]
1908
[28]
논문
Lutetium und Neoytterbium oder Cassiopeium und Aldebaranium – Erwiderung auf den Artikel des Herrn Auer v. Welsbach
https://zenodo.org/r[...]
1909
[29]
논문
Die Zerlegung des Ytterbiums in seine Elemente
https://zenodo.org/r[...]
1908
[30]
뉴스
Rare-Earth Metals
http://minerals.usgs[...]
USGS
2009-06-06
[31]
서적
Industrial radiology: theory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5
[32]
뉴스
Ytterbium Atomic Clocks Set Record for Stability
https://www.nist.gov[...]
NIST
2013-08-22
[33]
웹사이트
New "pendulum" for the ytterbium clock
https://www.ptb.de/c[...]
2012-03-01
[34]
뉴스
NIST ytterbium atomic clocks set record for stability
http://phys.org/news[...]
2013-08-22
[35]
논문
Photonic Whispering-Gallery Resonations in New Environments
https://thesis.libra[...]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2012-12-21
[36]
논문
Broadband Radiation Source Based on an Ytterbium-Doped Fibre With Fibre-Length-Distributed Pumping
2004
[37]
논문
Single-mode solid-state laser with short wide unstable cavity
2005
[38]
논문
Einstein Relations Connecting Broadband Emission and Absorption Spectra
1964
[39]
서적
Erbium-Doped Fiber Amplifiers: Fundamentals and Theory
Academic press
1999
[40]
논문
Comment on Efficient diode-pumped Yb:Gd2SiO5 laser
2007
[41]
논문
Response to Comment on Efficient diode-pumped Yb:Gd2SiO5 laser
2007
[42]
논문
Measuring photodarkening from single-mode ytterbium doped silica fibers
2006
[43]
논문
Switching of Emissivity and Photoconductivity in Highly Doped Yb3+:Y2O3 and Lu2O3 Ceramics
2007
[44]
논문
Effect of Yb concentration on the resistivity and lifetime of CdTe:Ge:Yb codoped crystals
https://digital.csic[...]
2007
[45]
논문
Doped fibres: Rare-earth fibres power up
[46]
웹사이트
Fiber for Fiber Lasers: Matching Active and Passive Fibers Improves Fiber Laser Performance
http://www.laserfocu[...]
Laser Focus World
2012-01-01
[47]
논문
Manipulation and detection of a trapped Yb171+ hyperfine qubit
2007-11
[48]
웹사이트
Quantinuum Hardware
https://www.quantinu[...]
2023-05-21
[49]
웹사이트
IonQ Our Trapped Ion Technology
https://ionq.com/tec[...]
2023-05-21
[50]
논문
Entanglement of Atomic Qubits Using an Optical Frequency Comb
2010-04
[51]
서적
Extractive metallurgy of rare earth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4
[52]
논문
Metal-Fluorocarbon Pyrolants. XIV: High Density-High Performance Decoy Flare Compositions Based on Ytterbium/Polytetrafluoroethylene/Viton®
[53]
논문
Effect of the Alkali-Metal Cation on the Bonding Mode of 2,5-Dimethylpyrrole in Divalent Samarium and Ytterbium Complexes
https://figshare.com[...]
[54]
논문
The Embryotoxicity of Ytterbium Chloride in Golden Hamsters
1975
[55]
논문
High-Temperature Oxidation and Spontaneous Combustion of Rare-Earth Metal Powders
[56]
웹아카이브
Magnetism of Rare Earth
https://web.archive.[...]
2000
[57]
서적
元素111の新知識
講談社
1998
[58]
웹사이트
磁石を使った絶対零度近くへの冷やし方 ―量子的に揺れる微小磁石が実現する極低温冷却材「イッテルビウム磁性体」―|日本原子力研究開発機構:プレス発表
https://www.jaea.go.[...]
2024-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