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타바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타바현은 1802년 소(小) 러시아 현의 분할로 형성되어 1925년 폐지된 러시아 제국의 행정 구역이다. 15개의 군으로 시작하여, 1920년 크레멘추크 현 설치 및 페레야슬라우 군의 키예프 현 이관 등의 변화를 겪었다. 1923년에는 행정 구역 개편으로 군이 관구와 지구로 개편되었으며, 1925년에는 현이 폐지되고 5개의 오크루그로 대체되었다. 189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우크라이나인이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했다. 주요 도시로는 크레멘추크, 폴타바 등이 있었고, 주민들의 주요 종교는 동방 정교회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미주의 역사 - 체르니고프현
1802년에 소러시아 현에서 분할되어 러시아 제국에 신설된 체르니고프현은 1897년 약 230만 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15개의 군으로 나뉘었으나, 1919년 일부 군이 고멜 현으로 이관, 1925년 관구로 개편, 1932년 체르니히우주가 되었으며 중심지는 체르니히우였다. - 폴타바주의 역사 - 폴타바 전투
폴타바 전투는 1709년 대북방 전쟁에서 러시아가 스웨덴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전투로, 러시아의 발트해 지배를 확고히 하고 러시아 제국의 부상을 가져왔다. - 체르니히우주의 역사 - 체르니히우 공국
체르니히우 공국은 11세기부터 13세기까지 현재의 우크라이나 북부와 러시아 서부에 걸쳐 존속했던 키예프 루스의 공국으로, 드니프로강 좌안의 데스나강, 세임강 유역에 위치하고 수도는 체르니히우였으며, 슬라브족이 거주하고 류리크 왕조의 공작들이 통치했으나 1239년 몽골 침공으로 멸망했다. - 체르니히우주의 역사 - 체르니고프현
1802년에 소러시아 현에서 분할되어 러시아 제국에 신설된 체르니고프현은 1897년 약 230만 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15개의 군으로 나뉘었으나, 1919년 일부 군이 고멜 현으로 이관, 1925년 관구로 개편, 1932년 체르니히우주가 되었으며 중심지는 체르니히우였다.
폴타바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폴타바 현 |
현지 이름 | Полтавская губерния |
현지 이름 (언어 코드) | ru |
현지 이름 (pre-1918) | Полтавская губернія |
현지 이름 (로마자) | Poltavskaya guberniya |
현지 이름 (우크라이나어) | Полтавська губернія |
현지 이름 (우크라이나어 로마자) | Poltavsʼka huberniia |
구분 | 현 |
![]() | |
![]() | |
역사 | |
설립 | 1802년 |
폐지 | 1925년 |
행정 | |
중심지 | 폴타바 |
면적 및 인구 통계 | |
총 면적 (km2) | 49894 |
인구 조사 기준 | 1897년 |
총 인구 | 2,778,151명 |
인구 밀도 (km2 당) | auto |
도시 인구 비율 | 9.87% |
농촌 인구 비율 | 90.13% |
2. 역사
1802년, 소(小) 러시아 현이 폴타바 현과 체르니히우 현으로 분할되면서 폴타바 현이 설치되었다.[4] 소 러시아 현 시절의 10개 군과 현 성립 시 설치된 콘스탄티노흐라드 군(ru), 미르고로드 군(ru), 그리고 그 다음 해에 설치된 제니코프 군(ru), 코벨랴키 군(ru), 로흐비차 군(ru)을 포함하여 15개 군(우예즈드)이 하위 행정 구역으로 설치되었다.[5]
1920년, 크레멘추크 현(ru)이 신설되면서 크레멘추크 군(ru), 졸로토노샤 군(ru), 호롤 군(ru)이 이관되었다. 1922년 크레멘추크 현 폐지 후 이 3개 군은 폴타바 현으로 복귀했다. 1921년에는 페레야슬라우 군(ru)이 키예프 현으로 이관되었다.
1923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행정 구역 개편을 통해 군(우예즈드)과 향(볼로스트)을 관구(오크루그)와 지구(라이온)로 변경했다. 1925년, 현이 폐지되면서 폴타바 현은 소멸했다.
