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뱌토슬라프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뱌토슬라프 2세는 야로슬라프 1세의 아들로, 1054년부터 1077년까지 체르니히우 공작을 역임했으며, 1073년에는 형 이자슬라프 1세를 몰아내고 키예프 대공이 되었다. 쿠만족을 격파하는 등 군사적 능력을 보였고, 《스뱌토슬라우 선집》을 편찬하는 등 문화적으로도 기여했다. 1076년 종기 수술 실패로 사망했으며, 두 번 결혼하여 여러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76년 사망 - 로베르 1세 드 부르고뉴 공작
    로베르 1세 드 부르고뉴 공작은 1032년부터 1076년까지 부르고뉴 공작으로 재위하며 왕위 계승 갈등, 폭력적인 행보, 교회 파문 등의 논란을 겪었으나 말년에는 레콩키스타에 관심을 보였고 그의 뒤는 손자 위그 1세가 이었다.
  • 1027년 출생 - 교황 빅토르 3세
    교황 빅토르 3세는 1086년부터 1087년까지 재임한 제158대 교황으로, 란고바르드족 출신 몬테카시노 수도원장이었으며, 그레고리오 개혁의 정신을 이어가고자 노력했다.
  • 1027년 출생 - 단사렴
  • 류리크가 - 드미트리 돈스코이
    드미트리 돈스코이는 킵차크 칸국 군대를 쿨리코보 전투에서 격파하여 '돈스코이' 칭호를 얻고 모스크바 크렘린을 건설했으며 몽골의 침입에 맞서 싸운 모스크바 대공이자 블라디미르 대공으로, 사후 정교회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류리크가 - 이반 4세
    이반 4세는 1547년부터 1584년까지 러시아를 통치한 최초의 차르로, 초기 개혁과 영토 확장에도 불구하고 오프리치니나 시행과 리보니아 전쟁 실패로 혼란과 쇠퇴를 초래했으며, 잔혹함과 권력욕으로 악명 높지만 중앙집권화와 영토 확장에 기여한 복잡적인 인물이다.
스뱌토슬라프 2세
기본 정보
스뱌토슬라프와 그의 가족, 1073년
스뱌토슬라프와 그의 가족, 1073년
다른 표기러시아어: Святослав Ярославич
우크라이나어: Святослав Ярославич
출생1027년
사망1076년 12월 27일
사망 장소키예프
매장 장소체르니히우 구세주 대성당
왕조볼로디미르 대공 가문/스뱌토슬라비치 가문
아버지야로슬라프 1세
어머니잉게게르드 아브 스베리에
통치
볼히니아 공1040년경–1054년
체르니히우 공1054년–1076년
키예프 대공1073년–1076년
선임자이쟈슬라우 1세
후임자프세볼로트 1세
가족 관계
배우자 1킬리키야 또는 켈리키야 (세실리아)
배우자 2오다 폰 슈타데
자녀비셰슬라바
흘리프
올레크 1세
다비드
로만
야로슬라프 (무롬)

2. 생애

야로슬라프 1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스웨덴올로프 솃코눙 왕의 딸인 잉에예르드 올로프스도테르이다. 류베치의 성 안토니 수도원에서 완성된 체르니히우 공작 목록인 《류베츠키 시노딕》에 따르면, 세례명은 니콜라스였다. 1040년경부터 1054년까지 블라디미르 공작을 역임했다.

야로슬라프 1세는 죽기 직전 이자슬라프 1세, 스뱌토슬라프, 세볼로트 1세, 이호르 야로슬라비치, 뱌체슬라프 등 아들들에게 영토를 분배했다. 스뱌토슬라프에게는 체르니히우를 주었으며, 맏형 이자슬라프의 말을 따르도록 명령했다.

이후 스뱌토슬라프의 생애는 크게 삼두 정치 시기(1054년 ~ 1073년)키예프 대공 즉위 시기(1073년 ~ 1076년) 로 나뉜다.

1068년 스노우스크 전투에서 쿠만인 군대를 격파하여 명성을 높였다. 1073년 형인 이자슬라프 1세를 몰아내고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으며, 1073년과 1076년에는 성경, 신학 문헌을 발췌한 《스뱌토슬라우 선집》을 편찬했다.

