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소피아 대성당 (키이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 소피아 대성당 (키이우)은 1037년 키예프 대공국의 야로슬라프 1세에 의해 건설된 성당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아야 소피아에서 이름을 따왔다. 비잔틴 건축 양식으로 지어져 5개의 신랑, 5개의 후진, 13개의 돔을 갖추었으며, 1169년과 1240년의 침공으로 파괴되었다가 1596년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의 주교좌가 되었다. 1633년에는 몰도바 동방 정교회 소유가 되었고, 이탈리아 건축가 옥타비아노 만치니가 우크라이나 바로크 양식으로 개조했다. 1990년 키이우 페체르스크 수도원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2023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성당 내부에는 다양한 모자이크, 프레스코화가 보존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미술관 - 성 안드리 교회
성 안드리 교회는 18세기 중반 바르톨로메오 라스트렐리에 의해 바로크 및 로코코 양식으로 건축되어 러시아 여제의 의뢰로 지어진 키이우의 교회로, 소련 시대를 거쳐 우크라이나 독립 후에는 정교회에 양도되었다가 현재는 콘스탄티노플 세계 총대주교청에서 관리한다. - 우크라이나의 미술관 - 우크라이나 국립미술관
우크라이나 국립미술관은 키이우에 위치한 미술관으로, 12세기부터 현대까지의 우크라이나 미술 작품 약 4만 점을 소장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예술 문화 홍보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한다. - 1740년 완공된 건축물 - 진주 의기사
진주 의기사는 임진왜란 당시 진주성에서 순국한 의기 논개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사당으로, 논개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으며 의로운 기생 산홍의 시가 함께 걸려 있어 그 의미를 더한다. - 1740년 완공된 건축물 - 브륄의 아우구스투스부르크성
브륄의 아우구스투스부르크성은 독일 브륄에 있는 로코코 양식의 궁전 단지로, 쾰른 대주교이자 선제후였던 클레멘스 아우구스트 폰 바이에른의 의뢰로 건설되었으며 아우구스투스부르크 궁전과 팔켄루스트 사냥 별장으로 구성되어 1984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키이우의 교회당 - 성 미콜라 대성당
성 미콜라 대성당은 19세기 말 키이우에 건설된 고딕 양식의 로마 가톨릭 성당으로, 소련 시대에는 폐쇄되었으나 복원 후 오르간 및 실내악의 집으로 사용되다 가톨릭 미사가 재개되었고, 화재와 전쟁으로 피해를 입었지만 키이우의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 키이우의 교회당 - 성 볼로디미르 대성당
성 볼로디미르 대성당은 키이우에 있는 우크라이나 정교회 대성당으로, 볼로디미르 1세의 세례 900주년을 기념하여 1852년에 건설되었고, 신 비잔틴 양식의 7개 돔과 모자이크, 프레스코화로 장식되었으며 우크라이나 독립 후 키이우 총대주교청의 주요 거점이 되었다.
