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플림톤 322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림톤 322는 기원전 1800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바빌로니아 점토판으로, 1922년경에 수집되어 컬럼비아 대학교에 기증되었다. 60진법으로 표기된 숫자 표가 기록되어 있으며, 피타고라스 수와 관련된 수학적 내용이 담겨 있다.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며, 삼각법, 정규수의 역수 쌍 목록, 이차 방정식 해결 등과 연관되어 연구되고 있다. 이 점토판은 당시 서기 학교의 연습 문제나 교사의 교육 자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수학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사의 수학 - YBC 7289
    YBC 7289는 기원전 18~17세기에 제작된 고대 바빌로니아 점토판으로, 정사각형 대각선 길이와 2의 제곱근 근삿값을 육십진법으로 나타내 고대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계산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고대사의 수학 - 바빌로니아 수학
    바빌로니아 수학은 기원전 5천 년에서 3천 년 사이에 쐐기 문자로 기록된 수학적 관행으로, 60진법을 사용하고 산술, 대수학, 기하학 분야에서 발전된 지식을 바탕으로 이차 방정식 풀이, 피타고라스 정리 활용 등을 통해 그리스와 아라비아 수학에 영향을 미쳤다.
  • 1922년 발굴 - 모헨조다로
    모헨조다로는 기원전 26세기에 건설된 인더스 문명의 주요 도시 유적지로, 정교한 도시 계획과 토목 공학 기술을 보여주는 유물이 출토되었으나 현재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1922년 발굴 - 우르의 왕릉
    우르의 왕릉은 레너드 울리가 발굴한 우르의 2,000개 이상 무덤 중 16개의 왕족 무덤으로, 묘실 규모, 부장품, 순장 의례 등으로 구별되며 왕족의 신분과 사후 세계에 대한 믿음을 보여주는 유적이다.
플림톤 322
개요
플림프턴 322 점토판, 설형 문자로 쓰여진 숫자들
플림프턴 322 점토판, 설형 문자로 쓰여진 숫자들
종류점토판
제작 시기기원전 1800년경
높이9cm
너비13cm
소장 위치뉴욕, 미국

2. 기원 및 연대

조지 아서 플림턴은 1922년경 고고학 딜러 에드가 J. 뱅크스로부터 이 점토판을 구입했으며, 1930년대 중반 자신의 컬렉션과 함께 컬럼비아 대학교에 기증했다. 뱅크스에 따르면, 이 점토판은 고대 도시 라르사에 해당하는 이라크 남부의 유적지인 센케레에서 출토되었다고 한다.[2]

이 점토판은 필체 스타일을 근거로 기원전 1800년경(중기 연대기 사용)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3] Robson|롭슨영어 (2002)은 이 필체가 "4000~3500년 전의 남부 이라크 문서의 전형적인 특징"이라고 적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플림톤 322가 명시적인 날짜가 적힌 라르사 출토 다른 점토판과의 형식 유사성을 바탕으로 기원전 1822~1784년 사이에 제작되었을 수 있다.[4] 롭슨은 플림톤 322가 당시 수학 문서가 아닌 다른 행정 문서와 동일한 형식으로 작성되었다고 지적한다.[5]

3. 내용

플림톤 322는 바빌로니아의 60진법으로 쓰여진 숫자표를 담고 있으며, 4개의 열과 15개의 행으로 구성되어 있다.[6] 4번째 열은 행 번호를 1부터 15까지 나타내고, 2번째와 3번째 열은 현재 남아있어 완전히 해독 가능하다. 첫 번째 열은 가장자리가 깨져나가 원래 숫자를 추정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각 숫자의 시작 부분에 1을 추가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6]

이 숫자들은 바빌로니아 60진법 표기법의 특성상 각 숫자가 60의 몇 제곱을 나타내는지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아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

3. 1. 표의 구성

플림톤 322의 주요 내용은 4열 15행에 걸쳐 기록된 수의 표인데, 그 수는 바빌로니아의 60진법으로 표기되어 있다. 제4열은 단지 1부터 15까지의 행 번호를 나타낸다. 제2열과 제3열은 잔존하여 완전히 읽을 수 있다. 그러나 맨 앞의 제1열은 결손되어 있다. 그것을 추측하여 보충하는 데 모순되지 않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것들은 단지 각 수의 처음에 1을 덧붙이는지의 차이이다. 다음은 표에 적혀 있는 숫자를 나타낸다. 괄호 안은 보충된 1이다.

제1열제2열제3열제4열
(1:)59:00:151:592:491
(1:)56:56:58:14:50:06:1556:071:20:252
(1:)55:07:41:15:33:451:16:411:50:493
(1:)53:10:29:32:52:163:31:495:09:014
(1:)48:54:01:401:051:375
(1:)47:06:41:405:198:016
(1:)43:11:56:28:26:4038:1159:017
(1:)41:33:45:14:03:4513:1920:498
(1:)38:33:36:368:0112:499
(1:)35:10:02:28:27:24:261:22:412:16:0110
(1:)33:45451:1511
(1:)29:21:54:02:1527:5948:4912
(1:)27:00:03:452:414:4913
(1:)25:48:51:35:06:4029:3153:4914
(1:)23:13:46:40561:4615



이들 4열의 왼쪽에 아직 결손된 열이 더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들 수의 60진법에서 10진법으로의 환산은 더욱 애매하다. 그것은 바빌로니아의 60진법 표기는 각 수가 60의 몇 제곱을 나타내는 자리의 것인지를 나타내는 데 특화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3. 2. 표의 숫자

