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레시오지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레시오지테는 17세기 프랑스 사교계에서 발달한 문화 사조로, '세련됨'을 추구하며 언어와 예절을 중시했다. 살롱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1620년부터 1648년까지 오텔 드 랑부예를 중심으로 하는 전기와 1650년부터 1680년까지 마들렌 드 스퀴데리의 토요회를 중심으로 하는 후기로 나뉜다. 프레시오지테는 문학, 연애, 결혼 등 상류 여성의 삶 전반에 영향을 미쳤으며, 언어의 순화와 미화를 추구하여 프랑스어 발전에 기여했다. 그러나 세련됨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우스꽝스럽게 비춰지기도 했으며, 몰리에르의 희극 《여학자들》에서 풍자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문학 운동 - 플레야드파
    플레야드파는 16세기 프랑스 르네상스 시대에 롱사르를 중심으로 결성되어 고대 문학 부흥을 통해 프랑스어의 예술적 잠재력을 극대화하려 했던 시 운동으로, 뒤 벨레의 선언서를 통해 목표를 구체화하고 유럽 전역에 영향을 미치며 근대 서정시 발전에 기여했다.
  • 17세기 문학 - 오텔 드 랑부예
    17세기 초 카트린 드 비본이 설립한 오텔 드 랑부예는 당대 지식인들이 모여 프랑스 문화 형성에 기여한 유명한 살롱으로, 프랑스어 정제와 엘리트 문화 형성 등의 긍정적 영향과 더불어 형식적인 분위기와 사회적 불평등 심화라는 비판도 받았다.
프레시오지테
개요
조르주 드 스퀴데리
'《클레오파트르》의 표지, 1647년'
운동프레시오지테
국가프랑스
시작17세기 초
종료17세기 중반
영향 받은 운동살롱
영향을 준 운동고전주의
특징
특징세련된 언어와 매너 강조
여성의 역할과 지위 향상 추구
플라토닉 러브 숭상
과장되고 장식적인 문체 사용
사회적 관습과 규범에 대한 비판
주요 인물
주요 인물카트린 드 랑부예 후작부인
마들렌 드 스퀴데리
조르주 드 스퀴데리
앙투안 보드 드 메네즈
뱅상 부아튀르
질 메나주
문학적 특징
문학적 특징알렉상드랭 시의 유행
로맨스 소설의 발전 (예: 《레 자스트레》)
연애 편지, 살롱 대화 등 새로운 장르 개척
고상하고 세련된 어휘 사용
우아하고 장식적인 문체 구사
역사적 배경
역사적 배경17세기 프랑스 귀족 사회의 변화와 여성의 사회적 역할 증대
루이 13세 시대의 궁정 문화와 살롱 문화의 발전
종교 전쟁 이후 사회적 불안과 도덕적 해이
어원
어원프랑스어 'précieux'(peuresyö) (귀중한, 소중한)

2. 어원

프랑스어로 '귀중함', '값비쌈' 등을 의미하며, 1650년에 여성형용사 précieuse가 이러한 도도하고 고결한 태도를 취하는 여성들에게 붙여지기 시작했고, 1660년에 명사형 préciosité가 이러한 사조를 일컫게 되었다.

17세기 당시, 살롱에 출입하는 재원들을 프레시외즈(Précieuses), 남성을 프레시외(Précieux)라고 불렀다. "Précieux"는 라틴어 "Pretiosus"에서 유래된 말로, 형용사 "Précieuse", 그 명사형 "Préciosité"는 이 단어에서 파생되었다. 이 단어들은 문학적으로는 "잘난 체하는", "공들인" 또는 "재녀들의" 정도의 의미였으나, 1650년경에 재녀인 척하는 여성들을 조롱하는 단어로 변질되었다. 이는 그녀들이 주장하는 풍조, 즉 프레시오지테가 지나치게 첨예화되었기 때문이며, 몰리에르의 희곡 『여학자들』에서 공격의 대상이 되었고, 그 희곡이 큰 성공을 거두면서 단번에 퍼져나갔다[9]

