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세볼로트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세볼로트 1세는 야로슬라프 1세의 아들이자 키예프 루스의 통치자로, 1078년부터 1093년까지 키예프 대공으로 재위했다. 그는 형제들과 함께 키예프 공국을 공동 통치했으며, 폴로베츠족과의 전쟁, 루스카야 프라다 편찬 등에 참여했다. 그는 5개 국어를 구사하고, 블라디미르 모노마흐를 체르니히우의 통치자로 임명했다. 프세볼로트 1세는 말년에 건강이 악화되었고, 1093년 사망하여 스뱌토고소피아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30년 출생 - 쾰른의 브루노
쾰른의 브루노는 11세기 독일 성직자이자 카르투시오 수도회 창립자로, 랭스 학장 역임 후 은둔 생활을 선택, 카르투시오 수도회를 창립하고 스퀼라체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사후 카톨릭 성인으로 추대되어 중세 유럽 종교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030년 출생 - 스츠크체파노브의 스타니슬라오
스타니스와프 스츠크체파노브스키는 11세기 폴란드 크라쿠프 주교로, 볼레스와프 2세의 부도덕함을 비판하고 파문한 후 반역죄로 고발되어 미사 집전 중 살해당했으며, 폴란드와 크라쿠프의 수호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1093년 사망 - 문정 (고려)
문정은 고려 문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요직을 두루 거치고 동번의 반란을 진압한 공으로 공신 칭호를 받았으며, 수태위 문하시중을 역임하고 선종 묘정에 배향된 인물이다. - 1093년 사망 - 선인성렬황후
선인성렬황후는 북송 영종의 황후로서, 영종 사후 아들 신종과 손자 철종의 즉위 기간 동안 황태후와 태황태후로서 수렴청정을 하였고, 왕안석의 신법 폐지와 사마광 등용 등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여중요순'으로도 불렸다. - 키예프 대공 - 키예프 루스
키예프 루스는 9세기부터 13세기 동유럽에 존재했던 동슬라브족의 중세 국가로, 키예프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블라디미르 1세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몽골 침략으로 멸망, 현재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공통된 역사적 기반으로 여겨진다. - 키예프 대공 - 야로폴크 2세
야로폴크 2세는 블라디미르 모노마흐의 아들로, 1132년부터 1139년까지 키예프 대공으로 재위했으나, 모노마흐 가문 내부 갈등과 스뱌토슬라프 가문의 도전, 그리고 폴로츠크 공국의 부흥으로 인해 불안정한 통치를 이어가며 키예프 대공국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
프세볼로트 1세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키예프 대공 |
이름 | 프세볼로트 야로슬라보비치 (안드레이) |
왕가 | 류리크 |
통치 | |
키예프 대공 재임 1 | 1076년 – 1077년 |
이전 통치자 1 | 스뱌토슬라프 2세 |
다음 통치자 1 | 이쟈슬라프 1세 |
키예프 대공 재임 2 | 1078년 – 1093년 |
이전 통치자 2 | 이쟈슬라프 1세 |
다음 통치자 2 | 스뱌토폴크 2세 |
체르니고프 공작 재임 | 1073년 – 1078년 |
이전 통치자 | 스뱌토슬라프 2세 |
다음 통치자 |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 |
페레야슬라블 공작 재임 | 1054년 – 1073년 |
개인 정보 | |
출생일 | 기원전 1030년 2월 1일경 |
사망일 | 1093년 4월 13일 |
사망 장소 | 비슈고로드 |
아버지 | 야로슬라프 1세 |
어머니 | 잉게게르드 올로프스도테르 |
배우자 | 아나스타시야 (?–1067) 안나 폴로베츠카야, 쿠만족 칸의 딸 (?–1111) |
자녀 (아나스타시야와) | 블라디미르, 이온나 |
자녀 (안나와) | 에우프락시아, 로스티슬라프, 에카테리나, 마리야 |
2. 생애
야로슬라프 1세 대공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스웨덴의 올로프 솃코눙 왕의 딸인 잉에예르드 올로프스도테르이다. 블라디미르 모노마흐가 쓴 《자서전》에 따르면 프세볼로트 1세는 생전에 5개 국어를 구사했다.[4]
야로슬라프 1세 사후, 형제들과 함께 키예프 공국을 다스렸다. 1054년부터 1073년까지 페레야슬라우 공작, 1073년부터 1078년까지 체르니히우 공작을 역임했다. 1078년 형 이자슬라프 1세가 사망하면서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다.