ÍB.SI₄akk바빌로니아 60진법 표기법을 사용한 4개의 열과 15개의 행으로 구성된 표에서 현존하는 부분 중 온전하게 남아있는 열이다. 4번째 열은 단순히 1부터 15까지 행 번호를 나타낼 뿐이다.[6] 2번째 열과 3번째 열은 현존하는 태블릿에서 완전히 볼 수 있다. 그러나 첫 번째 열은 가장자리가 부서져, 누락된 숫자에 대한 두 가지 가능한 해석이 존재한다. 이 해석들은 각 숫자가 1로 시작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6]

다음 표는 이러한 숫자들을 나타내며, 괄호 안의 숫자는 다른 방식으로 숫자를 추정한 것이고, *기울임꼴*은 내용이 추정되는 첫 번째 및 네 번째 열의 손상된 부분을, 굵은 글씨는 일반적으로 제안된 수정과 함께 6개의 추정 오류를 대괄호 안에 표시한 것이다.

대각선의 takiltum
1이 찢어진
부분부터 너비가
올라간다
너비의 ÍB.SI8대각선의 ÍB.SI8라인
(1) 59 00 151 592 491
(1) 56 56 58 14 56 15
(1) 56 56 58 14 [50 06] 15
56 073 12 01
[1 20 25]
2
(1) 55 07 41 15 33 451 16 411 50 493
(1) 53 10 29 32 52 163 31 495 09 014
(1) 48 54 01 401 051 375
(1) 47 06 41 405 198 016
(1) 43 11 56 28 26 4038 1159 017
(1) 41 33 59 03 45
(1) 41 33 [45 14] 03 45
13 1920 498
(1) 38 33 36 369 01
[8] 01
12 499
(1) 35 10 02 28 27 24 26 401 22 412 16 0110
(1) 33 45451 1511
(1) 29 21 54 02 1527 5948 4912
(1) 27 00 03 457 12 01
[2 41]
4 4913
(1) 25 48 51 35 06 4029 3153 4914
(1) 23 13 46 4056
56
[28] (alt.)
53
[1 46]
53 (alt.)
15



15행의 수정에는 두 가지 가능한 대안이 있다. 세 번째 열의 53을 두 배의 값인 1 46으로 바꾸거나, 두 번째 열의 56을 절반의 값인 28로 바꿀 수 있다.

이 열 왼쪽에 있는 태블릿의 부서진 부분에는 추가 열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바빌로니아 60진법 표기법은 각 숫자에 곱해지는 60의 거듭제곱을 지정하지 않아, 이 숫자들의 해석이 모호하다. 두 번째 및 세 번째 열의 숫자는 일반적으로 정수로 간주된다. 첫 번째 열의 숫자는 분수로만 이해할 수 있으며, 그 값은 모두 1과 2 사이에 있다(초기 1이 있는 경우. 없는 경우 0과 1 사이에 있다).[6]

이러한 분수는 정확하며, 절단이나 반올림된 근사치가 아니다. 다음 표는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한 태블릿의 10진법 번역이다. 첫 번째 열의 대부분의 정확한 60진법 분수는 종료 10진법 전개가 없으며 소수점 일곱 자리로 반올림되었다.

d^2/l^2 또는 s^2/l^2짧은 변 s대각선 d행 번호
(1).98340281191691
(1).94915863,3674,8252
(1).91880214,6016,6493
(1).886247912,70918,5414
(1).815007765975
(1).78519293194816
(1).71998372,2913,5417
(1).69270947991,2498
(1).64266944817699
(1).58612264,9618,16110
(1).562545*75*11
(1).48941681,6792,92912
(1).450017416128913
(1).43023881,7713,22914
(1).387160556*106*15

*이전과 마찬가지로 15행에 대한 대체 가능한 수정 사항에는 두 번째 열에 28, 세 번째 열에 53이 있다. 11행의 두 번째 및 세 번째 열의 항목에는 15행을 제외한 다른 모든 행과 달리 공통 인수가 포함되어 있다. 45와 는 바빌로니아 수학에서 익숙한 (3,4,5) 직각 삼각형의 표준 (0.75, 1, 1.25) 스케일링과 일치하는 3/4와 5/4로 이해할 수 있다.

각 행에서 두 번째 열의 숫자는 직각 삼각형의 짧은 변 s로 해석할 수 있으며, 세 번째 열의 숫자는 삼각형의 빗변 d로 해석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긴 변 l도 정수이므로, sd는 피타고라스 수의 두 요소이다. 첫 번째 열의 숫자는 분수 s^2/l^2 ( "1"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또는 \tfrac{d^2}{l^2}\,=\, 1+\tfrac{s^2}{l^2}( "1"이 포함된 경우)이다. 모든 경우에 긴 변 l정규수 즉, 60의 거듭제곱의 정수 약수이거나, 동등하게는 2, 3 및 5의 거듭제곱의 곱이다. 이러한 이유로 첫 번째 열의 숫자는 정확하며, 정수를 정규수로 나누면 종료 60진수 숫자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표의 1행은 짧은 변이 119이고 빗변이 169인 삼각형을 설명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긴 변 \sqrt{169^2-119^2}=120임을 의미하며, 이는 정규수(23·3·5)이다. 1열의 숫자는 (169/120)2 또는 (119/120)2이다.

3. 3. 오류

대부분의 학자들은 플림톤 322에 6개의 오류가 있다고 보며, 15행의 두 가지 수정 가능성을 제외하고는 올바른 값이 무엇이어야 하는지에 대해 대체로 의견이 일치한다. 그러나 오류가 발생한 원인과 계산 방법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오류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2행 1열: 1과 10이 없는 경우 50과 6 사이에 공백을 남기지 않았다.
  • 9행 2열: 8 대신 9를 썼다.


