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이퍼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이퍼백은 19세기 초 증기 동력 인쇄 기술 발전과 철도망의 확충으로 저렴하게 대량 생산되어 유통된 종이 표지 책을 의미한다. 1930년대 알바트로스 북스와 펭귄 북스에 의해 20세기 대중 시장 페이퍼백 형식이 정립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대 보급을 통해 널리 보급되었다. 이후 페이퍼백 오리지널 출판이 시작되었고, 매스 마켓 페이퍼백, 트레이드 페이퍼백, 편의점 코믹스 등 다양한 종류로 발전했다.

2. 역사

18세기까지 서적의 표지양피지를 사용한 두껍고 호화로운 장식이 있는 하드커버였다. 19세기, 제지 공업과 인쇄 기술의 발달로 페이퍼 커버 형태의 저렴한 서적이 등장했다. 1930년대에는 본격적인 대중 시장용 페이퍼백 출판사가 잇따라 설립되어 "'''페이퍼백 혁명'''"이라 불릴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독일의 알바트로스 북스, 영국의 펭귄 북스, 미국의 포켓 북스가 대표적이다.

1940년대 이전에는 출판사와 서점들이 양장본을 선호했다. 양장본은 디자인이 멋지고 소장하기 좋다는 점 외에도 페이퍼백보다 평균 10배 정도 비싸 더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양장본 제본에 사용되는 목면이 군용 위장망으로 쓰이면서 소비가 제한되었다. 포켓북스 출판사는 서점뿐만 아니라 약국, 소매점 등에서 페이퍼백을 판매하여 수익을 올리는 전략을 펼쳤다. 같은 종이로 더 많은 책을 만들 수 있다는 점과 전시 물자 부족 상황에서 양장본을 선호하던 사람들도 페이퍼백을 대안으로 인정하게 되면서, 1939년 20만 권 미만이던 페이퍼백 판매량은 1943년에 4000만 권을 넘어서며 주요 제본 방식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39]

페이퍼백 소설 더미
페이퍼백 소설 더미


페이퍼백의 보급에는 진중문고를 미군에 보급하는 기부 운동도 영향을 주었다. 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25년간 평화를 유지하다 나치 독일의 위협에 직면하여 갑작스럽게 많은 수의 병사를 훈련시켜야 했다. 훈련과 엄격한 영내 생활에 지친 병사들에게 즐거움과 오락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도 있었다.[40] 한정된 자원으로 음악과 운동이 어느 정도 오락을 제공했지만, 대부분의 미군 병사들은 자유 시간에 혼자 편지를 쓰거나, 독서를 하거나, 영화나 라디오를 시청하는 등 독립적인 활동을 선호했다.[40] 이에 대한 대안으로 진중도서 1천만 권을 모으는 것을 목표로 한 미국의 승리 도서 캠페인이 진행되어 1942년 목표를 달성했다.[41] 그러나 이렇게 모인 양장본은 무거워 보병이 전투에 휴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42] 1943년 승리 도서 캠페인이 부진해지자, 군 예산을 들여 책을 구매하게 되었고, 많은 도서를 구비하기 위해 가격이 저렴한 페이퍼백을 대량 구매했다. 이는 미국 출판 시장에서 페이퍼백이 주요 제본 방식으로 자리 잡는 데 기여했다.[43]

1950년대에는 트레이드 페이퍼백이 등장했다.

2. 1. 19세기: 초기 페이퍼백의 등장

19세기 초, 증기 동력 인쇄기, 펄프 공장, 자동 조판, 철도망의 발달로 인쇄, 출판 및 도서 유통 과정이 혁신되었다.[4] 이러한 혁신을 통해 심스 앤 맥킨타이어 (벨파스트 소재)[5], 루틀리지 (1836년 설립), 워드 록 앤 컴퍼니 (1854년 설립)와 같은 회사들은 기존 작품의 저렴하고 균일한 옐로백 또는 페이퍼백 판을 대량 생산하여 영국 제도 전역에 유통하고 판매할 수 있게 되었다. 주로 영국 도시의 대부분의 기차역에서 발견되는 W. H. 스미스 & 손즈의 신문 판매점을 통해 이루어졌다.[6] 이 종이 표지 책들은 과거 책값의 일부 가격으로 판매되었고, 크기가 더 작았으며(110mm),[2] 철도 여행객을 대상으로 했다.[6] 루틀리지의 레일웨이 라이브러리 시리즈 페이퍼백은 1898년까지 출판되었으며, 여행객들에게 1,277개의 고유한 타이틀을 제공했다.[7]

