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굽타 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굽타 왕조는 굽타 제국 쇠퇴 이후 마가다를 중심으로 일어선 왕조이다. 크리슈나굽타가 왕조를 창건했으며, 마우카리 왕조, 푸시야부티 왕조 등과 경쟁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하르샤의 사후 아디티야세나는 갠지스강에서 벵골만까지 이르는 대규모 왕국을 건설했으나 찰루키아에게 패배했다. 마지막 통치자인 지비타굽타 2세는 750년경 카나우지의 야쇼바르만에 의해 패배하면서 멸망했다. 11~12세기에는 락히사라이 구 주변에서 굽타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소왕국이 존재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가다 - 마우리아 제국
    마우리아 제국은 찬드라굽타 마우리아가 건국하여 아소카 대제 때 최전성기를 누렸으나 쇠퇴하여 숭가 제국에 의해 멸망한 고대 인도 제국으로, 중앙집권적 통치, 불교 전파, 헬레니즘 교류 등의 특징을 가지며 인도 문화와 역사에 큰 영향을 남겼다.
  • 마가다 - 파탈리푸트라
    파탈리푸트라는 고대 인도에서 여러 왕조의 수도로서 번영했으며, 마우리아 제국 시대에 최전성기를 맞이했으나 갠지스 강 유역 변화 등으로 쇠퇴하여 현재는 파트나 지역의 유적에서 고대 인도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발굴되고 있다.
  • 비하르주의 역사 - 수르 제국
    수르 제국은 1539년 셰르 샤 수리가 건국하여 토지세 개혁과 화폐 제도 개혁을 추진했지만, 1555년 후마윤에 의해 멸망한 북인도의 왕조이다.
  • 비하르주의 역사 - 밧지 연맹
    밧지 연맹은 기원전 6세기경 고대 인도 북부에서 밧지족을 중심으로 여러 부족이 연합하여 강력한 세력을 유지했던 공화정 연맹으로, 갠지스강을 중심으로 마가다 왕국과 경쟁하다 아자타샤트루 왕의 침공으로 멸망했다.
  • 인도의 중세사 - 팔라 제국
    팔라 제국은 8세기 중반 벵골 지역에 고팔라 1세가 건국하여 다르마팔라와 데바팔라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12세기 중엽 세나 왕조에 의해 멸망한 불교를 후원한 왕조이다.
  • 인도의 중세사 - 비자야나가라 제국
    비자야나가라 제국은 14세기 초 하리하라 1세가 남인도에 건국한 힌두 제국으로, 크리슈나 데바 라야 시대에 최전성기를 누렸으나 탈리코타 전투에서 패배하여 몰락했으며, 정교한 행정 체계, 발달된 경제, 독특한 건축 양식과 문화를 발전시키고 종교에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후굽타 왕조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6세기경 후기 굽타 왕조의 마하세나굽타의 "검객 유형" 금화. 앞면에는 왕이 왼손에 칼을 들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뒷면에는 여신이 연꽃 자세로 앉아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일반 명칭후기 굽타 왕조
공식 명칭후기 굽타 왕조
수도파탈리푸트라
종교힌두교
불교
정치 체제군주제
존속 기간기원후 6세기경 – 기원후 8세기경
역사
이전굽타 제국
이후푸샤브후티 왕조
지도
후기 굽타 왕조의 전성기 및 주변 국가
같이 보기
관련국가알촌
마우카리 왕조
푸샤브후티 왕조
가우다 왕국

2. 역사

굽타 제국이 쇠퇴한 후 후굽타 왕조가 마가다의 통치자가 되었다. 후굽타 왕조는 마우카리 왕조, 푸시야부티 왕조 등과 경쟁하거나 동맹을 맺으며 세력을 확장했다.

후굽타 왕조의 창시자인 크리슈나굽타의 딸은 마우카리 왕조의 아디트야바르만 왕자와 결혼했다고 전해지며, 크리슈나굽타의 손자 지비타굽타는 히말라야 지역과 벵골 남서부에서 군사 원정을 수행했다.[4] 지비타굽타의 아들 쿠마라굽타는 마우카리 왕 이샤나바르만을 물리쳤으나, 그의 아들 다모다라굽타는 마우카리에게 패배했다.