1076년 12월 27일 종기 제거 수술이 실패하여 사망했고,[11] 시신은 체르니히우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스뱌토슬라프 2세 사후 1년 안에 형 이자슬라프 1세가 키예프 대공으로 복위했고, 스뱌토슬라프 2세의 아들들은 대부분의 영토를 잃었다.

2. 1. 삼두 정치 시기 (1054년 ~ 1073년)

야로슬라프 현공이 1054년 2월 20일에 사망한 후, 그의 세 아들인 키예프의 이아슬라프, 체르니히우의 스뱌토슬라프, 페레야슬라프의 세볼로트는 키예프 루스를 공동 통치하기로 결정했다.[17] 역사학자 마틴 디미니크는 스뱌토슬라프의 정치적, 군사적 능력을 고려할 때, "그가 삼 형제가 채택한 많은 정책의 실제 설계자는 아니더라도 주요 동기 부여 세력 중 하나였을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 타당하다"라고 썼다.[17] 이들은 "삼두 정치"를 이루어 다음 해 동안 긴밀히 협력했다.[17]

1068년 스노우시크 부근에서 쿠만족의 군세를 격파했다. (참조: 알타강 전투)[17] 이 전투는 키예프에서의 봉기로 이어져, 야로슬라프 대공은 일시적으로 추방되었다. 야로슬라프가 부재중일 때, 스뱌토슬라프는 1068년 11월 1일 훨씬 더 대규모의 쿠만 군대를 격파하여, 쿠만족의 침략 흐름을 막는 데 성공했다. 1071년의 작은 소규모 전투는 그 후 20년간 쿠만족에 의한 유일한 소란이었다. 알타강 전투는 키예프 대공국에게는 치욕이었지만, 이듬해 스뱌토슬라프의 승리로 상당 기간 동안 키예프와 체르니히우에 대한 쿠만족의 위협이 완화되었다.[17]

1054년, 아버지 야로슬라프가 사망했다. 장남 블라디미르는 이미 사망했기 때문에, 키예프 대공위는 차남인 형 이제슬라프 1세가 계승했다. 이때의 영지 분배로 이제슬라프는 키예프에 더해 노브고로드, 투로프를 얻었고, 스뱌토슬라프는 체르니히우, 랴잔, 무롬, 톰타라칸을, 세볼로트(후의 세볼로트 1세)는 페레야슬라슬 루스키 (모스크바 근교의 페레야슬라슬 자레스키가 아님) 및 로스토프, 수즈달, 벨로오제로와 같은 볼가 상류의 북동 러시아를 영유했다. 또한, 뱌체슬라프는 스몰렌스크를, 막내 동생 이고리는 볼린을 지배했다.

1059년, 삼두 정치는 아버지에 의해 1035년경 투옥되었던 삼촌 수디슬라프를 석방했다.[17] 1060년에는 ''러시아 연대기''에 따르면, "말과 배로 토르크" 또는 오구즈 투르크에 대항하여 공동 원정을 했다.[17] 루스 군대의 도착 소식을 들은 토르크는 저항 없이 그들의 영토에서 도망쳤다.[17]

1065년, 스뱌토슬라프는 전 해에 자신의 아들 글레프를 트무타라칸에서 강제로 추방한 조카 로스티슬라프 블라디미로비치를 상대로 군대를 이끌었다.[17] 스뱌토슬라프가 도착하자 로스티슬라프는 삼촌의 영토의 이 중요한 중심지에서 물러났지만, 스뱌토슬라프가 체르니히우로 돌아간 후 다시 점령했다.[17]

