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에르 셰페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에르 셰페르는 프랑스의 작곡가이자 음악 이론가로, 구체 음악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1910년 낭시에서 태어나 공학을 전공했으나, 음악에 대한 열정을 버리지 못하고 방송국에서 음향 실험을 시작했다. 1948년 구체 음악이라는 용어를 만들고, 테이프 레코더를 활용하여 소리를 변형하는 등 새로운 음악 기법을 시도했다. 셰페르는 '음악 연구 그룹'(GRM)을 설립하여 구체 음악을 발전시켰으며, 그의 저서와 교육 활동을 통해 많은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철도 연구》, 《한 남자를 위한 교향곡》 등이 있으며, 랩 음악과 전자 음악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음악 작가 - 보리스 비앙
    보리스 비앙은 프랑스 출신의 소설가, 시인, 재즈 음악가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작품을 남겼으며, 사후에 재평가되었다.
  • 로렌 - 보주주
    보주주는 1801년 308,920명에서 1911년 433,914명으로 인구가 증가했으나, 2016년에는 369,641명으로 감소하는 인구 변화를 겪었다.
  • 로렌 - 로렌 십자
    로렌 십자는 두 개의 수평 막대가 있는 십자가 형태로, 헝가리 왕국에서 로렌 공국을 거쳐 프랑스 로렌 지방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자유 프랑스의 상징, 슬로바키아와 헝가리 국장, 결핵 예방 운동의 상징 등으로 활용된다.
  • 프랑스의 음악 평론가 - 카미유 생상스
    카미유 생상스는 1835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오페라, 교향시, 협주곡 등 다양한 장르에서 많은 작품을 남긴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대표적인 작곡가이다.
  • 프랑스의 음악 평론가 - 가오싱젠
    가오싱젠은 실험적인 연극으로 중국 연극계에 영향을 주었으나, 중국 공산당 비판으로 중국 내에서 작품 상연이 금지된 후 프랑스 국적을 취득하고 《영산》, 《어느 한 사람의 성경》 등의 작품으로 2000년 중국어 작가 최초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중국 태생의 프랑스 소설가, 극작가, 번역가, 연출가, 화가이다.
피에르 셰페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73년 셰페르
본명피에르 앙리 마리 셰페르
별칭해당 정보 없음
출생1910년 8월 14일
출생지프랑스 로렌 낭시
사망1995년 8월 19일
사망지엑상프로방스, 부슈뒤론주, 프랑스
직업작곡가, 음악가, 작가, 엔지니어, 교수, 방송인, 음향 전문가, 음악학자, 음반 프로듀서, 발명가, 기업가, 문화 비평가
활동 기간1942년–1990년
음악 관련 정보
레이블GRMC/GRM
INA
Phonurgia Nova, Philips
Disques Adès
EMF
Prospective 21e Siècle
관련 인물해당 정보 없음
영향해당 정보 없음
웹사이트해당 정보 없음
발음

2. 생애

제2차 세계 대전 중, 셰페르는 프랑스 방송국 내 실험 스튜디오를 설립하여 시인들을 중심으로 실험적인 방송 시극 등을 시도하였다.[6] 1942년 "스튜디오 데세 ''Studio d'Essai''"(후에 "클럽 데세 ''Club d'Essai''"로 바뀜)를 공동 설립, 레지스탕스 운동 거점이자 이후 음악 활동의 중심이 되었다.[21]

1948년, 뮈지크 콩크레트(具體音樂)를 창안, 현실의 모든 음을 녹음, 녹음기계 기능으로 변형해 작품으로 구성하였다. 초기에는 레코드 원반에 녹음했으나, 1950년대 전자 음악 발달로 자기녹음 테이프를 사용, 자유롭게 음을 구성하였다.