다모다라굽타의 아들 마하세나굽타는 푸시야부티 왕조와 동맹을 맺고 카마루파를 침공하여 수스티타바르만을 격파했다. 그러나 마우카리 왕 샤르바바르만, 카마루파 국왕 수프라티스티타바르만, 토번 첸포 송첸캄포의 침략을 받았고, 가신 샤샨카에게 배신당하여 말와로 피신했다. 이후 푸시야부티 황제 하르샤가 마가다에서 후굽타 통치를 복원하여 하르샤의 봉신으로서 마가다를 통치했다.[10][11]

하르샤 사후, 후굽타 통치자 아디티야세나는 북쪽의 갠지스강에서 남쪽의 초타나가르, 동쪽의 고마티강에서 서쪽의 벵골만까지 영토를 확장했으나, 찰루키아에게 패배했다.[12]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인 지비타굽타 2세는 서기 750년경 카나우지 바르만 왕조의 야쇼바르만에게 패배한 것으로 보인다.[13]

2. 1. 기원

굽타 제국이 쇠퇴한 후, 후굽타 왕조가 마가다의 통치자가 되었다.[4] 후굽타 왕조의 창시자인 크리슈나굽타의 딸은 마우카리 왕조의 아디트야바르만 왕자와 결혼했다고 전해진다. 아디트야세나의 아프사드 비문에 따르면 크리슈나굽타의 손자 지비타굽타는 히말라야 지역과 벵골 남서부에서 군사 원정을 수행했다.

지비타굽타의 아들 쿠마라굽타의 치세 동안 후굽타 왕조는 마우카리 왕조와 경쟁을 벌였다. 쿠마라굽타는 554년에 마우카리 왕 이샤나바르만을 물리치고 프라야가에서 사망했다. 그의 아들 다모다라굽타는 마우카리에게 역전패를 당했다.

다모다라굽타의 아들 마하세나굽타는 푸시야부티 왕조와 동맹을 맺었다. 그의 여동생은 푸시야부티 왕조의 통치자 아디티야바르다나와 결혼했다. 마하세나굽타는 카마루파를 침공하고 수스티타바르만을 격파했다. 그러나 그는 이후 세 명의 침략자들, 즉 마우카리 왕 샤르바바르만, 카마루파 국왕 수프라티스티타바르만, 토번 첸포 송첸캄포와 맞닥뜨렸다. 그의 가신인 샤샨카도 그를 버렸다(샤샨카는 나중에 독립된 가우다 왕국을 세웠다). 마우카리 왕 샤르바바르만은 다모다라굽타를 물리치고 575년경 마가다를 침공하여 우타르프라데시 전체의 통치자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10][11] 이러한 상황에서 마하세나굽타는 강제로 마가다를 떠나 말와로 대피했다. 그 후, 푸시야부티 황제 하르샤는 마가다에서 후굽타 통치를 복원했고, 후굽타 왕조는 하르샤의 봉신으로서 마가다를 통치했다.

일반적으로 이 시대 연구자들 사이에서 받아들여지는 의견은 후굽타 왕조가 현재 인도의 비하르에 해당하는 마가다 지역에서 기원했다는 것이다. 이는 후굽타 왕조와 관련된 모든 비문이 이 지역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네팔어 비문에서도 아디티야세나 왕을 "마가다의 군주"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들은 아마도 원래 제국 굽타의 봉신이었으며, 제국의 멸망 이후 마가다 지역의 넓은 영토를 차지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4]

2. 2. 마우카리 왕조와의 경쟁

굽타 제국이 쇠퇴한 후, 후굽타 왕조가 마가다의 통치자가 되었다.[10] 왕조의 창시자인 크리슈나굽타의 딸은 마우카리 왕조의 아디트야바르만 왕자와 결혼했다고 전해진다.

지비타굽타의 아들 쿠마라굽타의 치세 동안, 후굽타 왕조는 마우카리 왕조와 경쟁 관계를 발전시켰다. 쿠마라굽타는 554년에 마우카리 왕 이샤나바르만을 물리치고 프라야가에서 사망했다. 그의 아들 다모다라굽타는 마우카리에게 역전패를 당했다.[11]

다모다라굽타의 아들 마하세나굽타푸시야부티 왕조와 동맹을 맺었다. 그의 여동생은 통치자 아디티야바르다나와 결혼했다. 그는 카마루파를 침공하여 수스티타바르만을 격파했다.[11] 그러나 그는 이후 마우카리 왕 샤르바바르만, 카마루파 국왕 수프라티스티타바르만, 토번 첸포 송첸캄포의 세 침략자와 맞섰다. 그의 가신인 샤샨카도 그를 버리고 나중에 독립된 가우다 왕국을 세웠다. 마우카리 왕 샤르바바르만은 다모다라굽타를 물리치고 575년경 마가다를 침공하여 우타르프라데시 전체의 통치자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5][6] 이러한 상황에서 마하세나굽타는 강제로 마가다를 떠나 말와로 대피했다.