만년에는 병상에 누워, 실제 정무는 아들 블라디미르 모노마흐가 맡았다. 1093년 4월 13일에 사망했으며 그의 시신은 키예프의 스뱌토고소피아 대성당에 안치되었다.[1]
2. 1. 초기 생애 (1030년경 ~ 1054년)
야로슬라프 1세 대공과 스웨덴의 올로프 솃코눙 왕의 딸인 잉에예르드 올로프스도테르 사이에서 태어났다. 1030년경에 태어났으며, 그의 세례명은 안드레이였다.1046년 비잔틴 황제 콘스탄티누스 9세 모노마코스와 체결한 휴전을 뒷받침하기 위해, 그의 아버지는 프세볼로트를 비잔틴 공주와 결혼시켰다. 부부의 아들인 블라디미르 모노마흐가 비잔틴 황제의 가문을 따른다는 사실은 그녀가 황제의 가까운 친족임을 시사하지만, 구체적인 관계를 증명하는 동시대 증거는 없으며, 황제에 대한 기록에도 그러한 딸이 언급되어 있지 않다. 전통적으로는 그녀의 이름이 아나스타시아 또는 마리아였다고 전해진다.
1054년 아버지 야로슬라프 1세가 사망한 이후, 프세볼로트는 페레야슬라프(페레야슬라우흐멜니츠키) , 로스토프, 수즈달, 벨로오제로를 분봉받았다. 이 지역은 중세 시대 말까지 그의 후손들의 소유로 남았다. 그는 형들인 이자슬라프 1세, 스뱌토슬라프 2세와 함께 일종의 공작 삼두 정치를 형성하여 폴로베츠족과 공동으로 전쟁을 벌였고, 국가 최초의 법전인 ''루스카야 프라다''를 편찬했다.
프세볼로트 1세의 가족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야로슬라프 1세 | |
어머니 | 잉게게르드 올로프스도테르 | |
첫번째 부인 | (ru) | 동로마 제국 황제 콘스탄티노스 9세 모노마코스의 딸, 이름은 안나라고 전해지지만 확증은 없다. |
자녀(첫번째 부인) |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 안나 | |
두번째 부인 | 안나 | 킵차크족 공주, 쿠만족 출신이라는 설도 있다. |
자녀(두번째 부인) | 로스티슬라프 (익사), 에우프락시야, 수녀가 된 딸 1명 | 에우프락시야는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4세와 결혼. |
1054년 부친 사망 후, 프세볼로트는 형제들과 함께 영지를 분할 상속받았다.
인물 | 상속 영지 |
---|---|
이자슬라프 1세 | 키예프, 노브고로드, 투로프 |
스뱌토슬라프 2세 | 체르니고프, 랴잔, 무롬, 톰타라칸 |
프세볼로트 1세 | 페레야슬라프리 루스키 (모스크바 근교의 페레야슬라프리 자레스키가 아님), 로스토프, 수즈달, 벨로오제로 |
뱌체슬라프 | 스몰렌스크 |
이고리 | 볼히니아 |
이자슬라프, 스뱌토슬라프와 함께 삼두 정치를 펼쳤고, 야로슬라프 1세가 작성한 루스카야 프라다 (루스 법전)에 새로운 조항 ("야로슬라프의 자식들의 법전")을 추가했다. 1072년에는 형제 셋이 숙부에 해당하는 보리스와 글레브의 불후체(성유물)을 이동시키는 의식을 거행했다. 보리스와 글레브는 1010년대의 공위 계승 전쟁 중 살해당한 블라디미르의 아들들이며, 기독교의 순교자로 여겨졌다.
2. 2. 형제들과의 공동 통치 (1054년 ~ 1078년)
야로슬라프 1세 대공이 사망한 이후, 프세볼로트 1세는 자신의 형인 이자슬라프 1세, 스뱌토슬라프 2세와 함께 동일한 권한을 가지고 키예프 공국을 다스렸다. 1054년부터 1073년까지는 페레야슬라우 공작을, 1073년부터 1078년까지는 체르니히우 공작을 역임했다.1054년 아버지 야로슬라프 1세가 사망하면서, 이자슬라프 1세는 키예프 대공위, 노브고로드, 투로프를 차지했고, 스뱌토슬라프 2세는 체르니고프, 랴잔, 무롬, 톰타라칸을, 프세볼로트 1세는 페레야슬라프리 루스키 (모스크바 근교의 페레야슬라프리 자레스키가 아님), 로스토프, 수즈달, 벨로오제로 등 볼가강 상류의 북동부 러시아를 영지로 받았다.[1] 또한 그의 동생들인 뱌체슬라프는 스몰렌스크를, 이고리는 볼히니아를 다스렸다.[1]
이자슬라프 1세, 스뱌토슬라프 2세와 함께 삼두 정치를 펼치며, 야로슬라프 1세가 만든 루스카야 프라다 (루스 법전)에 "야로슬라프의 자식들의 법전"이라는 새로운 조항을 추가했다.[1] 1072년에는 형제들과 함께 숙부인 보리스와 글레브의 불후체(성유물)를 옮기는 의식을 주관했다.[1] 보리스와 글레브는 1010년대의 공위 계승 전쟁 중 살해된 블라디미르 1세의 아들들로, 기독교의 순교자로 추앙받았다.[1] 이는 국가의 구심력과 위신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1]