성 소피아 대성당 (키이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공식 명칭 | 성 소피아 대성당 |
현지 명칭 | 소보르 스비아토이 소피이 (Собор святої Софії) 소피이스키 소보르 (Софійський Собор) |
헌정 대상 | 하기아 소피아 |
위치 | 우크라이나, 키이우, 셰우첸키우스키 라이온 국립 성역 "키이우의 소피아", 성 소피아 대성당 단지 |
건축 | |
건축 양식 | 비잔틴 건축 우크라이나 바로크 |
길이 | 41.7m |
너비 | 54.6m |
내부 돔 높이 | 28.6m |
돔 개수 | 13 |
완공 년도 | 11세기 |
종교 | |
종교적 제휴 | 정교회 |
교파 | 동방 교회 / 우크라이나 동방 가톨릭 교회 |
기능적 상태 | 박물관 |
보존 및 관리 | |
문화재 지정 | 세계유산 "키예프의 성 소피아 대성당과 관련 수도원 건물, 키예프-페체르스크 라브라" 구성 자산, 우크라이나 국가 문화 시설 |
유네스코 지정 년도 | 1990년 |
위험 목록 등재 | 2023년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성 소피아 대성당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037년 키예프 대공국의 야로슬라프 1세 대공에 의해 건설되었다. 대성당 이름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아야 소피아(하기아 소피아, 성 소피아 대성당)에서 유래된 이름이다.[5]
1169년에는 블라디미르-수즈달 공국의 침공으로 인해 약탈당했으며 1240년에는 몽골 제국의 침공으로 인해 완전히 파괴되었다. 1596년에는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의 주교구가 되었고 1633년 몰도바 동방 정교회 소유로 넘어갔다. 이 과정에서 이탈리아의 건축가인 옥타비아노 만치니(Octaviano Mancini)는 대성당 내부에 있던 비잔티움 전통 장식을 보존하는 대신에 대성당 외부를 우크라이나 바로크 건축 양식으로 개조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대성당 개조 작업은 우크라이나의 카자크 수장이었던 이반 마제파에 의해 계속되었고 1767년까지 진행되었다.
1920년대에는 소련이 대성당을 철거하고 공원으로 개조하려는 계획을 세우기도 했지만 철회했다. 1990년 키이우 페체르스크 수도원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2. 1. 건립 배경
키예프의 성 소피아 대성당 건립 시기는 1011년에서 1037년 사이로 추정된다.[5][6][7] 성 소피아 대성당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하기아 소피아(성 소피아 대성당)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5] 야로슬라프 1세는 1036년 페체네그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한 것을 기념[6]하고 키예프 루스의 기독교 신앙과 국가적 권위를 강화하기 위해 대성당 건립을 추진했다.성 소피아 대성당은 키예프 루스의 관구 대주교좌 성당이자 대공 즉위식, 결혼식, 장례식 등 국가 주요 행사가 거행되는 장소였다. 루스 최초의 도서관과 대학이 대성당 내에 설립되어 국가의 역사 편찬 작업이 이루어지는 등 키예프 루스의 정치, 문화, 종교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17]
성 소피아 대성당은 중세 유럽 건축 중 가장 큰 건물 중 하나였다. 넓이 54.6미터, 길이 41.7미터, 바닥에서 중앙 돔까지의 높이는 28.6미터였다. 5개의 네이브와 5개의 앱스를 가진 그리스 십자식 성당에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사도를 표현하는 13개의 돔을 보유하는 세계 유일의 특징적 건축 양식을 자랑한다.[17] 폴라츠크와 노브고로드의 성 소피아 대성당, 페체르스카 수도원, 성 미하일 황금 돔 수도원 등 루스 성당 건축에 큰 영향을 주었다.[17] 대성당 내부에는 다채로운 모자이크, 프레스코, 이콘이 있었다. 비잔틴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붉은 벽돌 벽과 납색 돔을 가지고 있었다.
1169년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의 군대에 의해 약탈당했고,[8] 1240년 몽골 제국의 침공으로 부분적으로 황폐해졌다. 1569년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의 주교좌가 되면서 본격적인 수리가 진행되었다. 1633년 우크라이나 정교회 소유가 되었고, 이탈리아 건축가 오타비아노 만치니가 수리 작업을 지도했다. 이반 마제파에 의해 시작된 작업은 1740년에 완료되었다. 대성당은 내부의 고대 장식이 보존되었고 외부만 우크라이나 바로크 양식으로 개조되었다.
