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다는 1361년부터 1541년까지 헝가리의 수도였으며, 1873년 오부다와 페슈트와 통합되어 부다페스트가 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헝가리의 수도였으며, 오스만 제국 지배와 합스부르크 시대를 거치면서 다양한 민족 구성과 인구 변화를 겪었다. 주요 인물로는 헝가리의 루이 2세, 이그나츠 필립 젬멜바이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다페스트의 지리 - 머르기트섬
머르기트섬은 헝가리 부다페스트에 있는 다뉴브강의 섬으로, 14세기 성 마가렛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역사적으로 여러 용도로 사용되다가 현재는 레크리에이션 장소로 활용된다. - 부다페스트의 지리 - 페슈트
페슈트는 켈트족 정착지에서 시작하여 로마 시대 요새화된 캠프가 있던 헝가리 도시로, 중세 시대에는 부다와 별개로 경제 중심지였으나 부다, 오부다와 통합되어 부다페스트가 되었고, 헝가리 독립운동의 중심지였으며 현재도 부다페스트 전체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쓰인다. - 부다페스트의 역사 - 허블레아니호 침몰 사고
2019년 5월 29일 부다페스트 다뉴브 강에서 발생한 허블레아니호 침몰 사고는 바이킹 시긴호와 허블레아니호의 충돌로 한국인 관광객 33명을 포함한 35명의 탑승객 중 27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된 사고로, 바이킹 시긴호 선장은 중과실 혐의로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 - 부다페스트의 역사 - 푸슈카시 페렌츠 슈터디온
푸슈카시 페렌츠 슈터디온은 1953년 부다페스트에 개장하여 축구 경기장 및 공연장으로 사용되다 2014년 폐쇄 후 재건축되어 현재는 푸슈카시 아레나로 운영 중인 다목적 경기장이다.
| 부더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공식 명칭 | 부더 (Buda) |
| 별칭 | 오펜 (Ofen, 독일어), 부딤 (Budim, 슬라브어) |
| 위치 | 헝가리 왕국의 수도 |
| 역사 | |
| 건립 | 고대 로마 시대 |
| 초기 역사 | 켈트족 정착지, 로마 도시 아쿠인쿰의 일부 |
| 중세 시대 | 1241년 몽골 제국의 침략 이후 벨러 4세에 의해 재건, 왕궁 건설 |
| 수도 | 1361년 헝가리 왕국의 수도로 지정 |
| 통합 | 1873년 페스트, 오부다와 통합되어 부다페스트 형성 |
| 지리 | |
| 위치 | 다뉴브 강 서안, 언덕 지형 |
| 주요 지역 | 부다 성 (Várhegy, Castle Hill) |
| 기타 | |
| 관련 용어 | 부다페스트 |
2. 역사

부다는 1361년부터 1541년 오스만 제국에 점령당할 때까지 헝가리의 수도였다. 1536년에 포조니(현재 슬로바키아의 수도 브라티슬라바)가 헝가리의 새로운 수도가 되었다. 1686년 대튀르크 전쟁에서 합스부르크 군주국(오스트리아)군에 의해 점령되었지만, 전쟁으로 황폐해져 도시로의 재이주를 촉진하기 위해 많은 독일인들이 이주해왔다. 부다는 1703년에 자유 도시로 선포되었고, 1784년에 다시 헝가리의 수도가 되었다. 1873년에 오부다와 페스트와 통합되어 부다페스트가 되었다.
2. 1. 중세
부다는 1361년부터 1541년 오스만 제국에 점령당하기 전까지 헝가리의 수도였다. 1536년에 포조니(현재 슬로바키아의 수도 브라티슬라바)가 헝가리의 새로운 수도가 되었다. 1686년 대튀르크 전쟁에서 합스부르크 군주국(오스트리아)군에 의해 점령되었지만, 전쟁으로 황폐해져 도시로의 재이주를 촉진하기 위해 많은 독일인들이 이주해왔다. 부다는 1703년에 자유 도시로 선포되었고, 1784년에 다시 헝가리의 수도가 되었다. 1873년에 오부다와 페스트와 통합되어 부다페스트가 되었다.
