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플루스 울트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루스 울트라(Plus Ultra)는 "더 멀리"라는 뜻의 프랑스어 구절로, 1516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가 개인적인 모토로 채택했다. 이 모토는 스페인 국기와 문장에 새겨져 있으며, 스페인 탐험가들이 헤라클레스의 기둥 너머로 나아가도록 격려하는 데 사용되었다. 오늘날에는 스페인뿐만 아니라 여러 국제 기관 및 단체, 대중문화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상징 - 리에고의 노래
    리에고의 노래는 1820년 작사되어 1822년 스페인 공식 국가로 지정되었으나, 자유주의 정부 붕괴 후 마르차 레알에 밀려났으며, 스페인 제2공화국 시기에도 인기를 얻었지만 공식 국가로 지정되지는 않았고, 스페인 내전 관련 풍자 가사로도 사용된 역사를 가진 노래이다.
  • 스페인의 상징 - 스페인의 국가
    스페인의 국가인 '마르차 레알'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국가 중 하나로, 1770년 공식적인 명예 행진곡으로 지정된 후 공화정 시대를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가사 없이 연주된다.
  • 나라 표어 - In God We Trust
    "In God We Trust"는 미국 국가 표어이자 화폐 문구로, 남북 전쟁 시기 종교적 신념 강조 움직임에서 비롯되었으나 정교분리 원칙 논란과 합헌성 법적 공방이 있다.
  • 나라 표어 - 형제애와 통일
    형제애와 통일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 민족 간 평화로운 공존과 협력을 장려하기 위해 채택된 이념으로, 민족 갈등 극복을 목표로 문화적 권리 보장, 유고슬라비아인 국적 선택 장려, 민족 할당제 등을 포함하는 정책이다.
  • 카를 5세 - 코냐크 동맹 전쟁
    코냐크 동맹 전쟁은 1526년부터 1530년까지 이탈리아 반도에서 교황 클레멘스 7세가 주도한 코냐크 동맹과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이탈리아의 분열 심화, 교황권 쇠퇴, 잉글랜드 종교 개혁의 간접적 원인이 되었다.
  • 카를 5세 - 아우크스부르크 화의
    아우크스부르크 화의는 1555년 카를 5세와 루터파 제후들 간에 체결된 조약으로, 루터파 교회를 공식 인정하고 제후에게 종교 선택의 자유를 부여하여 "영주민은 영주의 종교를 따른다"는 원칙을 확립했으나, 일부 종파 배제와 조항의 한계로 종교적 불만을 완전히 해소하지 못해 30년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플루스 울트라
개요
명칭플루스 울트라
의미더 멀리
언어라틴어
사용 국가스페인
기원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개인적인 모토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1세 가문의 문장
역사적 맥락
유래헤라클레스의 기둥에 새겨진 경고 문구 "Non Ultra"(더 이상은 없다)에서 유래
카를 5세가 아메리카 대륙 발견 이후 '더 이상은 없다'라는 문구를 '더 멀리'를 의미하는 '플루스 울트라'로 변경
상징적 의미
의미위험을 감수하고 한계를 초월하는 인간의 정신
스페인의 아메리카 진출서구 문명의 지평 확대에 대한 의지 표명
현재 사용
스페인 국기스페인 국장에 헤라클레스의 기둥과 함께 "플루스 울트라" 문구 포함
스페인 해군다수의 군함 이름으로 사용
기타다양한 조직과 단체의 모토로 사용
일본에서의 사용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에서 "플루스 울트라"를 구호로 사용
작품 내에서 "더욱 더 앞으로"라는 의미로 해석

2. 역사

'''플루스 울트라'''(Plus oultre)는 "더 멀리"라는 뜻의 프랑스어로서, 1516년 합스부르크가의 카를의 고문인 이탈리아 의사 루이지 말리아노의 제안에 따라 부르고뉴 공작이자 스페인 국왕인 카를이 개인적인 모토로 채택했다.[1][2] 이는 말리아노가 스페인 왕실을 통해 신세계의 영토까지 장악한 카를이 구세계의 경계를 넘어선 기독교 제국을 건설하려는 비전을 상징했으며, 레콩키스타를 지브롤터 해협 너머 북아프리카로 확장하고 기사도 전통의 십자군을 부활시키려는 열망과도 연관되었다.

