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미유 생상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미유 생상스는 1835년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난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대표적인 작곡가이다. 그는 절대음감의 소유자로 어릴 때부터 피아노를 배우고 작곡을 시작했으며, 파리 음악원에서 수학했다. 생상스는 28세에 마들렌 교회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하며 29세에 《제3교향곡》을 작곡했고, 36세에는 프랑스 음악 부흥을 위해 국립음악협회를 설립했다. 51세에는 《동물의 사육제》를 작곡했으며, 만년에는 세 개의 목관악기 소나타를 썼다. 생상스는 오페라, 교향시, 협주곡, 실내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많은 작품을 남겼으며, 특히 《삼손과 데릴라》는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그는 프랑스 학사원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21년 프랑스령 알제리에서 86세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미유 생상스 - 가브리엘 포레
    가브리엘 포레는 프랑스의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피아니스트, 음악 교육자로서, 프랑스 가곡의 거장으로 불리며 파반느, 레퀴엠,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야상곡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 프랑스의 음악 평론가 - 가오싱젠
    가오싱젠은 실험적인 연극으로 중국 연극계에 영향을 주었으나, 중국 공산당 비판으로 중국 내에서 작품 상연이 금지된 후 프랑스 국적을 취득하고 《영산》, 《어느 한 사람의 성경》 등의 작품으로 2000년 중국어 작가 최초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중국 태생의 프랑스 소설가, 극작가, 번역가, 연출가, 화가이다.
  • 프랑스의 음악 평론가 - 피에르 셰페르
    피에르 셰페르는 구체 음악의 창시자이자 프랑스의 작곡가, 음악 이론가, 음향 엔지니어, 작가, 방송인으로서, 일상 소리를 변형한 음악을 만들고 프랑스 국영 방송 실험 스튜디오 설립, 구체 음악 연구 그룹 결성, 파리 음악원 후진 양성 등에 기여했다.
  • 알제리에 거주한 프랑스인 - 크리스티앙 달제
  • 알제리에 거주한 프랑스인 - 피에 누아르
    피에 누아르는 프랑스 식민 통치 시기 알제리에 거주했던 유럽계 프랑스인을 지칭하며 알제리 독립 후 추방되었고, 알제리 산업, 문화,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프랑스 본토에서 소외감을 느끼고 독특한 음식 문화와 프랑스어 방언을 형성했다.
카미유 생상스
기본 정보
나다르 촬영
이름샤를 카미유 생상스
출생1835년 10월 9일
출생지프랑스 왕국 파리
사망1921년 12월 16일
사망지프랑스령 알제리 알제
국적프랑스
로마자 표기Charles Camille Saint-Saëns
학력
학교파리 음악원
직업
직업작곡가
피아니스트
오르가니스트
지휘자
음악
장르클래식 음악
악기피아노
오르간
참고 정보
참고생상스의 이름에 붙은 's' 발음 논쟁이 있다.

2. 생애

카미유 생상스는 절대음감을 가진 음악 신동으로, 2세 때부터 피아노를 연주하고 작곡을 시작했다. 10세에 플레이엘 홀에서 공식 데뷔 무대를 가졌으며, 13세에 파리 음악원에 입학했다. 18세에 《제1교향곡》을 작곡했고, 28세에는 마들렌 교회에서 오르간 연주자로 활동했다. 29세에는 대표작 중 하나인 《제3교향곡》을 작곡했다.[12]

36세에 '국민 음악 협회'를 설립하여 프랑스 음악 발전에 힘썼고, 46세에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다. 51세에 《동물의 사육제》를 작곡했다. 만년에는 3개의 목관악기 소나타를 작곡했으며, 1921년 12월 16일 프랑스령 알제리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하여 몽파르나스 묘지에 안장되었다.[114]

2. 1. 유년기

생상스는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빅토르 생상스는 정부 서기였는데, 그가 태어난 지 3개월 만에 폐결핵으로 사망했다.[10] 생상스는 절대음감 소유자로, 2살 때 피아노를 치기 시작했고 곧바로 작곡도 시작했다.[12] 1839년 3월 22일에 작곡된 최초의 곡인 《피아노를 위한 작은 단편》은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12] 그는 3살 경에 읽고 쓰는 것을 익혔고, 7살 때는 라틴어를 완전히 터득하는 등 음악 외적인 분야에도 조숙했다.