2. 1. 러시아 제국 시기 (1802년 ~ 1917년)
1802년, 소(小) 러시아 현을 폴타바현과 체르니히우 현으로 분할하면서 폴타바현이 설치되었다.[4] 소 러시아 현 시절의 10개 군에 더하여, 현 성립 시에 콘스탄티노흐라드 군(ru), 미르고로드 군(ru)이 설치되었고, 그 다음 해에 제니코프 군(ru), 코벨랴키 군(ru), 로흐비차 군(ru)이 설치되어 15개 군(우예즈드)이 하위 행정 구역으로 설치되었다.[5] 1920년까지 15개 군 체제가 유지되었다.2. 2. 행정 구역 변화 (1917년 ~ 1925년)
1920년까지 폴타바현은 15개 군(우예즈드) 체제를 유지했다.[5] 1920년, 크레멘추크 현이 신설되면서 크레멘추크 군, 졸로토노샤 군, 호롤 군이 크레멘추크 현으로 이관되었다. 그러나 1922년에 크레멘추크 현이 폐지되면서 이들 3개 군은 다시 폴타바 현으로 돌아왔다. 1921년에는 페레야슬라우 군이 키예프 현으로 이관되었다.[4]1923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행정 구역 개편을 실시하여 현 아래의 군(우예즈드)과 향(볼로스트)을 각각 관구(오크루그)와 지구(라이온)로 변경했다. 폴타바 현의 군은 7개의 관구로 통합되었고, 각 관구는 9~17개의 지구를 관할했다. 1925년에는 현 자체가 폐지되면서 폴타바 현은 소멸했다.
3. 행정 구역
폴타바현은 15개의 우예즈드(포비트)로 관리되었다.
군 | 행정 중심지 | 면적[6] (제곱베르스타[7]) | 인구 (명) | 행정 중심지 인구 (명) |
---|---|---|---|---|
현 전체 | 폴타바 | 4,3844.0 | 2,778,151 | 27,4294 |
가디야츠키 우예즈드(가디야치) | 하댜치 | 2162.4 | 142,806 | 7,721 |
젠코프스키 우예즈드(젠코프) | 지니키우 | 1977.5 | 140,304 | 10,443 |
졸로토노시스키 우예즈드(졸로토노샤) | 졸로토노샤 | 3888.6 | 227,594 | 8,739 |
코벨랴츠키 우예즈드(코벨리야키) | 코벨리야키 | 3227.2 | 217,875 | 10,487 |
콘스탄티노그라츠키 우예즈드(콘스탄티노그라드) | 크라스노흐라드 | 5341.7 | 230,310 | 6,455 |
크레멘추그스키 우예즈드(크레멘추크) | 크레멘추크 | 3013.2 | 244,894 | 63,007 |
로흐비츠키 우예즈드(로흐비치아) | 로흐비치아 | 2320.5 | 150,985 | 8,911 |
루벤스키 우예즈드(루브니) | 루브니 | 2059.6 | 136,613 | 10,097 |
미르고로드스키 우예즈드(미르고로드) | 미르호로드 | 2336.7 | 157,790 | 10,037 |
페레야슬라프스키 우예즈드(페레야슬라프) | 페레야슬라프 | 3595.2 | 185,306 | 14,614 |
피리야틴스키 우예즈드(피리야틴) | 피리야틴 | 2871.6 | 163,505 | 8,022 |
폴타프스키 우예즈드(폴타바) | 폴타바 | 2977.9 | 227,795 | 53,703 |
프릴루츠키 우예즈드(프릴루키) | 프릴루키 | 2877.4 | 192,502 | 18,532 |
로멘스키 우예즈드(로므니) | 로멘 | 2285.2 | 186,497 | 22,510 |
호롤스키 우예즈드(호롤) | 호롤 | 2909.3 | 173,375 | 7,997 |
1897년 인구 조사에 따른 민족 구성 비율은 다음과 같다.[8]
군 | 우크라이나인 | 유대인 | 러시아인 | 독일인 |
---|---|---|---|---|
현 전체 | 93.0 % | 4.0 % | 2.6 % | … |
가디야츠키 우예즈드 | 96.9 % | 2.4 % | … | … |
젠코프스키 우예즈드 | 98.1 % | 1.3 % | … | … |
