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센 쿠데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이센 쿠데타는 1932년 프란츠 폰 파펜이 프로이센 주 정부를 해산하고 중앙 정부의 통제를 강화한 사건이다. 1920년대 후반부터 프로이센과 중앙 정부 간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파펜은 '신 국가' 수립을 목표로 쿠데타를 계획했다. 1932년 프로이센 주의회 선거에서 나치당과 공산당이 과반수를 차지하면서 정치적 혼란이 심화되자, 파펜은 알토나 유혈사태를 빌미로 비상 칙령을 발동하여 프로이센 정부를 해산하고 친정부 인사를 임명했다. 법원은 쿠데타의 일부 조치를 합법화했지만, 브라운 정부의 지위를 유지하는 등 모호한 판결을 내렸다. 이 사건은 바이마르 공화국의 위기를 심화시키고, 나치 정권의 등장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프로이센 쿠데타 | |
---|---|
개요 | |
명칭 | 프로이센 쿠데타 |
독일어 명칭 | Preußenschlag (프로이센슐라크) |
로마자 표기 | Peureuseunsyullakeu |
관련 | 바이마르 공화국의 실패 |
사건 정보 | |
발생일 | 1932년 7월 20일 |
장소 | 프로이센, 베를린 |
원인 | 정치적 극단주의의 성장 1932년 프로이센 주의회 선거 |
목표 | 향후 군주제 복원 |
방법 | 제국 집행 |
결과 | 제국의 승리 프로이센, 직접 통치 하에 놓임 프란츠 폰 파펜, 제국 위원으로 임명 프로이센 민주주의의 종말 |
교전 세력 | |
교전 1 | 독일 제국 |
교전 2 | 프로이센 |
지휘관 | 파울 폰 힌덴부르크 프란츠 폰 파펜 쿠르트 폰 슐라이허 |
프로이센 측 지휘관 | 오토 브라운 카를 제버링 |
영향 | |
영향 | 프로이센이 직접 통치를 받게 됨 |
결과 | 프란츠 폰 파펜이 제국 위원으로 임명됨 |
결과 | 프로이센의 민주주의 종식 |
![]() |
2. 역사적 배경
1920년대 후반부터 독일은 정치,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 특히, 프란츠 폰 파펜이 속했던 '제국 부활 동맹'(루터 동맹)은 중앙 정부의 권한을 강화하고, 북독일 대부분을 차지하는 프로이센을 재편하여 권위주의적인 대통령제를 실현하고자 했다. 이들은 프로이센 정부와 프로이센 의회를 대신하여 수상에게 중앙 정부 직속의 국가 변무관을 임명하는 권한을 부여하려 했다.[27]
1928년, 중앙 정부와 모든 지방 정부 주지사들이 참여한 주 회의에서는 공화국 내 제국과 주의 관계가 불완전하며 근본적인 개혁과 강력한 중앙 권력이 필요하다는 "공동 결의"가 이루어졌다.[28][29] 1930년 6월 21일, 헌법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주요 개혁안을 제시했다.
개혁안 주요 내용 |
---|
프로이센 주 정부의 중앙 행정을 중앙 정부의 행정에 통합 |
프로이센 주 정부의 중앙 당국과 중앙 정부의 당국 통합 |
국가로서의 프로이센 주 소멸 |
베를린을 포함한 프로이센 13개 주를 중앙 정부 직할령으로 전환[28][30] |
그러나 이 개혁안은 독립 의식이 강한 바이에른과 프로이센의 반대에 부딪혔다. 바이에른은 북독일이 즉시 통일되고, 바이에른을 포함한 남독일은 연방제가 아닌 공화국의 일부가 될 것을 우려했다.[31]
이러한 배경에서, 프로이센 쿠데타는 발터 쇼테와 에드가 율리우스 융 등이 주창한 '신 국가' 수립 계획의 일환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들은 국가 사회주의를 지지하는 대신, 독일 제국 헌법 하의 체제와 유사하게 대통령에게 의존하는 권위주의적 대통령 내각과 권한이 제한된 의회를 가진 체제를 만들고, 장기적으로는 호엔촐레른 가문의 왕정 복고를 목표로 했다.