피아노 건반 앞에 앉은 어린 소년의 스케치
1846년의 생상


생상스가 파리로 돌아왔을 때, 그는 어머니와 어머니의 미망인 숙모 샬롯 마송과 함께 살았다. 그는 세 살이 되기 전에 절대음감을 보였고 피아노로 곡을 흥얼거리는 것을 즐겼다.[12] 그의 고모는 그에게 피아노 기초를 가르쳤고, 일곱 살 때 그는 프리드리히 칼크브레너의 제자였던 카미유-마리 스타마티의 제자가 되었다.[13]

10살 때 플레이엘 홀에서 모차르트B♭장조 피아노 협주곡(K450)과 베토벤피아노 협주곡 3번을 포함한 프로그램으로 공식적인 첫 공개 무대를 가졌다.[16]

19세기 프랑스 도시 건물의 외관
생상이 수학했던 옛 파리 음악원 건물


1848년, 13세의 나이에 생상은 프랑스 최고의 음악 아카데미인 파리 음악원에 입학했다.[199]

2. 2. 청년기

생상스는 절대음감을 가지고 태어나 2세 때부터 피아노를 연주하고 작곡을 시작했다. 1839년 3월 22일에 작곡한 최초의 작품인 《피아노를 위한 작은 단편》은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그는 음악뿐만 아니라 3세 때 읽고 쓰는 법을, 7세 때 라틴어를 터득할 정도로 조숙했다.[16] 12세 때 모차르트, 헨델 등의 곡으로 연주회를 열었고, 13세에 파리 음악원에 입학했다. 18세에 제1교향곡을 작곡했다.

고딕 성당 내관
1853년부터 1857년까지 생상스가 오르가니스트로 재직했던 파리의 생메리 교회


1853년 파리 음악원을 졸업한 후, 생상스는 파리 시청 근처의 생메리 교회 오르가니스트 자리를 맡았다. 2만 6천 명의 신자를 가진 큰 교구였으며, 연간 200회가 넘는 결혼식과 장례식 수수료, 그리고 적은 기본 봉급으로 생상스는 편안한 생활을 할 수 있었다.[210] 프랑수아-앙리 크리코가 제작한 오르간은 프랑스 혁명으로 손상되어 불완전하게 복원된 상태였지만, 교회 예배에는 충분했다.[211] 생상스는 작품 2번인 E♭장조 교향곡(1853)을 작곡했는데, 군악대의 나팔 소리와 확대된 금관악기 및 타악기 파트를 포함하여 나폴레옹 3세의 집권과 프랑스 제2제정의 복고풍 분위기를 담아냈다.[212] 이 작품으로 생상스는 생트세실 학회에서 1등상을 수상했다.[213]

조아키노 로시니, 엑토르 베를리오즈, 프란츠 리스트, 폴린 비아르도 등은 생상스의 재능을 빠르게 알아보고 그의 경력을 지원했다.[195] 1858년, 생상스는 생 메리 교회에서 마들렌 교회의 오르가니스트라는 중요한 직책으로 옮겼다. 리스트는 그의 연주를 듣고 세계 최고의 오르가니스트라고 선언했다.[214]

1850년대에 생상스는 리스트, 로베르트 슈만, 리하르트 바그너 등 당대 현대 음악을 지지하고 홍보했다.[195] 그는 바그너의 오페라에 대한 열정과 지식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작품에는 바그너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215][216] 그는 "나는 리하르트 바그너의 작품을 깊이 존경한다. 그러나 나는 바그너 종교의 신자가 아니었고, 결코 될 수 없을 것이다."라고 말했다.[216]

19세기 대학교 유니폼을 입은 젊은 남성
생상스의 제자이자 오랜 친구였던 가브리엘 포레, 학생 시절, 1864


1861년, 생상스는 루이 니더마이어가 설립한 에콜 드 뮤지크 클라시크 에 렐리지외즈에서 교사직을 맡아 프랑스 교회를 위한 오르가니스트와 합창 지휘자를 양성했다. 그는 슈만, 리스트, 바그너 등 현대 음악을 학생들에게 소개했다.[37] 그의 제자 가브리엘 포레는 "수업 시간을 넘겨서까지 그는 피아노 앞으로 가서 ... 거장들의 작품들을 우리에게 보여주었습니다."라고 회상했다.[38]