졸로토노시스키 우예즈드 | 95.5 % | 3.4 % | … | … |
코벨랴츠키 우예즈드 | 97.3 % | 1.6 % | … | … |
콘스탄티노그라츠키 우예즈드 | 86.1 % | 11.8 % | … | 1.1 % |
크레멘추그스키 우예즈드 | 80.3 % | 13.1 % | 5.5 % | … |
로흐비츠키 우예즈드 | 95.8 % | 3.1 % | … | … |
루벤스키 우예즈드 | 95.0 % | 3.3 % | 1.4 % | … |
미르고로드스키 우예즈드 | 97.1 % | 1.9 % | … | … |
페레야슬라프스키 우예즈드 | 93.8 % | 5.3 % | … | … |
피리야틴스키 우예즈드 | 95.2 % | 3.8 % | … | … |
폴타프스키 우예즈드 | 88.7 % | 5.1 % | 5.3 % | … |
프릴루츠키 우예즈드 | 94.6 % | 4.3 % | … | … |
로멘스키 우예즈드 | 93.5 % | 4.2 % | 1.7 % | … |
호롤스키 우예즈드 | 96.7 % | 2.3 % | … | … |
이 지역 대부분은 현대 폴타바주에 속하게 되었지만, 졸로토노샤, 크라스노흐라드, 페레야슬라프, 로므니 등 일부 지역은 현재 체르카시, 하르키우, 키이우, 수미주에 각각 속해 있다.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설립된 후, 이 영토는 새로운 소비에트 공화국에 완전히 포함되었다. 처음에는 현 제도가 유지되었지만, 1925년 6월 3일, 구베르니야는 해체되었고 크레멘추츠키, 루벤스키, 폴타프스키, 프릴루츠키 및 로멘스키의 5개의 오크루그로 대체되었다.
4. 인구 통계
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폴타바현의 전체 인구는 2,778,151명이었다. 폴타바현은 15개 군(уезд)으로 나뉘어 있었으며, 각 군의 행정 중심지와 인구는 다음과 같았다.
군 | 행정 중심지 | 면적[6] (km²) | 군 전체 인구 (명) | 행정 중심지 인구 (명) |
---|---|---|---|---|
가탸치 군 | 하댜치 | 2162.4km2 | 142,806 | 7,721 |
제니키우 군 | 지니키우 | 1977.5km2 | 140,304 | 10,443 |
졸로토노샤 군 | 졸로토노샤 | 3888.6km2 | 227,594 | 8,739 |
코벨랴키 군 | 코벨랴키 | 3227.2km2 | 217,875 | 10,487 |
콘스탄티노그라드 군 | 크라스노흐라드 | 5341.7km2 | 230,310 | 6,455 |
크레멘추크 군 | 크레멘추크 | 3013.2km2 | 244,894 | 63,007 |
로흐비차 군 | 로흐비차 | 2320.5km2 | 150,985 | 8,911 |
루브니 군 | 루브니 | 2059.6km2 | 136,613 | 10,097 |
미르고로드 군 | 미르호로드 | 2336.7km2 | 157,790 | 10,037 |
페레야슬라프 군 | 페레야슬라프 | 3595.2km2 | 185,306 | 14,614 |
피랴틴 군 | 피랴틴 | 2871.6km2 | 163,505 | 8,022 |
폴타바 군 | 폴타바 | 2977.9km2 | 227,795 | 53,703 |
프릴루키 군 | 프릴루키 | 2877.4km2 | 192,502 | 18,532 |
로멘 군 | 로멘 | 2285.2km2 | 186,497 | 22,510 |
호로르 군 | 호롤 | 2909.3km2 | 173,375 | 7,997 |
현 전체 | 폴타바 | 43844km2 | 2,778,151 | 274,294 |
· 면적은 제곱 베르스타를 제곱 킬로미터(km²)로 환산한 값이다. (1 베르스타 = 약 1067m)[7]
· ''기울임꼴''은 행정 중심지의 각 시 외에 흐라디즈크, 흘린스크 2시를 포함하는 도시 인구의 총계이다.