2. 1. 1. 명칭의 유래
중세 연대기 기록에 따르면 "부다"라는 이름은 훈족 지도자 아틸라의 형제인 블레다(Budahu)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전설이 있다.칼트의 마르크의 ''삽화 연대기''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2]
> 아틸라는 파노니아의 시캄브리아 도시로 가서 그의 형제 부다를 죽이고 시체를 다뉴브 강에 던졌다. 아틸라가 서쪽에 있는 동안 그의 형제는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경계를 넘었는데, 그는 자신의 이름을 따서 시캄브리아를 부다의 성이라고 불렀다. 그리고 아틸라 왕이 훈족과 다른 민족들에게 그 도시를 부다의 성이라고 부르는 것을 금했지만, 그는 그것을 아틸라의 수도라고 불렀다. 그러나 금지에 놀란 게르만인들은 그 도시를 에칠부르크(아틸라 성이라는 뜻)라고 불렀지만, 헝가리인들은 그 금지에 개의치 않고 오부다(옛 부다)라고 부르며 오늘날까지 그렇게 부른다.
아노니무스의 ''헝가리 역사''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3]
> 스키타이는 분명 고대 민족이며, 앞서 말했듯이 스키타이의 힘은 동쪽에 있다. 그리고 스키타이의 첫 번째 왕은 야페트의 아들 마고그였으며, 그의 백성은 그들의 왕 마고그의 이름을 따서 마자르(헝가리인)라고 불렸다. 그 왕가에서 가장 유명하고 강력한 왕 아틸라가 나왔는데, 그는 주후 451년에 스키타이에서 내려와 강력한 군대를 이끌고 파노니아에 들어가 로마인들을 물리치고 왕국을 차지하여 온천 위 다뉴브 강가에 왕궁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는 거기서 발견한 모든 낡은 건물들을 복원하도록 명령했고, 헝가리어로 부다바르(부다 성)라고 불리고 게르만인들에게는 에첼부르크(아틸라 성)라고 불리는 원형의 매우 견고한 성벽으로 둘러싸도록 지었다.
2. 2. 오스만 제국 지배 시기
1361년부터 오스만 제국에 점령당한 1541년까지 헝가리의 수도였다. 1536년에 포조니(현재 슬로바키아의 수도 브라티슬라바)가 헝가리의 새로운 수도가 되었다.[1] 1686년 대튀르크 전쟁에서 합스부르크 군주국(오스트리아)군에 의해 점령되었지만, 전쟁으로 황폐해졌기 때문에 도시로의 재이주를 촉진하기 위해 많은 독일인들이 이주해왔다.[1]2. 3. 합스부르크 시대와 부다페스트 통합
부다는 1361년부터 오스만 제국에 점령당한 1541년까지 헝가리의 수도였다.[1] 1536년에 포조니(현재 슬로바키아의 수도 브라티슬라바)가 헝가리의 새로운 수도가 되었다.[1] 1686년 대터키 전쟁에서 합스부르크 군주국(오스트리아)군에 의해 점령되었지만, 전쟁으로 황폐해졌기 때문에 도시로의 재이주를 촉진하기 위해 많은 독일인들이 이주해왔다.[1] 부다는 1703년에 자유 도시로 선포되었고,[1] 1784년에 다시 헝가리의 수도가 되었다.[1] 1873년에 오부다와 페슈트와 통합되어 부다페스트가 되었다.[1]3. 인구 구성
부다는 시대에 따라 다양한 민족 구성의 변화를 겪었다. 15세기에는 페슈트가 대부분 헝가리인으로 구성된 반면, 부다는 독일인이 다수였다.[6] 그러나 1495년 헝가리 왕실 재무부 기록에 따르면 헝가리인이 다수였고, 독일인 소수 민족도 상당한 규모로 존재했다.[7]
오스만 지배 시기(1541년~1686년)에는 발칸 반도에서 유입된 무슬림이 다수를 차지하기도 했다.[9] 1686년 부다 포위 공격 이후에는 독일 남부 지역에서 이주해온 독일인들이 헝가리인과 세르비아인들을 대체하거나 동화시키면서 다시 독일인이 다수가 되었다.[6] 19세기에 농촌 인구가 부다로 이동하면서 헝가리인들이 점차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3. 1. 중세-근세 인구 변화