"삼두 정치"의 먼 친척 브세슬라프 브랴체슬라비치 (폴로츠크 공)는 ''프스코프 연대기''에 따르면 1065년에 프스코프를 공격했다.[17] 브세슬라프 브랴체슬라비치는 이 도시를 점령할 수 없었지만, 다음 겨울에 노브고로드를 점령하고 약탈했다.[17] 이 도시는 키예프의 이아슬라프의 아들 므스티슬라프가 통치하고 있었다.[17] 이아슬라프, 스뱌토슬라프, 세볼로트는 곧 군대를 통합하여 ''러시아 연대기''에 따르면 "한겨울이었지만" 브세슬라프를 상대로 진군했다.[17] 그들은 1066년 3월 3일 네미가 강 ( 민스크 근처)에서 브세슬라프의 군대를 격파했다.[17] 전장에서 도망친 브세슬라프는 "삼두 정치"와 협상에 동의했지만, 6월 초 오르샤에서 열린 회의에서 그들은 그를 배신하여 체포했다.[17]

1072년 5월 3일, 세 형제는 성자 삼촌들인 보리스와 글레프의 유해 이전을 위해 함께 비시호로드를 방문했다.[17] ''보리스와 글레프의 이야기, 수난, 찬가''에 따르면, 스뱌토슬라프는 성 글레프의 손을 잡고 "목에 통증이 있었고, 눈과 이마에 통증이 있었다"며 관에 다시 넣기 전에 눌렀다.[17] 곧, 스뱌토슬라프는 머리 꼭대기에 통증을 느꼈고, 그의 하인은 그의 모자 밑에서 성자의 손톱 조각을 발견했다.[17]

이윽고 이제슬라프와 적대하게 되었고, 1073년에는 세볼로트와 손을 잡고 대공위를 빼앗았다.

2. 2. 키예프 대공 즉위 (1073년 ~ 1076년)

1073년 자신의 형인 이자슬라프 1세를 몰아내고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다.[9] 연대기 작가는 이 행위에 대해 스뱌토슬라프에게 책임을 돌리며, "그는 그의 형제를 추방하는 데 선동자였으며, 더 많은 권력을 원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9] 또한 스뱌토슬라프가 이자슬라프가 브세슬라프 브랴체슬라비치와 그들을 상대로 "동맹을 맺으려 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브세볼로트를 "오도했다"[9]고 진술한다. 현대 역사가들은 스뱌토슬라프의 행동 동기에 대해 의견이 다른데, 심각한 질병을 앓았던 것으로 보이는 스뱌토슬라프가 "통치하지 못하고 이자슬라프보다 먼저 사망했더라면" 잃었을 키예프에 대한 아들들의 권리를 확보하려 했다고도 한다.[9] 실제로, 원초 연대기는 이자슬라프가 추방된 후 스뱌토슬라프가 키예프에서 "통치했다"[9]고 진술한다.

처음에 키예프 동굴 수도원의 수장인 테오도시는 왕위를 찬탈한 스뱌토슬라프를 비난했다. 그러나 1074년 5월에 사망하기 전, 그는 대공과 화해했으며, 대공은 키예프의 성모 마리아에게 봉헌된 석조 교회의 건립을 지원했다. 스뱌토슬라프는 또한 교회 작품의 편찬을 지원했는데, 1073년1076년에는 두 개의 ''이즈보르니키'' 또는 선집이 완성되었다. 성경과 신학 작품에서 발췌한 모음집이다. ''1073년 이즈보르니크''에 따르면, "새로운 프톨레마이오스"로 칭송받는 스뱌토슬라프는 그 당시 많은 영적인 책을 수집했다.

스뱌토슬라프의 통치는 짧고 별다른 사건이 없었다. 그의 폐위된 형제는 처음에는 폴란드로 도망갔지만, 스뱌토슬라프의 사위인 공작 볼레스와프 2세가 그를 자신의 영토에서 몰아냈다. 다음으로 이자슬라프는 독일 군주 하인리히 4세의 도움을 구했다. 후자는 1075년에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사절단을 키예프로 보냈으며, 여기에는 스뱌토슬라프의 매형인 부르차르트가 포함되었다.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스뱌토슬라프는 "그의 자만심"으로 "그들에게 그의 부를 보여주며", "무수한 양의 금, 은, 비단을" 과시했다.[10] 1076년 스뱌토슬라프는 그의 사위가 보헤미아인들을 상대로 싸우는 것을 돕기 위해 폴란드로 증원군을 보냈다.