스페인 사람들은 카를이 저지대 국가에서 스페인으로 데려온,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부르고뉴 출신 고문과 대신들에게 적대감을 품고 원래의 프랑스어를 라틴어로 번역했다.[2] 1520년 카를이 부르고스에 입성했을 때, 한쪽 면에는 "플루스 울트라"(Plus ultra)가, 다른 쪽 면에는 "당신이 열쇠[지브롤터 해협]를 쥐고 있고 그 주인이 될 것임을 알기에 아프리카 전체가 슬퍼한다"라고 적힌 아치가 세워졌다.[2]

''플루스 울트라''는 부르고뉴 저지대 국가에서 계속 사용되었으며, 그라나다의 카를 궁전의 나무 패널에도 나타났다. 카를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선출된 결과, ''플루스 울트라''와 Plus ultrala는 이탈리아와 독일에서도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덜 성공적인 독일어 번역인 ''노흐 바이터''(Noch Weiter)와 함께 사용되었다. 스페인에서는 카를 5세 사후에도 라틴어 모토가 인기를 유지했다. 이는 합스부르크가의 선전에 등장했으며, 스페인 탐험가들이 옛 경고를 무시하고 헤라클레스의 기둥 너머로 나아가도록 격려하는 데 사용되었다. 오늘날 이 모토는 스페인의 국기와 문장에 모두 새겨져 있다.

2. 1. 카를 5세와 플루스 울트라

일설에 따르면 카를 5세는 자신의 좌우명을 어렸을 적 함께하던 스승이자 외과 의사이던 루이지 마를리아노의 충고에 따라 결정했다고 한다. 루이지는 왕자가 고대의 경고 따위는 버리고 위기를 무릅쓰며 도전하는 군주가 되길 바랐다고 한다.[1][2] 신성로마제국의 군주로서 그는 플랑드르의 겐트에서 태어났으며 이에 따라 이 지역에서도 그의 좌우명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카를 5세의 좌우명은 그가 아라곤, 카스티야 두 지역의 왕으로 군림하게 된 1500년대 초부터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합스부르크 스페인 왕가의 문장이 되었으며 스페인 달러에도 나타났다. 특히 표어의 속뜻때문에 개척자 역할을 수행하는 항해자들 사이에서 널리 쓰였으며 신세계로 항해하려는 의지를 북돋기 위해 즐겨 쓰게 됐다. 오늘날에 문장은 헤라클레스의 기둥과 함께 스페인 국기에도 새겨져 있다.

벨기에뱅슈


''플루스 울트라''(Plus oultre)는 "더 멀리"라는 뜻의 프랑스어로서, 1516년 합스부르크가의 카를의 고문인 이탈리아 의사 루이지 말리아노의 제안에 따라 부르고뉴 공작이자 스페인 국왕인 카를이 개인적인 모토로 채택했다. 이는 말리아노가 스페인 왕실을 통해 신세계의 영토까지 장악한 카를이 구세계의 경계를 넘어선 기독교 제국을 건설하려는 비전을 상징했으며, 레콩키스타를 지브롤터 해협 너머 북아프리카로 확장하고 기사도 전통의 십자군을 부활시키려는 열망과도 연관되었다.[2]

스페인 사람들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부르고뉴 출신 고문과 대신들을 카를이 저지대 국가에서 스페인으로 데려온 것에 적대감을 품고, 원래의 프랑스어를 라틴어로 번역했다.[2] 1520년 카를이 부르고스에 입성했을 때, 한쪽 면에는 "플루스 울트라"(Plus ultra)가, 다른 쪽 면에는 "당신이 열쇠[지브롤터 해협]를 쥐고 있고 그 주인이 될 것임을 알기에 아프리카 전체가 슬퍼한다"라고 적힌 아치가 세워졌다.[2]

''플루스 울트라''는 부르고뉴 저지대 국가에서 계속 사용되었으며, 그라나다의 카를 궁전의 나무 패널에도 나타났다. 카를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선출된 결과, ''플루스 울트라''와 Plus ultrala는 이탈리아와 독일에서도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덜 성공적인 독일어 번역인 ''노흐 바이터''(Noch Weiter)와 함께 사용되었다.

스페인에서는 카를 5세 사후에도 라틴어 모토가 인기를 유지했다. 이는 합스부르크가의 선전에 등장했으며, 스페인 탐험가들이 옛 경고를 무시하고 헤라클레스의 기둥 너머로 나아가도록 격려하는 데 사용되었다. 오늘날 이 모토는 스페인의 국기와 문장에 모두 새겨져 있다.