1949년 피에르 앙리와 협력, 1951년 프랑스 라디오 기관 내 ''구릅 드 레세르슈 드 뮈지크 콩크레트''('''GRMC''', 구체 음악 연구 그룹) 설립.[12] 테이프 레코더를 포함한 새 스튜디오를 통해, 이전 축음기와 턴테이블 작업에서 벗어나는 발전을 이루었다.[13] 셰페르는 자기 테이프를 사용한 최초 작곡가로, 1952년 ''구체 음악 탐구'' 출판, 1953년 유일한 오페라 ''오르페 53'' 초연.[12]

1953년 GRMC를 떠나 뤽 페라리, 프랑수아-베르나르 마르슈와 음악 연구 그룹(GRM)으로 개편했다.

1960년 "프랑스 국립 방송 연구부 ''Service de Recherche de l'ORTF''" 설립, 부장 취임 후 작곡보다 음향 연구와 교육에 집중. 1959년 마지막 작품 《''Etudes aux Objets''》. 1966년 소리 물체 분류 시도 저서 『''Traité des objets musicaux''』 발행.[22]

파리 음악원에서 1968년부터 1980년까지 전자 음악 부교수 등, 1990년까지 많은 저술.

1988년 아르메니아 지진에 78세로 498명 프랑스 구조팀 지휘, 레니나칸 생존자 수색.[15]

만년 알츠하이머병 앓다 1995년 엑상프로방스서 사망, 향년 85세. 베크생 델린쿠르에 묻힘.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10-1935)

셰페르는 1910년 낭시에서 태어났다.[1] 그의 부모는 모두 음악가였으며, 아버지는 바이올리니스트였고 어머니는 가수였다.[5] 처음에는 피에르 또한 음악을 직업으로 삼을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그의 부모는 어린 시절부터 그의 음악 활동을 만류했고, 그에게 공학 교육을 받게 했다.[4] 그는 이 방향으로 여러 대학에서 공부했으며, 그 첫 번째는 고향 낭시에 위치한 생-시지베르 고등학교였다. 이후 1929년 파리에 있는 에콜 폴리테크니크로 옮겨[1][6][7] 1934년에 수도에서 에콜 쉬페리외르 데렉트리시테에서 교육을 마쳤다.[7]

셰페르는 에콜 폴리테크니크에서 라디오 방송에 대한 자격증을 받았다.[8] 그는 또한 에콜 나시오날 쉬페리외르 데 텔레콤에서도 유사한 자격을 받았을 수도 있지만, 실제로 이 대학에 다녔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는다.[8]

1934년 말, 셰페르는 엔지니어로서 첫 직장을 얻어 스트라스부르의 우체국 및 통신국에서 잠시 통신 분야에서 일했다.[7][9] 1935년에는 엘리자베스 슈미트라는 여성과 관계를 시작하여 그해 말에 결혼했고, 첫 아이 마리-클레르 셰페르를 낳았다.[7]

2. 2. 초기 실험과 구체 음악의 탄생 (1936-1948)

제2차 세계 대전 중, 셰페르는 프랑스 방송국 내에 실험 스튜디오를 설립하여 시인들을 중심으로 실험적인 방송 시극 등을 시도하였다.[6] 1942년에는 "스튜디오 데세 ''Studio d'Essai''"(후에 "클럽 데세 ''Club d'Essai''"로 유명해짐)를 공동 설립하였는데, 이곳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레지스탕스 운동의 거점이 됨과 동시에, 그 후의 음악 활동의 중심이 되었다.[21]

1948년, 셰페르는 소음을 몽타주하여 음악을 구성하는 뮈지크 콩크레트(具體音樂)를 창안하였다.[6] 이것은 현실에 존재하는 모든 음을 녹음해 이것을 녹음기계의 기능을 이용하여 여러 모로 변형시켜 하나의 작품으로 구성한 것이었다. 처음에는 레코드 원반에 녹음하였으나 1950년대에 이르러서는 전자공학의 발달로 생겨난 자기녹음 테이프를 사용, 어떤 음이건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게 하였다.

