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츠 폰 파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란츠 폰 파펜은 독일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국에서 독일 무관으로 활동하며 파괴 공작에 연루되어 추방되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는 정계에서 활동했으며, 1933년 히틀러를 총리로 만드는 데 기여하여 부총리직을 수행했다. 나치 정권 하에서 오스트리아 대사, 터키 대사를 역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그는 히틀러 정권에 협력한 행적으로 비판받았으며, 회고록을 통해 자신의 입장을 옹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르키예 주재 독일 대사 - 파울 폰 하츠펠트 추 빌덴부르크 백작
파울 폰 하츠펠트 추 빌덴부르크 백작은 독일 외교관으로, 비스마르크의 지도 아래 외무부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여러 국가의 공사 및 대사와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고, 런던 주재 독일 대사로서 양쯔강 협정 체결에 기여했다. - 독일 중앙당 당원 - 요제프 비르트
요제프 비르트는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 두 차례 총리를 지낸 독일 정치인으로, 이행 정책과 라팔로 조약 등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으나 정부 불안정과 극우 세력의 반발로 사임하고, 전후에는 동독과의 협력 추구로 비판받기도 했다. - 독일 중앙당 당원 - 마티아스 에르츠베르거
마티아스 에르츠베르거는 독일 제국의 정치가이자 재무장관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과정에서 콩피에뉴 휴전 협정에 독일 대표로 서명한 인물이며, 전후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재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우익 세력과의 갈등 속에 암살당했다.
프란츠 폰 파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프란츠 요제프 헤르만 미하엘 마리아 폰 파펜 |
출생 | 1879년 10월 29일 |
출생지 | 프로이센 왕국 베스트팔렌 베를 |
사망 | 1969년 5월 2일 |
사망지 | 서독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자스바흐 |
안장지 | 발러fangen, 독일 |
배우자 | 마르타 폰 보흐-갈하우 (1905년 결혼, 1961년 사망) |
자녀 | 5명 |
종교 | 로마 가톨릭 |
작위 | 남작 |
독일어 표기 | Franz Joseph Hermann Michael Maria von Papen |
로마자 표기 | Franz Joseph Hermann Michael Maria von Papen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독일 중앙당 (1918년–1932년) 무소속 (1932년–1938년) 나치당 (NSDAP; 1938년–1945년) |
독일 수상 | 재임 시작: 1932년 6월 1일 재임 종료: 1932년 12월 3일 대통령: 파울 폰 힌덴부르크 이전 수상: 하인리히 브뤼닝 다음 수상: 쿠르트 폰 슐라이허 |
독일 부수상 | 재임 시작: 1933년 1월 30일 재임 종료: 1934년 8월 7일 수상: 아돌프 히틀러 이전 부수상: 헤르만 디트리히 다음 부수상: 프란츠 블뤼허 (1949년 서독 부수상) |
프로이센 국가판무관 | 1차 재임 시작: 1932년 7월 20일 1차 재임 종료: 1932년 12월 3일 이전 판무관: 오토 브라운 다음 판무관: 쿠르트 폰 슐라이허 2차 재임 시작: 1933년 1월 30일 2차 재임 종료: 1933년 4월 10일 이전 판무관: 쿠르트 폰 슐라이허 다음 판무관: 헤르만 괴링 |
독일 제국 의회 의원 | 1차 임기 시작: 1933년 3월 21일 1차 임기 종료: 1933년 11월 선거구: DNVP 전국 목록 2차 임기 시작: 1933년 11월 2차 임기 종료: 1934년 8월 |
프로이센 주의회 의원 | 선거구: 베스트팔렌 북부 1차 임기 시작: 1921년 3월 10일 1차 임기 종료: 1928년 2차 임기 시작: 1930년 2월 2차 임기 종료: 1932년 7월 20일 이전 의원: 테오도르 뢰잉 |
외교 경력 | |
독일-터키 대사 | 임명: 아돌프 히틀러 재임 시작: 1939년 4월 재임 종료: 1944년 8월 이전 대사: 프리드리히 폰 켈러 다음 대사: 빌헬름 하스 (1952년) |
독일-오스트리아 대사 | 임명: 아돌프 히틀러 재임 시작: 1934년 8월 재임 종료: 1938년 2월 이전 대사: 쿠르트 리트 다음 대사: 카를-헤르만 뮐러-그라프 (1952년) |
군사 경력 | |
소속 | 독일 제국군 |
복무 기간 | 1898년–1919년 |
최종 계급 | 중령 |
참전 전투 | 제1차 세계 대전 서부 전선 솜 전투 비미 능선 전투 중동 전역 시나이-팔레스타인 전역 |
훈장 | 철십자 훈장 1급 전쟁 공로 십자 훈장 |
학력 | |
기타 정보 | |
![]() |
2. 어린 시절
프란츠 폰 파펜은 프로이센 왕국 베스트팔렌 베를에서 프리드리히 폰 파펜-코닝겐과 안나 라우라 폰 슈테펜스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2명의 다른 형제·자매와 함께 부유한 로마 가톨릭 집안에서 성장했다. 11세에 벤스베르크에 있는 생도 학교에 입학하여 군사 훈련을 받았고, 리히터펠데에 있는 프로이센 군사 학교에서 훈련을 마쳤다. 파펜은 카이저의 궁정에서 군사 수행원을 지냈고, 소위로 임관하여 부친의 연대에 입대했다. 1913년 대위로서 대장군참모의 일원이 되었다.
