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야 스타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레야 스타크는 1893년 파리에서 태어난 영국의 여행가, 작가, 사진작가이다. 런던 대학교에서 아랍어와 페르시아어를 공부하고 제1차 세계 대전 중 간호사로 활동했으며, 1927년 첫 동양 여행을 시작으로 이란, 아라비아 반도 등지를 탐험하며 여행가로서 명성을 얻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영국 정보부에서 활동했고, 1947년 결혼 후에도 여행과 저술 활동을 지속했다. 1972년 데임 작위를 받았으며, 1993년 아솔로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라비아 탐험가 - 거트루드 벨
영국의 탐험가, 작가, 고고학자, 행정가였던 거트루드 벨은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근대사를 전공하고 페르시아와 중동을 탐험하며 아랍어를 능숙하게 구사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 정보기관에서 활동하고 이라크 건국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그녀의 삶은 여러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다. - 아라비아 탐험가 - 리처드 프랜시스 버턴
리처드 프랜시스 버턴은 영국의 탐험가, 작가, 외교관으로, 인도 주둔군 장교, 메카 순례, 나일 강 발원지 탐험, 다양한 저술 활동을 거쳐 말년에는 『천일야화』 번역에 전념했으며, 성과 에로틱 문학에 대한 솔직한 묘사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 영국의 여행 작가 - V. S. 나이폴
트리니다드 토바고 출신의 소설가이자 수필가인 V. S. 나이폴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수학 후 작가로 활동하며 식민주의 유산, 종교, 정체성 등을 탐구한 작품들로 2001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영국의 여행 작가 - 조지프 콘래드
조지프 콘래드는 폴란드 출신의 영국 소설가로, 해양을 배경으로 인간의 심리와 제국주의 등을 탐구하며 《어둠의 심연》 등의 작품을 통해 20세기 영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백세인 - 제임스 러브록
제임스 러브록은 가이아 가설을 제창하고 여러 과학 기기를 개발한 영국의 독립 과학자이자 발명가, 저술가로서, 환경 문제에 대한 독특한 견해로 주목받았다. - 영국의 백세인 - 로널드 코스
로널드 코스는 1991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이며, 거래 비용과 외부 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코즈 정리와 코즈 추론을 정립하고 법경제학 발전에 기여한 영국의 경제학자이다.
프레야 스타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프레야 매들린 스타크 |
출생 | 1893년 1월 31일 |
출생지 | 프랑스 제3공화국, 파리 |
사망 | 1993년 5월 9일 |
사망지 | 이탈리아, 베네토, 아솔로 |
국적 | 영국인, 이탈리아인 |
직업 | 탐험가, 여행 작가 |
서훈 | |
훈장 | 대영 제국 훈장 데임 커맨더 훈위(DBE) |
2. 생애
프레야 스타크는 1893년 파리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아버지에게서 생일 선물로 받은 《천일야화》를 읽고 아랍 여행에 대한 꿈을 꾸게 되었다.[34] 런던 대학교에서 역사를 공부하는 한편 페르시아어와 아랍어를 공부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여 학업을 중단하고 이탈리아로 돌아가 의무대에서 일했다.[35]