2. 1. 바이마르 공화국의 위기
1932년 4월 24일 프로이센 주 선거에서 독일 사회민주당(SPD), 중앙당, 독일 민주당(DDP)의 연립 정권은 과반수 의석 확보에 실패했다. 반면 나치당이 162석을 얻어 제1당으로 부상했고, 독일 공산당(KPD)도 57석을 획득하여 바이마르 공화국에 부정적인 두 정당이 의석의 과반수를 차지했다. 이로 인해 좌우 중도 정당들은 반민주주의 정당의 지지 없이는 정부를 구성할 수 없는 상황에 놓였다.[32]이전 정권인 제3차 오토 브라운 내각은 정식으로 퇴진했지만, 프로이센 자유주 헌법 제59조에 따라 오토 브라운 잠정 정권을 유지했다.[32] 1920년부터 1932년까지 프로이센 총리를 역임한 브라운과 사회민주당의 영향력으로 프로이센은 "붉은 프로이센"으로 불렸고, 중앙 정부와의 대립이 계속되었다.

프란츠 폰 파펜은 나치당과의 연립을 원했지만, 나치당은 단독 정권 수립을 목표로 했기 때문에 협상은 결렬되었다. 1932년 6월 7일, 파펜은 나치당원인 주 의회의장 한스 켈르에게 프로이센 임시 정부를 선거로 선출하도록 요청했지만, 이 역시 실패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파펜은 프로이센을 해체하거나 분할하려는 제국 개혁을 계획했다. 그는 국가 변무관을 임명하고, 필요하다면 국군의 힘을 빌려 새로운 질서를 강제할 생각이었다.
이러한 계획은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대통령이 1923년 "독일의 10월"에서 작센 자유주와 튀링겐주의 좌파 정권을 강제 해산시킨 선례를 따랐다. 당시 작센 정부가 불법 노동자 민병대의 무장 해제를 거부했기 때문에 제국 집행이 이루어졌다.[33][34] 코민테른의 혁명 지령은 함부르크에서만 실행되었지만, 경찰에 의해 진압되었다.[33]
2. 2. 제국 개혁 논의
1920년대 후반부터 폰 파펜이 속한 국가 갱신 연맹(Bund zur Erneuerung des Reichesde)에서 프로이센과 국가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논의가 이루어졌다.[2] 한스 루터 전 국가 수상 및 국립 은행 총재(1930–1933)의 이름을 따 '루터 연맹'이라고 불린 이 단체는 국가의 중앙 권력을 강화하고, 독일에서 가장 큰 주였던 프로이센을 포함한 북부 독일을 재편하며, 권위주의적인 대통령 정권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개혁 논의의 핵심은 프로이센 주 정부와 의회를 해산하고, 중앙 정부 직속의 국가 변무관을 임명하는 것이었다. 프로이센은 국가 전체의 이익에 반하여 기존 국가 구조 내에서 패권을 추구한다고 여겨졌다.[27]
1928년 국가 내각과 모든 주 총리들이 참여하는 주 회의에서 공화국 내 국가와 주의 관계가 불만족스럽고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하며, "강력한 국가 권력"이 필요하다는 공동 결의안이 채택되었다.[3][4] 헌법 및 행정 개혁과 신중한 재정 관리를 위한 제안을 마련하기 위해 헌법 위원회가 임명되었다.[3]
1930년 6월 21일, 아르놀트 브레히트 당시 프로이센 국무처 장관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요 개혁 사항을 제시했다.[3]
- 프로이센 주 정부의 중앙 행정부와 국가 정부의 중앙 행정부를 통합한다.
- 프로이센 주 정부의 중앙 당국을 국가의 중앙 당국과 통합한다.
- 프로이센을 주로서 폐지한다.
