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에르 샤를 알렉상드르 루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에르 샤를 알렉상드르 루이는 19세기 프랑스의 의사로, 임상 병리학과 부검 기록을 바탕으로 연구하여 사혈법의 효과를 수치적으로 분석하는 '수치적 방법'을 개발했다. 그는 폐렴에 대한 사혈의 효과를 연구하여 사혈이 질병 후기에만 유효하다는 결론을 내렸으며, 이러한 연구는 당시 유행하던 사혈 치료의 쇠퇴에 영향을 미쳤다. 루이는 또한 병력 표준화에 기여했으며, 올리버 웬들 홈스 시니어의 멘토로도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른주 출신 -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는 프랑스 출신의 시인이자 식물학자이며, 프로이센 군 복무와 세계 일주 탐험을 거쳐 소설 《페터 슐레미흘의 기이한 이야기》를 대표작으로 남겼고, 식물학 연구와 시 창작으로 명성을 얻었다.
  • 마른주 출신 - 교황 우르바노 2세
    교황 우르바노 2세는 1088년부터 1099년까지 재위하며 제1차 십자군 파병을 호소하여 십자군 운동을 촉발하고, 개혁을 추진하며 교황권을 강화하다가 제1차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점령하기 직전에 사망한 인물이다.
  • 1787년 출생 -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는 나폴레옹에 반대하며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1세와 결혼하여 반(反) 나폴레옹 세력의 중심 인물로 활약했으며, 헝가리 왕비 즉위식에서 지원 약속을 받아내고 빈 회의를 주최했으나, 고향으로 돌아가 결핵으로 사망했다.
  • 1787년 출생 - 쇼코왕
    쇼코왕은 류큐 왕국의 제16대 국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의사 증원과 형법전 편찬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말년의 정신 질환과 대기근으로 인해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 1872년 사망 - 윌리엄 웨브 엘리스
    윌리엄 웨브 엘리스는 1823년 럭비 스쿨에서 풋볼 경기 중 공을 들고 달려 럭비의 기원을 만들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럭비 풋볼 창시자로 널리 알려져 럭비 월드컵 우승 트로피인 웨브 엘리스 컵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 1872년 사망 - 새뮤얼 모스
    새뮤얼 모스는 미국의 화가이자 발명가로, 초상화가로서 작품을 남겼으며, 아내의 사망 소식을 늦게 접한 것을 계기로 전신 시스템과 모스 부호를 발명하여 통신 기술 발전에 기여했고, 만년에는 정치적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피에르 샤를 알렉상드르 루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피에르 샤를 알렉상드르 루이, 양복, 코트, 안경을 착용한 남자의 그림
필딩 허드슨 개리슨의 의학사 입문에서 피에르 샤를 알렉상드르 그림
이름피에르 샤를 알렉상드르 루이
원어 이름Pierre Charles Alexandre Louis
출생일1787년 4월 14일
출생지프랑스 샹파뉴 아이
사망일1872년 8월 22일
안장 장소몽파르나스
국적프랑스
연구 분야
분야의학, 병리학, 역학
직장파리 오텔 디외, 피티에-살페트리에르 병원
지도 학생빅토르 고티에
알려진 업적역학 및 현대 임상시험의 전신인 "수치법" 개발
기타 정보

2. 생애

루이는 마른주 아예에서 태어나 프랑스 혁명 시기에 성장했다. 1813년 의학 학위를 받았으며, 초기에는 랭스에서, 이후 파리에서 학업을 이어갔다.[1] 졸업 후 러시아에서 활동하다 파리로 돌아와 피티에-살페트리에르 병원 등에서 근무하며 연구를 진행했다.[5]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서 의사 면허를 취득하고 오데사에서 의사로 활동하기도 했다.[13]

만년에 결혼하여 아들을 얻었으나, 아들은 어린 나이에 결핵으로 사망했다.[3] 루이는 아들이 사망한 해에 의료 활동에서 은퇴했다.[3] 찰스 섬너는 루이를 "매우 수동적인 표정을 가진 키가 큰 남자"라고 묘사했다.[4]