1073년, 스뱌토슬라프 2세가 이자슬라프 1세에게서 대공위를 빼앗았을 때 프세볼로트 1세는 그와 함께 행동했다.[1] 1077년 스뱌토슬라프 2세가 갑작스럽게 사망한 후, 잠시 대공위에 올랐으나 이자슬라프 1세와 화해하고 대공위를 양보한 뒤, 스뱌토슬라프 2세의 영지였던 체르니고프로 이동했다.[1] 이후 체르니고프를 두고 스뱌토슬라프 2세의 아들 올레그, 보리스(ru)와 대립했고, 이자슬라프 1세와 함께 이들과 맞서 싸웠다.[1] 1078년의 전투에서 보리스와 이자슬라프 1세가 사망하면서, 프세볼로트 1세는 다시 키예프 대공위에 올랐다.[1]
2. 3. 키예프 대공 즉위 (1078년 ~ 1093년)
1078년 형 이자슬라프 1세가 사망하면서 프세볼로트 1세는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다.[3] 아버지 야로슬라프 1세의 유일한 생존 아들로서 키예프 대공위를 차지하여 키예프, 체르니히우, 페레야슬라우 공국을 키예프 루스로 통합했다. 맏아들 블라디미르 모노마흐를 체르니히우 통치자로 임명했다.《원초 연대기》는 "백성들은 더 이상 대공의 정의에 접근할 수 없었고, 판사들은 부패하고 매수되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3] 프세볼로트 1세는 말년에 늙은 측근들 대신 젊은 고문들의 조언을 따랐다.

블라디미르 모노마흐의 《자서전》에 따르면, 프세볼로트 1세는 5개 국어를 구사했다. 역사가 조지 버나츠키는 프세볼로트 1세가 두 아내의 국적 때문에 그리스어와 쿠만어를 구사했을 것이고, 라틴어, 노르드어, 오세트어도 구사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는 대부분의 전투에서 패배했고, 맏아들 블라디미르 모노마흐가 훌륭하고 유명한 전사로서 아버지 대신 대부분의 전투를 수행했다. 통치 말년은 심각한 질병으로 어두웠고, 블라디미르 모노마흐가 정부를 주재했다.
1093년 4월 13일 사망했으며 시신은 키예프 스뱌토고소피아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2. 4. 죽음과 유산
1093년 4월 13일에 사망했으며 그의 시신은 키예프의 스뱌토고소피아 대성당에 안치되었다.[1]프세볼로트 1세는 야로슬라프 1세의 아들이자 블라디미르 1세의 손자였다. 그의 아들로는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가 있다. 그는 두 형인 이자슬라프 1세, 스뱌토슬라프 2세와 함께 "삼형제 공"이라고 불렸지만, 실제로는 일찍 죽은 장형 블라디미르가 있었다.
그의 첫 번째 부인은 동로마 제국 황제 콘스탄티노스 9세 모노마코스의 딸 (ru)였으며, 딸 안나와 아들 블라디미르는 이 부인에게서 태어났다. 부인의 이름을 안나라고 전하는 자료도 있지만, 확증이 없다는 의견도 있다.[2] 1067년 이 부인이 죽은 후, 현지 세력에서 아내 안나를 맞이했다. 폴로츠크 공가 출신이라는 견해 외에, 쿠만족 출신이라는 설도 있다. 이 부인에게서 아들 로스티슬라프와 세 명의 딸(혹은 두 명)을 얻었다. 로스티슬라프는 나중에 익사했다. 딸 중 한 명은 수녀가 되었고, 또 한 명인 에우프락시야는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4세에게 시집갔다.
블라디미르 모노마흐의 《자서전》에 따르면, 프세볼로트 1세는 5개 국어를 구사했다.[4] 역사가 조지 버나츠키는 프세볼로트 1세가 두 아내의 국적 때문에 그리스어와 쿠만어를 구사했을 것이고, 라틴어, 노르드어, 오세트어도 구사했을 것으로 추정한다.[5] 그는 대부분의 전투에서 패배했고, 그의 맏아들 블라디미르 모노마흐는 훌륭하고 유명한 전사로서 아버지 대신 대부분의 전투를 수행했다. 그의 통치 말년은 심각한 질병으로 어두웠고, 블라디미르 모노마흐가 정부를 주재했다.[6]
3. 가족 관계
참조
[1]
서적
Dynasties of the world: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handboo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
서적
The emergence of Rus, 750-1200
Longman
1996
[3]
서적
Russian Primary Chronicle: Laurentian Text
[4]
간행물
Yaroslav the Wise in Norse Tradition
[5]
서적
The age of the Vikings
Princeton
2016
[6]
논문
Les relations diplomatiques entre Bizance et la Russie de 860 à 1043
1983
[7]
논문
Yaroslav the Wise in Norse Tradition
1929-04
[8]
간행물
Harvard Ukrainian studies
Harvard Ukrainian studies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