17세기의 사전에서는 "Précieuses"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 이 단어는 긍정적인 의미를 동반하지 않는 한 나쁜 의미로 사용된다. 긍정적인 형용사를 동반할 때는 언어에 세련되고, 사리에 밝으며, 재치가 풍부한 여성을 지칭한다. 그러나 이 의미로는 상당히 드물다. 이 단어를 형용사 없이, 또는 불쾌한 내용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몸짓이나 말로 조롱받을 만한 여성을 지칭한다 - [10][11]
  • 과거에는 세상과 언어를 잘 아는 매우 재능과 덕망 있는 여성에게 부여된 형용사였다. 그러나 다른 여성들이 그것을 모방하고, 형식의 과도함으로 인해 단어의 가치가 하락하여, 이러한 여성들을 잘난 척하는 여자 또는 우스꽝스러운 재녀 등으로 부르게 되었고, 몰리에르가 희극으로, 드 퓌르가 소설로 만들었다 - [12][13]

3. 역사적 배경

프레시오지테는 17세기 전반 프랑스 살롱에서 발원하여 발달한 사조이다. 오텔 드 랑부예를 중심으로 한 1620년-1648년의 전기와, 마들렌 드 스퀴데리의 토요회를 중심으로 한 1650년-1680년의 후기로 나뉜다.[14] 프레시오지테는 부인을 중심으로 하는 사교계인 살롱을 모태로 한다.

3. 1. 전기 (1620-1648)

1620년-1648년의 시기는 오텔 드 랑부예를 대표로 한 프레시오지테의 전기로 구분된다.[14]

전기 프레시오지테의 주된 목적은 "거칠고 살벌한 풍조를 일소하는 것"에 있었다. 앙리 4세에 의해 오랜 내란과 종교 전쟁이 끝나고 부르봉 왕조가 열린 지 얼마 안 된 17세기 전반에는 궁정 안에조차 거친 분위기가 만연했다.[15][16] 이러한 야만적인 풍조에 실망한 랑부예 후작 부인 카트린 드 비봉은 궁정 생활을 그만두고 자택에 살롱을 열었다.[15][16]

랑부예 후작 부인 카트린 드 비봉의 살롱은 세상에 널리 받아들여졌고, 그 결과 많은 살롱이 생겨났다. 이 살롱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였고, 기존 사회에 통용되던 도덕과는 다른 사교계의 규칙이 생겨났다.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태도와 복장에 주의하고, 과격함을 배제하였다. 그 결과 오네트옴(honnête homme)이라고 불리는 사교인의 전형이 생겨났다. 귀족들은 이 사교인의 전형을 이상으로 삼아 도달하려고 노력했다. 귀족의 우월함은 살아가는 방식, 말하는 방식, 행동 등으로 결정되었고, 교제나 대화, 문통의 관능화, 쾌락 추구 등이 행해지며, 이로써 "갤런트리(Galanterie)"를 체현하게 되었다.

3. 2. 후기 (1650-1680)

1650년이 지나고, 마들렌 드 스퀴데리의 살롱 "토요회"가 열리면서, "프레셔스"는 멸시적인 의미로 바뀌어 갔다. 세련됨을 추구하다 보니, 우스꽝스러워졌던 것이다. 단어의 의미뿐만 아니라, 그렇게 불리던 사람들도 변화했다. 이전까지는 프랑스어와 문학을 중심으로 논의했지만, 그것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창설의 영향 등을 받아, 천문학이나 수학 등의 과학에 열중하게 되었다. 몰리에르는 그녀들을 소재로 삼아, 희곡 『여학자들』을 제작했다.

1661년 루이 14세친정이 시작되자 궁정이 차츰 사교계의 중심이 되었고, 이에 따라 프레시오지테는 소멸되지는 않았지만, 급속히 취미나 유행의 지도권을 잃어갔다.[17]

3. 3. 쇠퇴

1661년, 루이 14세친정을 시작하면서 살롱이 아닌 궁정이 사교의 중심지로 변하였고, 이에 따라 프레시오지테는 소멸되지는 않았지만, 급속히 취미나 유행의 지도권을 잃어갔다.[14][17]

4. 특징

프레시오지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18][19]


  • 자신을 돋보이게 하려는 데서 생기는 뽐냄
  • 아첨 및 아부 정신과 배타적 정신
  • 예술 지상주의
  • 현학적인 태도 (전문적 지식 배척)


프레셔스들은 통속적이지 않고 비틀린 표현, 우언법을 즐겨 사용했다. 예를 들어 결혼(mariage)을 "휘메나이오스(hyménée)"라고 하거나, 거울을 "미의 충고자"라고 표현했다. 이러한 표현은 지나친 면이 있지만, 아름다움을 일상적인 대화에서도 추구했기 때문에 프랑스어의 새로운 용법이 만들어졌고, 우아함을 추구하며 발음도 특수화되었다. 이러한 노력으로 프랑스어는 현저하게 세련되게 되었다.[20][21]

프레시오지테는 그것을 자랑하는 사람과 그 주변에서 칭찬하는 사람을 필요로 했다. 프레셔스들은 사교계에서 서로 칭찬하거나 칭찬받는 것을 반복했다. 상류 계급에 속하는 한가한 귀족들이므로,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것은 "서민스럽다"라며 경멸하고 배척했다.

