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구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구섬은 산티아구섬과 브라바섬 사이에 위치한 카보베르데의 섬으로, 섬 전체가 활화산이며 카보베르데 최고봉인 포구산(2,829m)이 있다. 주요 도시는 상필리페이며, 농업이 발달하여 커피와 와인을 생산한다. 1680년 분화로 섬 이름을 얻었으며, 2014년에 마지막으로 분화했다. 기후는 해안 지역은 온대 건조 열대 기후, 고지대는 아열대 스텝 기후를 보이며, 생태적으로는 고유 조류와 식물이 서식한다. 1460년 발견되었으며, 농업과 이민자 송금, 관광이 경제의 주요 부분이다. 상필리피 공항과 항구가 있으며, 축구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보베르데의 섬 - 마이우섬
마이우섬은 카보베르데에 있는 섬으로, 면적 274.5km2에 최고봉 페노즈산이 있으며, 염전 평야와 주변 해역이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고, 16세기 말 정착 이후 소금 산업 발달과 함께 성장했으며, 현재는 농업, 목축업, 어업, 해외 이주민 지원금이 주요 경제 기반이다. - 카보베르데의 섬 - 상니콜라우섬
상니콜라우섬은 카보베르데 바를라벤투 제도에 속하는 섬으로, 1461년 또는 1462년에 발견되어 17세기부터 정착이 시작되었으며, 산악 지형과 아열대 기후, 가뭄이 특징이고 히베이라 브라바와 타라팔 데 상니콜라우 두 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나뉜다.
| 포구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 |
| 위치 | 대서양 |
| 국가 | 카보베르데 |
| 행정 구역 단위 | 지방 자치체 (Concelhos) |
| 지방 자치체 | 모스테이루스 시, 산타카타리나두포구 시, 상필리프 시 |
| 가장 큰 도시 | 상필리프 |
| 지리 | |
| 면적 | 476 km² |
| 길이 | 26.3 km |
| 너비 | 23.9 km |
| 최고점 | 포구 산 |
| 해발고도 | 2829 m |
| 인구 통계 | |
| 인구 | 35,837명 |
| 인구 조사 기준 연도 | 2015년 |
| 인구 밀도 | 75.3 명/km² |
| 언어 정보 | |
| 토착어 이름 | 포르투갈어: Fogo |
| 토착어 링크 | 카보베르데 크리올 |
2. 지리
포구섬은 산티아구섬과 브라바섬 사이에 있는 섬으로, 섬 전체가 활화산이다. 섬에서 가장 높은 곳은 포구산(Pico do Fogo)이며 카보베르데의 최고봉으로 높이는 2,829m이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상필리프시, 산타카타리나두포구시, 모스테이루스시에 속하며, 섬에서 가장 큰 도시는 상필리프이다. 상필리프 인근에는 공항과 항구가 있다.[1]
1995년 화산 폭발로 페케누봉이라는 새로운 분화구가 생겼다. 칼데라는 최대 9km 넓이에 둘레는 1km 이상이다. 칼데라 동쪽 가장자리는 갈라져 있고, 가운데에는 거대한 산 정상이 있다. 원뿔 모양의 산 정상은 섬의 최고점으로 칼데라 바깥쪽보다 약 100m 정도 높다.
용암은 화산에서 섬 동해안까지 이른다. 샹다스칼데이라스(Chã das Caldeiras)는 화산 관측 기지 역할을 하며, 화산 폭발 시 주민들을 대피시킨다. 섬은 비옥한 농토로 농업이 발달했으며, 북동부 지역은 강수량이 가장 많다.
포구섬은 카보베르데 최남단 섬 중 하나로, 동쪽의 산티아고와 서쪽의 브라바 사이에 있다. 길이는 26.3km, 폭은 23.9km이며, 면적은 476km2이다.[1] 섬 전체가 주기적으로 활동하는 성층 화산이며, 2014년에 마지막으로 분화했다. 가장 큰 화산 지형은 보르데이라로, 1km 높이의 벽을 가지고 있으며 동쪽 가장자리에 틈이 있다.[6] 차 다스 칼데이라스 칼데라 바닥에는 포르텔라와 방게이라라는 두 개의 작은 마을이 있는데, 분화 시 주민들이 대피한다.
left
섬의 남서쪽은 비옥하고, 북쪽과 동쪽은 경사면이다. 섬 전체는 카다모스트 해산이라고 불리는 해산이며, 주변 바다는 해안에서 5km 떨어진 곳에서 5300m 정도 깊이다. 서쪽을 제외하면 더 서쪽에 있는 브라바 섬의 다른 해산과 연결된다.