셰페르는 방송국에서 일하면서 방송국 관리자를 설득하여 장비를 사용할 수 있게 된 후, 레코드와 다양한 장치(그들이 만드는 소리와 그 소리의 응용)를 실험했다.[6] 이 실험에서 피에르는 소리를 거꾸로 재생하고, 느리게 하거나 빠르게 하고, 다른 소리와 병치하는 등 당시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기술들을 시도했다.[10][6] 이러한 실험의 결과로 처음 완성된 작품이, 스프링클러나 기차의 소리에서 만들어진 5개의 소품집 "에튀드"(1948년)였다.

thumb에서 테이프 재생을 위한 80개의 스피커로 구성된 아쿠스모니움 (1974)을 발표하고 있다]]

셰페르의 작업은 다양한 장치와 관행을 사용하여 전통적인 음악 스타일에 도전하면서 점차 아방가르드해졌다. 결국, 셰페르와 그의 동료들이 자신들의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하여 만든 독특한 종류의 전자 악기, 예를 들어 크로마틱, 슬라이딩 및 유니버설 포노젠, 프랑수아 베일의 아쿠스모니움과 축음기, 초기 테이프 레코더와 같은 다양한 장치들이 그의 작업에 등장했다.[10]

2. 3. 구체 음악 연구 그룹 (GRMC)과 활동 (1949-1957)

1949년 셰페르는 타악기 연주자이자 작곡가인 피에르 앙리를 만나 함께 많은 작품을 공동 작업했다.[12] 1951년 프랑스 라디오 기관 내에 ''구릅 드 레세르슈 드 뮈지크 콩크레트''('''GRMC''', 구체 음악 연구 그룹)를 설립했다.[12] 이를 통해 그는 테이프 레코더를 포함한 새로운 스튜디오를 갖게 되었는데, 이는 이전에 축음기와 턴테이블을 사용하여 음악을 제작해야 했던 셰페르에게는 획기적인 발전이었다.[13] 셰페르는 일반적으로 자기 테이프를 사용하여 음악을 만든 최초의 작곡가로 인정받고 있다. 그의 지속적인 실험은 1952년 그의 작업 방식을 요약한 ''구체 음악 탐구'' 출판으로 이어졌고, 유일한 오페라 ''오르페 53''("Orphée 53")은 1953년 초연되었다.[12]

1953년 셰페르는 GRMC를 떠났다.

2. 4. 음악 연구 그룹 (GRM)과 교육 활동 (1958-1979)

1949년에 셰페르는 피에르 앙리를 만나, 둘이서 "구체 음악 연구 그룹 ''Groupe de Recherche de Musique Concrète''"을 결성하고, 1951년에 프랑스 국영 방송으로부터 공적인 승인을 받음과 동시에, 테이프 레코더가 달린 새로운 스튜디오를 설립받았다.[21] 그 전까지 턴테이블을 이용하여 창작을 하던 셰페르에게는 이는 중대한 발전이었다. 계속된 실험을 통해 셰페르는, 1952년에 저서 『구체 음악의 탐구에 관하여 ''A la recherche d'une musique concrète''』를 출간, 이는 그 전까지의 창작 방법론을 총괄한 것이었다.

1953년에 셰페르는 "구체 음악 연구 집단"을 떠났지만, 뤽 페라리와 프랑수아-베르나르 마르슈와 함께, 음악 연구 그룹(GRM)으로 개편했다.

1960년에 "프랑스 국립 방송 연구부 ''Service de Recherche de l'ORTF''"를 설립하여 부장에 취임하면서, 셰페르의 작곡 활동은 저조해지고, 음향의 연구와 교육을 더 선호하게 되었다. 마지막 창작은 195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Etudes aux Objets''》였다. 새로운 직무에서 셰페르는 물체의 음파 특성에 대한 연구 활동을 계속 지휘하며, 1966년에 중요한 저서 『''Traité des objets musicaux''』를 발행한다. 이 책에서 셰페르는, 소리를 내는 모든 물체를 분류하려고 시도하여, 각각의 특징에 따라 7개의 카테고리 (음괴, 강약, 화음·음색, 대소, 억양, 선율의 윤곽, 음괴의 윤곽)로 나누고 있다.[22]

셰페르는 수많은 교직에 종사했으며, 그중에서도 파리 음악원에서 1968년부터 1980년까지 부교수로 전자 음악을 지도했다. 입문서부터 전문서까지 폭넓게, 많은 저서를 1990년까지 집필했다.

