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모리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모리에는 흑해 연안의 반도에 위치한 불가리아의 도시이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 안키알로스라는 이름으로 건설되었으며, 로마 시대에는 중요한 수출입 기지였다. 중세 시대에는 비잔틴 제국과 불가리아 제국 간의 분쟁 지역이었으며, 오스만 제국 지배를 거쳐 1878년 해방되었다. 현재는 다양한 문화 유적과 염전 박물관 등 관광 명소가 있으며, 포모리에 시를 포함한 16개의 읍/면으로 구성된 기초 자치체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르가스주 - 아이토스
    아이토스는 불가리아 동부 부르가스주에 위치한 도시로, 트라키아인에 의해 건설되어 불가리아 제1제국과 오스만 제국 시대를 거쳐 교통, 문화, 관광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 부르가스주 - 소조폴
    소조폴은 불가리아 흑해 연안의 고대 도시로,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고대 그리스인들이 건설하여 아폴로니아로 개칭되었고,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쳐 불가리아에 귀속되었으며, 예술 축제와 고대 유적으로 유명한 관광지이다.
  • 불가리아의 온천 마을 - 벨린그라드
    벨린그라드는 "발칸 반도의 스파 수도"라는 별칭을 가진 불가리아 최대의 스파 리조트 중 하나로, 풍부한 광천 자원, 온화한 기후,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관광 산업이 발달하고 다양한 문화 시설과 교육 기관을 갖춘 도시이다.
  • 불가리아의 온천 마을 - 블라고에브그라드
    불가리아 남서부에 위치한 블라고에브그라드는 스트루마 강 계곡의 산맥들 사이에 자리 잡은 도시로, 고대 트라키아인 마을에서 유래하여 로마 제국 시대 온천 도시로 번성했으며, 오스만 제국 시대를 거쳐 불가리아 공산당 창립자의 이름을 따 개명되었고, 현재는 남서부의 경제 및 문화 중심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불가리아의 항구 도시 - 바르나
    바르나는 흑해 연안에 위치한 불가리아의 도시로, 고대부터 중요한 항구 도시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불가리아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자 관광 및 산업의 중심지이다.
  • 불가리아의 항구 도시 - 부르가스
    부르가스는 불가리아 흑해 연안의 항구 도시이자 부르가스 주의 주도로, 불가리아 최대 항구이며 호수와 습지로 둘러싸여 철새들의 주요 서식지이고 대한민국 울산광역시와 자매 결연을 맺은 도시이다.
포모리에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포모리에
현지 이름Поморие
현지 이름 (언어)불가리아어
다른 이름앙히알로스 (Αγχίαλος, 그리스어)
안히알로 (Анхиало, 불가리아어)
아히욜루 (Ahyolu, 튀르키예어)
유형도시
지리
좌표북위 42° 34' 6", 동경 27° 37' 0"
해발 고도0 m
행정
국가불가리아
광역 행정 구역부르가스 주
시장 (소속 정당)이반 알렉시에프 (유럽 발전 위한 불가리아 시민)
인구
인구 (2020년)13,926명
기타 정보
시간대EET (+2)
서머타임EEST (+3)
우편 번호8200
호수포모리예 호수
이미지
포모리에 항공 뷰
포모리에 항공 뷰
포모리에 깃발
포모리에 깃발
포모리에 문장
포모리에 문장

2. 지리

포모리에는 불가리아 남동부 흑해 연안, 부르가스 만 북서쪽에 있는 좁은 반도 지형이다.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Cfa)에 속한다. 여름은 5월 중순부터 9월 말까지 약 5개월간 지속되며, 성수기 평균 기온은 24°C이다. 여름철 해수 온도는 평균 26°C이다. 겨울은 내륙 지역에 비해 온화하며, 평균 기온은 4°C이고 밤에는 0°C 이하로 내려간다. 12월, 1월, 2월에는 눈이 올 수 있으며 3월에도 드물게 내리지만, 빨리 녹는다. 최고 기온은 2007년 6월 42.8°C, 최저 기온은 1942년 1월 -21.6°C로 기록되었다.[2][17]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4.8°C6.4°C9.5°C14.1°C19.8°C24.6°C27.5°C27.3°C23.6°C18.9°C13.1°C7.6°C16.4°C
평균 기온 (℃)1.7°C2.8°C5.4°C10.1°C15.7°C20.2°C23°C23°C19.3°C14.5°C9.5°C4.5°C12.5°C
평균 최저 기온 (℃)-1.5°C-0.6°C1.7°C5.8°C10.7°C15.1°C17.4°C17.1°C14.4°C10.4°C5.9°C1.2°C8.1°C
역대 최저 기온 (℃)-21.6°C-19.5°C-15°C-1.5°C2.2°C6°C10.2°C10.9°C4°C-1.2°C-9.6°C-15°C-21.6°C
연간 강수량 (mm)38mm36mm32mm39mm48mm48mm33mm25mm31mm45mm51mm47mm473mm
평균 강수일수8.17.58.19.79.29.16.14.75.36.69.09.192.6


2. 1. 지형

포모리에는 부르가스 만 북서쪽 해안의 흑해로 3.5km 뻗어 있는 좁은 반도에 있다. 남쪽, 동쪽, 북동쪽은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북쪽은 포모리에 호수로 둘러싸여 있고, 서북서쪽으로만 부르가스 저지의 일부인 포모리 평원과 연결되어 있다.