전쟁이 끝난 후 여행 경비를 모아 1927년 중동 여행을 시작했다. 이후 서구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남부 아라비아의 오지를 여행하고 그 경험을 잡지에 기고하는 등 탐험가 겸 여행작가로 명성을 얻었다.[35] 1947년 동양학자이자 역사학자인 스튜어트 페로언(Stewart Perowne)과 결혼했다. 1972년에는 데임 작위를 받았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프레야 스타크는 1893년 파리에서 영국인 아버지와 이탈리아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두 분 모두 화가였으며, 어린 시절 대부분을 북부 이탈리아에서 보냈다.[1][2][3]부모는 스타크가 어렸을 때 헤어졌는데, 전기 작가 제인 플레처 제니스에 따르면 스타크의 친아버지는 오베디아 다이어라는 사람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스타크 본인은 이 주장에 대해 언급한 적이 없다.[4]
9번째 생일에 《천일야화》를 선물받은 것을 계기로 동양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34] 어렸을 때 몸이 약해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았던 그녀는 독서, 특히 알렉상드르 뒤마의 프랑스어 소설을 즐겨 읽었다. 13살 때 이탈리아의 한 공장에서 사고를 당해 얼굴에 큰 흉터가 생겼고, 이를 가리기 위해 화려한 모자나 보닛을 자주 썼다.[5]
30세가 되던 해, 런던 대학교 베드퍼드 칼리지와 런던 대학교 동양 아프리카 연구 학교(SOAS)에서 아랍어와 페르시아어를 공부했다.[35]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이탈리아에서 간호사로 일하기도 했다.[35]
2. 2. 제1차 세계 대전과 전후
제1차 세계 대전 중 스타크는 자원 봉사 의료대로 훈련을 받았고, 처음에는 G. M. 트레벨리언의 영국 적십자사 구급차 부대에서 근무했으며, 이는 우디네 근처 빌라 트렌토에 기반을 두었다.[8] 전쟁이 끝난 후 프레야는 여행을 위해 필요한 비용을 모으기 시작했고, 1927년 이탈리아를 처음 여행한 이래로 오랫동안 꿈꾸던 중동 여행에 나섰다. 이후 서구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남부 아라비아의 오지를 여행하고 그 경험을 잡지에 기고하는 등 탐험가 겸 여행작가로 명성을 얻게 되었다.1927년 11월, 그녀는 수년 만에 처음으로 아솔로를 방문했다. 그달 말, 그녀는 동방 여행을 시작하기 위해 베이루트로 가는 배를 탔다.[9] 그녀는 먼저 제임스 엘로이 플레커의 레바논 집에 머물렀고, 이후 이라크의 바그다드 (당시 영국 보호령)에서 영국 고등 판무관을 만났다.[9] 그 여행 동안, 그녀는 드루즈 안내인과 영국 여성과 함께 당나귀를 타고 비밀리에 여행했다. 시리아와 레바논이 시리아 및 레바논 위임통치령으로 프랑스 통치하에 있었기 때문에 이 여행을 비밀로 했다. 이것은 해당 지역 내 여행을 허용하지 않는 억압적인 정부 시스템이었다. 그 그룹은 밤에 여행했고 외딴 시골 길을 택했다. 그러나 프랑스 육군 장교들은 그들을 붙잡아 그 여인들을 스파이로 생각했지만 3일 후에 풀어주었다. 여행 후, 스타크는 프랑스의 억압적인 정권과 시리아 국민에게 가해진 학대에 대해 영어 잡지에 글을 썼다.[5]
1931년까지 그녀는 서부 이란의 황무지, 서양인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지역으로 3번의 위험한 탐험을 마쳤으며, 오랫동안 전설로 전해지던 암살자 계곡(하시샤신)을 찾아냈다.[10] 그녀는 이 탐험에 대해 ''암살자 계곡'' (1934)에서 묘사했다.[11] 그녀는 1933년 왕립 지리학회의 백 상을 수상했다.[12]
2. 3. 중동 탐험과 작가 활동
프레야 스타크는 1927년 11월, 오랫동안 꿈꿔왔던 중동 여행을 시작했다. 수년 만에 처음으로 아솔로를 방문한 후, 베이루트로 가는 배를 탔다. 그녀는 먼저 제임스 엘로이 플레커의 레바논 집에 머물렀고, 이후 영국 보호령이었던 이라크의 바그다드에서 영국 고등 판무관을 만났다. 그 여행 동안, 그녀는 드루즈 안내인과 영국 여성과 함께 당나귀를 타고 비밀리에 여행했다. 시리아와 레바논이 프랑스의 위임통치령으로 억압적인 통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이 여행은 비밀리에 이루어졌다. 그들은 밤에 외딴 시골 길을 택해 여행했지만, 프랑스 육군 장교에게 붙잡혀 스파이로 오인받기도 했다. 3일 후 풀려난 스타크는 프랑스의 억압적인 정권과 시리아 국민에게 가해진 학대에 대해 영어 잡지에 글을 썼다.1931년까지 스타크는 서양인들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은 서부 이란의 황무지로 세 번의 위험한 탐험을 마쳤다. 특히 오랫동안 전설로 전해지던 암살자 계곡을 찾아냈으며, 이 탐험에 대해 《암살자 계곡》(1934)에서 묘사했다. 그녀는 1933년 왕립 지리학회의 백 상을 수상했다.