2. 5. 말년 (1980-1995)

1988년 아르메니아 지진 발생 후, 78세의 셰페르는 레니나칸에서 생존자를 찾기 위해 498명의 프랑스 구조팀을 이끌었고, 모든 외국인 직원이 철수하라는 요청을 받을 때까지 그곳에서 활동했다.[15]

셰페르는 만년에 알츠하이머병을 앓았고, 1995년 엑상프로방스에서 사망했다. 향년 85세였다. 그는 시골 별장이 있던 베크생 지역의 델린쿠르(파리에서 55분 거리)에 묻혔다.

이후 셰페르는 많은 동료들에게 "소리의 음악가"라는 칭호로 기억되었다.

3. 주요 작품

피에르 셰페르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 1948년: 소음 연구 5가지
  • 제1 연구: 당혹스러운 또는 회전식 문 연구
  • 제2 연구: 강제된 또는 철도 연구
  • 제3 연구: 협주곡 또는 오케스트라 연구
  • 제4 연구: 구성된 또는 피아노 연구
  • 제5 연구: 비통한 또는 냄비 연구
  • 1949년: 멕시코 플루트 변주곡
  • 1950년: 도구 C, 라이 새
  • 1951년: 한 남자를 위한 교향곡 (피에르 앙리와의 협업), 오르페 51 또는 모든 리라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알토, 테너, 두 명의 내레이터, 마임 및 테이프)
  • 1952년: 해동된 말, 가면극 (막스 드 하스의 영화를 위한 구체 음악)
  • 1953년: 오르페 53 (피에르 앙리와의 협업, 3개의 목소리, 하프시코드, 바이올린 및 테이프)
  • 1957년: 오늘의 사하라 (피에르 구트와 피에르 슈바브의 영화 음악)
  • 1958년: 물건 연구, 콘티누오, 모습 연구, 살아있는 소리 연구
  • 1959년: 페드르 (장 라신의 페드르를 위한 극음악), 철도 야상곡 (자크 르콕과 함께하는 마임을 위한 극음악), 카메룬 동시
  • 1971년: 14개의 악기를 위한 모음곡
  • 1975년: 비옥한 삼위일체 (베르나르 듀르와의 협업)
  • 1979년: 피아노와 테이프를 위한 비루드
  • 소리 객체의 솔페주 (기 레벨(Guy Reibel)과 공동 작업, 음악적 대상에 관한 논문을 보충하기 위한 소리 예시 음반, 샤를 크로스 아카데미상(prix de l'Académie Charles-Cros) 수상, 1967년), 파리에서 재발매: INA-GRM, C2010/11/12, 1998 (CD 3장 포함)
  • 피에르 셰페르의 작품, 컬렉션 "21세기 전망" 및 컬렉션 "20세기 클래식", 필립스(Philips), 1970
  • 음악 작품, CD 3장, 1998/2005, INA


셰페르는 구체 음악의 창시자로, 피에르 앙리와 함께 많은 작품을 공동 작업했다.[16] 1951년에는 프랑스 라디오 기관 내에 구체 음악 연구 그룹(GRMC)을 설립했다.[12]

3. 1. 구체 음악 작품

200px가 철길을 따라 달리면서 나는 소리를 녹음한 것이다.]]

'''구체 음악'''(프랑스어: '''musique concrète''', 문자 그대로 "'''구체 음악'''")은 1948년 셰페르가 만들었다.[16] 셰페르는 전통적인 고전 음악은 추상(악보)으로 시작하여 나중에 들을 수 있는 음악으로 만들어진다고 믿었다. 반면에 구체 음악은 기본 현상에서 나오는 "구체적인" 소리로 시작하여 이를 작곡으로 추상화하려고 한다.

현대적 관점에서 셰페르의 구체 음악의 중요성은 세 가지이다. 그는 모든 소리를 음악의 어휘에 포함시키는 개념을 개발했다. 그는 음악 작품을 작곡하기 위해 다른 소리와 함께 사용할 목적으로 녹음된 소리를 조작한 최초의 음악가 중 한 명이었다. 테이프 루핑 및 테이프 접합과 같은 기술은 그의 연구에 사용되었으며 종종 사운드 콜라주와 비교되었다.

