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푸시야부티 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시야부티 왕조는 6세기부터 7세기까지 인도 북부를 통치한 왕조이다. 이 왕조는 푸시야부티 또는 푸슈파부티로 불리며, 왕의 이름이 "-바르다나"로 끝나는 경우가 많아 바르다나 왕조로도 지칭된다. 푸시야부티 왕조는 타네사르를 중심으로 성장했으며, 프라바카라바르다나 치세에 세력을 확장했다. 그의 아들 하르샤바르다나는 제국을 더욱 넓혀 인도 북부의 주요 세력으로 부상시켰다. 하르샤는 카나우지를 수도로 삼았지만, 647년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왕조는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중세사 - 팔라 제국
    팔라 제국은 8세기 중반 벵골 지역에 고팔라 1세가 건국하여 다르마팔라와 데바팔라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12세기 중엽 세나 왕조에 의해 멸망한 불교를 후원한 왕조이다.
  • 인도의 중세사 - 비자야나가라 제국
    비자야나가라 제국은 14세기 초 하리하라 1세가 남인도에 건국한 힌두 제국으로, 크리슈나 데바 라야 시대에 최전성기를 누렸으나 탈리코타 전투에서 패배하여 몰락했으며, 정교한 행정 체계, 발달된 경제, 독특한 건축 양식과 문화를 발전시키고 종교에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 아시아의 옛 제국 - 청나라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중국 최후의 통일 왕조로, 후금에서 국호를 변경하여 시작되었고 명나라를 멸망시킨 후 중국 대륙을 통일하여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반란, 근대화 개혁 실패 후 신해혁명으로 멸망,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다민족 국가로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아시아의 옛 제국 - 토번
    토번은 7세기 초에 건국되어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한 티베트의 고대 왕국으로, 당나라와 빈번한 외교 및 전쟁을 벌였으며, 8세기 후반에 불교를 국교로 삼았으나 종교적 갈등과 왕위 계승 분쟁으로 멸망했다.
  • 인도의 왕조 - 난다 제국
    난다 제국은 기원전 345년경 마가다 왕국을 멸망시키고 마하파드마 난다에 의해 건국되어 강력한 군사력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북인도 대부분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기원전 321년경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에 의해 멸망했다.
  • 인도의 왕조 - 세나 왕조
    세나 왕조는 11세기 남부 데칸고원에서 시작하여 벵골 지방에서 강국으로 성장했지만, 1202년 고르 왕조의 공격으로 쇠퇴하여 13세기 중반 멸망했으며, 힌두교를 중시하고 벵골어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푸시야부티 왕조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하르샤 제국"을 형성하며 전성기를 누렸던 기원전 600~650년경 푸시야부티 왕조의 강역.
기본 정보
나라이름인도
현지 이름푸시야부티 왕조
다른 표기해당사항 없음
존속 기간500년 ~ 647년
수도스탄비스바라(500년 ~ 580년)
칸야쿠브자(580년 ~ 647년)
공용어고전 산스크리트어
종교힌두교
불교
정부 형태전제군주제
왕조바르다나 왕조
민족인도아리아인
현재 국가
정치
지도자 칭호군주
군주 (500년 ~ 525년)나라바르다나(초대)
군주 (525년 ~ 555년)라지야바르다나 1세
군주 (555년 ~ 580년)아디트야바르다나
군주 (580년 ~ 605년)프라바카라바르다나
군주 (605년 ~ 606년)라지야바르다나 2세
군주 (606년 ~ 647년)하르샤바르다나(말대)
역사
사건건국
사건 날짜500년
사건 1하르샤 시대
사건 날짜 1606년 ~ 647년
사건 2멸망
사건 날짜 2647년

2. 어원과 명칭

궁정 시인 바나바타가 작곡한 하르샤차리타에 따르면 이 가문은 푸시야부티 왕조(IAST: Puṣyabhūti-vaṃśa) 또는 푸슈파부티 왕조(IAST: Puṣpabhūti-vaṃśa)로 알려져 있다.[1] 하르샤차리타의 필사본은 "푸슈파부티"라는 변형을 사용하지만 게오르크 뷸러는 이것이 필경사의 오류이며 정확한 이름은 푸시야부티라고 주장했다.[2] 현재 몇몇 현대 학자들은 "푸슈파부티"라는 형식을 사용하고 있고 다른 학자들은 "푸시야부티"라는 변형을 선호한다.[3]

일부 현대 서적에서는 왕조의 왕 이름이 접미사 "-바르다나"로 끝나기 때문에 왕조를 "바르다나"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왕조의 왕 이름도 이 접미사로 끝나기 때문에 이는 오해의 소지가 있는 명칭이다.[1]

3. 기원

왕조의 기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없다. 7세기 시인 바나가 쓴 '하르샤차리타'에는 푸시야부티 왕조의 기원에 대해 전설적인 이야기가 나오는데, 바나는 푸시야부티를 왕조의 창시자로 지명한다. 이 전설에 따르면, 푸시야부티는 수도가 스탄비슈바라(현대의 타네사르)였던 스리칸타 자나파다(오늘날의 쿠루크셰트라구)에 살았다. 시바의 열성적인 신자였던 푸시야부티는 "남부" 출신의 교사인 바이라바차리아의 영향으로 화장터에서 탄트라 의식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 의식의 마지막에, 한 여신(락슈미로 확인됨)이 그를 왕으로 임명하고, 위대한 왕조의 창시자로서 축복했다.[1] 바나의 기록에 언급된 푸시야부티는 왕조의 비문이나 다른 출처에서 언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허구의 인물인 것으로 보인다.[1]

현장대당서역기와 8세기 불교 문헌인 대방광보살장문수사리근본의궤경은 푸시야부티 왕조가 바이샤 카스트에 속했음을 암시한다.[2][3]

4. 역사





하르샤는 인도 북부의 상당 부분을 점령하여 하르샤 제국을 이루었다. 하르샤 제국의 정확한 범위에 대해서는 여러 평가가 있지만, 인도 북부의 주요 지역을 지배했고, 서쪽의 발라바 왕과 동쪽의 카마루파 왕 바스카라바르만이 그의 통치권을 받아들였다. 남쪽으로는 나르마다강까지 제국이 확장되었다.