- 베를린을 포함한 13개 프로이센 주를 새로운 주로서 국가 정부의 직접 통제하에 둔다.[3][5]
개혁 노력은 주로 바이에른과 프로이센으로부터 반대에 직면했다. 두 번째로 큰 주였던 바이에른은 이 제안이 북부 독일 주들을 즉시 통합하는 반면 남부 지역은 통합되고 연방이 아닌 국가의 일부가 되는 것을 잠시 면하게 될 뿐이라고 우려했기 때문에 반대했다.[6]
2. 3. 파펜의 '신국가' 구상
폰 파펜은 권위주의적 대통령 중심의 '신국가' 구상을 통해 정치적 위기를 타개하고자 했다. 1920년대 후반부터 파펜이 속한 국가 갱신 연맹(루터 연맹)은 국가 중앙 권력 강화, 프로이센 재편, 권위주의적 대통령 정권 수립을 목표로 했다.[2] 이들은 프로이센 정부와 의회를 대체하고, 총리가 지방 위원을 임명할 수 있도록 하여 대통령의 권한을 강화하려 했다.[2]1928년 주 회의에서 공화국 내 국가와 주의 관계 개혁 및 "강력한 국가 권력" 필요성에 대한 공동 결의안이 채택되었고, 헌법 위원회가 임명되었다.[3][4] 1930년 6월 21일, 아르놀트 브레히트는 프로이센 주 정부와 국가 정부 통합, 프로이센 폐지, 13개 프로이센 주를 국가 직할령으로 전환하는 개혁안을 제시했다.[3][5] 그러나 바이에른과 프로이센의 반대로 개혁은 난항을 겪었다.[6]
파펜의 '신 국가' 구상은 언론인 발터 쇼테와 변호사 에드가 융에 의해 주창되었다. 이들은 국가 사회주의를 지지하지 않고, 독일 제국 헌법 하의 정부와 유사하게 대통령에게 의존하는 권위주의적 대통령 정권과 권한이 제한된 의회를 둔, 궁극적으로는 호엔촐레른 왕가의 군주제 복원을 목표로 했다.[7] '신 국가'는 특정 이해관계 위에 서서 경제 발전에 필요한 안보, 질서, 평온을 제공하는 것이었다.[7]
3. 1932년 프로이센 주 선거와 정치적 혼란
1932년 프로이센 주 선거에서 나치당(NSDAP)과 독일 공산당(KPD)이 합쳐 과반수를 차지하면서, 민주적인 정부 구성이 불가능한 상황이 초래되었다.[8] 나치당은 162석, 공산당은 57석을 얻어 총 423석 중 219석(52%)을 차지했다. 반면, 독일 사회민주당(SPD), 중앙당, 독일 민주당(DDP)의 연립 정부는 총 163석(38%)에 그쳤다.
이전 주 정부인 오토 브라운의 세 번째 내각은 공식적으로 사임했지만, 주 헌법 제59조에 따라 임시 정부로 계속 업무를 수행했다.[9] 그러나 주 의회의 과반수 지지를 얻지 못해 정국은 불안정해졌다.
프란츠 폰 파펜은 나치당, 국가 인민당, 인민당, 그리고 중앙당의 연립 정부 구성을 시도했으나, 나치당은 단독 집권을 요구하며 파펜과 의견을 좁히지 못했다.[32]
4. 쿠데타의 전개
프란츠 폰 파펜은 프로이센의 정치적 혼란을 명분으로 중앙 정부의 통제를 강화하기 위한 쿠데타를 계획했다. 1932년 6월, 파펜은 나치당에게 연립 정부 구성을 제안했지만, 나치당은 단독 집권을 주장하며 거부했다.
이에 파펜은 프로이센을 해체하거나 분할하는 방안을 고려했으나, 장기적인 목표 달성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하여 다른 방안을 모색했다. 그는 사회민주당 출신 대통령 프리드리히 에베르트가 1923년 독일 10월 봉기 당시 라이히 집행을 발동하여 개별 주에 개입한 선례를 참고했다.