위의 두 오류는 일반적으로 작업 태블릿에서 복사하는 과정(또는 이전 사본에서)에서 발생한 사소한 실수로 간주된다.[7]

  • 8행 1열: 두 육십진수 45, 14를 그 합인 59로 대체했다.


이 오류는 초기 논문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서기가 작업 태블릿에서 복사하는 과정에서 저지른 단순한 실수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숫자 계산 과정의 오류, 예를 들어 곱셈 시 중간 0을 누락한 결과로 설명하기도 한다.[7]

나머지 세 오류는 태블릿 계산 방식과 관련이 있다.

  • 13행 2열: 숫자 7, 12, 1은 올바른 값 2, 41의 제곱이다. 이는 제곱근을 누락했거나 작업 태블릿에서 잘못된 숫자를 복사한 결과로 설명될 수 있다.[7]
  • 15행: 2열에서 28 대신 56을 썼다. 이는 상호 쌍을 사용하여 테이블을 계산할 때 필요한 후미 부분 알고리즘을 잘못 적용한 결과, 즉 2열과 3열의 숫자에서 공통된 정규 인수를 제거하는 반복 절차를 한 열에서 잘못된 횟수로 적용한 결과로 설명될 수 있다.[8]
  • 2행 3열: 올바른 숫자와 명백한 관련이 없으며, 여러 오류를 가정해야 설명 가능하다. 브라윈스(Bruins)는 3, 12, 01이 3, 13을 잘못 복사한 것일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 경우 잘못된 숫자 3, 13에 대한 설명은 15행의 오류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다.[9]


일반적인 합의와 달리, 프리베르크(Friberg)는 15행의 숫자는 오류가 없고 의도된 대로 쓰였으며, 2행 3열의 유일한 오류는 3, 13을 3, 12, 01로 잘못 쓴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2열과 3열을 "전면 및 대각선의 인자 감소 코어"로 재해석해야 한다고 보았다. 인자 감소 코어는 완전 제곱 정규 인수가 제거된 숫자이며, 고대 바빌로니아 수학에서 제곱근 계산 과정의 일부였다. 프리베르크에 따르면, 플림톤 322의 저자는 "정규화된" 대각선 삼중항(각 삼중항의 길이가 1과 같음)을 "원시" 대각선 삼중항(전면, 길이, 대각선이 공통 인수가 없는 정수와 같음)으로 줄이려는 의도가 없었다.[10]

4. 해석

플림톤 322의 각 행에 있는 숫자들은 직각삼각형의 변의 길이로 해석할 수 있다. 두 번째 열은 가장 짧은 변(s), 세 번째 열은 빗변(d)의 길이를 나타낸다. 첫 번째 열은 두 번째로 긴 변의 길이를 l이라고 했을 때, \scriptstyle \frac{s^2}{l^2} 또는 \scriptstyle \frac{d^2}{l^2}의 값을 나타낸다. 이 숫자들의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존재한다.

오토 노이게바우어는 1951년에 이 표의 수가 피타고라스 수를 이룬다는 수론적 해석을 제시했다. 하지만 롭슨은 노이게바우어의 이론이 표에 있는 숫자들이 선택된 방식과 순서, 그리고 첫 번째 열의 수의 목적을 설명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1995년 조이스는 삼각함수와 연관 지어 설명했지만, 롭슨은 이 이론이 당시 바빌로니아 수학 기록에 없는 내용에 기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2002년 롭슨은 다른 점토판 "YBC 6967"을 기반으로, 플림톤 322가 "정칙 역수의 쌍의 표"이며, 연습용 과제였을 것이라는 해석을 제시했다.[32][33] 롭슨은 이 점토판의 저자가 라르사의 신전이나 궁전에서 일하던 전문 서기관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35][36]

플림톤 322는 브라마굽타 공식에 따라 직사각형 목록으로 해석될 수 있다. 브라마굽타 공식에 따르면 플림톤 322에 기록되어야 하는 행은 15개이다.

플림톤 322를 산가쿠황금비와 연관 짓는 추측도 있지만, 학설로서의 조건을 충족하지는 못한다.

4. 1. 피타고라스 수 목록

각 행에서 두 번째 열의 숫자는 직각삼각형의 가장 짧은 변의 길이(s)이며, 세 번째 열의 숫자는 빗변의 길이(d)로 해석할 수 있다. 이때 첫 번째 열의 숫자는 해당 삼각형의 두 번째로 긴 변의 길이를 l로 뒀을 때의 분수 \frac{s^2}{l^2} 또는 \frac{d^2}{l^2}의 값이 된다. 하지만,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이 숫자들을 어떻게 생성했는지에 대해 논쟁이 있다.

1951년, 오토 노이게바우어(:en:Otto E. Neugebauer)는 이 표의 수가 피타고라스 수를 이루고 있으며 (15행 중 13행은 원시 피타고라스 수이다) 수론적 관점에서 해석을 제안했다.

예를 들어, 제11행은 변의 비가 3:4:5인 직각삼각형과 닮음인 직각삼각형을 나타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이 값은 원시 피타고라스 수의 "유클리드 공식" ((m^2 - n^2, 2mn, m^2 + n^2) (m, n는 자연수, (m, n)는 서로소, m > n, m - n는 홀수 (즉, 짝수와 홀수가 다름))에서 (2, 1)에 해당하는 최소 피타고라스 삼각형에 대응한다. 이를 기반으로 제11행은 여기에 m = 1, n = \frac{1}{2}를 대입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frac{1}{2}는 자연수가 아니다). 노이게바우어가 말한 것처럼, 각 행을 피타고라스 수로 해석했을 때, "두 번째로 큰 항"이 정칙수 (:en:regular number. 소인수 분해했을 때 2, 3, 5 이외의 소인수를 갖지 않는 자연수)라는 점을 지적했다. "(m, n)에서 생성된다. 이 m, n는 정칙수이다"라는 주장은 오류이며, (8, 7)은 "서로소이며, 짝수와 홀수가 다르다"지만, 7은 정칙수가 아니다.