유럽 대륙 시장에서도 저렴한 종이 표지 책의 예시를 지원했다. 베른하르트 타우흐니츠는 1841년에 영국 및 미국 작가 컬렉션을 시작했다.[8] 이러한 저렴한 종이 표지 판은 대량 판매 페이퍼백의 직접적인 전신이었으며, 결국 5,000권이 넘게 출판되었다. 레클람은 1857년 10월부터 이 형식으로 셰익스피어를 출판했으며,[9] 1867년 11월 10일부터 대량 시장 페이퍼백인 ''Universal-Bibliothek'' 시리즈를 개척했다.[10]

2. 2. 20세기 초: 페이퍼백 혁명

1935년, 영국 출판사 앨런 레인은 자신의 자본을 투자하여 펭귄 북스를 설립하고, 10권의 재출간 도서를 발행하며 영어권 도서 시장에 페이퍼백 혁명을 일으켰다.[11][12] 펭귄 북스는 알바트로스 북스의 혁신적인 요소들을 많이 채택했는데, 여기에는 표준화된 크기, 새로운 산세리프 글꼴, 로고와 글자만 사용한 표지, 장르별 색상 구분 등이 포함되었다. 펭귄 북스 목록에 처음으로 포함된 책은 앙드레 모루아의 ''아리엘''이었다.[13]

1936 펭귄 북. 일반 소설용으로 주황색과 흰색으로 색상 코딩


레인은 저렴한 가격의 책을 만들고자 했다. 출판사로부터 페이퍼백 판권을 구매하고, 낮은 단가를 유지하기 위해 대량 출판 부수(Edition (book)#Print run|인쇄) (당시 기준 2만 부)를 주문했으며, 기존 서점 외의 소매점도 활용했다. 처음에는 서점들이 펭귄 북스 구매를 꺼렸지만, 울워스에서 대량 주문을 하자 판매량이 급증했다. 이후 서점들도 페이퍼백을 적극적으로 취급하게 되었고, "펭귄"이라는 이름은 영국에서 "페이퍼백"과 거의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정도였다.

미국에서는 1939년 로버트 드 그래프가 포켓 북스를 설립하고 사이먼 & 슈스터와 협력하여 유사한 재출간 도서들을 발행했다.[14] 북미에서 "포켓 북"이라는 용어는 페이퍼백과 동의어가 되었다. (프랑스에서는 "포켓 북"을 의미하는 ''livre de poche''라는 용어가 사용되었고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 드 그래프는 레인과 마찬가지로 다른 출판사로부터 페이퍼백 판권을 협상하고 대량 생산을 했다. 그는 북미 시장에 맞춰 삽화가 있는 표지를 채택했으며, 레인보다 더 넓은 시장에 접근하기 위해 신문 및 잡지 유통망을 활용하여 책을 배포했다.[14]

제2차 세계 대전은 페이퍼백 시장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군은 병사들에게 약 1억 2,200만 권의 "군대판"(Armed Services Editions) 페이퍼백 소설을 배포했다.[21] 전쟁 후, 전역 군인들이 페이퍼백에 익숙해지면서 그 형식이 대중화되었다.[22]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페이퍼백의 확산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양장본 제본에 필요한 목면이 군용 위장망 제작에 사용되어 생산이 제한되었다. 이에 따라 같은 양의 종이로 더 많은 책을 만들 수 있는 페이퍼백이 대안으로 떠올랐다. 전시 물자 부족을 겪던 사람들도 페이퍼백을 인정하게 되면서, 1939년 20만 권 미만이던 페이퍼백 판매량은 1943년에 4000만 권을 넘어서는 등 주요 제본 방식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39]