1932년 11월, 파펜은 북해와 발트해를 통제하기 위해 독일 해군을 확장하면서 베르사유 조약을 위반하였다.[10] 하지만 그는 당의 지지를 잃고 쿠르트 폰 슐라이허에 의해 총리직에서 교체되었다. 슐라이허 실각 후, 파펜은 슐라이허에 대한 음모를 꾸미고 1933년 1월 파울 폰 힌덴부르크와 비밀 거래를 통해 아돌프 히틀러에게 지지를 보냈다.
뛰어난 기수였으며, 귀족이 평민보다 우월하다고 믿었다. 프랑스어와 영어에 능통하여 유럽, 중동, 북아메리카를 여행했다. 1905년 5월 3일, 부유한 산업가의 딸인 마르타 폰 보흐갈하우와 결혼하여 막대한 재산을 얻었다. 그는 훌륭한 기수였고 매력이 넘치는 사람이었으며, 당당한 모습을 보였다. 그는 그의 가문이 1298년부터 베를에서 소금물을 채취할 세습권을 부여받았다는 것에 자부심을 느꼈다. 그는 항상 평민보다 귀족의 우월성을 믿었다. 그는 프랑스어와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했으며, 유럽, 중동 및 북미 전역을 광범위하게 여행했다. 그는 카이저 빌헬름 2세에게 헌신했다. 그는 프리드리히 폰 베른하르디 장군의 저서의 영향을 받아 평생 군국주의자였다.
독일 제국의 령방인 프로이센 왕국・베스트팔렌・베를에서, 제염업으로 부를 축적한 에르프젤처(세습 염상)라고 불리는 명문가 중 하나에서 태어났다. 부모의 희망으로 육군 유년 학교에 입학하여 군인의 길을 걷게 된다. 독일 황제의 측근으로 시중을 들었고, 제5창기병 연대 부속을 거쳐 참모 본부에 들어가, 1913년에 대위로 승진했다. 거기서 쿠르트 폰 슐라이허를 알게 된다. 당시 파펜은 뛰어난 마술로 명성을 얻고 있었다. 1905년에 도자산업으로 유명한 빌레로이&보흐사의 창업자의 딸과 결혼하여 공장 중 하나를 상속받아(현존), 거대한 경제력을 얻었다. 재계와도 두터운 파이프를 가지게 되었다.
3. 군 경력
프란츠 폰 파펜은 부모의 희망으로 육군 유년 학교에 입학하여 군인의 길을 걷게 되었다. 독일 황제의 측근으로 시중을 들었고, 제5창기병 연대 부속을 거쳐 참모 본부에 들어갔으며, 1913년에 대위로 승진했다.
1913년 12월, 미국 주재 독일 대사관의 무관으로 외교 업무를 시작했다.[28] 1914년 초에는 멕시코 주재 독일 무관을 겸임하며 멕시코 혁명을 관찰했고, 빅토리아노 우에르타 장군의 군대에 무기를 판매하는 데 관여했다.[29] 미국의 베라크루스 점령을 직접 관찰하기도 했다.[30]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미국에서 독일을 위해 무기 구매를 시도했으나 영국의 봉쇄로 인해 실패했다.[31] 1914년 8월 22일, 파펜은 뉴욕에 기반을 둔 미국 사립 탐정 폴 코니히를 고용하여 연합국 국민이 소유한 뉴욕의 기업을 상대로 파괴 행위와 폭탄 테러를 벌였다.[32] 또한, 미국의 동맹 자산 파괴 공작과 캐나다 침입 계획에 연루되었다.[33] 1914년 9월부터는 외교 면책 특권을 남용하여 캐나다 침공 계획을 시작하여 운하, 교량, 철도를 상대로 파괴 공작을 벌였다. 1914년 10월, 캘리포니아에서 인도의 반영 국가주의자들을 위한 무기 마련에 관여한 '힌두-독일 음모'에도 연루되었다.[34] 1915년 2월에는 1915년 밴스보로 국제 교량 폭탄 테러를 은밀하게 조직하기도 했다.