생상스는 학생들과 함께 ''동물의 사육제''를 구상했지만, 1886년까지 작곡을 끝내지 못했다.[40] 1864년, 그는 로마 대상에 두 번째로 참가했지만 실패했다. 심사위원이었던 베를리오즈는 "우리는 ... 상이 카미유 생상스에게 돌아갈 것으로 예상했는데 ... 그는 이상하게도 대회에 참가한다는 생각을 했습니다."라고 썼다.[41] 음악 학자 장 갈루아에 따르면, 베를리오즈가 생상스에 대해 "그는 모든 것을 알지만 경험이 부족하다"라는 말을 한 것은 이 에피소드에 관한 것이었다.[42]

중년의 19세기 남성 네 명의 머리와 어깨 이미지
1867년 파리에서 생상스에게 1등상을 수여: 왼쪽 상단부터 시계 방향으로 베를리오즈, 구노, 로시니, 베르디


1865년 학교를 떠난 후, 1867년 그의 칸타타 ''프로메테우스의 결혼식''은 파리 그랑페트 인터나시오날 작곡상을 수상했는데, 심사위원에는 오베르, 베를리오즈, 구노, 로시니, 베르디가 포함되었다.[16][50] 1868년, 그는 두 번째 피아노 협주곡을 초연했다.[27]

2. 3. 중년기: 교직, 결혼, 그리고 오페라에서의 성공

생상스는 1861년, 루이 니델메이어가 프랑스 교회를 위한 오르간 연주자와 합창 지휘자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한 니델메이어 음악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니델메이어가 사망하자 생상스가 피아노 강좌를 맡게 되었고, 학생들에게 슈만, 리스트, 바그너 등 당대 음악을 소개했다.[217] 그의 제자였던 가브리엘 포레(Gabriel Fauré)는 훗날 "수업을 연장한 후, 그는 피아노로 가서 우리에게 거장들의 작품을 들려주었다."라고 회상했다.[218]

생상스는 학생들을 위해 1막짜리 광대극을 쓰고 작곡하여 학교 분위기를 활성화시켰다. 앙드레 메사주(André Messager)도 그의 학생 중 한 명이었다.[219] 이때 『동물의 사육제(Le Carnaval des animaux)』가 구상되었지만, 완성은 1886년이 되어서였다.[220]

1864년, 생상스는 로마 대상에 다시 도전했지만, 또다시 수상에는 실패했다. 심사위원 중 한 명이었던 베를리오즈는 "최근 우리는 자신이 우승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던 젊은이에게 로마 대상을 수여했다"라고 적었다.[221] 음악학자 장 갈로아는 베를리오즈가 생상스에 대해 "그는 모든 것을 알지만, '미숙함'(inexpérience)은 없다"라는 유명한 농담을 하게 된 계기가 이 사건이라고 말한다.[222]

1867년, 칸타타 『프로메테우스의 결혼』으로 파리의 대국제 축제에서 작곡상을 수상했다. 심사위원은 오베르, 베를리오즈, 구노, 로시니, 베르디였다.[195][230] 1868년에는 피아노 협주곡 2번을 초연했다.[207]

1870년, 생상스는 독일 음악의 우세와 젊은 프랑스 작곡가들이 자신의 작품을 연주할 기회를 얻지 못하는 것을 우려하여 국민음악협회 설립을 논의했다.[233]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발발 후, 생상스는 국민군으로 참전했다. 파리 코뮌 기간 동안 상관이 살해당하자, 생상스는 영국으로 피난을 갔다.[232][233] 5월에 파리로 돌아온 그는 반독 감정이 고조된 것을 알게 되었고, 1871년 2월 국민음악협회를 창설했다.[235]

결혼한 해인 1875년의 생상스.


교향시를 좋아했던 생상스는 1872년 1월, 그의 첫 교향시인 『온파르의 굴레』를 초연했다.[237] 같은 해, 10년 만에 오페라 『황금빛 공주』를 상연했다.[238]

1875년, 생상스는 40세를 앞두고 19세의 마리-롤 트뤼포와 결혼했다.[227] 그러나 결혼 생활은 순탄치 않았다. 두 아들을 낳았지만 모두 유아기에 사망했고, 이 사건은 결혼 생활을 파탄 냈다.[227]

19세기 프랑스 작곡가에게 오페라는 가장 중요한 음악 양식이었다.[242] 1877년 2월, 생상스는 4막으로 구성된 오페라 『은빛 소리』를 공연했다.[247] 같은 해 12월, 생상스는 오페라 『삼손과 데릴라』로 성공을 거두었다.[242]

