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르셰미슬 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르셰미슬 왕조는 9세기경 프라하 주변 지역에서 기원한 서슬라브족의 왕조이다. 보헤미아 분지를 정복하며 세력을 확장했고, 1198년 오타카르 1세 때 보헤미아 왕국으로 승격되었다. 13세기에는 중앙 유럽에서 강력한 왕조로 성장하여 오타카르 2세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합스부르크 가문과의 갈등과 내부 분열로 쇠퇴했다. 1306년 바츨라프 3세의 사망으로 남계 혈통이 단절되었고, 이후 룩셈부르크 가문, 야기에우워 왕조, 합스부르크 가문이 보헤미아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헤미아의 역사 - 보이족
    보이족은 기원전 3세기부터 서기 1세기경 중부 유럽과 북부 이탈리아에 거주했던 켈트족의 일파로, 그 이름은 '소' 또는 '전사'를 의미하는 켈트어 'boio-'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로마와 대립하거나 한니발에게 길을 안내하는 등 역사 속 역할을 했고, 보헤미아 지명이나 바이에른 어원 등에 흔적이 남아있다.
  • 폴란드의 역사 (966–1385) - 베체
    베체는 슬라브족의 민회 또는 평의회를 의미하며, 동유럽 부족 회의에서 기원하여 키예프 루스 시대 이전부터 존재했고, 전쟁과 평화 문제, 법률 채택, 통치자 선출 및 추방 등을 논의하는 기능을 수행한 최고 입법 및 사법 기관이었다.
  • 폴란드의 역사 (966–1385) - 피아스트 왕조
    피아스트 왕조는 폴란드의 초기 통치자들이 시조로 삼았던 전설적인 인물 피아스트의 후손으로, 9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초까지 폴란드를 통치하며 폴란드의 역사, 정치,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그들의 문장인 백색 독수리는 폴란드의 중요한 국가 상징이 되었다.
  • 중세 유럽 왕가 - 오토 왕조
    10세기부터 11세기 초 동프랑크 왕국과 신성 로마 제국을 통치한 독일 왕가인 오토 왕조는 하인리히 1세의 즉위로 시작하여 오토 1세 때 기틀을 다지고 오토 2세와 오토 3세를 거치며 세력을 확장했으나, 하인리히 2세의 후사 없는 죽음으로 단절되었지만 왕권 강화, 교회 협력, 영토 확장으로 제국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중세 유럽 왕가 - 라스카리스 왕조
    라스카리스 왕조는 1204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후 테오도로스 1세 라스카리스가 세운 비잔틴 제국의 망명 왕조로, 니케아 제국을 통치하며 비잔틴 제국 부활을 목표로 제국 재건과 확장에 기여했고 팔레올로고스 왕조 시대에도 문화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프르셰미슬 왕조 - [인물]에 관한 문서
개요
프르셰미슬 가문의 문장
프르셰미슬 가문의 문장
국가[[파일:Banner of Přemyslid family.svg|22px]] 보헤미아 공국
[[파일:Royal banner of the Kingdom of Bohemia (colorful).svg|22px|border=no]] 보헤미아 왕국
[[파일:Banner of the Margraviate of Moravia.svg|22px|border=no]] 모라비아 변경백국
[[파일:Flag of Mdina, Malta.svg|22px]] 오파바 공국
[[파일:Banner of the Duchy of Silesia.svg|22px]] 실레시아 공국
[[파일:Flag of the Kingdom of Poland.svg|22px|border=no]] 폴란드 왕국
[[파일:Flag of Hungary (13th century).svg|22px|border=no]] 헝가리 왕국
[[파일:Flag of Austria (1-1).svg|22px]] 오스트리아 공국
칭호보헤미아의 왕과 공작 (체코어: Český král)
헝가리 왕
폴란드 왕
올로모우츠 공작
브르노 공작
즈노이모 공작
오파바 공작
라치부시 공작
뮌스터베르크 공작
크르노프 공작
모라비아 변경백
오스트리아 방백
슈타이어마르크 방백
케른텐 방백
크란스카 방백
창시자보르지보이 1세
마지막 통치자바츨라프 3세
설립 연도867년
해체1306년 (왕가)
1521년 (오파바 분가)
분가브르제티슬라프 가문
콘라트 가문
즈노이모 (1035-1191)
브르노 (1035-1200)
올로모우츠 (1045-1227)
제폴트 가문 (1123-1247)
오파바 가문 (1255-1521)
명칭
체코어Přemyslovci
독일어Premysliden
폴란드어Przemyślidzi
설명