1915년 12월 28일, 파괴 행위 계획에 대한 공모 혐의로[35] 미국에서 ''외교적 기피 인물''로 선언되어 독일로 추방되었고[36], 귀국 후 철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 1916년 2월에는 쿠바에 거주하는 멕시코 군인 곤잘로 엔릴레 대령과 접촉하여 멕시코의 유력자인 펠릭스 디아스를 위한 독일의 지원을 준비하려고 했다. 또한 부활절 봉기에서 영국군에 대항하는 아일랜드 자원봉사자들에게 무기를 공급하는 중개인으로 활동했으며,[37] 인도 민족주의자들과의 추가적인 비밀 작전에도 계속 관여했다. 1916년 4월, 미국 연방 대배심은 캐나다의 웰랜드 운하를 폭파하려는 음모 혐의로 파펜을 기소했다. 그는 독일 총리가 될 때까지 기소 상태에 있었고, 그 후에 혐의는 기각되었다.[2]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현역으로 복귀하여 서부 전선에서 복무했다. 1916년, 플랑드르에서 제4 근위 보병 사단의 제93 예비 보병 연대 제2 대대 지휘관이 되었다. 같은 해 8월 22일, 솜 전투 중 영국군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냈으나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1917년 철십자 훈장 1급을 수여받았고, 4월 11일 비미 능선 전투에서 싸웠으나 캐나다 군단에 의해 패배했다.
비미 능선 전투 이후 중동으로 전출을 요청하여 승인받았다. 1917년 6월부터 중동에서 참모 장교로 복무했으며, 이후 오스만 제국 군에 배속되어 팔레스타인에서 복무했다.[3] 콘스탄티노플에 머무는 동안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와 친분을 쌓았다. 1917년 10월부터 12월까지 시나이 및 팔레스타인 전역의 치열한 전투에 참여했다. 중령으로 진급했다.[38]
1918년 10월 30일 튀르크가 연합국과 휴전을 체결한 후, 독일 아시아 군단은 본국으로 귀환하라는 명령을 받았고, 파펜은 카라피나르 산악 지대에서 전쟁이 끝났다는 소식을 들었다. 오토 리만 폰 산더스 장군은 군인 평의회를 조직하려 했지만 파펜은 따르기를 거부했다. 산더스는 파펜의 불복종을 이유로 체포를 명령했고, 이로 인해 파펜은 허가 없이 민간인 복장으로 독일로 도주하여 파울 폰 힌덴부르크 원수를 직접 만나게 되었고, 힌덴부르크는 기소를 취하했다.
1920년 4월, 루르에서 공산당의 반란에 대항하는 자유군단을 맡았다.
4. 정치 경력
파펜은 자신의 가장 친했던 친구였던 슐라이허가 자신을 실각시킨 방식에 앙심을 품고 다시 총리가 되기로 결심했다. 1933년 1월 4일, 히틀러와 파펜은 쾰른의 은행가 쿠르트 폰 슈뢰더의 집에서 은밀히 만나 슐라이허에 대한 공동 전략을 논의했다. 이들은 히틀러가 총리로 되는 것을 원했고, 파펜은 부총리이자 그 대가로 프로이센 주의 총리가 되었다.
1933년 1월 9일, 파펜과 힌덴부르크는 히틀러를 영입할 새로운 정부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1월 22일 저녁, 베를린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의 별장에서 열린 회의에서 파펜은 자신의 총리직 주장을 포기하고 제안된 "국가 집중 정부"에서 히틀러를 총리로 지지하기로 약속했으며, 파펜은 부총리와 프로이센 주 총리를 맡게 되었다. 1월 23일, 파펜은 힌덴부르크에게 히틀러를 "가둬둔" 채 총리로 만드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1월 29일 아침, 파펜은 히틀러와 헤르만 괴링을 자신의 아파트에서 만나 파펜이 부총리 겸 프로이센 담당 위원으로 일하기로 합의했다. 파펜은 이 회의에서 히틀러가 총리가 되면 국회를 해산하고, 이후 선거에서 나치당이 다수 의석을 확보하면 수권법을 발동하여 국회의 관여 없이 법을 제정할 수 있기를 원한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다.
결국, 이전에 히틀러를 총리로 만들지 않겠다고 맹세했던 대통령은 1933년 1월 30일 오전 11시 30분에 파펜을 부총리로 임명하여 히틀러를 그 자리에 임명했다. 파펜의 음모가 히틀러를 권력에 이르게 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결정적인 역학 관계는 나치당의 선거 지지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힌덴부르크와 그 주변 사람들에게 나치 통치에 대한 유일한 대안으로 군사 독재를 제시했다.