노이게바우어의 설명은 콘웨이와 가이 (1996)에서도 예시로 인용되었다. 그러나 롭슨은 "노이게바우어의 이론은 어떻게 이 (m, n)가 선택되었는지 설명하지 않는다"고 반론했다. "서로소인 정칙수의 쌍은 60까지 92쌍이 있지만, 그 중 15쌍만 표에 기재되어 있다. 게다가, 왜 이 순서로 표에 기록되었는지, 제1열의 수가 무슨 목적으로 사용되었는지 설명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4. 2. 삼각함수표

1995년, 조이스는 플림톤 322를 삼각함수와 관련지어 설명했다. 제1열의 수는 가장 짧은 변의 대각의 코사인 또는 탄젠트(수의 선두에 1을 더할지에 따라 결정)의 제곱이며, 그 각의 크기는 각 행 사이에서 대략 1도 간격으로 증가한다고 한다. 그러나 롭슨은 언어학적 입장에서 이 이론을 "개념적이고 시대착오적"이라고 주장한다. 그 이론이 당시 바빌로니아 수학 기록에 존재하지 않고, 다른 생각에 근거하는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1]

4. 3. 정규 역수 쌍과 이차방정식

2002년, 미국 수학 협회(MAA)는 롭슨(Robson)의 플림톤 322에 대한 수학적 해석[32]을 발표했다. 롭슨은 플림톤 322가 "정칙 역수의 쌍의 표"라고 할 수 있는 증거를 제시하며, 저자가 교사이고 점토판은 연습용 과제라고 언급했다.[33] MAA는 이 연구 결과에 대해 롭슨에게 레스터 R. 포드 상을 수여했다.

롭슨은 다른 점토판인 "YBC 6967"을 기반으로 해석을 제시했다.[34] 이 점토판에는 다음 형식의 이차 방정식 해법이 적혀 있다.

:\scriptstyle x-\frac{1}{x}=C

여기서, ''v''1 = , ''v''2 = ''v''12, ''v''3 = 1 + ''v''2, ''v''4 = ''v''31/2라고 둔다. 그러면, ''x'' = ''v''4 + ''v''1, = ''v''4 − ''v''1로 표시된다.

이러한 논의 방식은 피타고라스 삼중수에 대한 이해와 관련이 깊다.

플림톤 322의 열들은 다음과 같은 값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정칙수 ''x''와 에 대해, 제1열, 제2열, 제3열은 각각 ''v''3, ''v''1, ''v''4가 된다. 예를 들어, 제11행은 ''x'' = 2일 때의 값을 나타낸다. 이러한 해석을 통해 제1열의 왼쪽에 빠진 부분의 수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4열의 더 왼쪽에 빠져 있는 열에는 정칙수 ''x''와 가 순서대로 나타날 것으로 추정된다.

롭슨은 이 점토판이 당시의 수학적인 방법, 즉 역수의 쌍, 기하학적인 도형의 자르기와 붙이기, 완전 제곱, 정칙 공약수로 나누기 등 서기관 학교에서 배우는 단순한 기술들을 보여준다고 설명한다. 또한, 점토판의 저자는 라르사의 신전이나 궁전에서 사용되던 문장 형식에 익숙한 "전문 서기관 관리"였으며, "신전 관리자를 경험한" 인물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35][36]

롭슨은 플림톤 322가 "같은 수학적인 작업을 15번, 각각 다른 규칙적인 정칙수의 그룹에 대해 반복하고 있다"고 기록했다. 또한, "이것은 교사가 학생에게 같은 수학 문제를 반복해서 연습하게 하고, 스스로 계산을 반복하지 않고도 계산 도중에 둔 변수나 최종적인 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36] 따라서 플림톤 322는 "교사의 문제 목록"이라고도 할 수 있는 학교 수학 문서의 범주에 속하며, 다른 점토판 "BM 80209"와도 유사성을 보인다고 언급했다.[36]

결론적으로, 이 점토판은 YBC 6967에서 볼 수 있는 수단을 활용하여 계산 연습을 하는 일련의 숙제였던 것으로 해석된다. 롭슨은 "이것은 교사가 학생에게 낸 과제가 아니었을까"라고 추정한다.

4. 4. 직사각형 목록

각 행의 두 번째 열의 숫자는 직각삼각형의 가장 짧은 변의 길이이며, 세 번째 열의 숫자는 빗변의 길이로 해석할 수 있다. 이때 첫 번째 열의 숫자는 해당 삼각형의 두 번째로 긴 변의 길이를 ''l''로 뒀을 때의 분수 \scriptstyle \frac{s^2}{l^2} 또는 \scriptstyle \frac{d^2}{l^2}의 값이 된다.

"단변, 장변, 대각선이 모두 자연수인 직사각형"은 피타고라스 수와 일대일 대응하며, 그중 원시 피타고라스 수는 '그 자연수가 서로소이다'라고 정의된다. 원시 피타고라스 수의 일반적인 형태는 그리스 시대에 일반화된 "이 서로소이며, 짝수와 홀수가 다르다"는 두 수와 일대일 대응한다는 성질 외에도, 7세기 인도의 브라마굽타에 의한 "서로 다른 두 홀수 가 서로소이다"라는 두 수와 일대일 대응한다는 성질이 있다.