미군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25년간 평화를 유지하다가 나치 독일의 위협에 직면했다. 갑작스럽게 많은 병력을 훈련시켜야 했고, 훈련과 엄격한 생활에 지친 병사들에게 오락거리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도 생겼다. 음악과 운동이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지만, 대부분의 미군 병사들은 자유 시간에 혼자 편지를 쓰거나, 독서를 하거나, 영화나 라디오를 시청하는 등 독립적인 활동을 선호했다.[40]

이에 미국에서는 진중문고 1천만 권을 모으는 것을 목표로 한 승리 도서 캠페인이 진행되었고, 1942년에 목표를 달성했다.[41] 그러나 이렇게 모인 양장본은 무거워서 보병들이 전투에 휴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42] 1943년 승리 도서 캠페인이 부진해지자, 미군 당국은 예산을 투입하여 책을 구매하게 되었고, 많은 책을 확보하기 위해 가격이 저렴한 페이퍼백을 대량 구매했다. 이는 미국 출판 시장에서 페이퍼백이 주요 제본 방식 중 하나로 자리 잡는 데 크게 기여했다.[43]

2. 4. 1950년대 이후: 페이퍼백 오리지널의 등장

1950년대에 들어서면서 하드커버 출판사의 자회사가 트레이드 페이퍼백 출판을 시작했다. 포켓 북스(Pocket Books)에 이어 미국 펭귄 북스(Penguin Books), 밴텀 북스(Bantam Books), 밸런타인 북스(Ballantine Books) 등 다양한 회사가 설립되었다.[36]

2. 5. 한국에서의 페이퍼백


  • 1938년, 서구권의 페이퍼백을 참고하여 이와나미 신서가 페이퍼백 형태로 창간되었다. 그러나 1982년부터는 다른 회사의 신서와 마찬가지로 표지가 씌워진 형태로 바뀌었다.
  • 1970년 1월, 쇼가쿠칸에서 '별책 빅 코믹 특집 고르고 13 시리즈'의 제1집이 B6 페이퍼백 형태로 발매되었다. B6 호치질에 표지가 없으며, 재판되지 않았다. 이른바 편의점 코믹의 원조이다. 이 시리즈는 현재도 같은 형태로 간행되고 있다.
  • 1979년 9월 20일, 최초의 일본어판 하레퀸 로맨스가 발매되었다. 초기에는 재킷(겉표지)이 있었지만, 이후 페이퍼백 형태로 변경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 1999년 7월부터 페이퍼백 형태의 편의점 코믹이 대량으로 간행되기 시작했다.
  • 2002년 11월, 고분샤가 '고분샤 페이퍼백스'를 출범시켰다.
  • 요센샤에서도 페이퍼백 시리즈가 간행되기 시작했다.
  • 2015년 5월, 쇼가쿠칸이 복간 서적만 취급하는 새로운 레이블 'P+D BOOKS'를 출범시켰다. B6 페이퍼백 형태로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36].


또한, '아마존 온 디맨드'와 같은 온디맨드(주문형) 방식의 책은 페이퍼백으로 제공된다.

덧붙여, 고단샤의 블루 백스는 페이퍼백 형태와 같은 이미지를 주지만, 표지가 씌워져 있다.

3. 제본 방식

페이퍼백은 제작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풀로 등을 붙이는 무선철, 잡지 등에서 볼 수 있는 철사로 묶는 평철 또는 중철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1]

4. 종류

페이퍼백은 크기와 내용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 매스 마켓 페이퍼백은 저렴한 가격의 소형 페이퍼백으로, 주로 하드커버의 재판본으로 출판된다.
  • 트레이드 페이퍼백은 중형 또는 대형 크기의 페이퍼백으로, 하드커버보다 저렴하고 매스 마켓 페이퍼백보다는 비싸다.
  • 편의점 코믹스는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염가판 페이퍼백으로, 과거 인기 만화 등을 재판하는 경우가 많다.