히틀러와 그의 동맹자들은 파펜을 소외시키고 권력을 나치당의 손으로 놓았다. 파펜은 아무 선택이 없었으나 가톨릭을 섬기면서 중앙당을 파괴시키는 히틀러의 계획들을 지지하였다.
4. 1. 히틀러 내각 수립 기여
1932년 11월, 파펜은 북해와 발트해를 통제하기 위해 독일 해군을 확장하면서 베르사유 조약을 위반하였다. 하지만 그는 당의 지지를 잃고 쿠르트 폰 슐라이허에 의해 총리직에서 교체되었다. 슐라이허 실각 후, 파펜은 슐라이허에 대한 음모를 꾸미고 1933년 1월 파울 폰 힌덴부르크와 비밀 거래를 통해 아돌프 히틀러에게 지지를 보냈다.
파펜은 자신의 가장 친했던 친구였던 슐라이허가 자신을 실각시킨 방식에 앙심을 품고 다시 총리가 되기로 결심했다. 1933년 1월 4일, 히틀러와 파펜은 쾰른의 은행가 쿠르트 폰 슈뢰더 남작의 집에서 은밀히 만나 슐라이허에 대한 공동 전략을 논의했다. 이들은 히틀러가 총리로 되는 것을 원했고, 파펜은 부총리이자 그 대가로 프로이센 주의 총리가 되었다.
1933년 1월 9일, 파펜과 힌덴부르크는 히틀러를 영입할 새로운 정부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1월 22일 저녁, 베를린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의 별장에서 열린 회의에서 파펜은 자신의 총리직 주장을 포기하고 제안된 "국가 집중 정부"에서 히틀러를 총리로 지지하기로 약속했으며, 파펜은 부총리와 프로이센 주 총리를 맡게 되었다. 1월 23일, 파펜은 힌덴부르크에게 히틀러를 "가둬둔" 채 총리로 만드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1월 29일 아침, 파펜은 히틀러와 헤르만 괴링을 자신의 아파트에서 만나 파펜이 부총리 겸 프로이센 담당 위원으로 일하기로 합의했다.[11] 파펜은 이 회의에서 히틀러가 총리가 되면 국회를 해산하고, 이후 선거에서 나치당이 다수 의석을 확보하면 수권법을 발동하여 국회의 관여 없이 법을 제정할 수 있기를 원한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다.
결국, 이전에 히틀러를 총리로 만들지 않겠다고 맹세했던 대통령은 1933년 1월 30일 오전 11시 30분에 파펜을 부총리로 임명하여 히틀러를 그 자리에 임명했다. 파펜의 음모가 히틀러를 권력에 이르게 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결정적인 역학 관계는 나치당의 선거 지지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힌덴부르크와 그 주변 사람들에게 나치 통치에 대한 유일한 대안으로 군사 독재를 제시했다.
히틀러와 그의 동맹자들은 파펜을 소외시키고 권력을 나치당의 손으로 놓았다. 파펜은 아무 선택이 없었으나 가톨릭을 섬기면서 중앙당을 파괴시키는 히틀러의 계획들을 지지하였다.
5. 나치 정권 하에서의 활동
히틀러와 그의 동맹자들은 파펜을 소외시키고 권력을 나치당의 손으로 집중시켰다. 파펜은 가톨릭을 섬기면서 중앙당을 파괴시키는 히틀러의 계획을 지지하였다. 그는 유럽을 여행하고 로마를 방문하여 가톨릭 교회와 협상하였다. 1933년 4월 8일 파펜은 바티칸으로 여행하여 독일 국가와 가톨릭 교회의 관계를 정의하는 제국 종교 협약|Reichskonkordatde을 제안했다.
파펜은 히틀러와 갈등을 빚었고, 장검의 밤 사건 당시 보호 구금되었다. 그는 부총리직에서 제거되고 오스트리아 주재 대사로 임명되었다.
1934년 오스트리아 총리 엥겔베르트 돌푸스가 에 의해 암살된후, 히틀러는 파펜에게 독일 빈 공사직을 제안했고 파펜은 이를 수락했다.[127] 파펜은 오스트리아가 독일과 합병될 운명이라고 믿는 독일 민족주의자였고, 이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면 자신의 경력을 회복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오스트리아 대사 시절 파펜은 외무부의 정상적인 지휘 계통을 벗어나 히틀러에게 직접 보고했다.[18]
파펜은 오스트리아 총리 쿠르트 폰 슈슈니크를 자주 만나 독일이 오스트리아를 합병할 의사가 없으며, 금지된 오스트리아 나치당이 오스트리아 정치에 참여하기를 원할 뿐이라고 안심시켰다. 또한 오스트리아의 주권을 약화시키고 합병을 달성하려는 히틀러의 목표에 기여했다.[19] 1936년 오스트리아-독일 협정을 협상하여 오스트리아가 외교 정책을 독일과 일치시키고 "국가 야당" 구성원이 오스트리아 내각에 들어갈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 조약으로 독일은 오스트리아를 합병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지만, 오스트리아를 독일의 세력권에 넣어 이탈리아의 영향력을 크게 줄였다.