북동부 구릉지대는 1년 내내 녹색 풀로 덮여 있다. 산은 건조하고 불모지이다. 카보베르데 남단에 있는 포구섬은 국가에서 가장 많은 강수량이 있다. 개울과 계곡은 연중 건조하다.
1680년에는 격렬한 분화가 일어나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도 수년 동안 산이 보였을 정도였으며, 이로 인해 섬은 "포구"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2. 1. 기후
산악 지형인 포구섬은 다양한 기후를 보인다. 해안을 따라 포구섬은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온대 건조 열대 기후를 보이며, 고도가 높아질수록(해발 약 800m) 반건조 온대 열대 기후(쾨펜-게이거 ''BSh'')를 보이며, 일년 내내 매우 균형 잡힌 기온을 유지한다. 해발 1000m 이상에서는 서늘한 고지대 아열대 스텝 기후(쾨펜-게이거 ''BSkL'')를 보인다. 해안의 연평균 기온은 약 23°C~25°C이며, 가장 높은 지역에서는 12°C~14°C까지 떨어진다.내륙에서는 현저하게 서늘한 날씨가 나타날 수 있으며, 더 따뜻하고 습한 계절은 7월에 시작하여 11월에 끝나고, 더 추운 건조한 계절은 12월에 시작하여 5월에 끝난다. 기후 위험의 주요 요인인 가뭄은 섬의 산이 구름에서 수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포구섬에서는 덜 두드러진다. 19세기 중반 동안 포구섬은 심각한 가뭄을 겪었으며, 1830년대에는 기아로 인한 사망이 흔했다.[16]
2. 2. 생태

포구섬의 주요 조류 종은 페아바다새, 보이드바다새, 카보베르데칼새이다.[11] 멸종 위기에 처한 고유 식물 ''에키움 벌카노룸''[12] 과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에리시뭄 카보베르데아눔''[13]은 포구 화산의 외륜 산정에서만 발견된다.[11]
섬에는 Pterodroma feae영어와 같은 조류, 파충류의 고유종이 많이 서식하고 있으며, 주변 해역에는 푸른바다거북, 붉은바다거북, 돌고래, 만새기, 가다랑어가 서식하고 있다. 2020년에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22]
3. 역사
포구섬은 1460년 제노바 출신의 선장 안토니우 드 노리가 엔히크 항해왕과 포르투갈 왕실을 위해 발견하였으며,[3] 안토니오 노리는 포구섬을 산 펠리페 섬으로 명명했다.[23] 1598년 지도에는 "I. de Fogo"로 나타났다.[3] 1470년에서 1490년 사이에 포르투갈인들이 카보베르데에 정착하였으며, 상필리페는 시자데 벨랴 다음으로 카보베르데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도시가 되었다.[4] 1500년에는 포르투갈인이 이주해왔으며, 섬은 노예 무역에 이용되었다.
포구산 화산은 정상과 측면 균열 모두에서 빈번하게 분출했으며,[5] 특히 1680년, 1725년, 1857년, 1951년, 1995년, 2014-15년에 분화했다.[6] 1680년 분화는 섬의 대부분을 화산재로 뒤덮었고, 많은 주민들이 인근 브라바 섬으로 피난해야 했다.[6] 포구섬의 동쪽 면은 73,000년 전에 바다로 붕괴되어 170미터 높이의 쓰나미를 일으켰고, 이 쓰나미는 인근의 상티아고 섬을 강타했다.[2]
포구섬은 가뭄과 기근에 매우 취약했다. 여름 강우량이 부족한 해에는 많은 주민들이 기아를 겪었다. 이는 18세기와 19세기에 여러 번 발생했으며, 1941년에서 1943년 사이에도 발생하여 섬 인구의 31%가 사망했다.[7] 1850년에는 주로 북아메리카에서 이민을 받아들였다. 1910년 10월 5일 혁명으로 귀족이 추방되고, 대토지 소유자들은 포르투갈 본국으로 귀국하여 시민권을 포기했다.