파펜은 알토나 피의 일요일 사건을 계기로 프로이센 정부에 대한 쿠데타를 정당화했다. 1932년 7월 14일,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은 바이마르 헌법 제48조에 의거한 긴급 칙령에 서명하여 파펜에게 프로이센에 대한 광범위한 권한을 부여했다.[12]
1932년 7월 20일, 파펜은 프로이센 정부 각료들을 소집하여 힌덴부르크 칙령에 대해 알리고, 자신이 프로이센의 국가 변무관으로 임명되었으며 임시 정부를 해임할 수 있다고 통보했다. 프로이센 대표들은 이에 반대했지만, 카를 제페링크 내무장관은 "강압에 굴복할 뿐"이라며 저항 의사를 밝혔다.[14]
결국 파펜은 군대를 동원하여 프로이센 정부를 해산하고, 주요 관료들을 체포하거나 숙청했다. 이 과정에서 사회민주당은 내전을 우려하여 적극적인 저항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17]
4. 1. 알토나 유혈사태
1932년 7월 17일, 알토나에서 나치 돌격대(SA)와 공산주의자 및 그 지지자들 간의 충돌이 발생했다. 이를 알토나 피의 일요일이라고 부른다. 이 충돌은 프란츠 폰 파펜 정부에 의해 돌격대의 금지령이 해제된 직후 발생하여 더욱 심각했다. 경찰의 조치에도 불구하고 19명이 사망하는 비극적인 결과가 초래되었다.[11]이 사건으로 인해 카를 제페링 프로이센 내무 장관은 알토나에 비상사태를 선포했지만, 결국 중앙 정부가 개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파펜은 이 사건을 빌미로 프로이센 정부에 대한 쿠데타를 정당화했다.[12]
4. 2. 비상 칙령 발동과 프로이센 정부 해산
1932년 7월 14일, 프란츠 폰 파펜 총리는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에게 바이마르 헌법 제48조에 의거한 비상 칙령에 서명하도록 했다. 이 칙령은 대통령이 공공의 안전과 질서가 위협받는 경우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했다. 힌덴부르크는 칙령에 날짜를 기재하지 않아 파펜이 권한을 사용할 시기를 선택할 수 있게 했다. 파펜은 7월 20일을 선택했다.[12]1932년 7월 20일, 파펜은 병가를 낸 오토 브라운 총리를 대신하여 프로이센 부총리 하인리히 히르치퍼, 내무장관 카를 제페링크, 재무장관 오토 클레퍼를 만났다. 파펜은 힌덴부르크 칙령에 따라 자신이 프로이센의 국가 변무관으로 임명되었고, 임시 정부를 해임할 수 있다고 알렸다. 그는 "프로이센의 공공 안전과 질서를 더 이상 보장할 수 없는" 것처럼 보여 이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즉시 비상사태가 선포되었고, 국방부 장관이 행정권을 가지게 되었다.[13] 프로이센 대표들은 이에 반대하며, 브라운 정부는 비상 칙령의 합헌성에 이의를 제기했다. 제페링크는 "강압에 굴복할 뿐"이라며 자발적으로 공무를 포기하지 않겠다고 말했다.[14]
같은 날 오후, 파펜은 베를린과 브란덴부르크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육군 보병대장에게 행정권을 위임했다.

룬트슈테트는 프로이센 내무부, 베를린 경찰 본부, 슈츠폴라이저(방위 경찰) 본부를 점령했다.

카를 제페링크, 베를린 경시 총감 알베르트 그제신스키[35], 부 경시 총감 베른하르트 바이스 등 프로이센 정부 각료와 경찰 고관은 파면 통지를 받고 체포되었다.[36] 파펜은 제페링크의 후임 프로이센 내무장관으로 에센 시장 프란츠 브라하트를 임명했다.
알베르트 그제신스키, 베른하르트 바이스, 보호 경찰 사령관이자 중앙당 정치인인 마그누스 하이만스베르크는 구속되었으나, 향후 공무를 수행하지 않겠다는 서약서에 서명한 후 다음 날 풀려났다.
프로이센 주 정부 해체 이후, 이전 연립 정당, 특히 SPD 소속 관료들이 대거 숙청되고, 보수적인 관료들로 교체되었다.
4. 3. 저항과 탄압

1932년 7월 20일 오전 10시, 파펜의 요청으로 병가 중인 오토 브라운의 대리 부수상 겸 국민복지상 하인리히 힐트지퍼, 내무 대신 카를 제페링크, 재무 대신 오토 클레퍼가 수상 관저를 방문했다. 파펜은 힌덴부르크의 국가 변무관 취임 칙령과 프로이센 정부 각료 파면을 전달하며, 프로이센의 치안과 질서가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쿠데타를 정당화했다.[36]
같은 날 오후, 파펜은 베를린과 브란덴부르크 주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육군 보병대장에게 전권(행정권)을 위임했다. 룬트슈테트는 프로이센 내무성, 베를린 경찰 본부, 슈츠폴라이저 본부를 점령하고, 카를 제페링크, 베를린 경시 총감 알베르트 그제신스키,[35] 부 경시 총감 베른하르트 바이스 등 프로이센 정부 각료와 경찰 고관에게 파면을 통지하고 체포했다.[36] 파펜은 제페링크 후임 프로이센 내상에 에센 시장 프란츠 브라하트를 임명했다.