2. 4. 만년: 국제적인 명성과 죽음

1880년대에도 생상스는 오페라 극장에서의 성공을 계속 추구했다. 그러나 당시 음악계의 유력 인사들은 피아니스트, 오르가니스트, 교향곡 작곡가가 좋은 오페라를 쓸 수 없다는 확고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기에 어려움이 있었다.[83] 그는 그 10년 동안 두 편의 오페라를 무대에 올렸는데, 첫 번째는 파리 오페라가 의뢰한 ''헨리 8세''(1883)였다. 대본은 그의 선택이 아니었지만, 16세기 영국의 분위기를 설득력 있게 포착하기 위해 특별한 정성을 기울여 작곡했다.[83] 이 작품은 성공을 거두었고 작곡가 생전에 자주 재공연되었다.[62] 1898년 코벤트 가든에서 공연되었을 때, ''더 이라''는 프랑스 대본 작가들이 일반적으로 "영국 역사를 꽤 엉망으로 만든다"고 말했지만, 이 작품은 "오페라 스토리로서 전혀 경멸할 만한 것은 아니다"라고 논평했다.[85]

19세기 무대 세트, 영국의 웅장한 튜더 양식의 내부를 보여줌
생상의 ''헨리 8세'' 파리 오페라에서, 1883년


1880년대 중반, 뱅상 당디가 이끄는 프랑크의 제자들이 선호하는 바그너적 방법에 대한 독단적인 고집으로 국민음악협회의 개방적인 태도가 강화되었다. 그들은 조직을 지배하기 시작했고 프랑스 작품에 대한 헌신이라는 ''"아르스 갈리카"'' 정신을 포기하려고 했다. 뷔시네와 생상스는 이것을 받아들일 수 없어 1886년 사임했다.[55] 때로는 회의적인 프랑스 대중에게 바그너의 장점을 오랫동안 주장해 온 생상스는 이제 독일 음악이 젊은 프랑스 작곡가들에게 과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우려하기 시작했다. 바그너에 대한 그의 점증하는 주의는 후년에 그의 음악만큼이나 바그너의 정치적 민족주의를 겨냥한 더 강한 적대감으로 발전했다.[55]

1880년대에 생상스는 영국 관객들 사이에서 확고한 인기를 얻었고, 살아있는 가장 위대한 프랑스 작곡가로 널리 여겨졌다.[87] 1886년 런던의 필하모닉 협회는 그의 가장 인기 있고 존경받는 작품 중 하나인 제3번 ("오르간") 교향곡을 의뢰했다. 런던에서 열린 콘서트에서 생상이 교향곡의 지휘자이자 베토벤의 제4번 피아노 협주곡의 독주자로 출연했고, 아서 설리번 경이 지휘했다.[88] 런던에서의 교향곡의 성공은 상당했지만, 이듬해 초 파리 초연에서 이 작품이 받은 열광적인 환영에는 미치지 못했다.[89] 1887년 후반, 생상의 "드람 리리크" ''프로세르피네''가 오페라 코미크에서 개막했다. 좋은 반응을 얻었고 상당한 흥행을 향해 나아가는 듯했지만, 초연 후 몇 주 만에 극장이 불타 버려 공연이 취소되었다.[83]

1888년 12월, 생상스의 어머니가 돌아가셨다.[90] 그는 어머니의 죽음을 깊이 슬퍼했고, 우울증과 불면증에 시달리며 자살까지 고려했다.[91] 그는 파리를 떠나 알제에 머물면서 1889년 5월까지 회복했지만, 산책과 독서를 했을 뿐 작곡은 할 수 없었다.[92]

턱수염을 기르고 조끼와 정장을 입은 생상의 가슴까지 나오는 초상화, 시선은 보는 이쪽을 향하고 있음
나다르(사진작가)가 촬영한 생상


1890년대에 생상스는 휴가를 보내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냈고, 해외 여행을 다니며 이전보다 작곡은 덜 하고 공연도 덜 했다. 1893년 시카고 공연 계획은 무산되었다.[93] 그는 코미디 오페라인 《프리네》(1893)를 한 편 작곡했고, 폴 뒤카스와 함께 1892년 사망한 에르네스트 기로가 미완성으로 남긴 오페라 《프레데공드》(1895)를 완성하는 데 기여했다. 《프리네》는 호평을 받았고, 최근 그랑 오페라를 선호했던 오페라 코미크에서 더 많은 코믹 오페라에 대한 요구를 불러일으켰다.[94] 1890년대 그의 몇 안 되는 합창곡과 관현악곡은 대부분 짧은 편이다. 이 시대의 주요 콘서트 작품으로는 단악장 환상곡 《아프리카》(1891)와 1846년 살 플레옐에서 데뷔 50주년을 기념하는 1896년 콘서트에서 초연한 5번("이집트") 피아노 협주곡이 있다.[95] 협주곡을 연주하기 전에 그는 이 행사를 위해 쓴 짧은 시를 낭독하며 어머니의 가르침과 오랜 대중의 지지에 감사를 표했다.[96]