브라마굽타 식에 따르면, 의 범위에서 플림톤 322에 기록된 15행이라는 행 수와 일치한다. 는 의 범위에서 이 된다.

플림톤 322의 직사각형 목록은 다음과 같다.

순서(p, q){s, (l,) d}\scriptstyle \frac{s^2}{l^2} 또는 \scriptstyle \frac{d^2}{l^2}
1(7, 17){119, (120,) 169}1.008
2(37, 91){3367, (3456,) 4825}1.026
3(43, 107){4601, (4800,) 6649}1.043
4(71, 179){12709, (13500,) 18541}1.062
5(5, 13){65, (72,) 97}1.108
6(11, 29){319, (360,) 481}1.129
7(29, 79){2291, (2700,) 3541}1.179
8(17, 47){799, (960,) 1249}1.202
9(13, 37){481, (600,) 769}1.247
10(41, 121){4961, (6480,) 8161}1.306
11(1, 3){3, (4,) 5}×15={45, (60,) 75}1.333
12(23, 73){1679, (2400,) 2929}1.429
13(7, 23){161, (240,) 289}1.491
14(23, 77){1771, (2700,) 3229}1.525
15(5, 9){23, (45,) 53}×2={56, (90,) 106}1.607



(장변은 모두 정칙수)이다.

11행과 15행이 원시 피타고라스 수가 아니라는 점은 논쟁거리이다.

5. 제작 방법

플림톤 322의 숫자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여러 의견이 있다. 주요한 두 가지 제안은 노이게바우어와 삭스가 제안한 '생성 쌍 방법'과, Bruins[11]가 제안하고 Voils,[12] Schmidt,[13] Friberg[13]가 발전시킨 '상호 쌍 방법'이다.

두 방법의 핵심적인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으며, 여기서는 두 방법의 간략한 비교와 주요 논쟁점을 제시한다.
두 방법의 비교:


  • 수학적 결과: 두 방법 모두 동일한 피타고라스 삼중수를 생성한다. 다만, ''p''와 ''q''가 모두 홀수인 경우 생성 쌍 방법에서는 2라는 인수가 곱해진다는 차이가 있다. 하지만 이 차이는 플림톤 322의 15행에서만 나타나는데, 이 행에 오류가 있어 두 방법을 구별하는 기준으로 사용하기 어렵다.[19]
  • 계산 방법: 역수 쌍 제안에서 수량 ''x''는 생성 쌍 제안의 비율 ''p''/''q''에 해당한다. 두 제안은 계산 방법에 차이가 있지만, 수학적 결과는 거의 동일하다.

주요 논쟁점:

  • ''x''의 계산: 역수 쌍 제안에서 ''x'' 값이 어떻게 계산되었는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p''와 ''q''에서 직접 계산되었는지, ''p''/''q''와 ''q''/''p'' 조합만 사용되었는지, 아니면 역수표와 같은 다른 출처에서 얻어졌는지 등이 논쟁거리이다.[19][20]
  • 네 자리 역수표: ''x'' 또는 1/''x'' 값 중 일부는 네 자리 60진법 숫자인데, 네 자리 역수표가 알려져 있지 않아 어려움이 있다. 롭슨은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의 자료와 계산 방법으로 모든 ''x'' 값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삼각형 치수: 노이게바우어와 삭스는 플림톤 322의 삼각형 치수가 거의 이등변 직각삼각형에서 예각이 30°와 60°에 가까운 직각삼각형까지 다양하며, 각도가 약 1°씩 균일하게 감소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p'', ''q'' 쌍이 이러한 각도 변화를 염두에 두고 의도적으로 선택되었다고 보았다.
  • de Solla Price의 제안: de Solla Price|드 솔라 프라이스영어는 생성 쌍 방법의 틀 안에서 ''q'' 값이 항상 한 자리 육십진수(1 ≤ ''q'' < 60)라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p''/''q'' 비율이 1행의 2.4(12/5)에서 15행의 약 31.9°에 해당하는 9/5까지 감소하며, 이 사이에 15개의 규칙적인 비율이 존재하여 플림톤 322의 행과 일대일 대응된다고 보았다. 그는 또한 숫자 간격이 균등한 것은 의도된 것이 아니라, 숫자 범위 내 규칙적인 비율의 밀도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 표의 확장: de Solla Price는 ''q''가 한 자리 육십진수라는 조건을 유지하면서 23쌍을 더 추가하여 총 38쌍을 만들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필사자가 표를 확장하려 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21] 롭슨은 표가 "완전"하지 않다는 데 동의하지만, de Solla Price의 제안을 직접 다루지는 않았다.


롭슨은 상호 쌍 제안에서 플림톤 322에 나타난 모든 ''x''가 최대 4자리의 육십진수이며 최대 4자리의 역수를 가지고, ''x''와 1/''x''의 총 자릿수가 7을 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x'' 값 중 세 개가 누락되었는데, 이는 여러 이유로 생략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롭슨은 이러한 추측이 "ad hoc|애드혹영어" 특성을 갖는다고 인정하며, 이는 플림톤 322 저자의 선택 기준을 추측하는 모든 시도를 비판하기 위한 수사적 장치라고 설명한다.[22]