2. 프르셰미슬 왕조의 기원과 성장

프르셰미슬 왕조는 9세기경 프라하 주변의 작은 영토를 다스리던 서슬라브족 부족에서 기원했다.[1] 왕조의 이름은 전설적인 건국 시조인 프르셰미슬 경작자에서 유래했다. 이들은 점차 세력을 확장하여 보헤미아 분지에 위치한 보헤미아 지역 대부분을 정복했다.[1]

역사적으로 문서화된 첫 번째 프르셰미슬 공작은 보르지보이 1세(867년경)이다.[1] 그의 아들 스피티흐네프 1세의 유해에 대한 DNA 검사를 통해 이 가문의 인간 Y 염색체 DNA 하플로그룹이 R1b임이 밝혀졌다.[2]

이후 몇 세기 동안 프르셰미슬 왕조는 실레지아를 다스렸고, 브로츠와프(체코어: ''Vratislav'') 도시를 건설했는데, 이는 성 바츨라프의 아버지인 보헤미아 공작 브라티슬라프 1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볼레슬라프 1세(935년)와 그의 아들 볼레슬라프 2세(972년) 통치하에 프르셰미슬 왕조는 오늘날의 벨라루스까지 영토를 확장했다.[1]

이 시기 동안 왕조는 중요한 무역로를 통제했다. 보헤미아 지역과 프라하는 유럽 각지에서 온 상인들, 특히 많은 유대인들이 정착한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다. 965년에 히스파노-유대인 상인이자 여행가인 이브라힘 이븐 야쿠브는 "프라하는 돌로 된 도시이며, 알프스 북쪽의 모든 국가 중에서 가장 부유한 도시이다"라고 회고했다. 그러나 가문 내의 갈등으로 인해 권력이 쇠퇴하기 시작했고, 1002년에는 폴란드 공작 볼레스와프 1세가 프라하를 점령했다.[1]

3. 전성기

브르제티슬라프 1세 통치기에 이르러 왕조는 쇠퇴를 극복하고 다시 일어섰다. 브르제티슬라프 1세는 폴란드 왕국 (1025-1385)을 약탈하고 크라쿠프그니에즈노를 포함한 여러 도시를 점령했으며(1038년), 프라하의 아달베르트의 유물을 획득했다.[1] 그는 프라하 대주교구 설립과 왕의 칭호를 추구했다. 그의 아들 브라티슬라프 2세는 1085년 보헤미아의 첫 번째 왕이 되었다.[1]

브라티슬라프 2세의 아들 소베슬라프 1세는 1126년 흐루메츠 전투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로타르 3세의 군대를 격파하여 보헤미아의 위상을 더욱 강화했다. 브라티슬라프 2세의 손자 블라디슬라프 2세 통치기(1158년)에는 많은 수도원이 건립되었고, 블타바 강에 최초의 석조 다리가 건설되었는데, 이는 중부 및 북부 유럽에서 가장 초기의 다리 중 하나였다.[1]

오타카르 1세는 1198년에 보헤미아의 왕이 되었지만, 세습 왕위를 얻은 최초의 보헤미아 왕이었다.[1] 이로써 프르셰미슬 왕조의 왕권이 크게 성장하기 시작했으며, 보헤미아에서는 도시와 수공업이 크게 발전했다.

3. 1. 오타카르 2세와 바츨라프 2세 시대

13세기 후반, 프르셰미슬 왕조는 중앙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왕조 중 하나였다.[3] 오타카르 2세(1253-1278)는 "철과 금의 왕"으로 불리며[1] 오스트리아, 슈타이어마르크, 케른텐, 카르니올라를 획득하여 영토를 아드리아 해까지 확장했다. 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가 되려 했으나 합스부르크 왕가와의 갈등으로 1278년 마르히펠트 전투에서 전사했다.[1]

최후의 3명의 프르셰미슬 왕조 왕들, ''Chronicon Aulae regiae''의 삽화: 프르셰미슬 오타카르 2세 (왕관 1개 - 보헤미아), 벤체슬라우스 2세 (왕관 2개 - 보헤미아와 폴란드) 그리고 벤체슬라우스 3세 (왕관 3개 - 헝가리, 보헤미아, 폴란드)