알베르트 그제신스키, 베른하르트 바이스, 보호 경찰 사령관이자 중도파 정치인 마그누스 하이만스베르크는 구속되어, 향후 일체의 공무를 수행하지 않겠다는 서약서에 서명한 후 다음날 석방되었다.
프로이센 주 정부 해체 이후 대규모 숙청이 시작되었다. 연립 여당 소속 차관, 국장, 현지사, 경찰청장 등 관료 다수가 일시적으로 은퇴당하고, 독일 국가 인민당을 포함한 보수적인 공무원이 부임했다. 이들은 대부분 민족주의자였으며, 특히 사회민주당원과 사회민주주의자가 많이 숙청되었다. 그러나 사회민주당 우파 중에서도 매우 우익적인 입장을 취했던 하노버 현지사이자 전 국방상 구스타프 노스케는 직위에 남았다.
이러한 숙청은 나치당이 정권을 획득한 1933년에도 계속되었지만, 프로이센 권력 기구의 중요한 직책은 아돌프 히틀러가 수상이 되기 전에 이미 숙청되었다.
사회민주당과 자유노동조합, 사회민주당의 준군사조직인 국기단은 중앙 정부의 쿠데타에 대한 반대 투쟁을 국민이나 노동자에게 촉구하지 않았다. 대공황으로 인한 높은 실업률을 고려하면 총파업은 실현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었고, 공무원의 쿠데타 정권 불복종 호소도 성공할 전망이 거의 없었다. 사회민주당 간부는 7월 16일에 내전을 피하기 위해 적극적인 저항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공공연하게 저항하면 내전, 특히 국군과 국가 경찰의 무력 충돌이 발생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를 피하고자 했다.
프로이센 정부는 바이마르 헌법과 프로이센 주 헌법을 위반한 중앙 정부의 쿠데타에 맞서 7월 21일 제국 최고 법원 주립 법원에 가처분 신청과 헌법 소원을 제출했다. 7월 25일, 법원은 최종적인 결정을 앞당기기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처분 신청을 기각했다.
요제프 괴벨스는 7월 21일 일기에 "적군은 위대한 시기를 놓쳤다. 이제 두 번 다시 오지 않을 것이다"라고 적었다.
10월 25일 주 법원은 파펜의 조치가 부분적으로 합법화되었지만, 브라운 정부의 주법상 지위는 유지되어야 하며, 쿠데타에 의한 각료나 고관 해임은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그러나 프로이센의 행정 및 경찰 수장은 이미 파펜의 쿠데타로 성립된 신정부로 교체된 상태였다. 제국 법원 판결 후에도 실권을 빼앗긴 브라운 정부는 "주권 정부"로서 매주 내각 회의에 복귀했지만, 중앙 정부는 제국 법원의 판결을 무시했다.
정치학자이자 역사가인 카를 디트리히 브라허는 이 타협적인 판결을 "그로테스크한 양의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37]
5. 법적 대응과 결과
1932년 7월 21일, 프로이센 정부는 독일 제국 국가 법원에 중앙 정부의 쿠데타가 바이마르 헌법과 프로이센 주 헌법에 위반된다며 가처분 신청 및 헌법 소원을 제기했다. 프로이센 주를 대표한 아르놀트 브레히트는 비상 포고령의 원인이 된 내전과 같은 상황은 6월 14일 제복과 SA 금지령 해제로 촉발되었으며, 프로이센 정부의 "내부적 자유 부재"는 존재하지 않았고 오히려 국가 사회주의자들과 연관된 라이히 정부에 존재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라이히 정부가 국가 사회주의자들과 합의하여 프로이센 정부를 해임하려 했다고 주장했다.[37]
반면, 라이히 정부 대표인 게오르그 고트하이너는 국가 사회주의자들과의 공모는 없었으며, SA 금지령 해제는 나치의 분노를 "배출구" 역할을 하도록 의도된 것이라고 반박했다.