1934년, 스타크는 홍해를 따라 아덴으로 항해하여 하드라무트로 향했다. 그녀는 아라비아 남부 내륙 지역의 유향 경로를 추적하고자 했다. 극소수의 서양 탐험가들만이 그 지역을 방문했지만, 그녀만큼 멀리, 광범위하게 여행하지는 못했다. 그녀의 목표는 시바의 여왕의 수도였다고 소문난 고대 도시 샤브와에 도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여행 중 홍역과 이질에 걸려 아덴의 영국 병원으로 이송되어야 했다. 비록 샤브와에는 도달하지 못했지만, 스타크는 광범위한 여행 경험을 바탕으로 《아라비아의 남쪽 관문: 하드라무트 여행》(1936), 《하드라무트에서 본 것》(1938), 《아라비아의 겨울》(1940) 등 세 권의 책을 출판했다. 그녀는 이러한 여행과 기록으로 왕립 지리학회의 창립자 메달을 받았다.
2. 4. 제2차 세계 대전과 정보부 활동
1939년 가을, 스타크는 영국 정보부에 자신의 재능을 제공했다.[15] 중동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보부는 그녀를 예멘으로 보내 영국의 대의를 위한 선전 활동을 하게 했다. 그녀는 예멘 통치자들이 종교적인 이유로 이미지 상영을 금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영화를 상영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예멘과 아덴에서 두 달간 활동한 후 카이로로 이동하여 급여가 1,200파운드로 인상되었다.[16]1940년 6월 카이로에 도착한 스타크는 일주일에 네 번씩 차를 마시며 영국을 옹호하는 살롱을 열었다. 킹 푸아드 1세 대학교의 크리스토퍼 스카이프는 영국에 대해 알고 싶어하는 이집트 학생들을 그녀에게 소개했다. 스타크는 학생들에게 친구들을 데려오게 하여 전쟁과 이집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토론을 확대했다. 이 토론은 아랍인들이 연합국을 지지하거나 중립을 지키도록 설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자유 형제단''(Ikhwan al Hurriya) 선전 네트워크의 기초가 되었다.[16]
전쟁 중반 무렵, 형제단은 수만 명의 회원을 보유했다고 주장했다.[5] 스타크는 이집트 전역을 여행하며 하루 최대 10시간 동안 연설을 했다. 이러한 경험은 그녀의 ''시리아로부터의 편지''(1942)와 ''동은 서다''(1945)에 묘사되었다.[17] 1941년 4월 쿠데타 시도 중 이라크 방문 후, 영국 대사 키나한 콘월리스 경은 스타크에게 이라크에 ''Ikhwan al Hurriya'' 지부를 설립해 달라고 요청했다. 스타크는 동의했고 다음 2년 동안 이라크에서 영국 선전을 배포했다.[15]
1943년 2월, 그녀는 아치볼드 웨이벌 부부를 인도로 방문했다. 웨이벌은 귀국 여정을 돕기 위해 차를 마련해 주었으나, 스타크가 델리에서 테헤란까지 운전 후 차를 팔아버린 일로 카이로와 아덴의 관리들은 전쟁 중 정부 재산 처분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스타크는 자신이 차를 받았으니 팔 수 있다고 생각했다.[15]
같은 해, 스타크는 영국 위임 통치령 팔레스타인을 공식 방문하여 유대인 이주 쿼터를 요구하는 연설을 했다. 이는 전 세계 유대인 사회를 분노하게 했지만, 스타크는 대규모 이주 전에 아랍인의 동의를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 연설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그녀의 가장 논란이 많은 작품으로 여겨진다.[5] 그녀는 1943년에 "대학살을 제외하고 시온주의 문제를 처리할 방법이 없다"고 썼다.[18]