바츨라프 2세(1278-1305)는 폴란드 왕관과 헝가리 왕관을 얻어[1] 발트 해에서 도나우 강에 이르는 광대한 제국을 통합했다. 1300년, 바츨라프 2세는 폴란드 국왕으로 즉위했다. 그는 쿠트나 호라의 은광 개발, 프라하 그로셴 은화 도입,[1] 중앙 유럽 최초의 대학교 설립 계획 등 경제, 문화 발전에 힘썼다.

보헤미아 왕 벤체슬라우스 2세 (폴란드 왕)의 모습, 얀 마테이코의 낭만적인 그림 (1892)


1301년경 프르셰미슬 왕조의 지배 영토

  • 범례

} || 보헤미아 왕국

|-

| || 폴란드 왕국

|-

| || 헝가리에서 바츨라프 3세가 지배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영토

|-

| || 봉신

|}

4. 보헤미아 공작

9세기 후반부터 1004년까지, 그리고 1035년부터 1198년까지 보헤미아를 통치한 프르셰미슬 왕조의 공작 목록은 다음과 같다.

{{legend|#EEAA88|}
재위 기간군주비고
870년 ~ 895년보르지보이 1세
895년 ~ 915년스피티흐네프 1세
915년 ~ 921년브라티슬라프 1세
921년 ~ 929년바츨라프 1세
935년 ~ 972년볼레슬라프 1세
972년 ~ 999년볼레슬라프 2세
999년 ~ 1002년볼레슬라프 3세
1002년 ~ 1003년블라디보이
1003년 ~ 1004년볼레슬라프 4세폴란드의 국왕
1004년 ~ 1012년야로미르
1012년 ~ 1033년올드르지흐
1034년야로미르복위
1035년 ~ 1055년브르제티슬라프 1세
1055년 ~ 1061년스피티흐네프 2세
1061년 ~ 1092년브라티슬라프 2세
1092년콘라트 1세
1092년 ~ 1100년브르제티슬라프 2세
1100년 ~ 1107년보르지보이 2세
1107년 ~ 1109년스바토플루크
1109년 ~ 1117년블라디슬라프 1세
1117년 ~ 1120년보르지보이 2세복위
1120년 ~ 1125년블라디슬라프 1세복위
1125년 ~ 1140년소베슬라프 1세
1140년 ~ 1172년블라디슬라프 2세
1172년 ~ 1173년베드르지흐
1173년 ~ 1178년소베슬라프 2세
1178년 ~ 1189년베드르지흐복위
1189년 ~ 1191년콘라트 2세
1191년 ~ 1192년바츨라프 2세
1192년 ~ 1193년오타카르 1세
1193년 ~ 1197년브르제티슬라프 3세
1197년블라디슬라프 3세



역사상 최초의 프르셰미슬 왕조는 성 메토디우스에 의해 세례를 받은 보르지보이 1세 공작이었다. 895년 보헤미아는 대 모라비아로부터 독립했다. 1003년1004년 사이에는 폴란드 공작이자 피아스트 왕조 출신인 볼레스와프 1세가 보헤미아를 통치했다.

1085년 브라티슬라프 2세 공작과 1158년 블라디슬라프 2세 공작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부터 개인적인 상으로 보헤미아 국왕으로 즉위했으나, 이 칭호는 세습되지 않았다.

4. 1. 프르셰미슬 왕조

프르셰미슬 왕조는 9세기에 기원을 두며, 프라하 주변의 작은 영토를 다스렸던 서슬라브족 부족에서 시작되었다.[1] 그들의 이름은 신화 속 조상인 프르셰미슬 경작자에서 유래했다. 이들은 점차 세력을 확장하여 보헤미아 분지에 위치한 보헤미아 지역 대부분을 정복했다.[1]

역사적으로 문서화된 첫 번째 프르셰미슬 공작은 보르지보이 1세 (867년)였다.[1] 그의 아들인 스피티흐네프 1세의 유해에 대한 DNA 검사를 통해 이 가문의 인간 Y 염색체 DNA 하플로그룹이 R1b임이 밝혀졌다.[2]