1820년 파리로 돌아와 오텔-디외 병원과 피티에 병원에서 의사로 일하며, 임상 병리학 및 부검 기록을 바탕으로 연구했다.[13] 1828년 "''Recherche sur les effets de la saignée dans plusieurs maladies inflammatoires''"을 발표하여 사혈법이 질병 치료에 효과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1835년 저서 "''Recherches sur les effets de la saignée dan quelques maladies inflammatoires, et sur l’action de l’émétique et des vésicatoires dans la pneumonie.''"를 통해 수치적 방법을 이용한 치료 효과 평가 방법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루이의 연구와, 프랑수아 조제프 빅토르 브루세(François-Joseph-Victor Broussais)가 사혈 치료로 당시 총리 카시미르 피에르 페리에(Casimir Pierre Périer)를 사망하게 한 사건은 프랑스에서 사혈 치료가 쇠퇴하는 계기가 되었다.[14]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루이는 마른주 아예의 샹파뉴에서 와인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프랑스 혁명 시기에 성장했으며, 처음에는 법학을 공부하려 했으나 나중에 의학으로 전향하여 1813년에 졸업했다. 랭스에서 초기 학업을 마쳤고, 파리에서 학업을 최종적으로 완료했다.[1]

2. 2. 러시아에서의 활동

졸업 후 루이는 가족 친구인 생-프리스트 백작을 따라 러시아로 갔고, 1816년 우크라이나오데사시에 정착하기 전까지 백작과 함께 여러 해 동안 여행했다. 그는 4년 동안 성공적인 개인 진료를 유지하며 차르로부터 명예 의사 칭호를 받았다.[3] 그러나 1820년 디프테리아가 발생하면서 자신의 의학 지식의 부족함을 깨닫게 되었다.[3][2] 그는 파리로 돌아와 처음에는 무보수로[3] 7년 동안 병원에서 일하며 수천 명의 환자 사례 기록을 수집하고 수백 건의 부검을 수행했다. 그는 결국 결핵장티푸스 치료에 대한 연구를 썼으며, 치료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수치적 방법"을 제시했다.[2]

2. 3. 파리에서의 연구 활동

1820년 디프테리아 발생으로 자신의 의학 지식 부족을 깨달은[3][2] 루이는 파리로 돌아와 처음에는 무보수로[3] 7년 동안 병원에서 일하며 수천 명의 환자 사례 기록을 수집하고 수백 건의 부검을 수행했다. 그는 결국 결핵장티푸스 치료에 대한 연구를 썼으며, 치료법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수치적 방법"을 제시했다.[2] 루이는 파리의 피티에-살페트리에르 병원에서도 가르쳤으며, 올리버 웬들 홈스 시니어를 그의 제자 중 한 명으로 꼽았다.[5]

2. 4. 가족

루이는 만년에 결혼하여 아들 하나를 두었지만, 아들 아르망은 1854년에 소년 시절 결핵으로 사망했다.[3]

3. 수치적 방법

루이는 사례 연구와 부검으로 얻은 정보를 수치적으로 분석하여 다양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3] 특히 폐렴 환자 77명을 대상으로 사혈의 효과를 연구했다. 환자들의 발병 시기, 지속 시간, 사망률을 분석하고, 사혈 시기를 질병 시작 후 1~4일(조기) 또는 5~9일(후기)로 나누어 비교했다. 그 결과, 조기 사혈은 회복 속도는 빨랐지만 사망률은 더 높았으며, 후기 사혈이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3]

루이의 연구 결과는 사혈 관행이 쇠퇴하던 시기에 발표되어, 의학계에 미친 영향은 명확히 평가하기 어렵다.[3]

3. 1. 개발 배경

19세기 프랑스 의사 프랑수아 조제프 빅토르 브루세는 장기염증으로 인한 것이며, 사혈이 모든 열에 효과적인 치료법이라는 영향력 있는 이론을 제안했다.[6] 루이는 이에 동의하지 않고 1828년에 논문을 발표하여[3] (1834년 ''미국 의학 저널''에 "임상 지침에 대한 에세이"라는 책 길이의 논문으로 확대됨) 폐렴에 대한 사혈의 사용이 효과가 없음을 입증했다.[7]

루이의 접근 방식은 당시 의사들이 현재 치료법의 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검사를 기다리거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진 경우 치료법을 폐기하는 것을 꺼려하여 강하게 저항했다. 점차 루이의 방법은 의사들이 "수치적 방법"이 치료 접근 방식에 객관성을 더하고 결과를 개선한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받아들여졌다.[7] "수치적 방법"은 동일한 질병을 가진 환자 집단의 평균을 사용하여 해당 질병의 개별 사례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할지 결정하는 것을 포함했다.[8]