2. 5. 결혼과 말년
1947년, 54세의 나이에 프레야 스타크는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아덴에서 그의 조수로 일하면서 만난 영국 행정관이자 아랍학자이자 역사가인 스튜어트 페론과 결혼했다.[15][30] 페론은 동성애자였는데, 스타크는 처음 결혼할 때 그것을 몰랐지만, 그의 친구 대부분은 알고 있었다. 그들의 결혼 생활은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스타크는 공무원의 아내로서 잘 적응하지 못했다.[5] 그 부부는 아이를 갖지 않았고, 1952년에 별거했지만 이혼하지는 않았다.1976년 예멘을 다시 방문했을 때, 스타크는 함께 머물고 있던 영국 대사관 서기관에게 "스튜어트와 함께 보낸 밤을 포함하여... 내 덕을 잃을 뻔한 적이 없었다"라고 말했다. 같은 여행에서 수십 년 동안 연락이 끊긴 후, 스타크는 페론에게 다시 편지를 써서 그의 안부를 물었다.[31]
페론은 1989년에 사망했다.[30]
3. 여행자가 갖추어야 할 일곱 가지 항목
프레야 스타크는 오지를 여행하면서 여행자가 갖추어야 할 항목에 대해 1938년 1월 12일 어머니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1]
- 자신의 기준과 맞지 않는 기준을 인정하고, 자신의 가치관과 다른 가치관이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
- 우둔한 사람과 부적절한 도구를 화내지 않고 이용하는 법을 배울 것.
- 육체적 불쾌감을 신경 쓰지 않고 견딜 것.
- 언제 어디서라도 휴식을 취하거나 영양을 섭취할 것.
- 자연뿐 아니라 인간의 특성도 사랑할 것.
- 편견을 버리고 주의 깊게 관찰하며 하나하나 트집 잡지 말 것.
- 하루의 시작처럼 차분한 마음으로 하루를 끝낼 것.
4. 수상 및 서훈
5. 저작 목록
프레야 스타크는 결혼 후 여러 권의 책을 출판했는데, 여기에는 에세이 모음집인 ''바람 속의 페르세우스''(1948)와 자서전 3부작 ''여행자의 전주곡''(1950), ''유프라테스를 넘어. 자서전 1928–1933''(1951), ''향의 해안. 자서전 1933–1939''(1953)가 포함된다.[5]
결혼 실패 후 스타크는 다시 여행을 시작했고, 전쟁 이후 첫 번째 광범위한 여행은 터키였다. 이는 ''이오니아 퀘스트''(1954), ''리키아 해안''(1956), ''알렉산더의 길''(1958), ''티그리스로의 질주''(1959)의 토대가 되었다. 이후 자서전 ''사자의 발톱 속의 먼지. 자서전 1939–1946''(1961)을 썼고, 역사서 ''유프라테스 강가의 로마: 국경 이야기''(1966)와 에세이 모음집 ''황도 아치''(1968)를 출판했다.[5]
1968년, 75세의 나이로 아프가니스탄을 탐험하고 12세기 자암의 미나렛을 방문한 후, 1970년에 ''자암의 미나렛: 아프가니스탄으로의 여행''을 출판했다. 아솔로에서 은퇴 생활을 하면서 ''터키: 터키 역사 개요''(1971), 에세이 모음집 ''다리엔의 봉우리''(1976), ''서한집''(8권, 1974–82), ''세계의 가장자리 너머: 선별된 서한집''(1982), 여행 저술집 ''여정의 메아리''(1988)를 펴냈다.[5]
다음은 프레야 스타크의 저작 목록이다.