1890년대 생상스가 맡았던 콘서트 중에는 1893년 6월 캠브리지에서 열린 콘서트가 있다. 당시 그는 막스 브루흐와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와 함께 찰스 빌리어스 스탠퍼드가 캠브리지 대학교 음악 협회를 위해 주최한 행사에서 공연했는데, 이는 세 방문자 모두에게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하는 것을 기념하는 것이었다.[97] 생상은 이 방문을 매우 즐겼고, 심지어 대학 예배당 예배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말했다. "영국 종교의 요구는 과하지 않다. 예배는 매우 짧고, 훌륭한 합창단이 매우 잘 부르는 좋은 음악을 듣는 것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영국인들은 훌륭한 합창단원들이다." [98] 영국 합창단에 대한 그의 호감은 생애 내내 이어졌고, 그의 마지막 대규모 작품 중 하나인 오라토리오 《약속의 땅》은 1913년 쓰리 코이어스 페스티벌을 위해 작곡되었다.[99]

1900년, 파리에서 10년간 정착하지 못하고 지낸 후 생상스는 푸브르생토노레 거리의 예전 거주지에서 멀지 않은 쿠르셀 거리에 아파트를 얻었다. 이곳은 그가 생애의 남은 기간 동안 거주한 곳이 되었다.[100] 그는 여전히 해외 여행을 자주 했지만, 관광보다는 연주회를 위해 여행하는 경우가 점점 더 많아졌다. 그는 항상 환영받던 런던을 다시 방문했고,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영광스럽게 맞이받던 베를린에도 갔으며, 이탈리아, 스페인, 모나코, 프랑스 지방 등을 여행했다.[100] 1906년과 1909년에는 피아니스트이자 지휘자로서 미국 순회 공연을 매우 성공적으로 마쳤다.[101] 두 번째 방문 때 뉴욕에서 그는 그 자리를 위해 작곡한 이중 합창, 오케스트라, 오르간을 위한 "주님을 찬양하라"를 초연했다.[102]

seated portrait of middle-aged man, bearded, in formal 19th-century costume
1900년 피에르 쁘띠가 촬영한 생상스


점점 더 보수적인 음악가로 명성을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생상스는 1910년 구스타프 말러8번 교향곡 초연을 듣기 위해 뮌헨을 방문한 유일한 프랑스 음악가였을 가능성이 높다.[103] 그럼에도 불구하고, 20세기에 들어 생상스는 음악에서 모더니즘에 대한 열정을 많이 잃었다. 그는 가브리엘 포레에게 감추려고 노력했지만, 포레의 오페라 ''페넬로페''(1913)를 이해하지 못했고 좋아하지도 않았다. 그는 이 작품의 헌정자였다.[104] 1917년 작곡가로서 경력을 시작한 프란시스 풀랑은 모리스 라벨이 생상스를 천재라고 칭찬했을 때 무시하는 태도를 보였다.[105] 이 무렵 생상스와 공통점이 거의 없는 다양한 새로운 음악들이 등장하고 있었다. 그의 고전적인 형식에 대한 본능은 그에게 클로드 드뷔시가 이끄는 음악 인상주의자들의 형태 없는 것처럼 보이는 구조와 대립하게 만들었다.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무조성 음악 역시 생상스에게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러한 보수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던 생상스는 새로움에 매료된 20세기 초 파리 음악계와는 동조하지 않았고 유행에도 뒤떨어졌다.[107] 그는 1913년 바슬라프 니진스키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발레 ''봄의 제전'' 초연에서 경악하여 자리를 떴다고 자주 이야기된다.[108] 사실 스트라빈스키에 따르면 생상스는 그 자리에 없었지만, 다음 해에 있었던 이 작품의 첫 번째 콘서트 공연에서 그는 스트라빈스키가 미쳤다고 확신하는 견해를 표명했다.[109]