셰페르는 1949년, 타악기 연주자이자 작곡가인 피에르 앙리를 만났고, 앙리와 함께 많은 작품을 공동 작업했다. 1951년에는 프랑스 라디오 기관 내에 ''구릅 드 레세르슈 드 뮈지크 콩크레트''('''GRMC''')를 설립했다.[12] 셰페르는 일반적으로 자기 테이프를 사용하여 음악을 만든 최초의 작곡가로 인정받고 있다. 그의 지속적인 실험은 1952년에 그의 작업 방식을 요약한 ''구체 음악 탐구''를 출판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의 유일한 오페라, ''오르페 53''("Orphée 53")은 1953년에 초연되었다.[12]

셰페르의 작품 상업적 출시는 제한적이었다. 그는 주로 새롭고 아방가르드한 형태의 음악을 전파하기 위해 자신의 작품을 대중에게 공개했다. 그의 마케팅된 작품의 최초 제작은 그가 처음 자신의 창작물을 중심으로 형성한 회사인 "''음악 연구 그룹''"(일명 GRM; 현재 INA 또는 ''국립 시청각 연구소''에서 소유하고 운영)에서 이루어졌다.

다음은 셰페르의 음악 작품 목록으로, 그의 작곡과 녹음 연도를 보여준다.

제목연도비고
Concertino-Diapason1948J.-J. 그뤼넨발트와의 협업
Cinq études de bruits1948
Suite pour 14 instruments1949
Variations sur une flûte mexicaine1949
Bidule en ut1950피에르 앙리와의 협업
La course au kilocycle1950라디오 악보, 피에르 앙리와의 협업
'Loiseau r.a.i.''1950
Symphonie pour un homme seul1950피에르 앙리와의 협업; 1953년, 1955년, 1966년 (앙리)에 개정 버전
Toute la lyre1951판토마임, 피에르 앙리와의 협업. Orphée 51로도 알려짐
Masquerage1952영화 악보
Les paroles dégelées1952라디오 제작을 위한 음악
Scènes de Don Juan1952부수 음악, 모니크 롤린과의 협업
Orphée 531953오페라
'Sahara daujourdui1957영화 악보, 피에르 앙리와의 협업
Continuo1958뤼크 페라리와의 협업
Etude aux sons animés1958
Etude aux allures1958
Exposition française à Londres1958뤼크 페라리와의 협업
Etude aux objets1959
Nocturne aux chemins de fer1959부수 음악
Phèdre 1959부수 음악
Simultané camerounais1959
Phèdre1961
'Laura dlga1962라디오 제작을 위한 음악, 클로드 아리유와의 협업
Le trièdre fertile1975베르나르 뒤르와의 협업
Bilude1979


3. 2. 저서

피에르 셰페르는 소설, 논픽션, 논문, 에세이, 영화 평론, 희곡 등 다양한 장르의 문학 작품을 남겼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던 셰페르는 종교적 신념을 바탕으로 1938년 기독교 소설 《클로테르 니콜》(Clotaire Nicole)과 희곡 《토비》(Tobie)를 발표했다.

