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루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루센은 비스툴라 강과 네만 강 사이 지역에 거주했던 발트족으로, 스스로를 지칭하는 단어는 아니었다. 98년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는 이들을 '아에스티'로 묘사했으며, '프루센'이라는 단어는 수역을 의미하는 지명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프루센인은 부족 구조로 조직되었으며, 포메사니아인, 바르미아인 등 10개 부족으로 나뉘었다. 이들은 튜턴 기사단의 프로이센 십자군을 거쳐 기독교화되었고, 독일인에 의해 정복당하고 동화되어 고대 프루센어는 18세기에 소멸되었다.
"프로이센"이라는 명칭은 이 민족을 가리키는 이칭으로, 스스로를 지칭하는 단어는 아니었다. 이 명칭은 수역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수많은 호수와 늪지대가 있는 이 지역의 지리적 특성과 관련이 있다. 고대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는 발트해 연안에 살았던 ''아에스티''에 대해 언급했는데, 이 명칭은 현대 에스토니아와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을 수 있다.[8][9]
고대 프로이센인은 비스툴라 강과 네만 강 사이의 지역에 거주했으며, 서쪽으로는 카슈브인과 포메라니아인, 남쪽으로는 폴란드인, 동쪽과 남동쪽으로는 수도비아인(때로는 별개의 민족으로, 때로는 프루센 부족으로 간주됨), 북쪽으로는 스칼비아인, 북동쪽으로는 리투아니아인과 접해 있었다.[17][18]
고대 프로이센 사회의 가장 작은 단위는 "laūks"라고 불리는 가족 중심 정착지였다. 이들은 숲, 늪, 습지로 분리되어 있었으며, 요새나 언덕 요새를 중심으로 조직되었다.[30][19] "laūks"는 또한 경제적 이익과 안전에 대한 열망을 공유하는 농장 그룹으로, 가족의 남성 가장이 지배하고 요새 또는 언덕 요새를 중심으로 하였다.[30] 최고 권력은 모든 성인 남성의 일반적인 모임에 있었으며, 이들은 공동체에 관한 중요한 문제를 논의하고 지도자와 추장을 선출했다. 지도자는 일상적인 문제의 감독을 담당했으며, 추장("rikīs")은 Vidivarii가 수행하는 도로 및 망루 건설, 국경 방어를 담당했다. 가구의 가장은 "buttataws"(문자 그대로, "집 아버지")였다.
고대 프로이센인들은 용맹하고 뛰어난 신체적 강점으로 유명했으며, 사치를 멀리하고 손님을 환대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25] 이들은 벌꿀술을 즐겨 마셨으며, 부유한 사람들은 발효된 암말 젖 (쿠미스)을 마시기도 했다.[26] 헤데비의 울프스탄은 비스툴라 석호에 있는 무역 도시 트루소를 방문하여 이러한 모습을 기록으로 남겼다. 브레멘의 아담에 따르면, 삼비아인들은 말젖뿐만 아니라 말 피도 섭취했으며, 말고기를 먹기도 했다.[26]
2. 어원
3. 지리적 분포 및 부족 구성
이들은 여러 부족으로 나뉘어 있었으며, 각 부족은 지리적 특징에 따라 이름을 붙였다. 예를 들어 포메사니아 부족 ''Pameddi''의 이름은 "주변"을 의미하는 ''pa''와 "숲"을 의미하는 ''median''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원시 인도유럽어 형용사 ''*médʰyos'' '중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12] 나드루비아는 "주변"을 의미하는 ''na''와 "나무"를 의미하는 ''drawē''의 합성어일 수 있다. 프러시아 부족인 바르티아인의 이름과 라트비아의 바르타 강의 이름은 아마도 동족어일 것이다.