2. 2. 스페인 제국과 플루스 울트라

일설에 따르면 카를 5세는 자신의 좌우명을 어렸을 적 함께하던 스승이자 외과 의사이던 루이지 마를리아노의 충고에 따라 결정했다고 한다. 루이지는 왕자가 고대의 경고 따위는 버리고 위기를 무릅쓰며 도전하는 군주가 되길 바랐다고 한다.[1][2] 신성로마제국의 군주로서 그는 플랑드르의 겐트에서 태어났으며 이에 따라 이 지역에서도 그의 좌우명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상생활에서는 국적을 초월한 행위나 업적을 지칭하는 말로 쓰인다. 이는 카를 5세 제위 동안 그가 넓힌 식민지 면적이 방대했기 때문이다.

카를 5세의 좌우명은 그가 아라곤, 카스티야 두 지역의 왕으로 군림하게 된 1500년대 초부터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합스부르크 스페인 왕가의 문장이 되었으며 스페인 달러에도 나타났다. 특히 표어의 속뜻때문에 개척자 역할을 수행하는 항해자들 사이에서 널리 쓰였으며 신세계로 항해하려는 의지를 북돋기 위해 즐겨 쓰게 됐다. 오늘날 이 문장은 헤라클레스의 기둥과 함께 스페인 국기에도 새겨져 있다.

1926년, 라몬 프랑코, 훌리오 루이스 데 알다 미케레이스를 포함한 스페인 비행사 팀이 플루스 울트라(Plus Ultra)라는 이름의 비행정으로 대서양 횡단 비행에 성공했다. 1930년에는 마드리드에 기반을 둔 축구 클럽, AD 플루스 울트라가 설립되었다. 이 팀은 결국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로 발전했다. 더 최근에는, 플루스 울트라 여단이 스페인, 도미니카 공화국, 니카라과, 온두라스, 엘살바도르의 스페인어권 5개국 군인으로 구성된 부대로, 이라크 전쟁에 기여했다.

3. 현대적 사용

"플루스 울트라"는 현대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 말버러 공작의 군대를 막기 위해 프랑스군은 네 플루스 울트라 선을 건설했으나, 그의 군대는 피해 없이 이를 돌파했다.[3]
  • 이 모토는 멕시코 베라크루스주 깃발의 일부이며, 스코틀랜드 의례 프리메이슨의 30번째 등급에서 사용된다.[4]
  • 산 마르코스 국립대학교, 멕시코 대학교, 셰퍼드 대학교, 콜롬비아 해군, 퀸즐랜드주 인도루필리의 세인트 피터스 루터교 대학, Trompsburg 초등학교, 호주 애들레이드의 임마누엘 칼리지 (호주), 싱가포르의 주롱 주니어 칼리지, 미국매사추세츠주의 말덴 가톨릭 고등학교, 스리랑카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공립 학교인 뉴스텟 걸스 칼리지 등 전 세계 여러 기관에서 이 모토를 사용한다.
  • 고대 프랑스어 형태인 "Plus Oultre"는 벨기에 도시 뱅슈와 미국 공군 사관학교 제15 사관학교의 모토로 사용된다. 카를 5세는 플랑드르의 헨트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이 모토는 이 지역에서도 사용된다.

  • 영국의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 경은 "플루스 울트라"를 개인적인 모토로 사용했다.
  • 이 모토는 1985년부터 도널드 트럼프가 소유하고 2019년부터 그의 주요 거주지인 플로리다의 리조트인 마라라고의 옷 보관실 벽 타일에 쓰여 있다.[5]
  • 이 모토는 펜실베이니아주 도일스타운에 위치한 머서 타일 회사의 기이한 소유주인 헨리 채프먼 머서의 집인 폰트힐 성의 여러 타일에서 볼 수 있다.[6]
  • 호리코시 코헤이의 만화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에서는 주인공 미도리야 이즈쿠 등이 다니는 국립 유에이 고등학교의 교훈이기도 하다.

3. 1. 스페인

카를 5세의 좌우명은 그가 아라곤, 카스티야 두 지역의 왕으로 군림하게 된 1500년대 초부터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합스부르크 스페인 왕가의 문장이 되었으며 스페인 달러에도 나타났다. 특히 표어의 속뜻때문에 개척자 역할을 수행하는 항해자들 사이에서 널리 쓰였으며 신세계로 항해하려는 의지를 북돋기 위해 즐겨 쓰게 됐다. 오늘날에 문장은 헤라클레스의 기둥과 함께 스페인 국기와 스페인 국장에 새겨져 있다.

1926년, 라몬 프랑코와 훌리오 루이스 데 알다 미켈레이스를 포함한 스페인 비행사들은 플러스 울트라라는 이름의 수상 비행기를 타고 스페인과 남아메리카 사이의 최초의 대서양 횡단 비행을 완료했다. 1930년에는 마드리드에 기반을 둔 축구팀 AD 플러스 울트라가 창설되었고, 이 팀은 결국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로 발전했다.