해안선은 낮고 모래로 되어 있으며, 동쪽과 서쪽으로는 탁 트인 수평선을 가지고 있고, 북쪽은 스타라 플라니나 산맥의 보호를 받고 있다. 포모리 만은 18700m2의 해변을 가지고 있다. 해저는 얕고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암초와 차가운 해류가 없어 수영하기에 안전하다.

2. 2. 기후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포모리에는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Cfa)를 보인다. 여름은 5월 중순부터 9월 말까지 약 5개월 동안 지속되며, 성수기 평균 기온은 24°C이다. 여름철 해수 온도는 일출 시 23°C 부근을 유지하고 해질녘에는 29°C까지 올라가며 평균 26°C이다. 겨울은 국토 내륙 지역에 비해 온화하며, 평균 기온은 4°C이고 밤에는 0°C 이하로 내려간다. 12월, 1월, 2월에는 눈이 올 가능성이 있으며 3월에도 드물게 내리지만, 빨리 녹을 수 있다. 최고 기온은 2007년 6월에 42.8°C로 기록되었고, 최저 기온은 1942년 1월에 -21.6°C로 기록되었다.[2][17]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4.86.49.514.119.824.627.527.323.618.913.17.616.4
평균 기온 (℃)1.72.85.410.115.720.223.023.019.314.59.54.512.5
평균 최저 기온 (℃)-1.5-0.61.75.810.715.117.417.114.410.45.91.28.1
역대 최저 기온 (℃)-21.6-19.5-15.0-1.52.26.010.210.94.0-1.2-9.6-15.0-21.6
연간 강수량 (mm)383632394848332531455147473.0
평균 강수일수8.17.58.19.79.29.16.14.75.36.69.09.192.6


3. 역사

포모리에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안키알로스''(Ἀγχίαλος|안키알로스grc)라는 이름으로 건설했다. 안키알로스는 고대 그리스어 "anchi-"("가까운, 근처의")와 "als-"("소금" 또는 "바다"를 뜻하는 시적이고 드문 단어)에서 유래했다.[1] 라틴어로는 ''안키알루스''로 표기되었다. 불가리아인들은 이 도시를 ''투톰''이라고 불렀지만, 더 흔하게 사용된 이름은 그리스어 이름을 기반으로 한 ''안히알로''였다.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에는 ''아히올루''라고 불렸다. 1934년 도시 이름이 포모리에로 바뀌었는데, 이는 불가리아어 "po-"("옆에, ~ 근처에")와 "more"("바다")에서 유래되었으며, 원래 그리스어 이름의 두 가지 어원 중 하나에 해당한다.

안키알로스(포모리에)는 기원전 5세기경 아폴로니아(현재의 소조폴)의 식민 도시로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며, 스트라보의 『지리誌』에 작은 마을로 기록되어 있다. 기원전 2세기에는 메셈브리아(현재의 네세바르)에 의해 정복되기도 했지만, 아폴로니아에 의해 재정복되었고 요새화된 벽은 파괴되었다.[1]

3. 1. 고대

기원전 5세기 또는 기원전 4세기에 아폴로니아(현재의 소조폴)의 식민지로 건설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스트라보의 ''지리誌''에 작은 마을로 언급되었다.[1] 기원전 2세기에 메셈브리아(현재의 네세바르)에 의해 잠시 점령되었지만, 아폴로니아에 의해 다시 정복되었고 요새 벽은 파괴되었다.[1]