1937년 여름과 가을, 파펜은 오스트리아 정부에 더 많은 나치당원을 포함시키도록 압박했다. 1938년 2월 4일 오스트리아 임무에서 해임되었지만, 히틀러는 그를 불러 독일 독재자와 슈슈니크 간의 베르히테스가덴 회담을 주선하도록 했다.
150px
1939년부터 1944년까지 터키 주재 대사로 활동하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중립을 지키던 터키를 추축국에 가담시키려 노력했으나 실패했다. 당시 대사였던 프리드리히 폰 켈러가 퇴임하자, 독일 외무부 장관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는 파펜을 임명하려 했으나, 튀르키예 대통령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와 이스메트 이뇌뉘가 반대하여 무산될뻔 했으나,결국 튀르키예는 파펜의 대사 임명을 수락했다. 1941년에는 독일-터키 상호 불가침 조약을 체결하였다. 하지만 터키는 중립을 지켰다. 경제적 압박을 통해 터키가 독일에 대항하는 연합국에 가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기여했다. 귀국 후 히틀러로부터 전쟁 공로 십자 상을 수여받았다.
5. 1. 외교관 활동
프란츠 폰 파펜은 1913년 미국 주재 독일 대사관의 주재무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멕시코에서 독일 주재무관으로도 활동하며 빅토리아노 우에르타 장군의 군대에 무기를 판매하는 데 관여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미국에서 독일을 위해 무기를 구매하려 했으나 영국의 봉쇄로 실패했고, 미국의 동맹 자산 사보타주와 캐나다 침입 계획에 연루되었다. 1914년 힌두-게르만계의 음모에 연루되어 캘리포니아주에서 인도의 반영 국가주의자들을 위해 무기를 마련했다. 그 결과 미국에서 추방되어 독일로 귀국, 철십자 훈장을 받았다. 1916년 부활절 봉기에서 영국군에 대항하는 아일랜드 자원봉사자들에게 무기를 공급하는 중개인으로 활동했다.제1차 세계 대전 동안 플랑드르에서 제4경비병 보병대의 제2예비대대를 지휘했고,솜 전투와 비미 능선 전투에서 싸웠으며 1917년 철십자 1등상을 받았다. 이후 중동으로 옮겨져 팔레스타인에서 오스만 제국과 함께 대장군참모에 복무했다. 전쟁 말기 중령으로 진급했으나, 연합국과 휴전 협정 중 명령 불복종 혐의로 군 복무를 떠났다.
1934년 오스트리아 총리 엥겔베르트 돌푸스가 에 의해 암살된후, 히틀러는 파펜에게 독일 빈 공사직을 제안했고 파펜은 이를 수락했다.[127] 파펜은 오스트리아가 독일과 합병될 운명이라고 믿는 독일 민족주의자였고, 이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면 자신의 경력을 회복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오스트리아 대사 시절 파펜은 외무부의 정상적인 지휘 계통을 벗어나 히틀러에게 직접 보고했다.[18]
파펜은 오스트리아 총리 쿠르트 폰 슈슈니크를 자주 만나 독일이 오스트리아를 합병할 의사가 없으며, 금지된 오스트리아 나치당이 오스트리아 정치에 참여하기를 원할 뿐이라고 안심시켰다. 또한 오스트리아의 주권을 약화시키고 합병을 달성하려는 히틀러의 목표에 기여했다.[19] 1936년 오스트리아-독일 협정을 협상하여 오스트리아가 외교 정책을 독일과 일치시키고 "국가 야당" 구성원이 오스트리아 내각에 들어갈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 조약으로 독일은 오스트리아를 합병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지만, 오스트리아를 독일의 세력권에 넣어 이탈리아의 영향력을 크게 줄였다.
1937년 여름과 가을, 파펜은 오스트리아 정부에 더 많은 나치당원을 포함시키도록 압박했다. 1938년 2월 4일 오스트리아 임무에서 해임되었지만, 히틀러는 그를 불러 독일 독재자와 슈슈니크 간의 베르히테스가덴 회담을 주선하도록 했다.