문학에도 도덕적인 목적을 부여하지 않고, 사람들에게 "마음에 들도록" 하는 것을 작품 제작의 원칙으로 삼았다. 살롱에 출입하는 사람들에게 한정되었기 때문에, 재치를 나타내는 데 편리한 마드리갈이나 수수께끼 노래 등의 소품만 제작되었다. 또한, 대화를 통해 사교인으로서 필요한 지식과 교양은 얻을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전문적인 지식을 현학적이라고 배척했다. 교양은 깊어지지 않았고, 학문을 필요로 하는 고대 그리스어 등에 통달한 사람은 드물었다. 그 때문에 "고금 논쟁"에서도 필연적으로 현대파를 옹호했다. 고대 로마나 그리스의 작품을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22]

1650년~80년의 프레시오지테 후기에는 문학과 함께 연애와 결혼 문제를 열심히 논의했다. 결혼을 기피하며, 여성의 지위 향상, 남녀 평등을 주장했다. 이 당시 상류 계급의 결혼은 부모에게 강요당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리가 유린당하고 있다고 생각했다.[23][24] 그러나 경제적으로 남성에게 완전히 의존하고 있는 실상 아래에서는, 이러한 주장은 실현 가능한 것이 아니었고, 결혼을 거부하는 정신적인 연애론이나 가정론을 외치며, 몰리에르의 희극 『여학자들』에서 공격받았다.[25]

5. 대표 인물

이름활동 기간
카트린 드 랑부예1588년 - 1635년
마들렌 드 스퀴데리1653년 - 1661년
마담 도를누아
장루이 게 드 발자크
이사크 드 뱅세라드
샤를 코탱
앙투안 고도
앙리에트-쥘리 드 뮈레
폴 펠리송
마들렌 드 쉬데리
오노레 뒤르페
뱅상 부아튀르


6. 비판

몰리에르1659년 초연된 잘난 체하는 아가씨들(Les Précieuses ridicules)이라는 소극에서 프레시오지테의 화려함을 우스꽝스럽게 모방하는 여성들을 풍자했으며, 이 때문에 여성들의 항의로 공연이 일시 중단되기도 하였다.[1]

참조

[1] 논문 The Influence of the Précieuses on Content and Structure in Quinault's and Lully's Tragédies Lyriques 1991-01
[2] 서적 Les Précieuses: naissance des femmes de lettres en France au XVIIe siècle Champion 1999
[3] 논문 1991
[4] 서적 Les Contes des Fées: The Literary Fairy Tales of France https://web.archive.[...]
[5] 서적 When Dreams Came True: Classical Fairy Tales and Their Tradition
[6] 웹사이트 Beauty and the Beast https://web.archive.[...]
[7] 서적 The Borzoi Book of French Folk-Tales Alfred A. Knopf, Inc. 1956
[8] 논문 The Marvelous in Context: The Place of the Contes de Fées in Late Seventeenth Century France
[9] 논문 「滑稽な才女」の肖像 : ランブイエ嬢アンジェリック・クラリス 徳島大学 2008-12
[10] 논문
[11] 서적 La pre'ciositg,dnde historique et linguistique,tomeⅠ,position du probteme - les origines Droz 1696
[12] 논문
[13] 서적 La pre'ciositg,dnde historique et linguistique,tomeⅠ,position du probteme - les origines Droz 1696
[14] 서적 フランス文学辞典 白水社 1979
[15] 논문 ヨーロッパの社交に関する考察 -社交的事象の場所論1-
[16] 서적 筑摩書房
[17] 서적 フランス文学案内
[18] 논문 『イリュージョン・コミック』(コルネイユ作)と「世界劇場」 : バロックと演劇(VI) 1980
[19] 서적 フランス文学案内
[20] 서적 筑摩書房
[21] 서적 フランス文学案内
[22] 서적 フランス文学案内
[23] 논문
[24] 서적 フランス文学案内
[25] 서적 フランス文学案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