1938년부터는 음악 잡지 ''Revue Musicale''에 음악 관련 기사와 에세이를 기고하며 작가로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첫 칼럼 ''기본적인 진실''에서는 당시 음악계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셰페르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출판 연도제목비고
1938클로테르 니콜(Clotaire Nicole)기독교 소설
1939토비(Tobie)희곡
1941-1942라디오와 시네마에 관한 에세이(Essai sur la Radio et le Cinéma)릴레이 예술에서의 미학과 기술(esthétique et technique dans les arts-relais)
1946아메리카, 우리는 당신을 모른다(Amérique, nous t'ignorons)
1946영화의 비시각적 요소(Le cinéma non visuel)
1949아이들의 마음(Les enfants de cœur)
1952구체 음악을 찾아서(À la recherche d'une musique concrète)
1957실험 음악을 향하여(Vers une musique expérimentale)
1959음악적 경험(Expériences musicales)
1959파리에서의 경험(Expériences Paris)
1966음악적 대상에 관한 논문(Traité des objets musicaux)초판, 1977년 재판
1967구체 음악(La musique concrète)
1967음악과 음향학(Musique et acoustique)
1969화산의 파수꾼(Le gardien de volcan)
1969마르크 피에레(Marc Pierret)와의 피에르 셰페르(Pierre Schaeffer)의 대담
1970피에르 셰페르(Pierre Schaeffer)소피 브뤼네(Sophie Brunet)와 피에르 셰페르(Pierre Schaeffer)에 의한 저서
1970뒷걸음질치는 미래(L'avenir à reculons)
1970의사 소통 기계(Machines à communiquer) 제1권: 시뮬라크르의 기원(Genèse des simulacres)
1972의사 소통 기계(Machines à communiquer) 제2권: 권력과 소통(Pouvoir et communication)
1971음악과 컴퓨터(La Musique et les ordinateurs)
1971음악적 경험에서 인간적 경험으로(De lexpérience musicale à lexpérience humaine)
1977구체 음악에서 그 음악 자체로(De la musique concrète à la musique même)
1978프랑스 현대 음악의 숨겨진 얼굴(La face cachée de la musique française contemporaine)
1978마리 테레즈 베르티니(Marie Thérèse Bertini)의 구조 분석(L’analyse Structurée)피에르 셰페르(Pierre Schaeffer)의 서문
1978예리코의 안테나(Les antennes de Jéricho)
1981실례합니다, 저는 죽습니다 그리고 다른 허구들(Excusez-moi, je meurs et autres fabulations)
1983전주곡, 코랄, 푸가(Prélude, choral et fugue)
1985파베르와 사피엔스(Faber et sapiens)
1986GRM에서의 음악 연구(Recherche musicale au GRM)
1990조개에 관한 제안(Propos sur la coquille)


4. 음악적 유산과 영향

제2차 세계 대전 중 셰페르는 프랑스 방송국 내 실험 스튜디오를 설립하여 시인들을 중심으로 실험적인 방송시극 등을 시도했다. 1948년, 그는 소음(騷音)을 몽타주하여 음악을 구성하는 뮈지크 콩크레트(具體音樂)를 창안했다. 이는 현실의 모든 소리를 녹음하고, 녹음기계의 기능을 이용해 다양하게 변형시켜 하나의 작품으로 구성하는 방식이었다. 초기에는 레코드 원반에 녹음했지만, 1950년대 전자공학의 발달로 자기녹음(磁氣錄音) 테이프를 사용하면서 자유롭게 소리를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초기 대표작인 <한 남자를 위한 교향곡>(1948-1952)은 한 남자가 내는 소리와 주변의 소리를 소재로 구성되었다. <비극의 에튀드>, <철도의 에튀드> 등도 초기의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1950년부터 메시앙의 제자 피에르 앙리가 협력하여 '실험음악 스튜디오'를 조직, 메시앙, 졸리베, 미요, 불레즈 등도 여기서 뮈지크 콩크레트 작품을 만들었다. 이 스튜디오에서는 미셜 필리포, 뤼크 페라리, 프랑수아 베르나르 마세 등 젊은 작곡가들이 배출되어 뮈지크 콩크레트의 새로운 방향을 개척하고 있다.

뮈지크 콩크레트는 초기에는 시끄러운 소리(騷音), 현실음만을 소재로 한정하여 오브제 소노르(음향을 물체로 간주)의 의식으로 작품이 만들어졌다. 이 때문에 녹음 테이프에 인공적인 전자음을 구성하는 독일 전자 음악과는 대립되는 음악으로 다루어졌다. 그러나 근래에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소재도 섞어 쓰게 되어 그 구별이 없어지고 있으며, 이 양자를 총괄하여 테이프 음악, 또는 전자 음악이라고도 한다.