5. 1. 생성 쌍

현대적인 용어로, ''p''와 ''q''가 ''p'' > ''q''인 자연수일 때 (''p''2 − ''q''2, 2''pq'', ''p''2 + ''q''2)는 피타고라스 삼조를 이룬다. 세 변의 최대공약수가 없는, 즉 세 변이 서로소일 때, ''p''와 ''q''가 서로소이고 둘 다 홀수가 아니면 이 삼조는 원시적이다. 노이게바우어와 삭스는 플림톤 322가 서로소 정칙수(그러나 둘 다 홀수일 수 있음—15행 참조)인 ''p''와 ''q''를 선택하고, ''d'' = ''p''2 + ''q''2, ''s'' = ''p''2 − ''q''2, ''l'' = 2''pq'' (따라서 ''l''도 정칙수임)를 계산하여 만들어졌을 것이라고 제안했다.[19]

예를 들어, 플림톤 322의 1행은 ''p'' = 12와 ''q'' = 5로 설정하여 만들어졌을 것이다. Buck과 Robson은 모두 이 제안에서 첫 번째 열의 존재가 구성에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의문스럽다고 지적한다. 또한 이 가설은 플림톤 322의 파손된 부분에서 왼쪽에 열로 나열되었을 수도 있는 ''p'' 또는 ''q''의 값에 따라 정렬되지 않고, 표의 행이 정렬된 이유를 설명하지 못한다.[19] Robson은 이 제안이 표의 오류가 어떻게 발생했는지 설명하지 못하며, 당시의 수학 문화와도 맞지 않다고 주장한다.[19]

역수쌍 제안에서 수 ''x''는 생성쌍 제안에서 비율 ''p'' / ''q''에 해당한다. 두 제안은 계산 방법에서 차이가 있지만, 수학적으로는 결과에 큰 차이가 없으며, 동일한 삼중항을 생성한다. 단, ''p''와 ''q''가 모두 홀수인 경우 전체적으로 2라는 인수가 곱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 차이점이 나타나는 경우는 플림톤 322의 15행뿐인데, 이 행에는 오류가 있어서 두 제안을 구별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19] 역수쌍 제안의 지지자들은 ''x''가 기본 ''p''와 ''q''에서 계산되었는지, 아니면 플림톤 322 계산에 ''p'' / ''q''와 ''q'' / ''p''의 조합만 사용되었는지에 대해 의견이 다르다.[19] 혹은 ''x''가 역수표와 같은 다른 출처에서 직접 얻어졌는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갈린다.[20]

후자의 가설의 한 가지 어려움은 필요한 ''x'' 또는 1/''x'' 값 중 일부가 네 자리 60진법 숫자이며, 네 자리 역수표는 알려져 있지 않다는 것이다. 노이게바우어와 삭스는 원래 연구에서 역수쌍을 사용할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이 때문에 거부했다. 그러나 롭슨은 알려진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의 자료와 계산 방법으로 사용된 모든 ''x'' 값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9]

노이게바우어와 삭스는 플림톤 322의 삼각형 치수가 거의 이등변 직각삼각형(짧은 변 119가 긴 변 120과 거의 같음)에서 예각이 30°와 60°에 가까운 직각삼각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각도가 약 1°씩 비교적 균일하게 감소한다고 지적한다. 그들은 쌍 ''p'', ''q''가 이러한 목표를 염두에 두고 의도적으로 선택되었다고 제안한다.

de Solla Price는 생성 쌍 프레임워크 내에서 작업하면서, 표의 모든 행이 1 ≤ ''q'' < 60을 만족하는 ''q''에 의해 생성된다는 것을 관찰했는데, 즉, ''q''는 항상 한 자리 육십진수라는 것이다. 비율 ''p''/''q''는 표의 1행에서 12/5 = 2.4로 가장 큰 값을 가지므로 √2 + 1|루트 2 + 1영어 ≈ 2.414보다 항상 작으며, 이는 ''p''2 − ''q''2가 삼각형의 긴 변이고 2''pq''가 짧은 변임을 보장하는 조건이며, 현대 용어로, 길이 ''p''2 − ''q''2의 변에 마주보는 각도가 45°보다 작음을 의미한다.

비율은 15행에서 가장 작으며, 여기서 ''p''/''q'' = 9/5이고 각도는 약 31.9°이다. 또한, ''q''가 한 자리 육십진수인 9/5와 12/5 사이에는 정확히 15개의 규칙적인 비율이 있으며, 이들은 플림톤 322의 행과 일대일 대응 관계에 있다. 그는 숫자의 균등한 간격이 의도된 것이 아닐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는 단순히 플림톤 322에서 고려된 숫자 범위 내에서 규칙적인 숫자 비율의 밀도에서 비롯되었을 수도 있다.

de Solla Price는 비율의 자연스러운 하한이 1일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0°의 각도에 해당한다. 그는 ''q''가 한 자리 육십진수라는 요구 사항을 유지하면서, 플림톤 322에 표시된 것 외에 23쌍이 더 있어 총 38쌍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플림톤 322의 열 사이의 수직 점수가 뒷면까지 이어져 있어, 필사자가 표를 확장하려 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지적한다. 그는 사용 가능한 공간이 23개의 추가 행을 정확하게 수용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상호 쌍 제안의 지지자들도 이 방식을 옹호했다.[21]

Robson은 이 제안을 직접적으로 다루지는 않지만, 표가 "완전"하지는 않다는 데 동의한다. 그녀는 상호 쌍 제안에서, 플림톤 322에 표시된 모든 ''x''는 최대 4자리의 육십진수이며 최대 4자리의 역수를 가지며, ''x''와 1/''x''의 총 자릿수는 결코 7을 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속성을 요구 사항으로 간주하면, 플림톤 322에서 정확히 세 개의 ''x'' 값이 "누락"되며, 그녀는 이것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매력적이지 않기 때문에 생략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녀는 이 계획의 "충격적으로 ad hoc|애드혹영어" 특성을 인정하는데, 이는 주로 플림톤 322 저자의 선택 기준을 추측하려는 모든 시도를 비판하는 수사적 장치 역할을 한다.[22]