15세기 페슈트는 대부분 헝가리인으로 구성되었지만, 부다는 독일인이 다수였다.[6] 헝가리 왕실 재무부 기록에 따르면 1495년에는 헝가리인이 다수였고 독일인 소수 민족이 있었다.[7] 1432년 베르트랑동 드 라 브로키에르는 부다가 "치안, 상업, 다양한 직업과 관련하여 독일인에 의해 통치된다"고 기록했다. 그는 프랑스어에 능통한 유대인 인구가 상당수 있었으며, 이들 중 많은 수가 프랑스에서 추방된 유대인들의 후손이라고 언급했다.[8]
부다는 1541년부터 1686년까지 오스만의 지배를 받았으며, 부딘 주의 수도였다. 17세기 중반까지 부다는 발칸 지역에서 유입된 무슬림이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9]
1686년 부다 포위 공격에서 신성 동맹 군대가 부다를 재정복했다. 이 군대는 독일인, 네덜란드인, 헝가리인, 영국인, 스페인인, 체코인, 프랑스인, 크로아티아인, 부르고뉴인, 덴마크인, 스웨덴인 등 74,000명 이상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부다 재정복 후, 남부 독일 여러 지역의 부르주아들이 이주했다. 이들은 자신의 언어를 고수하면서 헝가리인과 세르비아인들을 부분적으로 몰아내고 동화했다.[6] 19세기에 농촌 인구가 부다로 이동하면서 헝가리인들이 점차 다수가 되었다.
1715년 자료에 따르면 부다 주민의 주택은 1,539채였으며, 그중 769채가 남슬라브인(대부분 세르비아인), 701채가 독일인, 68채가 헝가리인이었다.[15] 1720년 자료에 따르면 주택은 1,468채에 인구 약 3만 명이었으며, 그중 851채가 독일인, 559채가 남슬라브인(대부분 세르비아인), 68채가 헝가리인, 5채가 슬로바키아인이었다.[16]
3. 2. 오스만 제국 시기 인구 변화
부다는 1541년부터 1686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부딘 주의 수도였습니다. 17세기 중반까지 부다는 주로 발칸 반도에서 이주해온 무슬림이 다수를 차지했습니다.[9]
1686년, 부다 포위 공격으로 신성 동맹 군대가 부다를 재정복한 후, 독일 남부 여러 지역의 부르주아들이 이주해 오면서 인구 구성이 변화했습니다. 독일인들은 자신의 언어를 고수하면서 헝가리인과 세르비아인들을 부분적으로 몰아내거나 동화시켰습니다.[6] 19세기에 농촌 인구가 부다로 이동하면서 헝가리인들이 점차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1715년과 1720년 자료를 통해 부다의 인구 변화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연도 | 총 주택 수 | 독일인 주택 수 | 남슬라브인 (대부분 세르비아인) 주택 수 | 헝가리인 주택 수 | 기타 |
|---|---|---|---|---|---|
| 1715년 | 1,539채 | 701채 | 769채 | 68채 | - |
| 1720년 | 1,468채 | 851채 | 559채 | 68채 | 슬로바키아인 5채 |
3. 3. 19세기 이후 인구 변화
15세기 페슈트는 대부분 헝가리인으로 구성되었지만, 부다는 독일인이 다수였다.[6] 헝가리 왕실 재무부 자료에 따르면 1495년에는 헝가리인이 다수였고, 독일인 소수 민족도 상당수 있었다.[7]1686년 부다 재정복 후, 남부 독일 여러 지역의 부르주아들이 황폐해진 도시로 이주했다. 이들은 자신의 언어를 고수하며 헝가리인과 세르비아인을 부분적으로 몰아내거나 동화시켰다.[6] 19세기에 농촌 인구가 부다로 이동하면서 헝가리인이 점차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1715년과 1720년 자료를 통해 부다의 인구 구성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 연도 | 총 주택 수 | 독일인 주택 수 | 남슬라브인 (대부분 세르비아인) 주택 수 | 헝가리인 주택 수 | 기타 |