발트 지역의 가장 작은 사회 단위는 "laūks"였는데, 이는 작은 가족 중심 정착지, 가구 및 주변 밭으로 구성되었으며, 서로는 숲, 늪, 습지의 사람이 살지 않는 지역으로만 분리되었다.[30][19] "laūks"는 경제적 이익과 안전에 대한 열망을 공유하는 농장 그룹으로 형성되었으며, 가족의 남성 가장이 지배하고 요새 또는 언덕 요새를 중심으로 했다.[30]
"laūks"보다 더 큰 정치적, 영토적 조직은 "pulka"로 알려졌으며, 십여 개의 "laukse"로 구성되었다.[21] 발트 부족은 공통의 정치적 및 영토적 조직을 형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공통의 민족적 또는 국가적 이름을 채택하지 않고 자신들이 온 지역의 이름을 사용했다.[22]
얀 드우고시에 따르면, 프루센인, 사모기티아인, 리투아니아인은 같은 부족이었다.[23]
1326년에 작성된 튜턴 기사단의 연대기 작가 피터 오브 더스부르크의 "프루시아 연대기"(Chronicon terrae Prussiae)는 프루센 부족 구조를 잘 보여준다.[24] 그는 지리적 기준에 따라 11개의 땅과 10개의 부족을 나열했는데, 그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라틴어 독일어 폴란드어 현대
리투아니아어재구성된
프루센어참고 1 포메사니아 포메자니엔 포메자니아 파메데 파메디 포메사니아인 2 바르미아 에름란트,
바르미엔바르미아 바르메 바르미 바르미아인 3 포게사니아 포게자니엔 포게자니아 파구데 파구디 포게사니아인 4 나탕기아인 나탕겐 나탕기아 노탕가 노탕기 나탕기아인 5 삼비아 삼란트 삼비아 셈바 셈바 삼비아인 6 나드루비아인 나드라우엔 나드로비아 나드루바 나드라우바 나드루비아인 7 바르티아 바르텐 바르차 바르타 바르타 바르티아인 8 스칼로비아 샬라우엔 스칼로비아 스칼바 스칼라와 스칼비아인 9 수도비아 수다우엔 수다비아 수두바 수다와 수도비아인 또는 요트빙기아인 10 갈린디아 갈린디엔 갈린디아 갈린다 갈린다 갈린디아인 11 쿨머란트 쿨머란트 흐워므노 쿨마스 쿨마, 쿨름스
3. 1. 주요 부족
독일 기사단의 사제 뒤스부르크의 페터가 1326년에 쓴 ''Chronicon terrae Prussiae''에 따르면, 고대 프로이센인은 부족 구조로 조직되었다. 지리적 특징을 기반으로 고대 프로이센인의 11개 국가, 10개 종족을 열거한 분석 결과가 기술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다음 부족들이 포함된다.
페터에 따르면, 포메사니아의 남서쪽에 있는 11번째 땅인 쿨름(Kulm)은 거의 사람이 살지 않았다고 한다. 독일의 고대 프로이센 정복 후, 국토는 거의 정확하게 이러한 구분에 따라 분할되었지만, 독일인은 탄넨베르크를 중심으로 하는 12번째 국가인 사센(Sassen)을 추가했다. 이러한 이름의 대부분이 고대 또는 중세의 문헌에 나타나지만, 철자와 지리는 문헌에 따라 다양하다. 뒤스부르크의 페터는 Pomesani, Pogesani, Varmienses 등과 같은 라틴어 이름을 사용했다.
4. 사회 조직
"terrula"(작은 땅)라고 불리는 더 큰 정치적, 영토적 조직은 요새나 언덕 요새를 중심으로 했다. 이러한 정치적 영토 단위는 300sqkm에 달했고 최대 2,000명의 주민을 수용할 수 있었다. 그들은 십여 개의 "laukse"로 구성된 "pulka"로 알려졌다.[21]
5. 문화, 종교 및 관습
여성은 하인처럼 취급받아 남편과 식탁을 공유하는 것이 금지되었고, 상업적 결혼이 널리 퍼져 있었다. 남편이 사망하면 과부는 다른 상속 재산과 마찬가지로 아들에게 귀속되었다. 일부다처제는 최대 세 명의 아내까지 허용되었다. 간통은 사형에 처해질 수 있는 심각한 범죄였으나, 복종 이후 상업적 결혼과 일부다처제는 금지되었다.
5. 1. 장례 관습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기독교 이전의 프로이센인들의 매장 관습은 수 세기에 걸쳐 변화했다.[14]
철기 시대(기원전 5세기 – 서기 1세기)에는 서부 발트해의 쿠르간과 원형 묘 문화가 널리 퍼져 있었다. 이 시기에는 화장한 유골을 항아리에 담는 풍습이 나타났다. 무덤은 최대 30개의 항아리를 넣을 수 있는 석실 위에 세워지거나, 항아리를 위한 석함이 청동기 시대 스타일의 원형 묘에 묻히기도 했다.
