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슈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슈트는 헝가리어로 "용광로" 또는 "오븐"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현재는 부다페스트의 일부를 지칭한다. 켈트족 정착지에서 시작하여 로마 시대에는 군사 캠프가 있었고, 중세에는 부다와는 별개의 경제 중심지로 발전했다. 1241년 몽골의 침략으로 파괴되었으나 재건되었으며, 18세기 이후 합스부르크 제국 시대에 중요성이 커졌다. 1838년 홍수로 큰 피해를 입었고, 1849년 세체니 다리가 건설되었다. 1873년 부다, 페슈트, 오부다가 통합되어 부다페스트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다페스트의 지리 - 머르기트섬
    머르기트섬은 헝가리 부다페스트에 있는 다뉴브강의 섬으로, 14세기 성 마가렛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역사적으로 여러 용도로 사용되다가 현재는 레크리에이션 장소로 활용된다.
  • 부다페스트의 지리 - 부더
    부다는 헝가리의 도시로, 한때 헝가리의 수도였으며 오스만 제국 점령 후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의해 재건, 자유 도시 선포를 거쳐 오부다, 페슈트와 통합되어 부다페스트가 되었다.
  • 부다페스트의 역사 - 허블레아니호 침몰 사고
    2019년 5월 29일 부다페스트 다뉴브 강에서 발생한 허블레아니호 침몰 사고는 바이킹 시긴호와 허블레아니호의 충돌로 한국인 관광객 33명을 포함한 35명의 탑승객 중 27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된 사고로, 바이킹 시긴호 선장은 중과실 혐의로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
  • 부다페스트의 역사 - 부더
    부다는 헝가리의 도시로, 한때 헝가리의 수도였으며 오스만 제국 점령 후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의해 재건, 자유 도시 선포를 거쳐 오부다, 페슈트와 통합되어 부다페스트가 되었다.
페슈트
위치 정보
개요
국가헝가리
위치부다페스트
설명부다페스트의 동쪽, 도나우 강 좌안에 위치한 지역이다. 역사적으로 독립된 도시였으며, 1873년 부다, Ó부다와 합쳐져 부다페스트가 되었다.
역사
기원켈트족과 로마의 정착지에서 유래
초기 역사아바르족과 슬라브족의 침략을 받음
9세기헝가리인들이 정착
1241년몽골의 침략으로 파괴
재건벨러 4세에 의해 재건
1541년 ~ 1686년오스만 제국의 지배
18세기부흥기를 맞음
1838년대홍수 발생
1849년헝가리 혁명의 중심지
1873년부다, Ó부다와 합병되어 부다페스트 형성
특징
지리적 특징평평한 지형
중심지데악 광장
주요 시설헝가리 국회의사당, 성 이슈트반 대성당, 국립 박물관, 페렌츠 리스트 광장
교통부다페스트 지하철 1, 2, 3호선
기타
관련 정보페슈트(Pest)라는 이름은 슬라브어 '페치(peč)'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오븐' 또는 '동굴'을 의미한다. 이 이름은 지역의 지형적 특징이나 역사적 사건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2. 어원

프톨레마이오스에 따르면, 이 정착지는 고대 시대에 "Pession"(콘트라-아킨쿰)이라고 불렸다. "Pest"라는 이름은 "용광로", "오븐"을 의미하는 슬라브어 단어(불가리아어 пещ|페슈트bg; 세르비아어 ; 크로아티아어 ''peć'')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으며, 이는 아마도 불이 타오르는 지역 동굴을 지칭하는 пещера|페슈테라bg( "동굴"을 의미)라는 단어와 관련이 있다.[1] "Pesth" 표기는 20세기 초까지도 영어에서 가끔 사용되었지만,[2] 현재는 고어체로 간주된다.