루이는 단순한 질병 외에 환자의 유사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서로 다른 치료 그룹의 환자 연령, 식단, 질병 심각도 및 사혈 외에 사용된 기타 치료법과 같은 요인을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또한 개별 환자 간의 차이가 그룹에서 "평균화"될 것이라는 믿음으로 (개별이 아닌) 집단 비교의 중요성을 강조했지만, 이를 보장하기 위한 무작위 추출의 중요성을 파악하지 못했다.[9] 반대자들은 개별 사례가 통계적으로 평균적인 그룹으로 결합하기에는 너무 다양하다고 주장했고, 루이는 개별 사례조차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하고, 각 사례가 고유하다면 의학 내에서 진전이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함으로써 대응했다. 루이는 자신의 연구에 치료 방법에 대한 절대적인 확신을 가질 수 있을 만큼 사례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인정했고, 그의 제자는 총 500개의 사례가 축적되면 확신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8]

루이가 수학이나 의학 교육을 어떻게 받았는지, 또는 어떻게 그의 "수치적 방법"을 개발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3] 그의 실천 당시, 수학자 피에르시몽 라플라스는 매우 영향력이 있었고 과학의 구성 요소로 상관 관계의 개념을 도입했는데, 루이는 그의 연구 중에 이러한 개념을 활용했을 수 있다.[3]

3. 2. 내용 및 특징

1823년부터 루이는 자신의 사례 연구 및 부검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수치적으로 분석하여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 시작했다.[3]

19세기 프랑스 의사 프랑수아 조제프 빅토르 브루세는 장기염증으로 인한 것이며, 사혈은 모든 열에 효과적인 치료법이라는 영향력 있는 이론을 제안했다.[6] 루이는 이에 동의하지 않고 1828년에 논문을 발표하여[3] (1834년 ''미국 의학 저널''에 "임상 지침에 대한 에세이"라는 책 길이의 논문으로 확대됨) 폐렴에 대한 사혈의 사용이 효과가 없음을 입증했다.[7]

루이의 접근 방식은 당시 의사들이 현재 치료법의 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검사를 기다리거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진 경우 치료법을 폐기하는 것을 꺼려하여 강하게 저항했다. 점차 루이의 방법은 의사들이 "수치적 방법"이 치료 접근 방식에 객관성을 더하고 결과를 개선한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받아들여졌다.[7] "수치적 방법"은 동일한 질병을 가진 환자 집단의 평균을 사용하여 해당 질병의 개별 사례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할지 결정하는 것을 포함했다.[8]

연구의 일환으로 루이는 단순한 질병 외에 환자의 유사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서로 다른 치료 그룹의 환자 연령, 식단, 질병 심각도 및 사혈 외에 사용된 기타 치료법과 같은 요인을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루이는 또한 개별 환자 간의 차이가 그룹에서 "평균화"될 것이라는 믿음으로 (개별이 아닌) 집단 비교의 중요성을 강조했지만, 이를 보장하기 위한 무작위 추출의 중요성을 파악하지 못했다.[9] 반대자들은 개별 사례가 통계적으로 평균적인 그룹으로 결합하기에는 너무 다양하다고 주장했다. 루이는 개별 사례조차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하고, 각 사례가 고유하다면 의학 내에서 진전이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함으로써 대응했다. 루이는 자신의 연구에 치료 방법에 대한 절대적인 확신을 가질 수 있을 만큼 사례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인정했고, 그의 제자는 총 500개의 사례가 축적되면 확신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8]

루이의 이 주제에 대한 첫 번째 연구는 폐렴에 대한 사혈의 사용에 관한 것으로, 매우 유사한 형태의 폐렴을 앓고 있는 77명의 환자를 선택했다. 발병 시기, 지속 시간 및 질병 사망률을 결정한 후, 루이는 사혈의 시기를 빠름(질병 시작 후 1~4일) 또는 늦음(5~9일)으로 분석했다. 이러한 환자를 기반으로 루이는 조기에 사혈을 받은 환자가 늦게 사혈을 받은 환자보다 더 빨리 회복되었지만 사망률도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루이는 사혈은 질병의 후기 단계에서만 유효하다고 결론 내렸다. 루이의 연구가 의학 관행에 미치는 궁극적인 영향은 그가 결과를 발표했을 때 이미 사혈의 관행이 쇠퇴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평가하기 어렵다.[3]

루이가 수학이나 의학 교육을 어떻게 받았는지, 또는 어떻게 그의 "수치적 방법"을 개발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3] 그의 실천 당시, 수학자 피에르시몽 라플라스는 매우 영향력이 있었고 과학의 구성 요소로 상관 관계의 개념을 도입했다. 루이는 그의 연구 중에 이러한 개념을 활용했을 수 있다.[3]