셰페르는 파리 음악원에서 1968년부터 1980년까지 부교수로 전자 음악을 지도하는 등 수많은 교직에 종사했다. 만년에는 알츠하이머병을 앓았다.

200px''")는 기차가 철길을 따라 달리면서 나는 소리를 녹음한 것이다.]]

'''구체 음악'''(프랑스어: '''musique concrète''', 문자 그대로 "'''구체 음악'''")이라는 용어는 1948년 셰페르가 만들었다.[16] 셰페르는 전통적인 고전 음악(또는 "진지한" 음악)은 추상(악보)에서 시작하여 나중에 들을 수 있는 음악으로 만들어진다고 믿었다. 반면, 구체 음악은 기본 현상에서 나오는 "구체적인" 소리로 시작하여 이를 작곡으로 추상화하려는 시도이다. 즉, 구체 음악은 전통적인 악기, 화성, 리듬, 심지어 음악 이론 자체의 구조화된 제작을 무너뜨리고 음악을 처음부터 재구성하려는 시도이다.

현대적 관점에서 셰페르의 구체 음악은 세 가지 중요한 점을 가진다. 첫째, 그는 모든 소리를 음악의 어휘에 포함시키는 개념을 개발했다. 처음에는 전통 악기 소리가 아닌 다른 소리로 작업했지만, 이후 녹음된 소리의 공격을 제거하여 악기 소리의 친숙함을 제거하고 추상화하는 기술을 발견했다. 둘째, 그는 음악 작품 작곡을 위해 녹음된 소리를 조작한 최초의 음악가 중 한 명이었다. 테이프 루핑 및 테이프 접합과 같은 기술은 사운드 콜라주와 비교되기도 한다. 셰페르가 녹음된 소리를 조작할 수 있었던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개발된 기술 덕분이었다. 그의 작품은 현대 샘플링 방식의 필수적인 전조로 인정받고 있다. 셋째, 셰페르는 루이지 루솔로처럼 전자 악기 및 실험 악기의 힘을 활용하여 녹음 기술을 창의적이고 구체적인 음악적 방식으로 사용한 최초의 인물 중 하나였다. 그는 루솔로를 존경하고 그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았다.

또한 그는 음악 창작에서 "놀이"(''jeu'')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셰페르의 ''jeu''는 프랑스어 동사 ''jouer''에서 유래하며, 영어 동사 play와 같이 '주변 환경과 상호 작용하며 즐거움을 느끼는 것'과 '악기를 연주하는 것'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갖는다. 이는 구체 음악의 핵심이며, 셰페르의 작업과 연구는 자유 즉흥 연주 또는 전기 음향 즉흥 연주를 반영한다.

1955년, 엘리안 라디그는 실험 스튜디오에서 셰페르의 제자로 테이프를 자르고 이어 붙이고 편집하는 법을 배웠다. 이후 1967년 피에르 앙리의 조수로 일했지만, 테이프 피드백에 더 관심을 갖고 자신만의 작품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녀는 두 대의 테이프 레코더와 마이크 사이의 피드백을 처리하여 ''Jouet Electronique'' (1967), ''Elemental I'' (1968), ''Stress-Osaka'' (1969), ''Usral'' (1969), ''Ohmnht'' (1970), ''Vice Versa, etc'' (1970) 등을 작곡했다.[17]

셰페르의 GRM 제자 장 미셸 자르는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자르의 1997년 앨범 Oxygene 7-13은 셰페르에게 헌정되었다. 피에르 앙리 역시 셰페르를 기리는 작품을 만들었는데, 셰페르의 마지막 작품이자 두 번째 편집본인 ''L'Œuvre Musicale''를 위해 ''Écho d'Orphée, Pour P. Schaeffer''를 작곡했다. 요안나 브루즈도비츠, 조르지 안투네스, 베르나르 파르메지아니, 미셸린 쿨롬브 생마르쿠, 아르만두 산티아구, 엘즈비에타 시코라 등도 그의 주목할 만한 제자들이다.