생상스가 이끄는 프랑스 음악가들이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음악의 보이콧을 조직하려고 했을 때, 포레와 메사주는 그 생각에서 스스로를 분리시켰지만, 그러한 의견 차이는 옛 스승과의 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들은 사적으로 그들의 친구가 과도한 애국심으로 어리석게 보일 위험에 처해 있다고 우려했고,[110] 드뷔시의 ''흑백''(1915)을 비난했던 것처럼, 떠오르는 젊은 작곡가들의 작품을 공개적으로 비난하는 경향이 점점 더 커지고 있었다.[111] 드뷔시의 연구소 입회 후보 자격을 막으려는 그의 결의는 성공했고, 젊은 작곡가의 지지자들로부터 격렬한 반감을 샀다. 생상스가 레 시스의 신고전주의에 대한 반응은 마찬가지로 단호했다. 다리우스 미요의 다조적인 교향곡 모음곡 ''프로테우스''(1919)에 대해 그는 "다행히도 프랑스에는 아직 정신 병원이 있다"고 말했다.[150]

interior of packed concert hall during a concert
피에르 몽퇴가 지휘하는 가운데 1913년 피아니스트로서 작별 콘서트를 계획한 생상스


생상스는 1913년 파리에서 피아니스트로서 작별 콘서트를 할 계획이었지만, 전쟁으로 인해 그의 은퇴는 곧 중단되었다. 전쟁 중 그는 프랑스와 다른 곳에서 많은 공연을 하며 전쟁 자선 단체에 기금을 모았다.[100] 독일 잠수함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활동은 그를 대서양 건너편으로 데려갔다.[112]

1921년 11월, 생상스는 연구소에서 초청된 많은 청중 앞에서 독주회를 열었다. 그의 연주는 여전히 생생하고 정확했으며, 86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그의 태도는 훌륭했다는 평을 받았다.[113] 그는 한 달 후 알제로 떠났는데, 오랫동안 그래왔듯이 그곳에서 겨울을 보낼 생각이었다. 그곳에서 그는 1921년 12월 16일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114] 그의 시신은 파리로 돌아왔고, 마들렌 성당에서 국가 장례식을 치른 후 몽파르나스 묘지에 묻혔다.[115] 프랑스 정치 및 예술계 엘리트의 조문객들 사이에 눈에 띄지 않는 곳에, 1881년 이후로 마지막으로 만났던 그의 미망인 마리-로르가 두꺼운 베일을 쓰고 있었다.[115]

3. 주요 작품

생상은 방대한 양의 작품을 남겼다. 20세기 초 ''그로브 음악 및 음악가 사전''에서는 "생상은 완벽한 작곡의 대가"라고 평가했지만, 창조적인 능력은 기술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을 받았다.[116] 그는 젊은 시절에는 근대음악을 옹호했지만, 항상 과거의 거장들을 존경했으며, 그의 음악은 때로는 신고전주의적인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117]

생상은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 참전했고, 파리 코뮌을 피해 영국으로 피신하기도 했다.[233] 1871년에는 "갈리아의 예술"(Ars Gallica)을 모토로 내건 국민음악협회를 창설하여 프랑스 음악 발전에 기여했다.[236]

생상스는 평생 동안 27개국을 179번이나 여행할 정도로 여행을 즐겼다.[253] 그는 알제이집트 등지를 여행하며 겨울을 보내기도 했다.[253] 1886년에 작곡된 교향곡 제3번 '오르간과 함께'는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손꼽힌다.[272]

3. 1. 교향곡

생상스는 교향곡 1번(1853년)과 교향곡 2번(1858년) 등을 작곡했다. 1955년 출판된 『레코드 가이드』의 저자 에드워드 색빌-웨스트와 데즈먼드 섀-테일러는 생상스의 뛰어난 음악적 재능이 "프랑스 음악가들이 오페라 외에도 다른 형태의 음악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118] 2001년판 그로브 사전에서 레이트너와 다니엘 폴론은 생상스의 관현악곡을 분석하며, 그의 성숙기 작품 중 첫 번째 교향곡(1853년)은 슈만의 영향이 감지되는 심오하고 대규모의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교향곡 3번(1886년)은 생상스의 가장 잘 알려진 교향곡으로, 피아노와 오르간 파트가 두드러지는 것이 특징이다. C단조로 시작하여 장엄한 코랄 선율로 C장조로 끝맺는 이 곡은 네 개의 악장이 두 쌍으로 명확하게 구분된다. 이는 4번 피아노 협주곡(1875년)과 1번 바이올린 소나타(1885년)에서도 사용된 기법이다.[142] 이 작품은 리스트에게 헌정되었으며, 리스트풍의 주제 변형 기법을 사용한다.[118]

3. 1. 1. 교향시

생상스는 다음 4개의 교향시를 작곡했다.