150px
1939년부터 1944년까지 터키 주재 대사로 활동하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중립을 지키던 터키를 추축국에 가담시키려 노력했으나 실패했다. 당시 대사였던 프리드리히 폰 켈러가 퇴임하자, 독일 외무부 장관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는 파펜을 임명하려 했으나, 튀르키예 대통령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와 이스메트 이뇌뉘가 반대하여 무산될뻔 했으나,결국 튀르키예는 파펜의 대사 임명을 수락했다. 1941년에는 독일-터키 상호 불가침 조약을 체결하였다. 하지만 터키는 중립을 지켰다. 경제적 압박을 통해 터키가 독일에 대항하는 연합국에 가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기여했다. 귀국 후 히틀러로부터 전쟁 공로 십자 상을 수여받았다.
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4월 14일, 파펜은 자신의 집에서 미군에게 아들 프란츠 주니어와 함께 체포되었다. 그는 헤르만 괴링 등과 함께 룩셈부르크의 수용소에 수용되었다. 이후 뉘른베르크 재판에 회부되어 1945년 9월에 다른 피고인들과 함께 뉘른베르크 형무소로 이송되었다. 파펜은 나치당을 정권에 참여시키고 오스트리아 병합에 관여한 혐의로 기소되었다.
파펜은 1946년 6월 14일 검찰 측 반대 심문에서 히틀러 정권 탄생에 대한 자신의 역할을 부정하며, 자신이 히틀러에게 사임을 요청하고 실제로 사임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영국 수석 검사는 그가 곧바로 오스트리아를 살해한 정부를 대표하는 일을 맡았다고 반박했다.
1946년 10월 1일, 법원은 파펜이 오스트리아 공사로서 오스트리아 병합을 위해 쿠르트 슈슈니크 정권 전복과 오스트리아 나치 강화를 위해 책략과 협박을 했다고 인정하면서도, "헌장은 정치 논리에 반하는 그러한 악행을, 아무리 악독한 방법이라도, 범죄로 규정하지 않았다."라고 판시하며 무죄를 선고했다. 소련 수석 재판관 이오나 니키첸코는 파펜에게 유죄를 요구했지만, 서방 재판관들에 의해 무죄가 확정되었다.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피고인은 파펜, 한스 프리체, 히알마르 샤흐트 세 명뿐이었다. 조사 재판소는 파펜이 오스트리아 합병에 관여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확실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 법원은 그를 무죄로 석방하면서, 그가 여러 차례 "정치적 부도덕"을 저질렀지만, 이러한 행위는 파펜의 기소장에 적시된 "평화에 대한 죄"를 범하기 위한 음모에 따라 처벌할 수 없다고 밝혔다. 소련은 그를 처형하려 했다.
1947년 2월 비나치화 재판에서 8년 징역형과 재산 몰수를 선고받았으나, 1949년 항소심에서 석방되었다. 1954년까지 파펜은 서독에서 출판이 금지되었고, 그리하여 그는 스페인 신문에 일련의 기사를 써서 바이마르 공화국을 공격했던 것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보수적인 가톨릭 입장에서 연방 공화국을 공격했다.
이후 서독 정계 진출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1952년에는 회고록 『길거리의 진실』(Der Wahrheit eine Gasse) 을 출판했으나, 역사학자 로베르트 S. 비스트리히는 "끝없는 자기 도취와 놀라운 자기 만족만이 드러난 내용"이라고 혹평했다.
1959년 7월 24일, 교황 요한 23세는 그의 "교황 시종" 칭호를 회복시켰다.[24] 파펜은 또한 몰타 기사단의 기사였으며 교황 비오 9세 훈장의 대십자 훈장을 받았다. 파펜은 자신의 정책을 옹호하고 1930년부터 1933년까지의 시기와 초기 서방의 냉전 정치를 다룬 여러 권의 책과 회고록을 출판했다. 파펜은 프랑스와 서독 간의 관계를 진정시키기 위한 슈만 선언을 "현명하고 훌륭한 정치가적"이라고 칭찬했으며 서유럽의 경제적, 군사적 통일과 통합을 믿는다고 주장했다.[24]
1969년 사망할 때까지 파펜은 연설을 하고 신문에 기사를 써서, 히틀러가 총리로 임명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범죄 정권에 봉사했다는 비난으로부터 자신을 옹호했다. 이러한 행위는 서독의 역사학자, 언론인, 정치학자들과의 격렬한 논쟁으로 이어졌다. 프란츠 폰 파펜은 1969년 5월 2일 서독 자스바흐 (오르테나우)에서 8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7. 개인 생활과 유산
파펜은 베를린의 부유한 로마 가톨릭 귀족 가문 출신이다. 1905년, 마르타 폰 보흐갈하우와 결혼하여 막대한 재산을 얻었다. 그는 프리드리히 폰 베른하르디 장군의 저서에 영향을 받아 군사력의 중요성을 믿었다. 파펜은 양 대전 동안 세계 정세에 영향력을 준 주요 인물로 평가되며, 여러 영화와 텔레비전 시리즈에서 묘사되었다.[25]
미군 구금 기록에 따르면 그의 키는 175cm이다.[137] 뉘른베르크 형무소 심리 분석관 구스타프 길버트 대위가 실시한 웩슬러-벨뷰 성인 지능 검사에서 파펜의 지능 지수는 134로, 에리히 레더와 함께 전체 피고인 중 5번째로 높았다. 다만, 파펜은 고령임을 고려하여 실제보다 15~20 정도 높게 나왔다.[138]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구금되어 있는 동안 받은 인터뷰에서 그는 히틀러를 수상으로 임명한 이유에 대해 나치당이 없으면 국회에서 다수파를 형성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한 히틀러는 사회 문제를 마르크스주의나 볼셰비즘이 아닌, 사회주의를 포함한 자본주의로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으며, 모든 경제 활동으로 얻는 이익은 사회가 공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파펜은 이러한 주장이 교황 레오 13세의 회칙과 유사하다고 생각했다. 히틀러는 처음에는 종교에 대해 파펜과 같은 의견을 가지고 있었으며, 1933년 3월 국회 연설에서 기독교의 근본 원리를 존중하겠다고 말했다.