1932년 7월 25일, 법원은 최종 판결을 앞당기기 원치 않았기에 가처분 신청을 기각했다. 제국 대통령의 비상 법령이 무효임을 선언하려면 법원에 아직 제공되지 않은 이유가 제시되어야 했다.
10월 25일 판결에서 주 법원은 국가 비상사태에서 질서와 안전 유지를 위해 파펜이 취한 조치는 부분적으로 합법이지만, 브라운 정부의 주법상 지위는 유지되며, 쿠데타에 의한 각료나 고관 해임은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그러나 이미 프로이센 행정과 경찰 수장은 파펜의 쿠데타로 성립된 신정부에 교체된 상태였다.[38]
제국 법원 판결 후, 법적으로는 부활했지만 실권을 빼앗긴 브라운 정부는 "주권 정부"로서 매주 내각 회의에 복귀했으나, 중앙 정부는 제국 법원 판결을 무시했다.
5. 1. 법원 판결의 양면성
독일 제국 국가 법원(Staatsgerichtshof für das Deutsche Reich)의 판결은 프로이센 주와 중앙 정부 간의 권력 관계에서 양면적인 성격을 띠었다. 법원은 중앙 정부가 프로이센 주에 제국 위원을 임명하고, 프로이센 장관들의 권한을 일시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그러나 이러한 권한이 프로이센 주 내각과 그 구성원의 국회, 제국 참의원 등에서의 대표성을 박탈하는 데까지 확장되어서는 안 된다고 판결했다.[20]이 판결은 표면적으로는 양측의 주장을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프로이센과 제국의 이원성을 유지하는 듯 보였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중앙 정부의 쿠데타를 용인한 것으로 평가된다. 브라운 정부는 법적으로 복원되었지만, 이미 행정 및 경찰의 수장은 파펜의 쿠데타로 성립된 신정부에 의해 교체된 상태였다.[21]
정치학자이자 역사가인 카를 디트리히 브라허는 이 판결을 "그로테스크한 양면성" 중 하나로 평가했다. 법적인 부분에서는 프로이센의 관점을 지지했지만, 이미 발생한 쿠데타를 수용함으로써 제국 대통령의 권위와 국방군의 힘에 의존하는 정부의 변덕을 용인했기 때문이다.[23][24] 이는 바이마르 공화국의 법치주의가 훼손되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민주주의 쇠퇴의 중요한 지표가 되었다.[22]
6. 쿠데타 이후
파펜의 임시 정부는 칙령 공포와 법원 판결 사이 프로이센의 최고 행정 및 경찰 관리들을 교체했다.[35][36] 이 숙청은 나치당이 정권을 획득한 1933년까지 계속되었지만, 프로이센 권력 기구의 주요 직책은 아돌프 히틀러가 수상이 되기 전에 이미 교체되었다.
1932년 7월의 프로이센 쿠데타에 관한 판결에서 10월 25일 주 법원은 국가 비상사태에서 질서와 안전 유지를 위한 파펜의 조치가 부분적으로 합법적이라고 판결했지만, 브라운 정부의 주법상 지위는 유지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쿠데타로 인한 각료 및 고관 해임은 정당화될 수 없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 동안에도 프로이센의 행정과 경찰 수장은 이미 파펜의 쿠데타로 성립된 새 정부로 교체된 상태였다.
제국 법원의 판결 이후 주법상으로는 복권되었지만 실권을 잃은 브라운 정부는 이른바 "주권 정부"로서 매주 내각 회의를 소집했다. 그러나 진정한 권력은 제국 집행부 대표, 즉 프란츠 브라흐트 아래의 "위원회 정부"에게 있었다. 아돌프 히틀러가 1933년에 권력을 잡은 후, 파펜의 도움을 받은 헤르만 괴링은 힌덴부르크로부터 브라운의 "주권 정부"를 공식적으로 폐위하는 새로운 긴급 칙령을 확보했다. 브라운의 대응은 1933년 2월 7일 국가 헌법 재판소에 불만을 제기하는 것으로 제한되었다.
