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915년은 서기 연도, 간지, 각국의 연호 등을 기준으로 한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 일본 도와다호의 화산 폭발로 인한 자연재해가 발생했고, 동로마 제국과 불가리아 제1제국 간의 아켈로이 전투가 벌어졌다. 또한, 가릴리아노 전투가 있었으며, 헝가리인의 공격이 유럽에서 있었다. 주요 인물로는 알 하캄 2세, 알 무타나비 등이 태어났고, 양사후, 장 황후, 레기노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15년 | |
|---|---|
| 년도 정보 | |
| 기원후 | 915년 |
| 간지 | 을묘년(乙卯年) |
| 주요 사건 | |
| 역사적 사건 | 이탈리아 남부에서 가리아노 전투 발발 교황 요한 10세가 이탈리아 군대를 이끌고 사라센에 맞서 싸움 |
| 정치적 사건 | 톨레도에서 코르도바의 후우마이야 왕조에 대한 반란 발생 |
| 문화적 사건 | 후한의 마지막 황제 유주 출생 |
| 탄생 | |
| 인물 | 독일의 하인리히 1세 (추정) 유주, 후한의 마지막 황제 |
| 사망 | |
| 인물 | 알 무타디드,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 라도슬라프, 세르비아 공국의 왕자 |
2. 연호
- 간지: 을해(乙亥)
- 한국
- * 신라 - 신덕왕 4년
- * 태봉 - 정개 2년
- * 후백제 - 정개 16년
- * 발해 - 대인선 9년
- * 단기 3248년
- 중국
- * 오대
- ** 후량 - 건화 5년 / 정명 원년
- * 십국
- ** 오 - 천우 12년 ( 당 소종의 연호를 계속 사용)
- ** 오월 - 건화 5년, 정명 원년 ( 후량의 연호 사용)
- ** 민 - 건화 5년, 정명 원년 ( 후량의 연호 사용)
- ** 전촉 - 영평 5년
- * 기타
- ** 우전 - 동경 4년
- ** 남조 - 연호 불명 (시원, 천서경성, 안화, 정우, 초력 중 하나)
- 일본
- * 延喜|엔기일본어 15년
- * 황기 1575년
- 불멸기원
- 유대력
3. 기년
- 간지: 을해(乙亥)
- 한국
- * 신라(新羅): 신덕왕(神德王) 4년
- * 후백제(後百濟): 견훤(甄萱) 정개(正開) 16년
- * 태봉(泰封): 궁예(弓裔) 15년 / 정개(政開) 2년
- * 발해(渤海): 대인선(大諲譔) 10년
- * 단기: 3248년
- 중국
- * 후량(後梁): 말제(末帝) 3년 / 건화(乾化) 5년 / 정명(貞明) 원년
- * 요(遼): 태조(太祖) 9년
- * 오(吳): 천우(天祐) 12년 (당 소종의 연호 사용)
- * 오월(吳越): 건화(乾化) 5년 / 정명(貞明) 원년 (후량의 연호 사용)
- * 민(閩): 건화(乾化) 5년 / 정명(貞明) 원년 (후량의 연호 사용)
- * 전촉(前蜀): 영평(永平) 5년
- * 우전(于闐): 동경(同慶) 4년
- * 남조(南詔): 연호 불명 (시원(始元), 천서경성(天瑞景星), 안화(安和), 정우(貞祐), 초력(楚曆) 중 하나)
- 일본
- * 엔기(延喜) 15년
- * 황기: 1575년
4. 주요 사건
- 도와다호 화산의 대분화가 일어났다. 화쇄류와 이류로 인해 북토호쿠 지방은 미증유의 자연재해를 겪었다 (『후소략기』).
4. 1. 유럽
동로마 제국과 불가리아 제1제국 사이에 아켈로이 전투가 발생했으며, 서유럽에서는 교황 요한 10세가 이끄는 기독교 연맹이 가릴리아노 전투에서 사라센을 격퇴했다.[1] 또한, 마자르족이 독일 지역을 침공했으며, 베렌가리오 1세가 신성 로마 황제로 즉위했다.4. 1. 1. 동로마 제국과 불가리아
동로마 제국과 불가리아 제1제국 사이에 아켈로이 전투가 벌어졌다.4. 1. 2. 서유럽
- 여름 – 가릴리아노 전투: 교황 요한 10세가 직접 이끄는 기독교 연맹이 가릴리아노(민투르노 지역의 아랍 요새)를 포위하였고, 비잔틴 제국 해군이 해상 봉쇄를 실시했다. 3개월간의 포위로 굶주림에 시달린 사라센족은 가릴리아노를 탈출하여 시칠리아로 돌아가려 했으나, 기독교 추격대에 의해 모두 생포되어 처형되었다.[1]
- 7월 – 아르파드 대공의 외아들인 졸탄이 이끄는 마자르족이 슈바벤, 프랑코니아, 작센을 공격했다. 일부 부대는 브레멘까지 침투하여 도시를 불태웠다.
- 12월 3일 – 교황 요한 10세는 이탈리아의 군주인 베렌가리오 1세를 로마에서 신성 로마 황제로 즉위시켰다. 베렌가리오 1세는 북부 이탈리아로 돌아갔고, 프리울리는 헝가리의 위협에 직면하게 되었다.
5. 탄생
6. 사망
- 태봉의 왕비 강비
- 태봉의 태자 김청광
- 태봉의 태자 김신광
- 4월 23일 – 양사후, 중국 장군
- 7월 10일 - 비다 알-카비라, 가수이자 압바스 왕조 칼리프 알마문의 첩.[2]
- 11월 4일 – 장 황후, 중국 황후 (892년 출생)
- 12월 16일 (엔기 15년 음력 11월 8일) - 교시 내친왕, 일본 헤이안 시대의 황족, 가모 사이인 (* 902년)
- 아부 살리 만수르, 사만 왕조 총독
- 아달베르토 2세, 롬바르드 귀족
- 알-나사'이, 무슬림 학자이자 하디스 편집자
- 이탈리아의 여왕, 베르틸라
- 커트허드, 린디스판의 주교
- 도날 막 아에다, 아일레흐 (아일랜드)의 왕
- 곤살로 페르난데스, 카스티야 백작
- 그레고리 4세, 나폴리 공작
- 징하오, 중국 화가
- 레오루카, 시칠리아 수도원장 (추정 사망일)
- 리옌루, 중국 군벌
- 라트보드, 트리어 대주교
- 레기나르 1세, 프랑크 귀족
- 레기노, 독일 수도원장
- 스피티흐네프 1세, 보헤미아 공작
- 수니에르 2세, 프랑크 귀족
- 투오틸로, 독일 작곡가 (추정 사망일)
- 안넨, 일본 헤이안 시대의 덴다이종 승려 (* 841년?)
- 주유경, 후량의 황족 (* 출생년도 미상)
- 덕비 장씨, 오대십국 시대 후량 제3대 황제 주유정의 후비 (* 891년)
참조
[1]
서적
The Lands of St. Peter: The Papal State in the Middle Ages and the Early Renaissanc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2-01-01
[2]
서적
كتاب جهات الأئمة الخلفاء من الحرائر والإماء المسمى نساء الخلفاء: Women and the Court of Baghdad
NYU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