흑해 서부 해안은 기원전 72-71년부터 이 지역에서 지속적인 작전을 벌인 후 기원전 29-28년에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휘하의 고대 로마에 의해 최종적으로 정복되었다.[1] 기원후 9년 오비디우스토미스로 가는 길에 요새 벽이 재건되었음을 증명했다.[1] 기원후 1세기 초 안키알로스는 오드리시아 왕국의 ''스트라테기아''의 중심지였으며, 초기 비잔틴 제국 역사가인 프로코피우스에 따르면 기원후 6세기에 트라키아인 인구가 있었다.[1] 기원후 45년 오드리시아 왕국의 자립성이 폐지되면서 안키알로스는 로마 속주인 트라키아에 편입되었고 트라야누스 황제 치하에서 공식적으로 도시로 선포되었다.[1] 당시 이 도시는 아우구스타 트라자나의 영토에 접해 서쪽으로 툰자(en)에 이르며, 북쪽으로는 메셈브리아, 남쪽으로는 부르가스 호(en) 남쪽 해안에 접해 있는 광대한 영토를 통제했다.[1] 안키알로스는 로마 도시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고 세베루스 왕조 치하인 2세기3세기에 번성하여 트라키아의 가장 중요한 수출입 기지 역할을 했다.[1]

3. 2. 중세

포모리에 중심부


3세기 중반 고트족의 침입으로 쇠퇴하였으나,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와 콘스탄티누스 대제 시기에 재건되었다.[3] 콘스탄티노폴리스와의 근접성으로 인해 안키알로스는 주요 식량 공급 중심지가 되었다.

6세기 슬라브족과 아바르족의 침입으로 파괴되었다가[8] 비잔틴 제국에 의해 재건되었다. 5세기부터 6세기에 걸쳐 안키알로스는 자치 대주교구가 되었다.

7세기 말 제1차 불가리아 제국 성립 이후 비잔틴 제국과 불가리아 제국 간의 분쟁 지역이 되었다. 708년 유스티니아누스 2세의 군대는 테르벨의 군대에 패배했다. 763년 텔레츠 휘하의 불가르족 군대는 콘스탄티누스 5세의 비잔틴 군대에 패배했다. 766년 콘스탄티누스 5세의 함대는 안키알로스로 가는 도중에 침몰하여 황제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가야 했다. 783년 이레네는 안키알로스의 파괴된 요새를 복원했다. 812년 칸 크룸 치하의 불가리아 제국에 의해 정복되었고, 슬라브족과 불가르족이 안키알로스에 정착했다. 비잔틴 제국은 864년에 이 도시와 그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회복했다.

917년 안키알루스 전투에서 시메온 1세는 레오 포카스 휘하의 비잔틴 군대를 격파했다. 불가리아는 971년까지 이 도시를 보유했으며, 비잔틴 제국은 이를 재정복하여 제2차 불가리아 제국이 부활할 때까지 점유했다. 이후 안키알로스는 여러 차례 주인이 바뀌었고, 1366년 사보이 백작 아메데우스 6세의 베네치아 기사단에게 점령되었다.

3. 3. 오스만 제국 시대

1453년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었으며, 아히올루(Ahiolu)로 불렸다.[9] 오스만 제국 하에서 소조폴 주변 지역을 포함하는 카자의 중심지가 되었고,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청의 교구 중심지였다. 19세기 초까지 이 지역의 문화, 종교, 경제, 행정 중심지 역할을 했다.[9]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를 지낸 안키알로스의 미하일 3세 (1170–1178)와 예레미아스 2세 트라노스 (1572–1579, 1580–1584, 1587–1595)가 이 도시 출신이다.[9]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 발발 당시, 마을 대표, 사제, 정교회 주교 유게니오스를 포함한 일부가 오스만 당국에 의해 처형되었다.[9] 1828-1829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동안에는 1829년 7월 11일 러시아군에 점령되어 1년 동안 유지되었다. 당시 이곳은 주로 그리스인들이 거주했고,[10] 불가리아인과 튀르크인 소수가 거주했으며,[9] 인구는 5,000~6,000명이었고, 6개의 동방 정교회와 1개의 모스크가 있었다. 러시아군이 철수한 후, 많은 사람들이 북쪽의 기독교 국가로 도망쳤다.[9] 1856년에는 포모리에의 성 조지 수도원이 설립되었다. 1878년 이전에는 이슬림예 산자크의 에디르네 주의 카자 중심지였으며 "아히올루"라고 불렸다.[11]

3. 4. 불가리아 해방 이후

1878년 1월 27일, 안키알로스(포모리에)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해방되었고, 1885년 불가리아 통일 이전까지 동루멜리아 자치주에 속했다.[12] 20세기 초, 안키알로스는 약 6,000명의 주민이 거주했으며, 그 중 82%가 그리스인이었다.[12]

그러나 1900년대 초, 불가리아에서 반(反)그리스 정서가 고조되면서 포모리에도 영향을 받았다. 1905년부터 불가리아 당국은 현지 그리스인 공동체를 표적으로 삼았다.[15] 1906년 7월에는 도시가 불타고 300명 이상의 그리스인이 살해되었다.[13][14] 이는 마케도니아 지역에서 온 불가리아 난민들이 그리스 무장 세력의 불가리아인 학살에 대한 보복으로 저지른 일이었으며, 경제적 동기도 작용했다.[13][14][15] 이 사건은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으며, 당시 유럽 외교에서는 러시아의 반유대인 포그롬과 비교되기도 했다.[15]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로젠그라드 등지에서 온 불가리아 난민들이 포모리에 정착하여, 쫓겨난 그리스인들을 대체했다. 1906년에 그리스로 이주한 그리스인들은 네아 안키알로스를 건설했다. 19세기와 20세기를 거치면서 포모리에는 부르가스의 성장에 밀려 중요성이 감소했지만, 와인과 소금 생산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1934년에는 '바다 옆'이라는 뜻의 '포모리에'로 이름이 바뀌었다.