제목 | 출판 연도 | 비고 |
---|---|---|
암살자들의 계곡과 다른 페르시아 여행기 | 1934 | |
아라비아 남부의 관문 하드라마우트 여행기 | 1936 | |
바그다드 스케치 | 1937 | |
하드라마우트에서 본 것 | 1938 | |
아라비아의 겨울 | 1940 | |
시리아에서 온 편지 | 1942 | |
동양은 서양 | 1945 | 미국에서 아랍 섬: 중동, 1939–1943으로 출판 |
바람 속의 페르세우스 | 1948 | |
여행자의 서곡: 자서전 1893–1927 | 1950 | |
유프라테스 강 너머: 자서전 1928–1933 | 1951 | |
향의 해안: 자서전 1933–1939 | 1953 | |
이오니아, 탐구 | 1954 | |
리키아 해안 | 1956 | |
알렉산더의 길: 카리아에서 실리키아까지 | 1958 | |
티그리스 강으로의 여행 | 1959 | |
사자의 발에 묻은 먼지. 자서전 1939–1946 | 1961 | |
여행의 메아리: 선별된 여행 저술 | 1963 | 서문 로렌스 더렐 |
유프라테스 강가의 로마: 변경의 이야기 | 1966 | |
황도 아치 | 1968 | |
풍경 속의 공간, 시간 및 움직임 | 1969 | |
자르의 미나렛: 아프가니스탄으로의 여행 | 1970 | |
터키: 터키 역사의 스케치 | 1971 | |
서신, 1914–1980 | 1974–1982 | 8권, 편집 캐롤라인 무어헤드 |
다리엔의 봉우리 | 1976 | |
세계의 가장자리 너머: 선별된 서신 | 1988 | 편집 캐롤라인 무어헤드 |
여행의 메아리: 선별된 여행 저술 | 1988 |
일부 저서는 일본어로 번역되었다.
- ''암살 교단의 계곡: 여자 혼자 이슬람 변방을 가다'' (가토 마사루(勝藤猛) 번역, 1982년, 겐다이 교요 문고)
- ''티그리스 기마행'' (시다 가즈시(篠田一士) 번역, 1978년, 지쿠마 서방)
6. 사진 유산
스타크는 작가일 뿐만 아니라 다작의 훌륭한 사진작가이기도 했다.[19] 세인트 앤서니 칼리지, 옥스퍼드의 중동 센터 아카이브에는 약 6,000장의 흑백 인화 사진과 약 50,000장의 네거티브 사진이 포함된 40개가 넘는 앨범이 프레야 스타크 사진 컬렉션으로 보관되어 있다.[20] 그녀는 1933년에 구입하여 여행에 사용한 라이카 III와 동일한 카메라로 많은 사진을 촬영했다. 1999년에 사진 컬렉션 전체가 출판되었으며,[21] 일부는 말리스 루스벤의 1986년 저서 ''A Traveller in Time: A Photographic Journey with Freya Stark'', 제인 플레처 제니세의 2001년 저서 ''Passionate Nomad: The Life of Freya Stark'', 그리고 그녀 자신의 저서(예: 1982년에 출판된 ''Rivers of Time: Photographs by Freya Stark'') 등에 이전에 실린 적이 있다.[22]
스타크의 사진 컬렉션은 하버드 대학교 이탈리아 르네상스 연구 센터인 빌라 이 타티의 Biblioteca Berenson,[23] 해리 랜섬 센터, 텍사스 대학교의 특수 컬렉션,[24]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의 특수 컬렉션, 캔버라,[25] 그리고 주로 건축 이미지를 담고 있으며 더 넓은 Courtauld Connects 프로젝트에 따라 디지털화되고 있는 콘웨이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26]
1934년, 스타크는 지리 탐험 및 여행 저술에 대한 기여를 인정받아 영국 및 아일랜드 왕립 아시아 학회의 리처드 버턴 기념 메달을 수상했으며, 그녀의 초상화는 학회의 강연실에 걸려 있다. 학회는 스타크가 촬영한 65개의 유리 슬라이드를 소장하고 있다.[27]
1975년 로버트 메이플소프가 촬영한 프레야 스타크의 사진은 J. 폴 게티 트러스트와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에 로버트 메이플소프 재단에서 기증되었다.[28]
참조
[1]
웹사이트
Obituary: Dame Freya Stark
https://www.independ[...]