그 다음 세기에 프르셰미슬 왕조는 실레지아를 다스렸고, 브로츠와프 (Vratislavcs) 도시를 건설했는데, 이는 보헤미아 공작 브라티슬라프 1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1] 볼레슬라프 1세 (935년)와 그의 아들 볼레슬라프 2세 (972년) 통치하에 프르셰미슬 왕조는 오늘날의 벨라루스까지 영토를 확장했다.[1]

이 기간 동안 왕조는 중요한 무역로를 통제했다. 보헤미아 지역과 프라하는 유럽 각지에서 온 상인들, 특히 많은 유대인들이 정착한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다.[1] 965년에 히스파노-유대인 상인이자 여행가인 이브라힘 이븐 야쿠브는 "프라하는 돌로 된 도시이며, 알프스 북쪽의 모든 국가 중에서 가장 부유한 도시이다"라고 회고했다.[1] 그러나 가문 내의 갈등으로 인해 권력이 쇠퇴하기 시작했고, 1002년에는 폴란드 공작 볼레스와프 1세가 프라하를 점령했다.[1]

이러한 쇠퇴는 브르제티슬라프 1세의 통치기에 종식되었다. 그는 폴란드 왕국 (1025-1385)을 약탈했고, 그 중 크라쿠프그니에즈노 (1038년)를 포함하여 프라하의 아달베르트의 유물을 획득했다.[1] 그의 아들이자 계승자인 브라티슬라프 2세는 1085년에 보헤미아의 첫 번째 왕이 되었다.

소베슬라프 1세는 1126년 흐루메츠 전투에서 로타르 3세 황제의 군대를 궤멸시켰다. 이는 보헤미아를 더욱 강화하게 했으며, 블라디슬라프 2세 (1158년) 왕 통치기에 절정에 달했다.[1] 다시 한번, 내부 갈등으로 인해 프르셰미슬 왕조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왕조의 많은 지도자들이 보헤미아 왕위를 번갈아 차지하면서 결국 파산에 이르렀다. 마침내 오타카르 1세는 왕위에 오른 후 보헤미아를 위기에서 벗어나게 하고 약 220년 동안 지속된 성공의 시대를 열었다.[1]

오타카르 1세는 1198년에 보헤미아의 세 번째 왕이 되었지만, 세습 왕위를 얻은 최초의 보헤미아 왕이었다. 13세기 후반에 프르셰미슬 왕조는 중앙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왕조 중 하나였다.[3] 프르셰미슬 오타카르 2세는 그의 군사력과 부 때문에 "철과 금의 왕"이라는 별명을 얻었다.[1] 그는 오스트리아, 슈타이어마르크, 케른텐, 카르니올라를 획득하여 보헤미아 영토를 아드리아 해까지 확장했다.

마르히펠트 전투 (1278년)에서 오타카르는 제국 및 헝가리 군대와 충돌하여 전사했다.[1] 그 후 합스부르크 왕가는 오스트리아를 획득하여 20세기까지 유지했다.

벤체슬라우스 2세는 발트 해에서 도나우 강에 이르는 광대한 제국을 통합했고, 1295년에 플젠을 포함한 수많은 도시를 건설했다. 보헤미아는 쿠트나 호라의 은광 덕분에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부유한 국가가 되었다.[1] 그는 은화 프라하 그로셴을 도입했는데,[1] 이는 수 세기 동안 유럽에서 중요한 통화 단위였다.

보헤미아 왕국의 힘과 부는 큰 존경을 받았지만, 다른 유럽 왕가들의 적대감도 불러일으켰다. 왕조는 벤체슬라우스 3세의 1306년 암살로 붕괴되기 시작하면서 멸망했다.[1][3]

그러나 모계 쪽으로는 왕조가 계속 이어져 1355년, 벤체슬라우스 2세의 손자인 보헤미아 왕 카를 4세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즉위했다.