  • 옴팔레의 물레 가장조(1872)
  • 파에톤 다장조(1873)
  • 죽음의 무도 사단조(1874)
  • 헤라클레스의 젊은 시절 내림 나장조(1877)[372]

3. 2. 협주곡

생상은 피아노 협주곡 외에도 첼로와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을 작곡했다.

첼로 협주곡 1번(A단조, 1872년)은 진지하면서도 활기찬 작품으로, 하나의 긴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격렬한 제1부분을 가지고 있다. 이 곡은 첼로 레퍼토리에서 가장 인기 있는 협주곡 중 하나로, 파블로 카잘스를 비롯한 후대 연주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131] 첼로 협주곡 2번(D단조, 1902년)은 제4번 피아노 협주곡과 마찬가지로 각각 두 개의 독립적인 섹션으로 나뉜 두 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곡은 제1번보다 훨씬 화려한 기교를 요구한다. 생상은 이 곡이 너무 어려워서 제1번만큼 인기가 없을 것이라고 포레에게 말했다.

바이올린 협주곡은 세 개가 있는데, 가장 먼저 작곡된 곡은 1858년에 작곡되었지만 1879년에야 바이올린 협주곡 2번(C장조)으로 출판되었다.[132] A장조로 작곡된 바이올린 협주곡 1번도 1858년에 완성되었다. 이 곡은 단일 악장으로 된 짧은 작품으로, 314마디로 구성되어 연주 시간은 15분도 채 걸리지 않는다.[133] 전통적인 3악장 형식의 제2번 협주곡은 제1번의 두 배 길이지만, 세 작품 중 가장 인기가 없다. 생상스 작품 목록에는 그의 생애 동안 단 세 번의 공연만 기록되어 있다.[134] 바이올린 협주곡 3번(B단조)은 파블로 드 사라사테를 위해 작곡되었으며, 연주자에게 기술적으로 어려운 곡이지만, 비르투오소적인 부분과 목가적인 평온함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135] 세 바이올린 협주곡 중 가장 인기가 많지만, 생상스의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가장 유명한 협주곡 작품은 아마도 1863년 사라사테를 위해 작곡된 단악장 작품인 A단조 협주곡풍 서주와 론도 카프리치오소일 것이다.

3. 2. 1. 피아노

생상은 피아노 협주곡을 작곡한 최초의 주요 프랑스 작곡가였다. 제1번 협주곡(D장조, 1858년)은 전통적인 3악장 형식으로 되어 있으나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반면, G단조로 작곡된 제2번 협주곡(1868년)은 그의 가장 인기 있는 작품 중 하나이다. 이 곡에서 생상스는 전통적인 소나타 형식의 제1악장을 보다 자유로운 구조로 대체하여 장엄한 카덴차로 시작하는 실험을 했다. 스케르초인 제2악장과 프레스토의 피날레는 서주와 매우 대조적이어서 피아니스트 지그문트 스토요프스키는 이 작품이 "바흐처럼 시작해서 오펜바흐처럼 끝난다"고 평했다.[128]

제3번 협주곡(E♭장조, 1869년)은 또 다른 활기찬 피날레를 가지고 있지만, 앞선 악장들은 더 고전적이며, 질감은 명료하고 우아한 선율이 특징이다.[15] C단조로 작곡된 제4번 협주곡(1875년)은 제2번 협주곡 다음으로 생상스의 가장 잘 알려진 피아노 협주곡이다. 이 곡은 각각 두 개의 식별 가능한 하위 섹션으로 구성된 두 개의 악장으로 되어 있으며, 생상스의 다른 피아노 협주곡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주제적 통일성을 유지한다. 일부 자료에 따르면 이 곡에 깊은 감명을 받은 굴노가 생상을 "프랑스의 베토벤"이라고 불렀다고 한다(다른 자료에서는 이 칭호를 그의 교향곡 3번에 근거하여 언급한다).[129]

F장조로 작곡된 제5번이자 마지막 피아노 협주곡은 전작보다 20년 이상 지난 1896년에 작곡되었다. 이 작품은 "이집트" 협주곡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상스가 룩소르에서 겨울을 보내는 동안 작곡되었고, 나일강 뱃사공들이 부르는 곡을 작품에 통합했다.[130]

생상은 피아노 협주곡 외에도 다음과 같은 피아노곡들을 작곡했다.