1992년 1월까지 이 섬은 4개의 교구로 세분된 단일 자치단체였다. 남서쪽 3개 교구는 새로운 상필리페 자치단체에 합류했고, 북동쪽 교구 노사 세뇨라 다 아유다는 모스테이루스 자치단체가 되었다.[8][9] 산타 카타리나 도 포구 교구는 2005년에 상필리페에서 분리되어 산타 카타리나 도 포구 자치단체가 되었다.[10]
4. 행정 구역
산티아구섬과 브라바섬 사이에 위치한 포구섬은 행정 구역상 상필리프시, 산타카타리나두포구시, 모스테이루스시에 속한다. 섬에서 가장 큰 도시는 상필리프이며, 상필리프 인근에는 공항과 항만이 있다.
포구섬은 세 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나뉘며, 각 지방 자치 단체는 민간 교구로 세분화된다.
| 지방 자치 단체 | 민간 교구 |
|---|---|
| 모스테이루스 | 노사 세뇨라 다 아쥬다 |
| 산타 카타리나 두 포구 | 산타 카타리나 두 포구 |
| 상 필리페 | 노사 세뇨라 다 콘세이 상 |
| 상 로렌수 |
포구섬의 주요 정착지는 다음과 같다.
- 상필리페
- 모스테이루스
- 아차다(Achada) (아차다 푸르나스라고도 함)
- 아차다 그란데(Achada Grande)
- 아탈라이아(Atalaia)
- 방게이라(Bangaeira)
- 샤 다스 칼데이라스(Chã das Caldeiras)
- 코바 피게이라(Cova Figueira)
- 코소(Coxo)
- 쿠라알 그란데(Curral Grande)
- 에스탄시아 로케(Estancía Roque)
- 파장지냐(Fajãzinha)
- 피게이라 파바웅(Figueira Pavão)
- 폰사코(Fonsaco)
- 폰테 알레이소(Fonte Aleixo)
- 푸르나(Furna)
- 갈리네이로스(Galinheiros)
- 롬바(Lomba)
- 몬테 그란데(Monte Grande)
- 모스테이루스 (Mosteiros)
- 파팀(Patim)
- 폰타 베르데(Ponta Verde)
- 리베이라 일레우(Ribeira Ilhéu)
- 살토(Salto)
- 산토 안토니오(Santo António)
- 상필리프 (São Filipe)
- 상 조르제(São Jorge)
- 상 로렌수(São Lourenço)
- 비센테 디아스(Vicente Dias)
5. 인구
1830년대 포구섬의 인구는 약 10,000명으로 추산되었다.[16] 2015년 포구섬의 인구는 35,837명으로, 산티아고, 상 비센트, 산투 안탕에 이어 카보베르데 제도에서 4번째로 인구가 많은 섬이다.[1] 2015년 이후, 섬에는 상 필리페, 모스테이루스, 코바 피게이라 3개의 도시와 폰타 베르데, 파팀 2개의 마을이 있다.[1]
| 포구섬 인구 (1940–2015) | ||||||||
|---|---|---|---|---|---|---|---|---|
| 1940[17] | 1950[17] | 1960[17] | 1970[17] | 1980[17] | 1990[17] | 2000[17] | 2010[18] | 2015[1] |
| 23,022 | 17,582 | 25,615 | 29,412 | 30,978 | 33,902 | 37,409 | 37,071 | 35,837 |
포구섬의 공식 언어는 포르투갈어이지만, 주로 포구 크리올어가 사용된다.
6. 경제
포구섬의 경제는 농업과 어업에 기반하고 있으며, 주요 생산품으로는 커피와 와인이 있다. 1830년대에 포구섬의 와인은 "매우 훌륭하다"라고 묘사되었다.[16] 화산 토양으로 인해 포구섬의 커피 또한 좋은 평판을 얻고 있다.[19] 이 섬은 상당한 디아스포라를 겪었다. 많은 가구는 미국 및 유럽 국가(포르투갈, 프랑스, 네덜란드, 이탈리아)의 이민자로부터 송금되는 돈으로 생활한다. 포구섬은 로드아일랜드와 매사추세츠(미국)와 강력한 연계를 맺고 있으며, 그곳에는 카보베르데 출신 사람들이 많이 거주한다.