로마 제국 초기에는 나무 관에 시신을 묻는 얕은 무덤이 나타났다. 3세기부터는 화장이 항아리와 함께 확산되었다. 사미아인과 수다우어를 제외하고는 얕은 무덤이 기독교화될 때까지 존재했으며, 이들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화장 구덩이가 점차 프로이센인들의 유일한 매장 형태가 되었다. 그러나 서로 다른 형태의 매장이 동시에 나타나기도 했다.[27]
5. 2. 종교
Peter von Dusburgde는 그의 저서에서 "그들은 하느님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그들의 오류 속에서 해, 달, 별, 천둥, 새, 심지어 네 발 달린 동물, 심지어 두꺼비에 이르기까지 모든 피조물을 신성하게 숭배했다. 그들은 또한 숲, 들판, 물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들은 그것을 너무 신성하게 여겨서 나무를 베거나 밭을 경작하거나 물고기를 잡는 것을 감히 하지 못했다."라고 묘사했다.[29]
발트 이교는 의인화되지 않고 고유한 영과 마법의 힘을 지닌 모든 자연의 힘과 현상의 신성함을 믿는 '다원 신앙'의 한 형태로 묘사되어 왔다. 그들은 세상이 무한한 수의 영과 악마로 가득 차 있다고 생각했으며, 영혼과 내세, 조상 숭배를 믿었다. 반면, 일부 저자들은 잘 발달되고 정교한 올드 프루센 다신교가 명확하게 정의된 신들의 판테온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30]
최고 사제인 크리베-크리바위토는 죽은 조상의 영들과 끊임없이 연결되어 있어야 했다. 그는 엘리트 성직자 외에는 아무도 출입할 수 없는 신성한 숲인 '로모베'에서 살았다. 각 지역은 입법자이자 재판관 역할도 하는 '크리베'가 이끌었다. 크리베-크리바위토 다음으로 서열이 높은 '시곤넨'은 샘과 나무와 같은 자연 신성 지역과의 건강한 영적 연결을 유지해야 했다. 하위 계급의 사제인 '우르스카이텐'은 의식과 행사를 감독해야 했다.[17]
1231년 튜턴 기사단에 굴복하면서 옛 프로이센인들은 기독교로 개종했다. 옛 이교 신앙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었는지는 출처에서 알 수 없다. 이교 관습은 외딴 수도비아인들 사이에서 가장 오래 지속되었다고 한다. 16세기에, 소위 수도비아의 책(Sudauerbüchlein)이 만들어졌는데, 여기에는 신, "이교" 축제, 염소 정화에 대한 목록이 묘사되어 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이 작은 책이 종교 개혁의 맥락에서 전통적인 민속 관습을 '이교'로 잘못 해석했다고 주장한다.[31]
6. 역사
고대 프로이센인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서기 98년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의 ''아에스티''에 대한 묘사이다. 타키투스는 ''게르마니아''에서 루기 부리는 게르만족의 동쪽 범위 내에 살고 있다고 언급했다.[11] 포메사니아 부족인 ''Pameddi''의 이름은 "옆" 또는 "가까운"을 의미하는 단어 ''pa''와 "숲"을 의미하는 단어 ''median''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원시 인도유럽어 형용사 ''*médʰyos'' '중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12] 나드루비아는 "옆" 또는 "위"를 의미하는 단어 ''na''와 "나무"를 의미하는 단어 ''drawē''의 합성어일 수 있다. 프러시아 부족인 바르티아인의 이름과 라트비아의 바르타 강의 이름은 아마도 동족어일 것이다.
서기 2세기에 지리학자 클라우디우스 프톨레마이오스는 유럽 사르마티아에 살고 있는 일부 ''Borusci''를 언급했는데(그의 ''유럽 지도 8번째 지도''에서), 이들은 게르마니아와 ''비스툴라 플루멘''에 의해 분리되었다. 그의 지도는 그 지역에서 매우 혼란스러운데, 보루시는 프러시아인보다 더 동쪽에 있는 것으로 보이며, 프러시아인은 비스툴라강 하구에 있는 ''기토네스''(고트족)의 지배하에 있었을 것이다. 타키투스가 기록한 ''아에스티''는 450년 후 요르다네스에 의해 고트 제국의 일부로 기록되었다.[13]
997년, 프라하의 아달베르트는 프로이센인을 기독교로 개종시키려는 선교 활동 중 살해되었다.[32] 얀 드우고시에 따르면, 프루센인, 사모기티아인, 리투아니아인은 같은 부족이었다.[23]
피터 오브 더스부르크의 "프루시아 연대기"(Chronicon terrae Prussiae)는 튜턴 기사단의 연대기 작가의 작품으로 1326년에 작성되었다.[24] 그는 지리적 기준에 따라 명명된 11개의 땅과 10개의 부족을 다음과 같이 나열했다.