4. 1. 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

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폴타바현은 러시아 제국의 일부였으며, 현재의 우크라이나 중부 지역에 해당한다. 당시 조사 결과, 폴타바현의 인구 구성, 언어, 종교, 주요 도시 등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1][2]
이 섹션에서는 1897년 인구 조사를 바탕으로 폴타바현의 전반적인 현황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1. 1. 민족 구성
189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폴타바현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8]
각 군별 민족 구성 비율은 다음과 같았다.
군 | 우크라이나인 (%) | 유대인 (%) | 러시아인 (%) | 독일인 (%) |
---|---|---|---|---|
가탸치 군 | 96.9 | 2.4 | - | - |
제니키우 군 | 98.1 | 1.3 | - | - |
졸로토노샤 군 | 95.5 | 3.4 | - | - |
코벨랴키 군 | 97.3 | 1.6 | - | - |
콘스탄티노그라드 군 | 86.1 | 11.8 | - | 1.1 |
크레멘추크 군 | 80.3 | 13.1 | 5.5 | - |
로흐비차 군 | 95.8 | 3.1 | - | - |
루브니 군 | 95.0 | 3.3 | 1.4 | - |
미르고로드 군 | 97.1 | 1.9 | - | - |
페레야슬라프 군 | 93.8 | 5.3 | - | - |
퓌랴틴 군 | 95.2 | 3.8 | - | - |
폴타바 군 | 88.7 | 5.1 | 5.3 | - |
프릴루키 군 | 94.6 | 4.3 | - | - |
로멘 군 | 93.5 | 4.2 | 1.7 | - |
호로르 군 | 96.7 | 2.3 | - | - |
4. 1. 2. 언어 구성
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주 언어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굵게''' 표시되어 있다.[1]
언어 | 인원 | 비율(%) |
---|---|---|
우크라이나어 | 2,583,133 | 92.98 |
이디시어 | 110,352 | 3.97 |
러시아어 | 72,941 | 2.63 |
독일어 | 4,579 | 0.16 |
폴란드어 | 3,891 | 0.14 |
벨라루스어 | 1,344 | 0.05 |
모국어를 식별하지 않은 사람들 | 92 | <0.01 |
기타 | 1,819 | 0.07 |
4. 1. 3. 종교 구성
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2]에 따르면 당시 사실상 국교는 동방 정교회였으며, 일부는 유대교를 믿었다. 그 외 다른 종교는 현에서 훨씬 덜 흔했다.
4. 1. 4. 주요 도시 (1897년 기준)
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1만 명 이상의 인구가 있는 도시는 다음과 같다.도시 | 인구 | ייִד|유대인yi | українці|우크라이나인uk | русские|러시아인ru |
---|---|---|---|---|
크레멘추크 | 63,007명 | 29,577명 | 18,980명 | 12,130명 |
폴타바 | 53,703명 | 10,690명 | 30,086명 | 11,035명 |
로므니 | 22,510명 | 6,341명 | 13,856명 | 1,933명 |
프릴루키 | 18,532명 | 5,719명 | 11,850명 | 821명 |
페레야슬라우 | 14,614명 | 5,737명 | 8,348명 | 468명 |
코벨리야키 | 10,487명 | 2,115명 | 7,708명 | 564명 |
젠코프 | 10,443명 | 1,261명 | 8,957명 | 187명 |
루브니 | 10,097명 | 3,001명 | 5,975명 | 960명 |
미르고로드 | 10,037명 | 1,248명 | 8,290명 | 427명 |
참조
[1]
웹사이트
Language Statistics of 1897
http://demoscope.ru/[...]
[2]
웹사이트
Religion Statistics of 1897
http://demoscope.ru/[...]
[3]
문서
Постановление ВУЦИК от 3.06.1925 о ликвидации губерний и о переходе на трехстепенную систему управления
https://ru.wikisourc[...]
[4]
서적
Малороссийская губерния
https://ru.wikisourc[...]
СПб.
1890-1907
[5]
서적
Полтавская губерния
https://ru.wikisourc[...]
[6]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Первая всеобщ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1897 г. Наличное население в губерниях, уездах, городах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без Финляндии).
http://www.demoscope[...]
[7]
서적
コンサイス露和辞典
三省堂
2009
[8]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Первая всеобщ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1897 г. Распределение населения по родному языку и уездам 50 губерний Европейской России
http://www.demoscop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