4. 1. 매스 마켓 페이퍼백 (Mass-market paperback)

저렴한 가격의 소형 페이퍼백으로, 하드커버의 재판본으로 시작되었다. 판형으로는 영국의 A-format(110mm×178mm)과 거의 같은 크기의 미국의 Pocketbook(약 10.79cm×약 17.78cm, 약 114mm×178mm)을 가리킨다.

미국에서는 1960년대까지 신문이나 잡지와 같은 취급을 받아 뉴스 가판대나 드럭스토어에서 판매되었다. 1970년대, 대형 체인 서점이 적극적으로 취급하면서 일반적인 소매 서점에서도 판매되게 되었다.

4. 2. 트레이드 페이퍼백 (Trade paperback)

트레이드 페이퍼백은 중형 또는 대형 크기의 페이퍼백을 말한다. 미국에서는 그 정의가 명확하지 않지만, 대략 140mm × 216mm에서 152mm × 229mm 사이의 책을 가리킨다. 영국에서는 C-포맷이라고 부르며, 하드커버와 같은 크기인 135mm × 216mm의 페이퍼백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하드커버(트레이드 북)의 소프트커버 버전으로 나오는 신작이 많다. 하드커버보다는 가격이 저렴하고, 매스 마켓 페이퍼백보다는 비싸다.

195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더블데이의 앵커 북스가 유명하다. 앵커 북스는 페이퍼백이 일반적인 소매 서점에서 판매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트레이드 페이퍼백은 여러 호의 만화 시리즈를 한 권으로 묶어 재발행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보통 중요한 스토리라인이나 전체 시리즈를 묶어서 출판하며, "트레이드 페이퍼백"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재발행 자료 모음과 같은 의미로 쓰이게 되었다. 그래픽 노블도 트레이드 페이퍼백 형태로 인쇄될 수 있다. 출판사는 때때로 인기 있는 컬렉션을 먼저 하드커버로 출시한 후 몇 달 뒤에 트레이드 페이퍼백을 출시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마블 코믹스의 ''시크릿 워''와 DC 코믹스의 ''와치맨''이 있다.

일본 만화단행본으로 묶일 때 트레이드 사이즈와 거의 같은 ''탄코본'' 형태로 출판된다. 가장 흔한 크기는 일본 B6 (128mm × 182mm) 및 ISO A5 (148mm × 210mm)이다.

4. 2. 1. B-format

영국의 판형 중 하나로, 130mm × 198mm이며, A-format과 C-format의 중간 크기이다. 인치로 환산하면 약 약 13.00cm × 약 19.81cm이며, 미국에서는 트레이드 페이퍼백으로 간주된다.[37]

4. 3. 편의점 코믹스

편의점에서 만화의 과거 인기작 등을 페이퍼백 사양의 염가판으로 재판하는 경우가 매우 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편의점 코믹스라고 불린다.[36] 1970년 1월, 쇼가쿠칸에서 '별책 빅 코믹 특집 고르고 13 시리즈' 제1집이 B6 페이퍼백 사양으로 발매되었다. B6 호치질에 표지가 없으며, 증쇄도 되지 않은 편의점 코믹의 원조이다. 이 시리즈는 현재도 같은 형태로 간행되고 있다. 1999년 7월부터 페이퍼백 사양의 편의점 코믹 대량 간행이 시작되었다.

5. 주요 페이퍼백 출판사


  • 에이스 북스
  • 에이번
  • 베인 북스
  • 발렌타인 북스
  • 밴텀
  • 버클리 북스
  • 벨몬트 북스
  • 블랙 라이브러리
  • DAW 북스
  • 델 북스
  • 도버 출판
  • 포셋/골드 메달
  • 할리퀸 엔터프라이즈
  • 하퍼콜린스
  • 랜서 북스
  • 맥밀란 출판사
  • 미드우드 북스
  • 페이퍼백 라이브러리
  • 펭귄 북스
  • 포켓 북스
  • 파퓰러 라이브러리
  • 피라미드 북스
  • 랜덤 하우스
  • 스콜라스틱 코퍼레이션
  • 타워 출판
  • 빈티지 북스
  • 빈티지 범죄/블랙 리자드
  • 제브라 북스

6. 더불어민주당과 관련된 인물/사건 (선택적 추가)

주어진 원본 소스에 더불어민주당과 관련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비워 둡니다.