라틴어 | 독일어 | 폴란드어 | 현대 리투아니아어 | 재구성된 프루센어 | 참고 | |
---|---|---|---|---|---|---|
1 | 포메사니아 | 포메자니엔 | 포메자니아 | 파메데 | 파메디 | 포메사니아인 |
2 | 바르미아 | 에름란트, 바르미엔 | 바르미아 | 바르메 | 바르미 | 바르미아인 |
3 | 포게사니아 | 포게자니엔 | 포게자니아 | 파구데 | 파구디 | 포게사니아인 |
4 | 나탕기아인 | 나탕겐 | 나탕기아 | 노탕가 | 노탕기 | 나탕기아인 |
5 | 삼비아 | 삼란트 | 삼비아 | 셈바 | 셈바 | 삼비아인 |
6 | 나드루비아인 | 나드라우엔 | 나드로비아 | 나드루바 | 나드라우바 | 나드루비아인 |
7 | 바르티아 | 바르텐 | 바르차 | 바르타 | 바르타 | 바르티아인 |
8 | 스칼로비아 | 샬라우엔 | 스칼로비아 | 스칼바 | 스칼라와 | 스칼비아인 |
9 | 수도비아 | 수다우엔 | 수다비아 | 수두바 | 수다와 | 수도비아인 또는 요트빙기아인 |
10 | 갈린디아 | 갈린디엔 | 갈린디아 | 갈린다 | 갈린다 | 갈린디아인 |
11 | 쿨머란트 | 쿨머란트 | 흐워므노 | 쿨마스 | 쿨마, 쿨름스 |
13세기 초 마조비아의 콘라트 1세의 몇 차례 공격은 프로이센인에게 성공적으로 격퇴되었다. 1209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시토회 수도사 올리바의 크리스티안에게 이교도 프로이센인을 개종시키라는 임무를 맡겼다. 1215년, 크리스티안은 프로이센의 첫 번째 주교로 임명되었다. 마조비아의 콘라트 1세는 여러 번 교황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도브르진 기사단이라는 군사 기사단을 설립한 후 튜턴 기사단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그 결과 프로이센에 대한 북부 십자군을 요구하는 칙령이 내려졌다.
6. 1. 튜턴 기사단의 정복과 프로이센의 독일화
1230년, 리미니 금인칙서 이후, 튜턴 기사단(독일 기사단)과 마조비아의 콘라트 1세는 발트해의 옛 프로이센인을 기독교화하기 위한 프로이센 십자군을 시작했다.[34] 튜턴 기사단은 정복한 영토에 독립적인 튜턴 기사단의 수도원 국가를 세웠고, 이후 쿠를란트, 리보니아, 에스토니아를 정복했다. 폴란드 공작은 기사단이 불법적으로 영토를 소유하고 있다고 비난했다.1243년, 교황 사절 모데나의 윌리엄은 프로이센을 쿨름 교구, 포메사니아 교구, 바르미아 대주교, 삼비아 교구의 4개 교구로 나누었고, 리가 대주교의 관할 하에 두었다. 잦은 반란에도 불구하고, 프로이센인들은 튜턴 기사단에 의해 진압되었다.[34]
1525년, 튜턴 기사단의 대총장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의 알브레히트는 튜턴 기사단의 프로이센 영토를 프로테스탄트 프로이센 공국으로 세속화했는데, 이는 폴란드 왕국의 봉신이었다. 종교 개혁 동안, 루터교가 확산되었고, 라틴어 대신 교회 예배에서 고유 언어의 사용이 시작되었으며, 알브레히트는 교리 문답을 옛 프로이센어로 번역하게 했다.
독일인에 의한 정복과 동화로 인해, 고대 프로이센어는 18세기 초 페스트에 의한 농촌 인구의 황폐화와 귀족 및 더 많은 인구의 독일인 또는 리투아니아인과의 동화를 통해 소멸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참조
[1]
문서
prūsai
[2]
서적
The Baltic: A Histor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3]
서적
Ethnography of Europe. 3d ed. 1841
https://books.google[...]
Houlston & Stoneman
[4]
백과사전
Old Prussian language
[5]
웹사이트
Baltic Odyssey
http://pismo.pruthen[...]