플루스 울트라 여단은 스페인, 도미니카 공화국, 니카라과, 온두라스, 엘살바도르의 5개 스페인어 사용 국가의 병력으로 구성되어 2003년 이라크 전쟁에 참전했다.

3. 2. 국제적 사용

프랑스군은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 말버러 공작의 군대를 저지하기 위해 네 플루스 울트라 선을 건설했으나, 그의 군대는 피해 없이 이를 돌파했다.[3] 이 모토는 멕시코 베라크루스주 깃발의 일부이며, 스코틀랜드 의례 프리메이슨의 30번째 등급에서 사용된다.[4]

산 마르코스 국립대학교, 멕시코 대학교, 셰퍼드 대학교, 콜롬비아 해군, 퀸즐랜드주 인도루필리의 세인트 피터스 루터교 대학, Trompsburg 초등학교, 호주 애들레이드의 임마누엘 칼리지 (호주) 등 전 세계 여러 기관에서 이 모토를 사용한다. 프랑스어 버전인 "Plus oultre"는 벨기에 도시 뱅슈와 미국 공군 사관학교 제15 사관학교의 모토이다. 카를 5세는 플랑드르의 헨트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이 모토는 이 지역에서도 사용된다.

영국의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 경은 "플루스 울트라"를 개인적인 모토로 사용했다. 1926년, 라몬 프랑코와 훌리오 루이스 데 알다 미켈레이스를 포함한 스페인 비행사들은 플러스 울트라라는 이름의 수상 비행기로 스페인과 남아메리카 사이의 최초의 대서양 횡단 비행을 완료했다. 1930년에는 마드리드에 기반을 둔 축구팀 AD 플러스 울트라가 창설되었고, 이 팀은 결국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로 발전했다.

플루스 울트라 여단은 스페인, 도미니카 공화국, 니카라과, 온두라스, 엘살바도르의 스페인어 사용 5개국 병력으로 구성되어 2003년 이라크 전쟁에 참전했다.

이 모토는 1985년부터 도널드 트럼프가 소유하고 2019년부터 그의 주요 거주지인 플로리다의 리조트인 마라라고의 옷 보관실 벽 타일에 쓰여 있다.[5]

이 모토는 대중문화에서 자주 등장한다.

  • 만화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인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에서, 이 모토는 히어로 학교인 U.A. 고등학교의 모토로 사용된다.
  • 라틴어 구절과 모토를 대부분의 제목에 사용하는 라이트 노벨 시리즈 ''유녀전기''는 두 번째 권의 제목으로 이 모토를 사용한다.
  • 2015년 영화 ''투모로우랜드''에서, 플러스 울트라 사회는 더 나은 내일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가상의 단체의 이름이며, 창립 멤버는 구스타프 에펠, 니콜라 테슬라, 토머스 에디슨, 쥘 베른이었다.
  • 이 모토는 2019년 비디오 게임 ''Apex 레전드''의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 중 하나인 옥테인의 팔에 문신으로 새겨져 있으며, "Non terrae plus ultra"는 전투 진입 시 그의 가능한 대사 중 하나이다.
  • 이 모토는 펜실베이니아주 도일스타운에 위치한 머서 타일 회사의 기이한 소유주인 헨리 채프먼 머서의 집인 폰트힐 성의 여러 타일에서 볼 수 있다.[6]


3. 3. 대중문화

이 모토는 대중문화에서 자주 등장한다.

  • 1926년, 라몬 프랑코와 훌리오 루이스 데 알다 미켈레이스를 포함한 스페인 비행사들은 플러스 울트라라는 이름의 수상 비행기를 타고 스페인과 남아메리카 사이의 최초의 대서양 횡단 비행을 완료했다. 1930년에는 마드리드에 기반을 둔 축구팀 AD 플러스 울트라가 창설되었고, 이 팀은 결국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로 발전했다.
  • 플루스 울트라 여단은 스페인, 도미니카 공화국, 니카라과,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5개 스페인어 사용 국가의 병력으로 구성되어 2003년 이라크 전쟁에 참전했다.
  • 만화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인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에서, 이 모토는 히어로 학교인 U.A. 고등학교의 모토로 사용된다.
  • 라틴어 구절과 모토를 대부분의 제목에 사용하는 라이트 노벨 시리즈 ''유녀전기''는 두 번째 권의 제목으로 이 모토를 사용한다.
  • 2015년 영화 ''투모로우랜드''에서, 플러스 울트라 사회는 더 나은 내일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가상의 단체의 이름이며, 창립 멤버는 구스타프 에펠, 니콜라 테슬라, 토머스 에디슨, 쥘 베른이었다.
  • 이 모토는 2019년 비디오 게임 ''Apex 레전드''의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 중 하나인 옥테인의 팔에 문신으로 새겨져 있으며, "Non terrae plus ultra"는 전투 진입 시 그의 가능한 대사 중 하나이다.
  • 이 모토는 펜실베이니아주 도일스타운에 위치한 머서 타일 회사의 기이한 소유주인 헨리 채프먼 머서의 집인 폰트힐 성의 여러 타일에서 볼 수 있다.[6]


호리코시 코헤이의 만화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에서는 주인공 미도리야 이즈쿠 등이 다니는 국립 유에이 고등학교의 교훈이기도 하다.