3. 3. 사혈에 대한 연구

1823년부터 루이는 자신의 사례 연구 및 부검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수치적으로 분석하여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 시작했다.[3]

19세기에 프랑스 의사 프랑수아 조제프 빅토르 브루세는 장기염증으로 인한 것이며, 사혈은 모든 열에 효과적인 치료법이라는 영향력 있는 이론을 제안했다.[6] 루이는 이에 동의하지 않고 1828년에 논문을 발표하여[3] (1834년 ''미국 의학 저널''에 "임상 지침에 대한 에세이"라는 책 길이의 논문으로 확대됨) 폐렴에 대한 사혈의 사용이 효과가 없음을 입증했다.[7] 루이의 접근 방식은 당시 의사들이 현재 치료법의 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검사를 기다리거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진 경우 치료법을 폐기하는 것을 꺼려하여 강하게 저항했다. 점차 루이의 방법은 의사들이 "수치적 방법"이 치료 접근 방식에 객관성을 더하고 결과를 개선한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받아들여졌다.[7] "수치적 방법"은 동일한 질병을 가진 환자 집단의 평균을 사용하여 해당 질병의 개별 사례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할지 결정하는 것을 포함했다.[8] 연구의 일환으로 루이는 단순한 질병 외에 환자의 유사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서로 다른 치료 그룹의 환자 연령, 식단, 질병 심각도 및 사혈 외에 사용된 기타 치료법과 같은 요인을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루이는 또한 개별 환자 간의 차이가 그룹에서 "평균화"될 것이라는 믿음으로 (개별이 아닌) 집단 비교의 중요성을 강조했지만, 이를 보장하기 위한 무작위 추출의 중요성을 파악하지 못했다.[9] 반대자들은 개별 사례가 통계적으로 평균적인 그룹으로 결합하기에는 너무 다양하다고 주장했다. 루이는 개별 사례조차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하고, 각 사례가 고유하다면 의학 내에서 진전이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함으로써 대응했다. 루이는 자신의 연구에 치료 방법에 대한 절대적인 확신을 가질 수 있을 만큼 사례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인정했고, 그의 제자는 총 500개의 사례가 축적되면 확신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8]

루이의 이 주제에 대한 첫 번째 연구는 폐렴에 대한 사혈의 사용에 관한 것으로, 매우 유사한 형태의 폐렴을 앓고 있는 77명의 환자를 선택했다. 발병 시기, 지속 시간 및 질병 사망률을 결정한 후, 루이는 사혈의 시기를 빠름(질병 시작 후 1~4일) 또는 늦음(5~9일)으로 분석했다. 이러한 환자를 기반으로 루이는 조기에 사혈을 받은 환자가 늦게 사혈을 받은 환자보다 더 빨리 회복되었지만 사망률도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루이는 사혈은 질병의 후기 단계에서만 유효하다고 결론 내렸다. 루이의 연구가 의학 관행에 미치는 궁극적인 영향은 그가 결과를 발표했을 때 이미 사혈의 관행이 쇠퇴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평가하기 어렵다.[3]

루이가 수학이나 의학 교육을 어떻게 받았는지, 또는 어떻게 그의 "수치적 방법"을 개발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3] 그의 실천 당시, 수학자 피에르시몽 라플라스는 매우 영향력이 있었고 과학의 구성 요소로 상관 관계의 개념을 도입했다. 루이는 그의 연구 중에 이러한 개념을 활용했을 수 있다.[3]

임상 병리학 및 부검 기록을 바탕으로 연구하여 1828년 "''Recherche sur les effets de la saignée dans plusieurs maladies inflammatoires''"(여러 염증성 질환에서 사혈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여 사혈법이 질병 치료에 효과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1835년 저서 "''Recherches sur les effets de la saignée dan quelques maladies inflammatoires, et sur l’action de l’émétique et des vésicatoires dans la pneumonie.''"(몇몇 염증성 질환에서 사혈의 효과와 폐렴에서 구토제 및 수포제의 작용에 대한 연구)와 함께, 수치적 방법을 통해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의 선구자였다.