1076년 12월 27일 사망했다.[11] 원초 연대기는 "농양의 절개"[11]가 그의 죽음을 초래했다고 기록한다. 그는 체르니히우의 구세주 대성당에 묻혔다.

2. 3. 사망 이후

1076년 12월 27일, 스뱌토슬라프 2세는 몸에 난 종기를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으나, 수술 결과가 좋지 않아 사망했다.[11] 그의 시신은 체르니히우의 성 구세주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스뱌토슬라프 2세가 사망하고 1년 안에, 그의 형 이자슬라프 1세가 키예프 대공으로 복위하였다. 이자슬라프 1세의 복위 이후 스뱌토슬라프 2세의 아들들은 대부분의 영토를 잃게 되었다.

3. 가족 관계

스뱌토슬라프 2세는 야로슬라프 1세의 아들이었으며, 어머니는 스웨덴올로프 솃코눙 왕의 딸인 잉에예르드 올로프스도테르였다.

스뱌토슬라프는 두 번 결혼하였다. 첫 번째 부인은 출신이 불분명한 키리키야(또는 키킬리야, 체칠리야)였다.[18][19] 독일 연대기 작가들에 따르면, 두 번째 부인은 트리어의 총독 부르차르드의 여동생인 슈타데의 오다였다.[18][19] 오다는 노르트마르크 변경백 로타르 우도 1세의 딸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3세와 모종의 관계가 있었다.

3. 1. 자녀

스뱌토슬라프 2세는 야로슬라프 현공과 그의 아내인 스웨덴의 잉게게르드의 넷째 아들이었다.[12][13] 1027년에 태어났으며, 세례명은 니콜라스였다.[18][19]

스뱌토슬라프는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 부인은 출신이 불분명한 키리키야(또는 키킬리야, 체칠리야)였다.[18][19] 두 번째 부인은 슈타데의 오다였다.

스뱌토슬라프 2세의 자녀는 다음과 같다.

이름출생년도사망년도비고
글레프[20]?1078년톰타라칸 공, 노브고로드 공, 페레야슬라블 공
로만[21]1052년경1079년톰타라칸 공
다비드[22]1051년경1123년페레야슬라블 공, 무롬 공, 스몰렌스크 공, 노브고로드 공, 체르니고프 공
올레그[23]?1115년톰타라칸 공, 체르니고프 공, 노브고로드-세베르스키 공
야로슬라프?1129년무롬 공, 체르니고프 공
보리스??1073년부터 비시호로트 통치
이고리??
비셰슬라바??폴란드 왕 볼레스와프 2세와 결혼
프레지슬라바??1116년에 수녀가 됨



다비드는 다비도비치 가의, 올레그는 올고비치 가의 시조이다. 이 두 가문은 12세기에 체르니고프 공을 배출한 대표적인 가계였다.

4. 평가

(요약 및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해당 섹션 작성이 불가합니다.)

참조

[1] 서적 Dynasties of the world: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handboo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 문서 Russian Primary Chronicle
[3] 문서 Russian Primary Chronicle
[4] 문서 Russian Primary Chronicle
[5] 문서 Russian Primary Chronicle
[6] 문서 Russian Primary Chronicle
[7] 문서 Russian Primary Chronicle
[8] 문서 The Narrative, Passion, and Encomium of Boris and Gleb
[9] 문서 Russian Primary Chronicle
[10] 문서 Russian Primary Chronicle
[11] 문서 Russian Primary Chronicle
[12] 간행물 Yaroslav the Wise in Norse Tradition
[13] 서적 The age of the Vikings 2016
[14] 간행물 Les relations diplomatiques entre Bizance et la Russie de 860 à 1043 1983
[15] 간행물 Yaroslav the Wise in Norse Tradition 1929-04
[16] 간행물 Harvard Ukrainian studies Harvard Ukrainian studies 1990
[17] 웹사이트 キエフ大公国 https://history-maps[...] 2024-05-20
[18] 서적 1994
[19] 서적 2012
[20] 서적 1994
[21] 서적 1994
[22] 서적 1994
[23] 서적 1994
[24] 웹사이트 Родословная книга Всероссiйскаго дворянства http://dlib.rsl.ru/v[...] Градъ Св. Петра 1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