2. 3. 푸샤부티 왕조와의 동맹, 그리고 쇠퇴

마하세나굽타는 푸샤부티 왕조와 동맹을 맺었다. 그의 누이는 푸샤부티 왕조의 통치자 아디티야바르다나와 결혼했다. 그러나 마하세나굽타는 이후 샤르바바르만, 수프라티쉬티타-바르만, 송첸 등 세 명의 침략자를 만났다. 그의 봉신 샤샨카 역시 그를 버리고 독립적인 가우다 왕국을 세웠다.[10][11] 이러한 상황에서 마하세나굽타는 마가다를 떠나 말와로 피신해야 했다. 그 후, 푸샤부티 황제 하르샤는 후굽타 왕조의 마가다 통치를 회복시켰고, 후굽타 왕조는 하르샤의 봉신으로서 마가다를 통치했다.

하르샤가 죽은 후, 후굽타 왕조의 통치자 아디티야세나는 북쪽의 갠지스강에서 남쪽의 초타 나그푸르까지, 서쪽의 고마티 강에서 동쪽의 벵골 만까지 이르는 광대한 왕국의 주권자가 되었다. 그러나 그는 찰루키아에게 패배했다.

후굽타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인 지비타굽타 2세는 750년경 카나우지 바르만 왕조의 야쇼바르만에게 패배한 것으로 보인다.

2. 4. 하르샤 사후와 멸망

굽타 제국이 쇠퇴한 후, 푸시야부티 왕조의 황제 하르샤는 마가다에서 후굽타 왕조의 통치를 복원했고, 이들은 하르샤의 봉신으로서 마가다를 통치했다.[10]

하르샤 사후, 후굽타 왕조의 통치자 아디티야세나는 북쪽의 갠지스강에서 남쪽의 초타나가르, 동쪽의 고마티강에서 서쪽의 벵골만까지 확장되는 대규모 왕국의 주권자가 되었다.[11] 그러나 그는 찰루키아에게 패배했다.[12]

후굽타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인 지비타굽타 2세는 서기 750년경 카나우지 바르만 왕조의 야쇼바르만에게 패배한 것으로 보인다.[13]

2. 5. 자야푸라의 굽타

11세기와 12세기에 락히사라이 구 주변 지역을 다스린 소왕국은 "굽타"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며, 이후 후굽타 왕조의 생존 계통으로 연결되었다.[12][7] 이 소왕국의 통치에 대한 증거는 1919년에 발견된 판초브(Panchob) 동판 비문에서 나온다.[13][8]

3. 역대 군주

이름재위 기간
크리슈나굽타-
하르샤굽타-
지비타굽타 1세-
쿠마라굽타-
다모다라굽타-
마하세나굽타-
마다바굽타- (왕비: 슈리마티)
아디티야세나- (왕비: 코나데비)
데바굽타- (왕비: 카말라데비)
비슈누굽타(왕비: 일자데비)
지비타굽타 2세



아디티야세나의 아프사드 비문 (재위 - )은 아디티야세나까지의 후기 굽타 왕조의 계보를 확립한다.

4. 화폐

후기 굽타 왕조의 마하세나굽타 왕의 궁수형 주화, 서기 6세기경


후기 굽타 왕들의 통치 기간의 주화는 비교적 희귀하다. 지금까지 발견된 유일한 주화는 562년부터 601년까지 통치한 마하세나굽타 시대의 것이다.

화폐학적 증거는 후기 굽타가 독실한 시바교도였으며, 난디의 묘사가 제국 굽타의 주화에 있던 가루다의 묘사를 대체했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 마하세나굽타 통치 기간에는 "궁수형"과 "검객형" 두 종류의 주화가 발견되었다.

참조

[1] 서적 Treasures of the Gupta Empire: A Numismatic History of the Golden Age of India https://www.jstor.or[...] Archaeopress 2024
[2] 서적 A Historical atlas of South Asia https://dsal.uchica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3] 간행물 Later Guptas https://onlinelibrar[...] 2022
[4] 간행물 The Original Home of the Later Guptas https://archive.org/[...] 1974
[5] 서적 Dynastic History of Magadha, Cir. 450-1200 A.D.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1977
[6] 서적 Harsha: Calcutta University Readership Lectures 1925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016-01-01
[7] 서적 The Geopolitical Orbits of Ancient India: The Geographical Frames of the Ancient Indian Dynast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8] 간행물 THE PANCHOBH COPPER-PLATE OF SAMGRAMA GUPTA: A STUDY 2000
[9] 서적 A Historical atlas of South Asia https://dsal.uchica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10] 서적 Dynastic History of Magadha, Cir. 450-1200 A.D.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1977
[11] 서적 Harsha: Calcutta University Readership Lectures 1925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016-01-01
[12] 서적 The Geopolitical Orbits of Ancient India: The Geographical Frames of the Ancient Indian Dynast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3] 저널 THE PANCHOBH COPPER-PLATE OF SAMGRAMA GUPTA: A STUDY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