루이의 연구와 유명한 의사 프랑수아 조제프 빅토르 브루세(François-Joseph-Victor Broussais)가 사혈 치료로 당시 총리 카시미르 피에르 페리에(Casimir Pierre Périer)를 사망하게 한 것으로 인해, 프랑스에서의 사혈 치료는 쇠퇴하게 되었다.[14]

3. 4. 한계 및 의의

19세기 프랑스 의사 프랑수아 조제프 빅토르 브루세는 장기염증으로 인한 것이며, 사혈은 모든 열에 효과적인 치료법이라는 영향력 있는 이론을 제안했다.[6] 루이는 이에 동의하지 않고 1828년에 논문을 발표하여 폐렴에 대한 사혈의 사용이 효과가 없음을 입증했다.[7] 당시 의사들은 치료법의 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검사를 기다리거나 효과가 없는 경우 치료법을 폐기하는 것을 꺼려했기 때문에 루이의 접근 방식은 강한 저항을 받았다.[7] 점차 루이의 방법은 의사들이 "수치적 방법"이 치료 접근 방식에 객관성을 더하고 결과를 개선한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받아들여졌다.[7] "수치적 방법"은 동일한 질병을 가진 환자 집단의 평균을 사용하여 해당 질병의 개별 사례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할지 결정하는 것을 포함했다.[8]

루이는 연구의 일환으로 단순한 질병 외에 환자의 유사성(연령, 식단, 질병 심각도, 사혈 외에 사용된 기타 치료법 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또한 개별 환자 간의 차이가 그룹에서 "평균화"될 것이라는 믿음으로 (개별이 아닌) 집단 비교의 중요성을 강조했지만, 이를 보장하기 위한 무작위 추출의 중요성을 파악하지 못했다.[9] 반대자들은 개별 사례가 통계적으로 평균적인 그룹으로 결합하기에는 너무 다양하다고 주장했다. 루이는 개별 사례조차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하고, 각 사례가 고유하다면 의학 내에서 진전이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함으로써 대응했다.[8]

루이가 수학이나 의학 교육을 어떻게 받았는지, 또는 어떻게 그의 "수치적 방법"을 개발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3] 그의 실천 당시, 수학자 피에르시몽 라플라스는 매우 영향력이 있었고 과학의 구성 요소로 상관 관계의 개념을 도입했다. 루이는 그의 연구 중에 이러한 개념을 활용했을 수 있다.[3]

4. 영향 및 유산

루이는 환자를 노출/영향을 받은 그룹과 노출되지 않은/영향을 받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어 질병과 원인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역학 연구를 수행하여 폐기종의 유전적 특성을 추론했다.[6] 수치적 방법에 대한 연구로, 루이는 그의 제자들이 결성한 단체인 의학 관찰 협회의 종신 회장으로 선출되었다.[3] 루이는 또한 일반적인 건강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하여 특정 증상으로 좁혀지는 병력을 표준화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3] 그는 1849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0]

루이는 젊은 시절 파리에서 훈련받는 동안 올리버 웬들 홈스 시니어의 멘토였으며 그의 회의적인 관점에 큰 영향을 미쳤다.[11][12]

5. 비판적 시각

루이는 환자를 노출/영향을 받은 그룹과 노출되지 않은/영향을 받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어 질병과 원인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등 유사한 사전 역학 연구를 수행했다. 예를 들어, 폐기종의 유전적 특성을 추론했다.[6]

참조

[1] 서적 Doctors and Discoveries: Lives That Created Today's Medicine Houghton Mifflin Harcourt
[2] 서적 The Houghton Mifflin Dictionary of Biography Houghton Mifflin Harcourt
[3] 서적 To improve the evidence of medicine: the 18th century British origins of a critical approach Royal College of Physicians of Edinburgh 2000
[4] 서적 Memoir and letters of Charles Sumner Sampson Low, Marston, Searle & Rivington
[5] 서적 Source Book of Medical History Dover Publications
[6] 서적 The Development of Modern Epidemiology: Personal Reports From Those Who Were There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War on Cancer: An Anatomy of Failure, A Blueprint for the Futur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8] 서적 The Rise of Statistical Thinking, 1820–1900 Princeton University Press
[9] 간행물 Pierre-Charles-Alexandre Louis and the evaluation of bloodletting
[10]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L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6-09-13
[11] 서적 Against the Spirit of System: The French Impulse in Nineteenth-Century American Medicine JHU Press
[12] 서적 Oliver Wendell Holmes in Paris: Medicine, Theology, and the Autocrat of the Breakfast Table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13] 서적 パリ医学散歩 岩波書店
[14] 문서
[15] 서적 Doctors and Discoveries: Lives That Created Today's Medicine Houghton Mifflin Harcourt
[16] 서적 The Houghton Mifflin Dictionary of Biography Houghton Mifflin Harcourt
[17] 서적 To improve the evidence of medicine: the 18th century British origins of a critical approach Royal College of Physicians of Edinburgh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