5. 2. 역수 쌍

x|xbb와 그 역수 1/x|xbb는 정규 육십진법 분수이다. 여기서 '정규 육십진법 분수'는 x|xbb가 2, 3, 5의 거듭제곱(음수 가능)의 곱을 의미한다. 이때, (x|xbb−1/x|xbb)/2, 1, (x|xbb+1/x|xbb)/2는 유리수 피타고라스 삼조를 형성하고, 세 변 모두 유한 육십진법 표현을 갖는다.[14]

x|xbb와 1/x|xbb는 주어진 길이 c|cbb만큼 긴 변이 짧은 변보다 긴 면적 1인 직사각형의 변을 찾는 문제(이차 방정식 x|xbb-tfrac1x|tfrac1xbb=c|cbb의 해)에서 나타난다. YBC 6967 태블릿에서는 이 문제를 v|vbb1 = c|cbb/2, v|vbb2 = v|vbb12, v|vbb3 = 1 + v|vbb2, v|vbb4 = v|vbb31/2를 계산하여 x|xbb = v|vbb4 + v|vbb1 및 1/x|xbb = v|vbb4 − v|vbb1을 계산한다.

YBC 6967의 문제는 x|xbb-=c|cbb 방정식을 풀며, v|vbb3 = 60 + v|vbb2로 대체된다. 이때, 변이 v|vbb1, }, v|vbb4가 되는 유리수 삼조는 생성되지 않는다.

플림톤 322의 열은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v|vbb3 = ((x|xbb + 1/x|xbb)/2)2 = 1 + (c|cbb/2)2 (첫 번째 열)

::a|abb·v|vbb1 = a|abb·(x|xbb − 1/x|xbb)/2 (승수 a|abb, 두 번째 열)

::a|abb·v|vbb4 = a|abb·(x|xbb + 1/x|xbb)/2 (세 번째 열)

x|xbb와 1/x|xbb(또는 v|vbb1과 v|vbb4)는 첫 번째 열 왼쪽에 나타났을 것이다. 열 1은 계산의 중간 단계이며, 행 순서는 x|xbb(또는 v|vbb1)의 내림차순 값으로 정렬된다. 승수 a|abb는 변 길이를 재조정하는 것으로, "후행 부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발생한다.[14]

태블릿의 오류는 모두 상호 쌍 제안에서 자연스럽게 설명된다. 그러나 열 2와 3의 역할, 승수 a|abb의 필요성은 설명되지 않는다.[15]

쇠옌 컬렉션의 MS 3052와 MS 3971 태블릿은 상호 쌍을 시작점으로 사용하여 직사각형의 대각선과 변 길이를 계산하는 예를 포함한다. 두 태블릿 모두 플림톤 322와 거의 같은 시대의 고대 바빌로니아 태블릿이며, 라르사 근처의 우루크에서 온 것으로 추정된다.[16]

MS 3971에는 다섯 개의 문제 목록이 있다. 각 문제의 데이터는 상호 쌍으로 구성되며, 직사각형의 대각선과 너비(짧은 변)의 길이가 계산된다. 현대 용어로 계산은 x|xbb와 1/x|xbb가 주어지면, (x|xbb+1/x|xbb)/2(대각선)를 계산하고, } (너비)를 계산한다.

MS 3052의 두 번째 문제도 MS 3971의 문제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텍스트의 보존된 부분은 길이를 1로 표시하고, 너비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대각선의 제곱에서 빼는 1을 길이의 제곱으로 명시적으로 계산한다.[17]

두 태블릿의 문제에 대한 초기 데이터와 계산된 너비 및 대각선은 아래 표와 같다.

문제x|xbb1/x|xbb너비길이대각선
MS 3052 § 221/23/415/4
MS 3971 § 3a16/15(?)15/16(?)31/480(?)1481/480(?)
MS 3971 § 3b5/33/58/15117/15
MS 3971 § 3c3/22/35/12113/12
MS 3971 § 3d4/33/47/24125/24
MS 3971 § 3e6/55/611/60161/60



MS 3971 § 3a의 매개변수는 불확실하다. MS 3052의 문제 매개변수는 플림톤 322의 행 11의 (3,4,5) 직각 삼각형 재조정에 해당한다. MS 3971의 매개변수는 플림톤 322의 행과 일치하지 않지만, de Solla Price의 플림톤 322 테이블 확장 제안의 행에는 해당한다.

YBC 6967의 문제에서 상호 쌍은 면적 1인 직사각형의 변의 길이지만, MS 3052 및 MS 3971의 문제에서는 x|xbb와 1/x|xbb의 기하학적 의미가 명시되지 않았다. 유한 육십진법 너비와 대각선을 가진 직사각형을 생성하기 위한 절차를 적용하는 것이 목표로 보인다.[18]

역수 쌍 제안에서 수량 x|xbb는 생성 쌍 제안의 비율 p|pbb / q|qbb에 해당한다. 두 제안은 계산 방법에서 차이가 있지만, 수학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다. 단, p|pbb와 q|qbb가 모두 홀수인 경우 2라는 인수가 곱해진다.[19] x|xbb가 기본 p|pbb와 q|qbb에서 계산되었는지, 아니면 p|pbb / q|qbb와 q|qbb / p|pbb의 조합만 사용되었는지, 혹은 x|xbb가 역수표와 같은 다른 출처에서 직접 얻어졌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린다.[20]

x|xbb 또는 1/x|xbb 값 중 일부는 네 자리 60진법 숫자이며, 네 자리 역수표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알려진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의 자료와 계산 방법으로 사용된 모든 x|xbb 값을 설명할 수 있다.