2. 2. 중세 시대
1037년 키예프 대공국의 야로슬라프 1세 대공에 의해 건설된 성 소피아 대성당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아야 소피아(하기아 소피아)에서 이름을 따왔다.[5] 대성당은 5개의 신랑, 5개의 후진, 13개의 돔을 갖춘 비잔티움 제국 양식으로 지어졌다.1169년 블라디미르-수즈달 공국의 침공으로 약탈당했으며,[17] 1240년 몽골 제국의 침공으로 키예프가 함락되면서 대성당은 심각하게 파괴되었다.[17]
1596년 브레스트 연합 이후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의 주교좌 성당이 되었다. 1633년 몰도바 동방 정교회 소유로 넘어가면서 이탈리아 건축가 옥타비아노 만치니가 우크라이나 바로크 건축 양식으로 대성당 외부를 개조하는 작업을 진행했고, 이 작업은 이반 마제파에 의해 1767년까지 계속되었다.
2. 3. 근세 시대
1596년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의 주교구가 되었고, 1633년 몰도바 동방 정교회 소유로 넘어갔다. 이 과정에서 이탈리아의 건축가인 옥타비아노 만치니는 대성당 내부에 있던 비잔티움 전통 장식을 보존하는 대신에 대성당 외부를 우크라이나 바로크 건축 양식으로 개조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대성당 개조 작업은 우크라이나의 카자크 수장이었던 이반 마제파에 의해 계속되었고 1767년까지 진행되었다. 이 기간 동안 성 소피아 대성당 주변에는 종탑, 수도원 구내식당, 빵집, "수도 대주교의 집", 서쪽 문(즈보로프스키 문), 수도원 여관, 형제회 캠퍼스 및 부르사(신학교)가 모두 세워졌다. 재건축 이후의 대성당뿐만 아니라 이 모든 건물들은 우크라이나 바로크 양식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2. 4. 현대
1920년대 소련은 대성당을 철거하고 공원으로 개조하려는 계획을 세웠으나, 많은 과학자와 역사가들의 노력으로 철거를 면했다.[8] 성 미카엘 황금 돔 수도원은 1935년에 폭파되었다.[8] 1934년 소련 당국은 대성당을 포함한 주변 건축 단지를 몰수하여 건축 및 역사 박물관으로 지정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소련과 우크라이나 정치인들은 이 건물을 정교회에 반환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교회 내 다양한 분열과 파벌로 인해 정교회와 그리스 가톨릭 교회가 모두 소유권을 주장하면서 반환이 연기되었다. 모든 정교회는 다른 날짜에 예배를 드릴 수 있도록 허용되었지만, 다른 때에는 접근이 거부되었다. 1995년 우크라이나 정교회 - 키이우 총대주교청의 총대주교 볼로디미르의 장례식에서 시위 경찰이 박물관 부지에서 장례를 막으려 하자 유혈 충돌이 발생했다.[9][10] 이후 어떤 종교 단체도 정규 예배에 대한 권한을 부여받지 못했다. 현재는 우크라이나 기독교의 세속적인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방문객은 관광객이다. 우크라이나 정교회와 우크라이나 동방 가톨릭 교회 등이 시간을 조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1990년 키이우 페체르스크 수도원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2007년 8월 21일, 성 소피아 대성당은 전문가와 인터넷 커뮤니티의 투표를 바탕으로 우크라이나의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2023년 9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키이우는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유엔의 이 조치는 유적지에 대한 지원과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다.[11]
3. 건축
3. 1. 구조
3. 2. 내부 장식
성 소피아 대성당 내부는 다채로운 색채의 모자이크와 프레스코화로 장식되어 있다. 중앙 돔에는 전능하신 그리스도 판토크라토르(Pantokrator) 모자이크가 있으며, 후진에는 성모 마리아를 묘사한 오란타(Oranta) 모자이크가 있다. 벽면에는 성경 속 장면, 성인들의 모습, 야로슬라프 1세와 그 가족들의 초상화 등 다양한 주제의 프레스코화가 그려져 있다.
11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제작된 모자이크와 프레스코화는 동유럽 기독교 미술의 정수를 보여준다.