1980년대 초, 셰페르는 1950년대 아방가르드의 전통 파괴를 비판하며 현대 음악계와 거리를 두었다. 그는 오타비우 엔히키 소아레스 브란다웅을 가장 충실한 제자로 인정했으며, 브란다웅은 셰페르의 지도하에 "음악적 대상에 관한 논문(Traité des Objets Musicaux)"을 읽었다. 이는 전통을 깨지 않으면서 혁신적인 피아노 및 악기 기법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다. 셰페르는 이 주제에 관해 "오타비우 브란다웅의 'Étude aux Objets' 피아노 편곡에 관하여"(1988), "오타비우에게 보내는 답장"(셰페르 80세 생일 기념 살 플레옐 브란다웅 콘서트 프로그램 텍스트, 1990), "이비스와 오타비우 소아레스 브란다웅에 관한 피에르 셰페르의 선언"(1990), "피에르 셰페르의 선언(대변인)"(1993) 등 네 편의 글을 썼다.[18][19]

앨범, 예를 들어 퍼블릭 에너미의 ''It Takes A Nation of Millions To Hold Us Back''과 De La Soul의 ''3 Feet High And Rising'' 등 많은 작품들은 평범한 소리를 사용하여 완성된 결과물을 만들어낸다.[20]

콰르츠 전자 음악 어워드는 과거 여러 행사의 이름을 셰페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셰페르 본인도 이 시상식에서 여러 번 수상했다.

참조

[1] 웹사이트 Pierre Schaeffer http://csunix1.lvc.e[...] 2008-12-03
[2] 백과사전 Pierre Schaeffer http://www.britannic[...] 2008-12-04
[3] 웹사이트 Les écrits de Pierre Schaeffer http://www.olats.org[...] 2009-05-12
[4] 웹사이트 Pierre Schaeffer & Pierre Henry: Pioneers in Sampling http://emusician.com[...] 2009-09-30
[5] 웹사이트 Musique Concrète Revisited http://www.rem.ufpr.[...] 2008-12-05
[6] 웹사이트 Pierre Schaeffer: Profile on Discogs.com http://www.discogs.c[...] 2008-12-04
[7] 웹사이트 Pierre Schaeffer Biographie http://www.olats.org[...] 2009-12-06
[8] 웹사이트 Excerpt from ''Electronic Music, 1948–1953'' http://www.arts.rpi.[...] 2009-12-17
[9] 서적 Excerpt from ''Music of the Twentieth-century Avant-gard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08-12-26
[10] 웹사이트 "A-Z of Instruments – Other" http://www.foundry.c[...] 2009-12-07
[11] 학술지 Pierre Schaeffer, 1910–1995: The Founder of "Musique Concrète" https://www.jstor.or[...] 1996
[12] 웹사이트 The 'Groupe de Recherches Musicales' Pierre Schaeffer, Pierre Henry & Jacques Poullin, France 1951 https://120years.net[...] 2013-12-26
[13] 학술지 Technology and musique concrète: the technical developments of the Groupe de Recherches Musicales and their implication in musical composition https://www.cambridg[...] 2007
[14] 웹사이트 Electronic Vibrations: Ein Sound erobert die Welt https://www.ardmedia[...] Westdeutscher Rundfunk 2022-10-19
[15] 뉴스 As Hope Dies, Quake Rescuers Pull Out https://www.nytimes.[...] 1988-12-16
[16]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Music
[17] 서적 Pink Noises: Women on Electronic Music and Sound http://read.dukeupre[...] Duke University Press 2010
[18] 문서 Textes de Pierre Schaeffer à propos d´Otavio Henrique Soares Brandão, by Ibis Soares Brandão – Issuu https://issuu.com/ib[...]
[19] 웹사이트 Otavio Henrique Soares Brandao – Piano – Resposta a Schaeffer I, by Otavio Soares Brandão. https://fandalism.co[...] 2021-06-24
[20] 웹사이트 'FAU Electronic Music - Musique Concrete: History and Figures' http://wise.fau.edu/[...] 2013-01-06
[21] 문서 クラシック音楽の20世紀2 作曲の20世紀II p.101
[22] 웹사이트 Treatise on Musical Objects https://www.ucpress.[...] 2018-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