히틀러의 인품에 대해서는 "매우 흥미로운 인간이었고 화제도 풍부했다. 예술, 건축, 정치, 군사, 음악 등 다양한 것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정말 비범한 인간이었지만, 암살 미수 사건 이후 사람이 변해 버렸다"라고 말했다.
유대인 박해에 대해서는 처음에는 히틀러가 상식에 맞는 온당한 수단으로 유대인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과격한 수단으로 해결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히틀러가 유대인의 영향력을 배제하는 최초의 법률을 만들었을 때, 파펜은 1914년부터 독일에 거주하고 있는 유대인은 모두 국내에 머물 수 있도록 제한을 가했다.
8. 저서
- ''Appell an das deutsche Gewissen. Reden zur nationalen Revolution'', Stalling, Oldenburg, 1933 (독일의 양심에 대한 호소. 국가 혁명에 관한 연설/Appell an das deutsche Gewissen. Reden zur nationalen Revolutionde)
- ''Franz von Papen Memoirs'', Translated by Brian Connell, Andre Deutsch, London, 1952 (프란츠 폰 파펜 회고록/Franz von Papen Memoirs영어)
- ''Der Wahrheit eine Gasse'', Paul List Verlag, München 1952 (진실의 길/Der Wahrheit eine Gassede)
- ''Europa, was nun? Betrachtungen zur Politik der Westmächte'', Göttinger Verlags-Anstalt, Göttingen 1954 (유럽, 이제 무엇을 할 것인가? 서방 열강의 정치에 대한 고찰/Europa, was nun? Betrachtungen zur Politik der Westmächtede)
- ''Vom Scheitern einer Demokratie. 1930 – 1933'', Hase und Koehler, Mainz 1968 (민주주의의 실패로부터. 1930-1933/Vom Scheitern einer Demokratie. 1930 – 1933de)
참조
[1]
서적
The Spy Book
Random House
[2]
간행물
Current Biography 1941
[3]
서적
Justifying Genocide: Germany and the Armenians from Bismark to Hitler
Harvard University Press
[4]
잡지
Germany: Hitler Into Chancellor
https://content.time[...]
2022-02-04
[5]
논문
The Result of the Lausanne Conference
https://www.jstor.or[...]
Sage Publications, Inc.
1932-09
[6]
문서
Weimar and the Rise of Hitler
Macmillan
[7]
서적
Wirtschaftspolitik in Deutschland 1917–1990
https://books.google[...]
De Gruyter
[8]
웹사이트
Lausanne Conference
https://www.u-s-hist[...]
2023-11-04
[9]
서적
The Fateful Alliance: German Conservatives and Nazis in 1933
Berghahn Books
[10]
서적
Erich Raeder Admiral of the Third Reich
Naval Institute Press
[11]
서적
The Rise of Fascism In Europe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12]
웹사이트
Adolf Hitler "Wait Calmly"
https://www.zeit.de/[...]
2017-02-01
[13]
웹사이트
Reich Chancellor Adolf Hitler with his Cabinet (January 30, 1933)
http://ghdi.ghi-dc.o[...]
[14]
웹사이트
"Eine Mischung von Korruption, Hintertreppe und Günstlingswirtschaft"
https://www.fr.de/ku[...]
2020-04
[15]
논문
The Potempa Murder
1977-09
[16]
문서
Jahrbuch der Akademie für Deutsches Recht
Schweitzer Verlag
[17]
잡지
Germany: Crux of Crisis
https://content.time[...]