4. 사진
4. 1. 모자이크
성 소피아 대성당 내부에는 구세주 예수, 성모 오란스, 수태고지, 카이사레아의 바실리오, 라우렌시오 등을 묘사한 주요 모자이크 작품들이 있다.
4. 2. 벽화
성 소피아 대성당 내부는 다채로운 벽화로 장식되어 있다. 11세기에 제작된 대성당 후진 벽화와 야로슬라프 1세의 딸들을 그린 벽화, 그리고 17세기에 제작된 대홍수 벽화 등이 대표적이다. 1000년경에 제작된 오란타와 교부들의 계열, 데에시스, 군주 그룹 초상화, 야로슬라프 현공의 석관, 수태고지의 대천사 가브리엘, 그리고 1700년에 제작된 성 소피아 벽화 등이 있다.
5. 부속 건물
성 소피아 대성당 경내에는 여러 부속 건물들이 위치해 있다. 종탑은 대성당의 상징적인 건축물 중 하나이다. 수도 대주교 관저는 대주교가 거주하며 집무를 보는 곳이다. 식당 교회는 과거 수도사들이 식사하던 공간을 교회로 개조한 곳이다. 형제회 건물은 수도사들의 공동체 생활 공간이었으며, 부르사(고등학교)는 종교 교육 기관이었다. 종무원은 성당의 행정 업무를 담당하던 곳이다. 남쪽 입구 탑, 자보로브스키 문은 대성당 경내로 들어가는 주요 출입구 역할을 했다. 이 외에도 수도원, 수도원 여관, 야로슬라프의 도서관 기념비 등이 있다.
6. 세계유산
성 소피아 대성당은 키이우 페체르스크 수도원 등과 함께 "키이우의 성 소피아 대성당과 관련 수도원 단지 및 키이우 페체르스크 수도원"으로 1990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참조
[1]
간행물
Kyiv Pechersk Lavra, St. Sophia Cathedral remain on UNESCO's World Heritage List
http://www.interfax.[...]
Interfax-Ukraine
2013-06-20
[2]
웹사이트
Міністерство культури України
http://mincult.kmu.g[...]
2015-07-10
[3]
웹사이트
Міністерство культури України
http://mincult.kmu.g[...]
2015-07-10
[4]
웹사이트
Міністерств багато, а Софія Київська – одна.–Градоблянська Т. (government website)
http://mincult.kmu.g[...]
2012-07-16
[5]
웹사이트
Facts.kieve.ua
http://www.facts.kie[...]
2010-01-17
[6]
뉴스
Kyiv
https://www.worldher[...]
[7]
문서
Booklet "The Millenary of St. Sophia of Kyiv"
Kyiv
2011
[8]
뉴스
Forgotten Soviet Plans For Kyiv
http://www.kyivpost.[...]
Kyiv Post
2011-07-28
[9]
웹사이트
Reuters Archive Licensing
https://reuters.scre[...]
2023-06-23
[10]
웹사이트
Police beat mourners at patriarch's burial
https://www.independ[...]
1995-07-19
[11]
뉴스
In photos: Centuries-old Kyiv cathedral and monastery on U.N. danger list
https://www.washingt[...]
2023-09-16
[12]
웹사이트
History of conservation area
https://st-sophia.or[...]
2016-04-04
[13]
웹사이트
Legacy of Kievan Rus': The Saint Sophia Cathedral in Kyiv, Ukraine
https://www.dailyart[...]
2022-03-05
[14]
문서
ソボール・スヴャトーイィ・ソフィーイィ
[15]
서적
地球の歩き方 2014〜15 ロシア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16]
웹사이트
Kyiv: Saint-Sophia Cathedral and Related Monastic Buildings, Kyiv-Pechersk Lavra
https://whc.unesco.o[...]
2022-07-23
[17]
논문
The Architecture of the Cathedral of Saint Sophia in Kyiv: Uniqueness and Universality in Historical Cultural Spaces
https://iopscience.i[...]
2020-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