프르셰미슬 왕조의 이름은, 코스마스가 그의 저서 《보헤미아 연대기》(1119)에서 밝힌 바와 같이, 전설적인 창시자인 프르셰미슬에서 유래되었다.[4]

'''전설 시대'''

  • 프르셰미슬와 리부셰
  • 네자미슬
  • 므나타
  • 보옌
  • 브니슬라프
  • 크르제소미슬
  • 네클란
  • 호스티비트


'''역사 시대'''

재위 기간군주비고
–889보르지보이 1세
895–915스피티흐네프 1세
915–921브라티슬라프 1세
921–935바츨라프 1세성 바츨라프
935–972용맹왕 볼레스와프 1세
972–999경건왕 볼레스와프 2세
999–1002붉은머리 볼레스와프 3세
1002–1003블라디보이
1003–1004볼레스와프 4세폴란드의 국왕
1004–1012야로미르
1012–1033올드리히
1033–1034야로미르복위
1034올드리히복위
1035–1055브르제티슬라프 1세
1055–1061스피티흐네프 2세
1061–1092브라티슬라프 2세국왕 (1085–1092) 브라티슬라프 1세
1092브르노의 콘라트 1세
1092–1100브르제티슬라프 2세
1101–1107보르지보이 2세
1107–1109스바토플루크
1109–1117블라디슬라프 1세
1117–1120보르지보이 2세복위
1120–1125블라디슬라프 1세복위
1125–1140소베슬라프 1세
1140–1172블라디슬라프 2세국왕 (1158–1172) 블라디슬라프 1세
1172–1173베드르지흐
1173–1178소베슬라프 2세
1178–1189베드르지흐복위
1189–1191콘라트 2세 오토
1191–1192바츨라프 2세
1192–1193오토카르 1세
1193–1197헨리 브르제티슬라프
1197블라디슬라프 헨리
1197–1198오토카르 1세복위







1269년부터 1276년까지 보헤미아의 오토카르 2세는 오늘날의 오스트리아 영토를 (티롤과 잘츠부르크 제외) 역사상 처음으로 함께 통치했다. 그는 또한 빈의 호프부르크 왕궁을 건설했다.

1300년, 바츨라프 2세는 폴란드 국왕으로 즉위했다. 그 전에는 1291년부터 "폴란드의 대공(크라쿠프 공작)" 칭호를 가지고 있었고, 1296년 폴란드의 프셰미실 2세가 사망한 후 그 영주가 되었다.

  • 바츨라프 2세 (1300–1305)
  • 바츨라프 3세 (1305–1306), 헝가리의 벤첼 국왕(1301–1305)


왕가는 1306년 바츨라프 3세 국왕의 죽음으로 끝났다. 보헤미아 왕위는 룩셈부르크 가문에게 넘어갔고, 폴란드 왕위는 피아스트 왕조로 돌아갔다.

5. 보헤미아 국왕

나폴레옹 전쟁 이전 신성 로마 제국에서 보헤미아는 왕국으로 승격된 유일한 공작령이었다. 그 이유는 강력함에 있었다. 보헤미아가 내분을 극복하자마자, 보헤미아 공작은 황제 후보의 주요 동맹이 되었다. 따라서 황제는 보헤미아 군대를 이용하여 보헤미아 이웃의 반란자들의 영토를 침략하여 처벌할 수 있었다. 이는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4세가 1085년 브라티슬라프 2세 공을 보헤미아의 초대 왕으로 임명한 사실에서 드러난다. 그는 아버지 브르제티슬라프 1세가 수년간의 내전 끝에 보헤미아를 평정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이 두드러진 지위에 올랐다. 보헤미아 내부 갈등이 심화될 때마다 왕위는 분쟁의 대상이 되었으나, 독일 황제의 지위가 약화된 후에는 확정되었다.

1198년, 오타카르 1세 공작은 필리프 폰 슈바벤의 동맹으로서 다시 보헤미아 왕 칭호를 얻었다. 이 칭호는 오토 4세에 의해 재확인되었고, 이후 프리드리히 2세의 시칠리아 금인칙서(1212년)에 의해 확정되었다.

보헤미아 국왕을 역임한 프르셰미슬 왕조의 군주는 다음과 같다.