de Solla Price는 생성 쌍 프레임워크 내에서 표의 모든 행이 1 ≤ q|qbb<60을 만족하는 q|qbb에 의해 생성된다고 관찰했다. 비율 p|pbb/q|qbb는 표의 1행에서 12/5=2.4로 가장 크며, \sqrt{2}+1\approx2.414보다 항상 작다. 비율은 15행에서 가장 작으며, p|pbb/q|qbb=9/5이고 각도는 약 31.9°이다. q|qbb가 한 자리 육십진수인 9/5와 12/5 사이에는 정확히 15개의 규칙적인 비율이 있으며, 이들은 태블릿의 행과 일대일 대응 관계에 있다.

de Solla Price는 비율의 자연스러운 하한이 1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q|qbb가 한 자리 육십진수라는 요구 사항을 유지하면서, 태블릿에 표시된 것 외에 23쌍이 더 있어 총 38쌍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태블릿의 열 사이의 수직 점수가 뒷면까지 이어져 있어, 필사자가 표를 확장하려 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는 사용 가능한 공간이 23개의 추가 행을 정확하게 수용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상호 쌍 제안의 지지자들도 이 방식을 옹호했다.[21]

6. 목적 및 저자

오토 노이게바우어는 수론적 해석을 주장했지만, 표의 항목들이 특정 범위 내에서 1열의 값이 상당히 규칙적으로 감소하도록 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선택된 결과라고 믿었다.[23]

버크(Buck)와 롭슨(Robson)은 모두 삼각법적 설명을 언급했지만, 롭슨은 언어학적 근거를 들어 삼각법 이론이 "개념적으로 시대착오적"이라고 주장했다. 즉, 당시 바빌로니아 수학 기록에 존재하지 않는 너무 많은 다른 아이디어에 의존한다는 것이다.[24]

2003년, 미국수학회(MAA)는 롭슨의 연구에 대해 레스터 R. 포드 상을 수여하며, "플림톤 322의 저자는 전문 수학자나 아마추어 수학자였을 가능성이 낮다. 그는 교사였을 가능성이 더 높으며 플림톤 322는 일련의 연습 문제였을 것이다."라고 밝혔다.[25]

롭슨은 현대적 용어로 대수학적이라고 특징지을 수 있는 접근 방식을 취했지만, 이를 구체적인 기하학적 용어로 설명하고 바빌로니아인들도 이 접근 방식을 기하학적으로 해석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 점토판은 일련의 풀이된 연습 문제를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당시 서기 학교의 전형적인 수학적 방법을 사용하며, 해당 시대의 행정가들이 사용했던 문서 형식으로 작성되었다.[26] 롭슨은 저자가 라르사의 서기, 즉 관료였을 것이라고 주장한다.[27] 플림톤 322와 BM 80209와 같은 유사한 점토판의 반복적인 수학적 설정은 교사가 서로 동일한 형식으로, 그러나 다른 데이터를 사용하여 문제를 설정하는 데 유용했을 것이다.

참조

[1] 간행물 Jewels in Her Crown: Treasures of Columbia University Libraries Special Collections http://www.columbia.[...] Columbia University
[2] 문서 Harvtxt|Robson|2002
[3] 문서 When comparing dates given by different sources, note that many of Wikipedia's articles on the ancient world use the short chronology, while much of the history of mathematics literature uses the middle chronology. An exception is {{harvtxt|Britton|Proust|Shnider|2011}}, which uses the long chronology.
[4] 문서 Harvtxt|Robson|2002
[5] 문서 Harvtxt|Robson|2002
[6] 문서 Harvtxt|Robson|2001
[7] 문서 Harvtxt|Friberg|1981
[8] 문서 Harvtxt|Friberg|1981
[9] 문서 See also {{harvtxt|Friberg|1981}}, pp. 298–299; {{harvtxt|Robson|2001}}, p. 193; {{harvtxt|Britton|Proust|Shnider|2011}}, p, 537–538.
[10] 문서 Harvtxt|Friberg|2007
[11] 문서 Harvtxt|Bruins|1949
[12] 문서 unpublished, but described in {{harvtxt|Buck|1980}}
[13] 문서 Harvtxt|Friberg|1981
[14] 문서 Harvtxt|Friberg|2007
[15] 문서 Harvtxt|Robson|2001
[16] 문서 Harvtxt|Friberg|2007
[17] 문서 Harvtxt|Friberg|2007
[18] 문서 Harvtxt|Britton|Proust|Shnider|2011
[19] 문서 Harvtxt|Friberg|1981
[20] 문서 Harvtxt|Bruins|1957
[21] 문서 Harvtxt|Friberg|1981
[22] 문서 Harvtxt|Robson|2001
[23] 간행물 Plimpton 322 http://aleph0.clarku[...]
[24] 문서 Harvtxt|Robson|2002
[25] 간행물 MathFest 2003 Prizes and Awards http://www.maa.org/f[...]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26] 문서 Harvtxt|Robson|2002
[27] 문서 Harvtxt|Robson|2002
[28] 문서 Robson, Eleanor. "Words and Pictures: New Light on Plimpton 322," in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February 2002, 109, pp. 105–119.
[29] 문서 Robson (2002), p.109.
[30] 문서 Robson (2002), p.111.
[31] 문서 Robson (2002), in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p.110.
[32] 문서 Robson (2002), in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p.116.
[33] 웹사이트 The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https://maa.org/math[...] 2009-02-24
[34] 서적 Mathematical Cuneiform Texts American Oriental Society and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35] 문서 Robson (2002), in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pp.117-118.
[36] 간행물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