|---|---|---|---|---|---|
| 1715년 | 1,539채 | 701채 | 769채 | 68채 | - |
| 1720년 | 1,468채 | 851채 | 559채 | 68채 | 슬로바키아인 5채 |
4. 주요 인물
- 헝가리의 앤드류 3세 (약 1265년–1301년): 1290년부터 1301년까지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국왕이었으며, 부다의 프란체스코 수도원인 그레이프라이어스 교회에 묻혔다.
- 폴란드의 야드비가 (약 1373년–1399년): 부다에서 태어났으며, 폴란드 왕국의 첫 여성 군주였다.
- 코르비누스 요한 (1473년–1504년): 헝가리 국왕 마티아스 코르비누스와 그의 정부 바르바라 에델포크의 사생아였다.[10]
- 헝가리의 루이 2세 (1506년–1526년): 1516년부터 1526년까지 헝가리, 크로아티아, 보헤미아의 국왕이었다.[11]

헝가리 왕 루이 2세 초상화 (약 1526년) - 부다의 아론 벤 조셉 (약 1686년): 시인이었다.
- 미하일 G. 보이아기 (1780년 – 약 1842년): 아르마니아인 문법학자이자 교수였다.
- 라슬로 살라이 (1813년–1864년): 헝가리의 정치가이자 역사가였다.[12]
- 요제프 외트뵈시 (1813년–1871년): 헝가리의 작가이자 정치가였다.[13]
- 이그나츠 필립 젬멜바이스 (1818년–1865년): 헝가리의 의사이자 과학자였다. 초기 소독 절차의 선구자로, 의사들이 손 소독을 시작해야 한다고 제안했다.[14]
- 코르넬리예 스탄코비치 (1831년–1865년): 저명한 세르비아 작곡가로, 부다에서 태어나 사망했다.
- 에드문트 하울러 (1859년–1941년): 고전학자이자 언어학자였다.
5. 자매 도시
6. 갤러리
참조
[1]
문서
Budim/Будим
[2]
웹사이트
Mark of Kalt: Chronicon Pictum
https://mek.oszk.hu/[...]
[3]
웹사이트
Anonymus, Notary of King Béla: The Deeds of the Hungarians
https://discovery.uc[...]
[4]
서적
Pest-Buda, Budapest szimbólumai
Budapest Főváros Levéltára
[5]
백과사전
Budapest
[6]
웹사이트
Budapest
http://www.mek.iif.h[...]
2009-11-03
[7]
간행물
Etnikai térfolyamatok a Kárpát-medence határon túli régióiban
["Magyar Tudományos Akadémia", "Földrajtudományi Kutatóintézet"]
[8]
서적
A mission to the medieval Middle East: the travels of Bertrandon de la Brocquière to Jerusalem and Constantinople
I.B. Tauris
[9]
서적
An Economic and Social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1300–191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백과사전
Corvinus, János
[11]
백과사전
Louis II. of Hungary
[12]
백과사전
Szalay, Ladislas
[13]
백과사전
Eötvös, József, Baron
[14]
백과사전
Semmelweiss, Ignatz Philipp
[15]
서적
Srbi u Vojvodini
[16]
서적
Srbi u Vojvodi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