5. 1. 프르셰미슬 왕조

오타카르 1세 (1197년경 ~ 1230년경)는 1198년에 보헤미아의 세 번째 왕이 되었지만, 세습 왕위를 얻은 최초의 보헤미아 왕이었다. 이로써 프르셰미슬 왕조의 왕조 권력이 크게 성장하기 시작했다. 또한 보헤미아에서는 도시와 수공업이 크게 발전했다.[1]

바츨라프 1세 (1230년경 ~ 1253년경)

오타카르 2세 (1253년경 ~ 1278년경)는 그의 군사력과 부 때문에 "철과 금의 왕"이라는 별명을 얻었다.[1] 그는 헝가리 왕국과의 여러 차례의 승전 후, 오스트리아, 슈타이어마르크, 케른텐, 카르니올라를 획득하여 보헤미아 영토를 아드리아 해까지 확장했다. 마르히펠트 전투 (1278년)에서 오타카르는 제국 및 헝가리 군대와 충돌하여 전사했다.[1]

오토카르 2세(Ottokar II) 치하 왕국의 최대 영토, 1276년경


바츨라프 2세 (1278년경 ~ 1305년경)는 보헤미아 왕위에 올랐을 때 겨우 일곱 살이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는 능숙한 외교를 통해 자신에게는 폴란드 왕관을, 아들에게는 헝가리 왕관을 얻었다.[1] 쿠트나 호라의 은광 덕분에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보헤미아는 부유한 국가가 되었다.[1] 그는 은화 프라하 그로셴을 도입했는데,[1] 이는 수 세기 동안 유럽에서 중요한 통화 단위였으며, 중앙 유럽 최초의 대학교를 설립할 계획을 세웠다.

바츨라프 3세 (1305년경 ~ 1306년경)는 1306년 암살로 멸망했다.[1][3]

5. 2. 오파바, 크르노프, 라치부르 및 뮌스터베르크 공작

1269년, 알렉산데르 4세가 1260년에 적자로 인정한 오타카르 2세 국왕의 사생아 니콜라우스는 오파바 공작이 되었다.[1] 1337년, 그의 아들 니콜라우스 2세는 라치부르 공작위를 상속받았다.[1] 그의 네 아들은 오파바 공국을 분할했고, 라치부르 공국은 장남인 요한만이 상속받았다.[1] 이로써 한때 통일되었던 땅이 니콜라우스 2세의 후손들 사이에서 분할되기 시작했다.[1] 1443년, 오파바의 빌헬름은 뮌스터베르크 공국을 얻었고, 1456년까지 프르셰미슬 왕조가 소유했다.[1] 오파바의 프르셰미슬 왕조는 1521년 발렌틴 라치부르 공작이 사망하면서 단절되었다.[1]

6. 가계도

프르셰미슬 왕조 가계도


프르셰미슬 왕조의 가계도는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보헤미아 공작 및 왕가, 오파바 공작가, 모라바 변경백 등의 여러 분가를 포함한다.

  • 모라비아의 요한 하인리히
  • * 모라비아의 요스트 황제

6. 1. 보헤미아 공작・보헤미아 왕가



가계도


6. 2. 오파바 공작가

Přemyslovcics 가문의 분가로, 보헤미아 왕 오타카르 2세의 사생아인 미쿨라시 1세가 1269년 오파바 공작이 되면서 시작되었다.

이름비고
미쿨라시 1세오파바 공작 (트로파우 공작)
미쿨라시 2세오파바 공작, 라치부시 공작
얀 1세오파바 공작, 크르노프 공작, 라치부시 공작
미쿨라시 3세구프치체 공작
바츨라프오파바 공작
프셰미슬 1세오파바 공작, 구프치체 공작
얀 2세오파바 공작
미쿨라시 4세브룬탈 공작
바츨라프 2세구프치체 공작
빌렘오파바 공작, 뮌스터베르크 공작
아르노슈트오파바 공작, 뮌스터베르크 공작
바츨라프라치부시 공작
미쿨라시 5세크르노프 공작, 리브니크 공작
구프치체 공작
바츨라프슈타이나우 공작
얀 3세라치부시 공작
얀 4세크르노프 공작
바츨라프리브니크 공작
바르보라오시비엥침 공작 얀 4세와 혼인
미쿨라시라치부시 공작
라치부시 공작
발렌틴라치부시 공작


참조

[1] 웹사이트 Přemyslid Dynasty https://web.archive.[...] Czech Republic Government 2013-06-26
[2] 웹사이트 Dotyk {{!}} Odkud přišli Přemyslovci? Analýza DNA byla pro vědce velkým překvapením https://www.dotyk.cz[...] 2023-05-13
[3] 웹사이트 House of Přemysl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3-06-26
[4] 서적 Prague in Black and Gold: Scenes from the Life of a European City Hill and Wang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