하르샤는 카냐쿱자(카나우지)를 수도로 삼고 647년까지 통치했다. 하르샤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푸시야부티 왕조는 멸망하였다.

4. 1. 초기 역사와 성장



푸시야부티 왕조는 원래 수도 스타네슈바라(타네사르) 주변의 작은 지역을 통치했다. 한스 티 바커에 따르면, 그들의 통치자 아디트야바르다나(또는 아디트야세나)는 아마도 칸나우지의 마우카리 왕 샤르바바르만과 불화 관계였을 것이라고 한다. 그의 후계자 프라바카라바르다나 역시 초기에 마우카리 왕 아반티바르만과 불화했을 가능성이 있다. 프라바카라의 딸 라지야슈리는 아반티바르만의 아들 그라하바르만과 결혼했다. 이 결혼의 결과로 프라바카라의 정치적 지위는 크게 높아졌고, 그는 파라마-바타라카 마하라자디라자("그의 용맹과 애정 때문에 다른 왕들이 절하는 사람")라는 황제의 칭호를 얻었다.

''하르샤차리타''에 따르면 프라바카라가 죽은 후 말라바의 왕은 가우다 통치자의 지원을 받아 카나우지를 공격했다. 말라바 왕은 그라하바르만을 죽이고 라지야슈리를 점령했다. 바나는 이 왕에 대해 언급하지 않지만 역사가들은 그를 후굽타 왕조의 통치자로 추측한다. 프라바카라의 큰 아들 라지야바르다나는 말라바의 통치자를 무찌르지만 가우다 왕에게 암살당했다.

''하르샤차리타''는 프라바카라의 작은 아들 하르샤바르다나가 가우다 왕과 그들의 동맹국들을 파괴할 것을 맹세했다고 덧붙인다. 바나는 가우다 왕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지만 역사가들은 그를 벵골(가우다)의 통치자 샤샨카와 동일시한다. 하르샤카마루파의 왕 바스카라바르만과 동맹을 맺고 샤샨카를 격퇴시켰다. 그 후 기원전 606년, 하르샤는 공식적으로 황제로 즉위했다.

4. 2. 하르샤바르다나의 통치와 제국 확장



하르샤차리타에 따르면 프라바카라가 죽은 후 말라바의 왕이 가우다 통치자의 지원을 받아 카나우지를 공격했다. 말라바 왕은 그라하바르만을 죽이고 라지야슈리를 점령했다. 바나는 이 왕에 대해 언급하지 않지만 역사가들은 그를 후굽타 왕조의 통치자로 추측한다. 프라바카라의 큰 아들 라지야바르다나는 말라바의 통치자를 무찔렀지만 가우다 왕에게 죽임을 당했다.

하르샤차리타는 프라바카라의 작은 아들 하르샤가 가우다 왕과 그 동맹국들을 파괴할 것을 맹세했다고 덧붙인다. 바나는 가우다 왕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지만 역사가들은 그를 벵골(가우다)의 통치자 샤샨카와 동일시한다. 하르샤카마루파의 왕 바스카라바르만과 동맹을 맺고 샤샨카를 격퇴시켰다. 그 후 기원전 606년, 하르샤는 공식적으로 황제로 즉위했다. 그는 인도 북부의 상당 부분을 점령했다(하르샤 제국 참조). 하르샤 제국의 정확한 범위에 대해서는 여러 평가가 있지만, 그는 인도 북부의 주요 지역을 지배했고, 서쪽의 발라바 왕과 동쪽의 카마루파 왕 바스카라바르만이 그의 통치권을 받아들였고, 남쪽으로는 그의 제국이 나르마다강까지 확장되었다.

하르샤는 결국 카냐쿱자(카나우지)를 수도로 삼았고, 647년까지 제국을 통치했다. 하르샤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푸시야부티 왕조는 멸망하였다.

5. 역대 군주

푸시야부티 왕조의 통치자 목록
이름재위비고
푸시야부티~500
나라바르다나500~525
라지야바르다나 1세525~555
아디티야바르다나555~580
프라바카라바르다나580~605
라지야바르다나 2세605~606
하르샤바르다나606~647


참조

[1] 서적 Itihas Va Nagarikshastra Iyatta Sahavi Maharashtra rajya pathyapustak nirmiti va abhyaskram sanshodhak mandal, [[Pune]]
[2] 저널 Religious Analysis of Harsha's Personality Indian History Congress
[3] 서적 Essays in Indian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Indian History & Culture Society
[4] 서적 Reflections of Indian Consciousness https://books.google[...] National Museum 2008
[5] 서적 Epigraphia Indica Vol.21 https://archive.org/[...] 1931
[6] 문서 Vardhana attribution by the Indian Museum in New Delhi, see label [[:파일:Indian Stone Statue- Lion Capital, Vardhana 7th Century CE Gwalior.jpg|of the lion capital]]
[7] 문서 Vardhana attribution by the Indian Museum in New Delhi, see label [[:파일:Indian Stone Statue- Lion Capital, Vardhana 7th Century CE Gwalior.jpg|of the lion capit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