1934-07-16
[18]
문서
Fascist Ideology
Routledge
[19]
문서
The Gathering Storm
[20]
문서
German Foreign Policy, 1918-1945, A Guide to Current Research and Resources
[21]
서적
Special Tasks: The Memoirs of an Unwanted Witness—A Soviet Spymaster
Little, Brown and Company
[22]
문서
The Cicero Spy Affair: German Access to British Secrets in World War II
Greenwood Publishing
[23]
문서
Memoirs
[24]
문서
Memoirs
[25]
웹사이트
Franz von Papen (Character)
https://www.imdb.com[...]
IMDb.com
2008-05-20
[26]
웹사이트
Hitler and the Nazis: Evil on Trial
https://www.imdb.com[...]
2024-06-15
[27]
웹사이트
Who was who in Babylon Berlin ?
https://www.babylonb[...]
2024-08-08
[28]
문서
阿部、p.197
[29]
문서
アイク、p.182
[30]
문서
ヴィストリヒ、p.184
[31]
문서
アイク、p.182
[32]
문서
フェスト、上巻p.434
[33]
문서
モムゼン、p.394
[34]
문서
アイク、p.183
[35]
문서
モムゼン、p.393-394
[36]
서적
ドイツ政治史とカトリシズム
http://www.seinan-gu[...]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Das Aussprachewörterbuch
Duden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도서
モムゼン、p.420
[72]
도서
阿部、p.202
[73]
도서
フェスト、上巻p.440
[74]
도서
阿部、p.202-203
[75]
도서
モムゼン、p.426
[76]
도서
阿部、p.203
[77]
도서
トーランド、上巻p.311
[78]
도서
フェスト、上巻p.443
[79]
도서
阿部、p.205
[80]
도서
トーランド、上巻p.313
[81]
도서
フェスト、上巻p.447
[82]
도서
モムゼン、p.436-437
[83]
도서
モムゼン、p.437
[84]
도서
阿部、p.205
[85]
도서
モムゼン、p.438-439
[86]
도서
フェスト、上巻p.448
[87]
도서
阿部、p.205-206
[88]
도서
トーランド、上巻p.317
[89]
도서
フェスト、上巻p.440-441
[90]
도서
トーランド、上巻p.318
[91]
도서
モムゼン、p.440-441
[92]
도서
フェスト、上巻p.451
[93]
도서
モムゼン、p.441
[94]
도서
阿部、p.206
[95]
도서
アイク、p.312
[96]
도서
トーランド、上巻p.325
[97]
도서
トーランド、上巻p.319
[98]
도서
モムゼン、p.461
[99]
도서
トーランド、上巻p.323
[100]
도서
フェスト、上巻p.458
[101]
도서
トーランド、上巻p.324
[102]
도서
アイク、p.313
[103]
도서
トーランド、上巻p.324
[104]
도서
阿部、p.212
[105]
도서
トーランド、上巻p.325-327
[106]
문서
アイク、p.324
[107]
문서
阿部、p.212
[108]
문서
アイク、p.331
[109]
문서
阿部、p.213
[110]
문서
トーランド、上巻p.328
[111]
문서
トーランド、上巻p.329
[112]
문서
モムゼン、p.476
[113]
문서
モムゼン、p.477
[114]
문서
[[エヴァルト・フォン・クライスト=シュメンツィン]] ([[:en:Ewald_von_Kleist-Schmenzin|en]])「Die letzte Möglichkeit」よりの引用、トーランド、124p
[115]
문서
モムゼン、p.478
[116]
문서
モムゼン、p.481
[117]
문서
阿部、p.217
[118]
문서
トーランド、上巻p.337
[119]
문서
モムゼン、p.482
[120]
문서
阿部、p.215
[121]
문서
阿部、p.222
[122]
문서
阿部、p.226
[123]
문서
モムゼン、p.489
[124]
문서
トーランド、上巻p.359
[125]
문서
阿部、p.244
[126]
문서
ヴィストリヒ、185頁
[127]
서적
The Foreign Policy of Hitler's Germany: Diplomatic Revolution in Europ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0
[128]
서적
新編西洋史辞典
東京創元社
1993
[129]
서적
The Foreign Policy of Hitler's Germany: Starting World War II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
[130]
문서
ヴィストリヒ、185頁
[131]
문서
マーザー、76頁
[132]
문서
パーシコ、下巻p.208
[133]
문서
『ニュルンベルグ裁判記録』、p.181-182
[134]
문서
『ニュルンベルグ裁判記録』、p.292-295
[135]
문서
プシビルスキ、p.55
[136]
문서
ヴィストリヒ、186頁
[137]
웹사이트
米軍の拘留記録(ヤド・ヴァシェムサイト)
http://collections1.[...]
[138]
서적
第三帝国の演出者 ヘルマン・ゲーリング伝 下
早川書房
19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