7. 역사적 평가 및 한국적 관점
프로이센 쿠데타는 한국 사회에 권위주의 정권의 위험성과 민주주의 수호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는 역사적 교훈을 준다. 군사 쿠데타와 민주화 운동을 경험한 한국의 역사적 배경에서 이 사건은 민주주의 가치와 헌법 질서의 소중함을 되새기게 한다.
특히, 정치적 양극화와 사회적 혼란이 극심했던 시기에 민주주의가 어떻게 위협받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프로이센 쿠데타는 비슷한 어려움을 겪는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중앙 정부의 쿠데타에 대한 사회민주당과 자유노동조합의 미온적인 대응, 대공황으로 인한 높은 실업률과 내전 발발 가능성에 대한 우려는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적극적인 행동의 어려움을 보여준다.
바이마르 헌법과 프로이센 주 헌법에 위배되는 쿠데타에 대한 법적 대응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권력은 이미 파펜의 쿠데타 정부에 넘어간 상황은 법치주의의 한계를 보여준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은 한국 사회에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경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7. 1. 독일 현대사에서의 의미
프로이센 쿠데타는 바이마르 공화국의 종말과 나치 독재의 시작을 알리는 결정적인 사건으로 평가된다. 이 사건은 민주주의 체제가 취약할 때, 권위주의 세력이 어떻게 헌법을 무력화시키고 권력을 장악하는지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이다.사회민주당과 자유노동조합 등은 중앙 정부의 쿠데타에 대한 저항을 포기했는데, 이는 대공황으로 인한 높은 실업률과 내전에 대한 우려 때문이었다. 그러나 국기단의 젊은 층은 이에 반발하기도 했다.
1932년 7월 21일, 프로이센 정부는 제국 최고 법원에 가처분 신청과 헌법 소원을 제출했지만, 7월 25일 가처분 신청은 기각되었다. 10월 25일 주 법원은 파펜의 조치가 부분적으로 합법하다고 판결했지만, 브라운 정부의 지위는 유지되어야 한다고 판결했다. 그러나 이미 프로이센의 행정과 경찰은 파펜의 신정부에 의해 장악된 상태였다.[37]
정치학자이자 역사가인 카를 디트리히 브라허는 이 판결을 "그로테스크한 양의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카를 슈미트는 쿠데타의 합법성을 지지했다.[38]
7. 2. 한국적 관점
프로이센 쿠데타는 한국 사회에 권위주의 정권의 위험성과 민주주의 수호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는 역사적 교훈으로 다가온다. 군사 쿠데타와 민주화 운동을 경험한 한국의 역사적 배경 속에서, 이 사건은 민주주의 가치와 헌법 질서가 얼마나 소중한지를 되새기게 한다.특히, 정치적 양극화와 사회적 혼란이 극심했던 시기에 민주주의가 어떻게 위협받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프로이센 쿠데타는,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중앙 정부의 쿠데타에 대한 사회민주당과 자유노동조합의 미온적인 대응, 그리고 대공황으로 인한 높은 실업률과 내전 발발 가능성에 대한 우려는,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적극적인 행동의 어려움을 드러낸다.
바이마르 헌법과 프로이센 주 헌법에 위배되는 쿠데타에 대한 법적 대응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권력은 이미 파펜의 쿠데타 정부에 넘어간 상황은 법치주의의 한계를 보여준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은 한국 사회에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경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참조
[1]
웹사이트
Der "Preußenschlag" 1932
https://www.dhm.de/l[...]
2014-09-14
[2]
웹사이트
Bund zur Erneuerung des Reiches, Leitsätze
https://www.historis[...]
2016-03-25
[3]
웹사이트
Die Weimarer Republik. Band 3, Kapitel 5: Die Krise des Föderalismus und der kommunalen Selbstverwaltung
http://www.blz.bayer[...]
2022-08-22
[4]
서적
Reichsreform und Länderkonferenz
C. Heymann
[5]
서적
Föderalismus, Regionalismus und die Teilung Preußens
Ferd. Dümmlers
[6]
웹사이트
Bund zur Erneuerung des Reiches (Luther-Bund), 1928–1933/34
https://www.historis[...]
2022-08-22
[7]
서적
Begrenzte Abhängigkeit. "Wirtschaft" und "Politik" im 20. Jahrhundert
Campus Verlag
[8]
웹사이트
Der "Preußenschlag"
https://weimar.bunde[...]