3. 역사



150px


페슈트는 켈트족 정착지로 시작하여 고대 로마 시대에는 콘트라 아퀸쿰이라는 요새화된 캠프로 발전했다. 중세 시대에는 부다와는 별개의 독립적인 도시로 성장하여 11~13세기 동안 중요한 경제 중심지가 되었다. 최초의 문서 기록은 1148년에 나타나며, 1241년 헝가리에 대한 몽골의 침략으로 파괴되었다가 재건되었다. 15세기에는 주로 헝가리인이 거주했으나, 도나우강 건너편 부다독일인이 다수였다.[4]

18세기 중반부터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지배 아래 페슈트는 평야 지대의 이점을 바탕으로 중요성이 커졌다. 1848년 혁명을 거치며 수도가 포조니에서 페슈트로 이전되었고, 이때부터 부다와 페슈트는 하나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세기까지 도나우강의 범람으로 여러 차례 침수 피해를 겪었다.[6] 1838년 대홍수로 도시 대부분이 파괴되기도 했다.[5]

오늘날에도 헝가리에서는 부다페스트 전체를 "페슈트"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3. 1. 고대

1686년 부다와 페슈트 전경


페슈트는 원래 켈트족 정착지였으며, 이후 고대 로마 시대에 아퀴쿰의 군사 국경 캠프 건너편에 세워진 요새화된 캠프(콘트라-아퀸쿰)였다.[3] 원래 로마 캠프의 잔해는 마르키우스 15. 광장에서 여전히 볼 수 있다.

3. 2. 중세

페슈트는 켈트족 정착지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고대 로마 시대에 아퀴쿰 군사 국경 캠프 건너편에 세워진 요새화된 캠프(콘트라-아퀴쿰)였다. 원래 로마 캠프의 잔해는 마르키우스 15. 광장에서 여전히 볼 수 있다.

중세 시대에 페슈트는 부다/오부다와는 별개의 독립적인 도시였으며, 11~13세기 동안 중요한 경제 중심지가 되었다. 최초의 문서 기록은 114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241년 헝가리에 대한 몽골의 침략 때 파괴되었지만, 그 직후 재건되었다.

15세기에 페슈트는 주로 헝가리인이 거주하였지만, 도나우강 건너편의 부다독일인이 다수였다.[4]

3. 3. 근대

1830년에 출판된 1758년 페슈트 지도. 도시 외곽에는 오늘날 키슈쾨루트의 거울인 시골길이 있었는데, 1880년에 완공되었으며, 데아크 페렌츠 광장과 포바움 광장 지하철역 사이의 원형 아크를 형성한다.


18세기 중반 합스부르크 군주국(오스트리아)의 지배가 안정되면서, 평야부에 위치하여 확장이 용이했던 페슈트의 중요성이 증대되었다.[6] 1848년 혁명 때 포조니(브라티슬라바)에서 페슈트로 수도가 이전되었으며, 이 시기부터 부다와 페슈트는 페슈트-부다로 일체로 인식되기 시작했다.[6]

1838년 페슈트는 도나우강의 홍수로 큰 피해를 입었다. 도시 건물의 4분의 3이 파괴되거나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일부 지역은 최대 8피트 깊이의 물에 잠겼다.[5] 1849년에는 페슈트와 부다를 연결하는 최초의 현수교인 세체니 다리가 도나우강을 가로질러 건설되었다.

3. 4. 부다페스트 통합



1849년 도나우강을 가로질러 페슈트와 부다를 연결하는 최초의 현수교인 세체니 다리가 건설되었다.[5] 이후 1873년 부다, 페슈트, 오부다가 통합되어 부다페스트가 되었다.

1873년 11월 17일 부다, 페슈트, 부다 북부의 마을 오부다가 합병하여 부다페스트가 성립되었다.[6]

4. 주요 인물


  • 텔레키 라슬로 (1811–1861): 헝가리의 작가, 정치가이자 마술사였다. 헝가리 사회민주당의 주요 인물 중 하나로, 헝가리 독립과 민주주의를 위해 헌신했다.
  • 헨리크 베버 (1818–1866): 헝가리의 화가였다.
  • 테오도어 헤르츨 (1860–1904):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유대인 기자, 작가이자 정치적 시온주의 운동의 창시자였다.
  • 해리 후디니 (1874–1926): 헝가리 출신의 미국 마술사, 환술사이자 탈출 마술 공연가였다.
  • 프란츠 라우슈 (1792-1877): 피아노 제작자였다.

참조

[1] 서적 Placenam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2] 웹사이트 Pesth (part of modern-day Budapest), Hungary https://www.1902ency[...]
[3] 서적 Pest-Buda, Budapest szimbólumai Budapest Főváros Levéltára
[4] 웹사이트 Budapest http://www.mek.iif.h[...] 2009-11-03
[5] 서적 The Once and Future Budapest https://archive.org/[...]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005
[6] 서적 CROWN PLUS English Series Level3 三省堂 2005-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