4. 인구

20세기 초 포모리에 주민은 약 6,000명이었으며, 그 중 82%가 그리스인이었다.[12] 그러나 1906년 7월, 마케도니아 지역에서 온 불가리아 난민들이 그리스 무장 세력의 불가리아인 학살에 대한 보복과 경제적 동기로 인해 300명 이상의 그리스인을 살해하고 도시를 불태우는 사건이 발생했다.[13][14][15] 이 사건으로 불가리아 당국은 유럽 정부로부터 비난을 받았으며, 도시 파괴는 러시아의 반유대인 포그롬과 비교되기도 했다.[15]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포모리에에는 로젠그라드 등지에서 온 불가리아 난민들이 정착하여 20세기 초에 도시를 떠난 그리스인들을 대체하였다. 1906년에 그리스인들은 그리스에 네아 안키알로스를 설립했다.

5. 관광 명소


  • 포모리에 염전 박물관
  • 로마 시대(서기 3세기)의 고대 트라키아 벌집 무덤
  • 전통적인 19세기 목조 주택
  • 성모 탄생 교회 (1890)
  • 하느님의 예수 변용 교회 (1765)
  • 성 게오르기 수도원 (1856)
  • 야보로프의 바위

6. 행정 구역

포모리에 기초 자치체는 중심 도시인 포모리에를 비롯하여 16개의 읍/면(집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읍/면(집락) 이름불가리아어 표기영어 표기
알렉산드로보Александрово|AleksandrovobgAleksandrovo
아헬로이Ахелой|AheloybgAheloy
바타Бата|BatabgBata
벨로돌Белодол|BelodolbgBelodol
가베로보Габерово|GaberovobgGaberovo
고리차Горица|GoritsabgGoritsa
갈라베츠Гълъбец|GalabetsbgGalabets
더브니크Дъбник|DabnikbgDabnik
카블레시코보Каблешково|KableshkovobgKableshkovo
카메나르Каменар|KamenarbgKamenar
코지치노Козичино|KozichinobgKozichino
코소베츠Косовец|KosovetsbgKosovets
라카Лъка|LakabgLaka
메도보Медово|MedovobgMedovo
포모리에Поморие|PomoriebgPomorie
포로이Порой|PoroybgPoroy
스트라친Страцин|StratsinbgStratsin


참조

[1] 웹사이트 Bulgarian 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 POPULATION BY TOWNS AND SEX AS OF 31.12.2020 https://nsi.bg/en/co[...]
[2]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for Pomorie, Bulgaria (2000-) https://www.stringme[...] stringmeteo 2024-05-06
[3]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4] 서적 Oriens christianus in quatuor Patriarchatus digestus https://books.google[...] Paris
[5] 서적 Dizionario di erudizione storico-ecclesiastica https://books.google[...]
[6] 간행물 Anchialos http://gallica.bnf.f[...] Dictionnaire d'Histoire et de Géographie ecclésiastiques
[7]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8] 웹사이트 Anchialos/Ahelo (Middle Ages) http://blacksea.ehw.[...] 2011-04-13
[9] 웹사이트 Great Online Encyclopaedia of Black Sea http://blacksea.ehw.[...] Εγκυκλοπαίδεια Μείζονος Ελληνισμού, Εύξεινος Πόντος 2011-07-29
[10] 서적 Between two motherlands : nationality and emigration among the Greeks of Bulgaria, 1900-1949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1-03-17
[1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1-07-18
[12] 서적 Between Two Motherlands: Nationality and Emigration among the Greeks of Bulgaria, 1900–1949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1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Bulgaria https://books.google[...]
[14] 서적 History of the Literary Cultures of East-Central Europe: Junctures and disjunctures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6-09-13
[15] 서적 Between two motherlands : nationality and emigration among the Greeks of Bulgaria, 1900-1949.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16] 웹사이트 Bulgarian 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 POPULATION BY TOWNS AND SEX AS OF 31.12.2020 https://nsi.bg/en/co[...]
[17]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for Pomorie, Bulgaria (2000-) https://www.stringme[...] stringmeteo 2024-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