2023-05-17
[9]
Wikisource
Constitution of the Free State of Prussia
[10]
서적
Weimar 1918–1933
C. H. Beck
[11]
웹사이트
Der 'deutsche Oktober' 1923
https://www.dhm.de/l[...]
2022-08-22
[12]
서적
Hindenburg. Herrschaft zwischen Hohenzollern und Hitler
Siedler
[13]
서적
Weimar 1918–1933
C. H. Beck
[14]
뉴스
Der Gewaltakt gegen Preußen
http://library.fes.d[...]
2023-05-17
[15]
서적
Otto Klepper (1888–1957) – Deutscher Patriot und Weltbürger
Oldenbourg
[16]
뉴스
Erinnerung an den 20. Juli 1932
Leopold Schwarzschild
1933-07
[17]
간행물
War eine Abwehr des "Preussenschlages" vom 20. Juli 1932 Möglich?
https://www.jstor.or[...]
1970
[18]
웹사이트
Mitte 1932: Niedergang der Weimarer Republik und Aufstieg der NSDAP
https://www.ndr.de/g[...]
2023-05-20
[19]
서적
Weimars Ende: Bürgerkrieg und Politik 1930–1933
Vandenhoeck & Ruprecht
[20]
웹사이트
Nr. 177 Notiz des Ministerialrats Wienstein über eine Besprechung am 27. Oktober 1932, 12.30 Uhr, betreffend Urteil des Staatsgerichtshofs in der Streitsache Preußen gegen das Reich
https://www.bundesar[...]
2023-05-26
[21]
서적
Handbuch der preußischen Geschichte. Band III: Vom Kaiserreich zum 20. Jahrhundert und Große Themen der Geschichte Preußens
Walter de Gruyter
[22]
서적
Geschichte des öffentlichen Rechts in Deutschland
"{{Google books|mkQM[...]
C. H. Beck
[23]
서적
Integration und Subsidiarität im deutschen Bundesstaatsrecht: Untersuchungen zu Bundesstaatstheorie unter dem Grundgesetz
Mohr Siebeck
[24]
서적
Schriften des Instituts für Politische Wissenschaft
Duncker & Humblot
[25]
웹사이트
Carl Schmitt
http://www.plettenbe[...]
2022-08-22
[26]
웹사이트
Verordnung des Reichspräsidenten ... Vom 20. Juli 1932
https://www.1000doku[...]
2023-05-30
[27]
문서
"Bund zur Erneuerung des Reiches, Leitsätze''[League for the Renewal of the Reich, Guiding Principles"
https://www.historis[...]
[28]
웹사이트
Die Weimarer Republik. Band 3. Kapitel 5
http://www.blz.bayer[...]
2022-08-22
[29]
문서
Cited from Franz Albrecht Medicus: Reichsreform und Länderkonferenz [Reich reform and the state conference], Berlin 1930, p. 5 f.
[30]
서적
Föderalismus, Regionalismus und die Teilung Preußens [Federalism, Regionalism and the Partition of Prussia]
[31]
웹사이트
Bund zur Erneuerung des Reiches (Luther-Bund), 1928-1933/34 – Historisches Lexikon Bayerns
https://www.historis[...]
2022-08-22
[32]
웹사이트
documentArchiv.de - Verfassung des Freistaats Preußen (30.11.1920)
http://www.documenta[...]
2022-08-22
[33]
서적
Werte und Mächte : eine Geschichte der westlichen Welt [Values and Powers : A History of the Western World]
[34]
웹사이트
Gerade auf LeMO gesehen: LeMO Kapitel: Weimarer Republik
https://www.dhm.de/l[...]
2022-08-22
[35]
서적
Das Aussprachewörterbuch
Duden
[36]
문서
モムゼン、p.407
[37]
서적
Integration und Subsidiarität im deutschen Bundesstaatsrecht: Untersuchungen zu Bundesstaatstheorie unter dem Grundgesetz [Integration and Subsidiarity in German State Law: Studies on Federal Theory under the Constitution].
Mohr Siebeck
[38]
웹사이트
Carl Schmitt
http://www.plettenbe[...]
2022-08-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