Scientific Association "Pruthenia"
2020-09-30
[6]
서적
United States Congressional Serial Set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7]
서적
Studies in Baltic and Indo-European Linguistics: In honor of William R. Schmalstieg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8]
서적
Die altpreussischen Sprachdenkmäler: Einleitung, Texte, Grammatik, Wörterbuch
https://books.google[...]
Vandenhoeck und Ruprecht
[9]
웹사이트
Dictionary of Revived Prussian
https://www.yumpu.co[...]
Institut Europeen des Minorites Ethniques Dispersees
2020-09-30
[10]
문서
The sacred sphere of Prussian life in the early Middle Ages
https://prussia.onli[...]
[11]
웹사이트
Ukrainian Studies. 12. Bulletin of Taras Shevchenko – Bavarian Geographer on Slavic Tribes From Ukraine
http://ukrbulletin.u[...]
Kiev University
2020-09-30
[12]
문서
The nominalization 'the middle (one)' acquired, apparently via 'what is in the middle (between fields, villages or cultivated land in general)', the meaning 'border, boundary; balk (between fields); forest' in Balto-Slavic.
[13]
서적
Aestii: An Analysis of an Ancient European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Verlag Vôitleja
[14]
서적
NOWINKA Site 1 The cemetery from the Late Migration Period in the northern Poland
https://www.research[...]
Institute of Archeology of the University of Warsaw, Archaeological Museum in Gdansk
2024-03-26
[15]
웹사이트
Old Prussian Hags of Northern Pomerania – These rare statues are one of the few remaining material witnesses to Old Prussian culture.
https://www.atlasobs[...]
Atlas Obscura
2020-10-01
[16]
학술지
A historical survey and present problems of archaeological science in the Baltic states
https://www.tandfonl[...]
Informa UK Limited
2007-03-01
[17]
서적
The history of Prussia: tracing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her military organization p. 2
https://books.google[...]
[18]
웹사이트
Prussians as bees, Prussians as dogs': metaphors and the depiction of pagan society in the early hagiography of St. Adalbert of Prague
https://www.reading.[...]
University of Reading
2020-10-01
[19]
웹사이트
Lie – Mikkels Klussis
http://donelaitis.vd[...]
2018-09-20
[20]
문서
It varies in spellings, including ''-laukas'', ''-laukis'', and ''lauks''.
[21]
서적
Studia z dziejów plemion pruskich i jaćwieskich – 138. Pulka-terrula territorial organization is also supported by archaeological evidence; Okulicz-Kozaryn 1997: 268–277
https://books.google[...]
Ośrodek Badań Naukowych
[22]
웹사이트
Political Regionalization of Prussia
https://www.research[...]
University of Danzig
2020-10-01
[23]
웹사이트
Prūsų kraujo paveldėtojai
https://alkas.lt/201[...]
2010-10-14
[24]
서적
The Clash of Cultures on the Medieval Baltic Frontier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5]
웹사이트
The Short Course About Prussians & Their Mythology
https://latgale.acad[...]
2019-10-14
[26]
서적
The Balts
https://books.google[...]
Praeger
[27]
서적
The Olsztyn Group in the Early Medieval Archaeology of the Baltic Region: The Cemetery at Leleszki
https://books.google[...]
Brill
[28]
웹사이트
Old Prussian "Baba" Stones: An Overview of the History of Research and Reception. Pomesanian-Sasinian Case
https://www.academia[...]
Academia
2020-10-01
[29]
웹사이트
Prussian graves in the Sambian peninsula with imports, arms and horse harnesses from the tenth to the 13th century: the question of warrior elite
http://briai.ku.lt/d[...]
Klaipėda University
2020-10-01
[30]
웹사이트
Some aspects of pre-Christian Baltic religion
https://www.research[...]
University of Queensland
2020-10-01
[31]
서적
Die Entdeckung des 'Heidentums' in Preußen, Die Prußen in den Reformdiskursen des Spätmittelalters und der Reformation
https://www.degruyte[...]
De Gruyter
2020-10-01
[32]
문서
St. Adalbert (of Bohemia)
[33]
웹사이트
Recent Issues in Polish Historiography of the Crusades
http://eprints.infod[...]
2005
[34]
웹사이트
The 13th-Century Conquest of Prussia Reconsidered
https://etalpykla.li[...]
Klaipėda University
2020-10-01
[35]
URL
http://pismo.pruthen[...]
[36]
간행물
St. Adalbert
Robert Appleton Company
1907
[37]
서적
Baltic languages
Encyclopedia Britannica Inc
20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