2014-03-31
[2]
문서
Stark (1950), pp. 2–4
[3]
문서
Stark (1950), pp. 30–64
[4]
문서
Geniesse (2010), pp. 363–369
[5]
뉴스
East Is West
https://www.newyorke[...]
2019-05-18
[6]
문서
Stark (1950), p. 84
[7]
간행물
Cited in Molly Izzard, "A Marvellous Eye", Cornucopia Issue 2
[8]
서적
Anne Powell, Women in the War Zone
[9]
문서
Stark (1950), p. 333
[10]
웹사이트
National Geographic article about Iran and Freya Stark
http://www.kirasalak[...]
National Geographic Adventure
[11]
웹사이트
The Great Ones – Freya Stark
http://www.iexplore.[...]
iExplore
[12]
문서
Geniesse (2010), p. 148
[13]
서적
The Southern Gates of Arabia: a Journey in the Hadhramaut
https://archive.org/[...]
Modern Library
[14]
웹사이트
List of Past Gold Medal Winners
http://www.rgs.org/N[...]
Royal Geographical Society
2015-08-24
[15]
Paperback
Cairo: In the War 1939–1945
John Murray
2013
[16]
문서
James R. Vaughan, "The failure of American and British Propaganda in the Middle East, 1945–57. Unconquerable Minds", Palgrave Macmillan, 2005, p. 27.
[17]
뉴스
Dame Freya Stark, Travel Writer, Is Dead at 100
https://www.nytimes.[...]
2017-05-24
[18]
학술 논문
The war against the Jews
https://www.research[...]
2012-07
[19]
학술 논문
A subversive imperialist: reappraising Freya Stark
https://go.gale.com/[...]
2006-01-01
[20]
웹사이트
Guide: Freya Stark Photograph Collection
https://www.sant.ox.[...]
IDC Publishers
2022-01-19
[21]
서적
Freya Stark Photograph Collection
https://brill.com/vi[...]
Brill
1999-01-01
[22]
서적
Rivers of Time: Photographs by Freya Stark
William Blackwood & Sons
[23]
웹사이트
Freya Stark {{!}} I Tatti {{!}} The Harvard University Center for Italian Renaissance Studies
https://itatti.harva[...]
2022-01-19
[24]
웹사이트
Freya Stark: An Inventory of Her Collection at the Harry Ransom Center
https://norman.hrc.u[...]
2022-01-19
[25]
웹사이트
Guide to the Papers of Freya Stark [MSS 118]
https://www.unsw.adf[...]
2022-01-19
[26]
웹사이트
Who made the Conway Library?
https://sites.courta[...]
2022-01-19
[27]
웹사이트
The Freya Stark Glass Slide Collection
https://royalasiatic[...]
2022-01-19
[28]
웹사이트
Freya Stark (Getty Museum)
https://www.getty.ed[...]
2022-01-19
[29]
뉴스
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of Friday, 31 December 1971
https://www.thegazet[...]
1971-12-31
[30]
뉴스
Stewart Perowne, 87, Diplomat and author
https://www.nytimes.[...]
1989-05-16
[31]
문서
Moscrop, Andrew. The Camel's Neighbour : Travel and Travellers in Yemen. Oxford, 2020. Page 201.
[32]
웹사이트
Medals and Awards, Gold Medal Recipients
http://www.rgs.org/N[...]
Royal Geographical Society
2014-06-06
[33]
서적
홍지연, 《책읽는 방법》 큰나, 2010, p.53
[34]
문서
홍지연, p.54
[35]
문서
홍지연, p.5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