참조

[1] 문서 Tauchnitz editions
[2] 뉴스 Why Size Matters http://books.guardia[...] The Guardian 2006-11-16
[3] 서적 Wuthering Heights Pocket Books 1939
[4] 웹사이트 Aspects of the Victorian book https://www.bl.uk/co[...]
[5] 웹사이트 Yellowbacks: I https://www.bl.uk/co[...]
[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Book in Britain 1830–1914
[7] 웹사이트 Photographically Illustrated Books: XI https://www.bl.uk/co[...]
[8] 웹사이트 Collection of British and American Authors (Tauchnitz) - Book Series List (Buchreihe) https://www.publishi[...] 2021-04-18
[9] 서적 La Réception de Shakespeare en Allemagne De 1815 À 1850: Propagation Et Assimilation de la Référence Étrangère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13-02-17
[10] 서적 History of Reading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013-02-17
[11] 간행물 Albatross https://www.modernis[...] 2019-12-17
[12] 간행물 The Surprising History of Penguin Predecessor, the Albatross Press https://www.finebook[...] OP Media, LLC 2019-12-17
[13] 논문 The Return of the Publisher to Book History: The Case of Allen Lane 2015-10-10
[14] 서적 Another life: a memoir of other people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1999
[15] 간행물 How the Paperback Novel Changed Popular Literature https://www.smithson[...] 2024-04-02
[16] 뉴스 Robert F. De Graff Dies At 86; Was Pocket Books Founder https://www.nytimes.[...] 1981-11-03
[17] 서적 Collectable Paperback Books, Second Edition Glenmoor Publishing 2002
[18] 뉴스 Highbrow Smorgasbord https://web.archive.[...] Time 1953-08-10
[19] 웹사이트 A very brief history of CMYK - Alexander's https://alexanders.c[...] 2015-03-24
[20] 간행물 The lamination machine and laminating as thing-power in early childhood pedagogical practice https://www.tandfonl[...] 2022
[21] 웹사이트 Publishers Gave Away 122,951,031 Books During World War II https://www.theatlan[...] 2014-09-10
[22] 웹사이트 How Books Designed for Soldiers' Pockets Changed Publishing Forever https://www.atlasobs[...] 2017-09-22
[23] 문서 Act Two Random House 2023-03-06
[24] 뉴스 People Who Read and Write http://timesmachine.[...] 2016-04-10
[25] 웹사이트 Paperback Originals The Mystery Readers Newsletter 1971
[26] 문서 Crider
[27] 웹사이트 https://www.miskaton[...] 2023-02-17
[28] 웹사이트 https://www.goodread[...] 2023-02-17
[29] 웹사이트 Crider, Bill. "Paperback Originals," Paperback Forum #1 http://www.miskatoni[...] Miskatonic.org 2013-02-27
[30] 웹사이트 MASS-MARKET PAPERBACK HISTORY https://exhibits.lib[...] 2024-02-24
[31] 뉴스 The Paperback Evolution https://www.nytimes.[...] 2018-03-15
[32] 간행물 Romance By The Numbers http://ew.com/articl[...] Meredith Corporation 2018-05-07
[33] 웹사이트 Column: Salvos Against Big Brother; article: 'The Economics of Writing' http://www.baens-uni[...] 2007-10-17
[34] 뉴스 Trade paperbacks 1960-03-22
[35] 웹사이트 Trade paperback - Biblio.co.uk Glossary of Book Collecting Terminology https://biblio.co.uk[...] Biblio.com 2021-03-04
[36] 뉴스 朝刊 読書面 日本経済新聞 2015-04-12
[37] 웹사이트 Why size matter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1-08-11
[38] 서적 『アメリカの出版・書店』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