3. 4. 기타


  • 프랑스군은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 말버러 공작의 군대를 막기 위해 네 플루스 울트라 선을 건설했지만, 그의 군대는 피해 없이 이를 돌파했다.[3]
  • 이 표어는 멕시코 베라크루스주 기의 일부로 사용된다.
  • 스코틀랜드 의례 프리메이슨의 30번째 등급에서 사용된다.[4]
  • 산 마르코스 국립대학교, 멕시코 대학교, 셰퍼드 대학교, 콜롬비아 해군, 퀸즐랜드주 인도루필리의 세인트 피터스 루터교 대학, Trompsburg 초등학교, 호주 애들레이드의 임마누엘 칼리지 (호주) 등 전 세계 여러 기관에서 사용된다.
  • 고대 프랑스어 버전인 "Plus oultre"는 벨기에 도시 뱅슈와 미국 공군 사관학교의 제15 사관학교의 모토로 사용된다. 플랑드르의 헨트에서 태어난 카를 5세의 영향으로 이 모토는 이 지역에서도 사용된다.
  • 영국의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 경은 "플루스 울트라"를 개인적인 모토로 사용했다.
  • 1926년, 라몬 프랑코와 훌리오 루이스 데 알다 미켈레이스를 포함한 스페인 비행사들은 플러스 울트라라는 수상 비행기를 타고 스페인과 남아메리카 사이의 최초의 대서양 횡단 비행을 완료했다.
  • 1930년, 마드리드에 기반을 둔 축구팀 AD 플러스 울트라가 창설되었고, 이 팀은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로 발전했다.
  • 플루스 울트라 여단은 5개 스페인어 사용 국가(스페인, 도미니카 공화국, 니카라과, 온두라스, 엘살바도르)의 병력으로 구성되어 2003년 이라크 전쟁에 참전했다.
  • 이 모토는 1985년부터 도널드 트럼프가 소유하고 2019년부터 그의 주요 거주지인 플로리다의 리조트인 마라라고의 옷 보관실 벽 타일에 쓰여 있다.[5]
  • 대중문화에서 자주 등장한다.
  • 만화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인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에서, 히어로 학교인 U.A. 고등학교의 모토로 사용된다.
  • 라틴어 구절과 모토를 대부분의 제목에 사용하는 라이트 노벨 시리즈 ''유녀전기''는 두 번째 권의 제목으로 이 모토를 사용한다.
  • 2015년 영화 ''투모로우랜드''에서, 플러스 울트라 사회는 더 나은 내일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가상의 단체의 이름이며, 창립 멤버는 구스타프 에펠, 니콜라 테슬라, 토머스 에디슨, 쥘 베른이었다.
  • 2019년 비디오 게임 ''Apex 레전드''의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 중 하나인 옥테인의 팔에 문신으로 새겨져 있으며, "Non terrae plus ultra"는 전투 진입 시 그의 가능한 대사 중 하나이다.
  • 펜실베이니아주 도일스타운에 위치한 머서 타일 회사의 기이한 소유주인 헨리 채프먼 머서의 집인 폰트힐 성의 여러 타일에서 볼 수 있다.[6]

참조

[1] 서적 Diálogo delas empresas militares y amorosas, compuesto en lengua italiana https://books.google[...] 1658
[2] 서적 Music and Ceremony at the Court of Charles V https://books.google[...] The Boydell Press 2012
[3] 간행물 The New Cambridge Modern History: Volume 6, The Rise of Great Britain and Russia, 1688-1715/25 CUP Archive
[4] 웹사이트 Masonic mottoes https://www.freemaso[...] 2023-09-23
[5] 웹사이트 Photograph of the cloak room at Mar-a-Lago http://www.historic-[...] historic-details.com 2017-09-27
[6] 뉴스 A VISIONARY IN CONCRETE: ONE MAN'S ECLECTIC VIEW OF TECHNOLOGICAL PROGRESS https://www.washingt[...] 2023-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