관광 산업은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다. 포구산(현지 가이드와 동행해야 함)은 섬의 주요 관광 명소이지만, 친척을 보러 방문하는 사람들도 많다. 역사적인 도시 상필리프와 화산 분화구에 위치한 차 다스 칼데이라스가 대부분의 방문객을 맞이한다. 대규모 관광 시설은 없지만, 작은 호텔과 B&B가 있으며, 현지 가이드들이 하이킹 투어를 제공한다.
7. 교통
포구섬에는 섬 남서쪽에 상필리피 공항(São Filipe Airport)이 있으며, 상필리프 근처 발레 드 카발레이루스(Vale de Cavaleiros)에 항구가 있어 브라바섬(Furna)과 산티아고섬(Praia)으로 가는 페리 연결편이 있다.[20] 포구섬에는 1등급 국도가 두 개 있는데, 포구 순환 도로(EN1-FG01)와 상필리피와 섬의 항구를 연결하는 도로(EN1-FG02)이다.[21]
8. 스포츠
아카데미카 두 포구, 보타포구, 쿠텔리뉴, 스파르탁 다구아디냐, 불카니쿠스는 포구섬을 본거지로 하는 주요 축구 클럽이다.[1]
9. 주요 인물
참조
[1]
간행물
Cabo Verde, Statistical Yearbook 2015
http://ine.cv/wp-con[...]
Instituto Nacional de Estatística
[2]
논문
Island boulders reveal ancient mega-tsunami
http://www.nature.co[...]
2015-10-06
[3]
웹사이트
Insulae Capitis Viridis
http://gallica.bnf.f[...]
[4]
UNESCO
Centre historique de São Filipe
https://whc.unesco.o[...]
[5]
논문
Volcanic and structural evolution of Pico do Fogo, Cape Verde
https://onlinelibrar[...]
2015-07
[6]
논문
Damage from lava flows: insights from the 2014–2015 eruption of Fogo, Cape Verde
2017-03-20
[7]
WorldAtlas
Cape Verde History Timeline
https://www.worldatl[...]
[8]
웹사이트
History of Mosteiros
http://www.cmmost.cv[...]
2019-11-04
[9]
웹사이트
Lei nº 23/IV/91
http://www.interface[...]
2016-09-13
[10]
웹사이트
Lei nº 66/VI/2005
http://www.interface[...]
2016-09-13
[11]
웹사이트
Volcano area, Ilha do Fogo
http://datazone.bird[...]
BirdLife International
2018-08-07
[12]
iucn
Echium vulcanorum
2017
[13]
iucn
Erysimum caboverdeanum
2017
[14]
웹사이트
Climate São Filipe
https://en.climate-d[...]
2018-10-07
[15]
웹사이트
Climate Chã das Caldeiras
https://en.climate-d[...]
2018-10-07
[16]
서적
Embassy to the Eastern Courts of Cochin-China, Siam, and Muscat
http://www.wdl.org/e[...]
Harper & Brothers
[17]
Statoids
Statoids
http://www.statoids.[...]
[18]
웹사이트
2010 Census Summary
http://ine.cv/censo_[...]
[19]
웹사이트
Fogo coffee
http://www.cmmost.cv[...]
[20]
웹사이트
Cabo Verde Fast Ferry's website
http://www.cvfastfer[...]
[21]
웹사이트
Ilha do Fogo, Rede rodoviária
http://www.ie.cv/ima[...]
Instituto de Estradas
2018-08-15
[22]
웹사이트
Fogo Biosphere Reserve, Cabo Verde
https://en.unesco.or[...]
2020-11
[23]
웹사이트
Insulae Capitis Viridis
http://gallica.bnf.f[...]
[24]
웹인용
Climate São Filipe
https://en.climate-d[...]
2018-10-07
[25]
웹인용
Climate Chã das Caldeiras
https://en.climate-d[...]
2018-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