작품명작곡 연도
협주곡 1번 라장조1858
협주곡 2번 사단조1868
협주곡 3번 내림 마장조1869
협주곡 4번 다단조1875
열정의 알레그로 올림 다단조1884
오베르뉴 광시곡 다장조1884
결혼 케이크 내림 가장조1885
아프리카 사단조1891
협주곡 5번 바장조 ‘이집트’1896



1890년대 생상스는 여가 시간을 많이 가지며 해외 여행 등을 통해 시간을 보냈고, 이전보다 작곡량과 연주 빈도가 감소했다.[276] 이 시기에 탄생한 주요 콘서트용 작품으로는 단악장 환상곡 『아프리카』(1891년)와 피아노 협주곡 제5번이 있다.[278]

3. 2. 2. 바이올린

생상은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여러 작품을 작곡했는데, 그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서주와 론도 카프리치오소 가단조(1863)이다. 이 곡은 파블로 드 사라사테를 위해 작곡된 단악장 작품으로, 고통스럽고 긴장된 시작에서 허세스러운 주요 주제로 전환된다. 평론가 제럴드 레너는 이 주제를 약간 사악하다고 표현하며, "중음주법의 카덴차 후에 (...) 독주 바이올린은 숨 막힐 듯한 질주로 코다를 지나 이장조의 행복한 결말까지 내달린다"라고 썼다.[333]

바이올린 협주곡 3번 나단조(1880) 역시 사라사테를 위해 작곡되었으며, 독주자에게 기교적으로 많은 것을 요구하지만, 비르투오조풍의 화려한 악절 사이에 전원적인 고요함을 삽입하여 균형을 이루고 있다.[332]

그 외 작품은 다음과 같다:

  • 로망스 다장조(1874)
  • 연주회 소품 마단조(1880)
  • 아바네스 마장조(1887)
  • 안달루시아 기상곡 사장조(1904)

3. 2. 3. 첼로

생상은 다음 두 곡의 첼로 협주곡을 작곡했다.

3. 3. 실내악

제공된 소스에는 '실내악'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4. 오페라

생상스는 12개의 오페라를 작곡했으며, 그중 2개는 오페라 코믹이다. 폴 뒤카스와 협력하여 에르네스트 기로의 미완성 작품 『프레데곤드』(1895년)를 보완하여 완성했다.[277] 생전에는 『헨리 8세』(1890년)가 레퍼토리에 올랐고, 사후에는 『삼손과 데릴라』만이 정기적으로 상연되고 있다. 해럴드 C. 숀버그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아스카니오』(1890년)를 훨씬 뛰어난 작품으로 여긴다고 한다.[194][242]

1870년, 독일 음악의 우세와 젊은 프랑스 작곡가들이 자신의 작품을 연주할 기회를 얻지 못하는 것을 우려한 생상스는 새로운 프랑스 음악을 보급하기 위한 단체 설립에 대해 논의했다.[233] 프랑스-프로이센 전쟁과 파리 코뮌으로 인해 이 제안은 연기되었지만, 1871년 국민음악협회가 창설되면서 생상스는 부회장으로 참여했다.[236]

1872년, 10년 이상 오페라 작곡 작업 끝에 1막 작품인 『황금빛 공주』가 상연되었지만, 5회 공연에 그쳤다.[238] 19세기 프랑스 작곡가에게 오페라는 가장 중요한 음악 양식으로 여겨졌지만,[242] 생상스는 이 분야에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었다.[243]

1877년 2월, 4막 "서정극"(drame lyrique)인 『은빛 소리』가 상연되어 18회 공연했다.[247][248] 같은 해 12월, 생상스는 오페라로 더 큰 성공을 거두는데, 그의 오페라 중 유일하게 세계적인 레퍼토리가 된 『삼손과 데릴라』이다. 성경을 바탕으로 한 소재 때문에 프랑스에서의 공연에는 많은 장애물이 있었고, 바이마르에서 독일어 번역으로 초연되었다.[242]

비평가 로널드 크릭턴은 생상스가 극장의 짐승으로서의 '후각'을 갖추지 못했다고 평가했다.[242] 2005년 연구에서 음악학자 스티븐 휴브너는 생상스에게는 연극적인 시간이 없었다고 말한다.[334] 생상스의 전기 작가인 제임스 하딩은 생상스가 가벼운 작품을 더 만들려고 하지 않았던 것을 후회한다고 말한다.[335]

생상스의 오페라는 대부분 무시되었지만, 크릭턴은 프랑스 오페라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말한다.[336] 그의 판단에 따르면 생상스의 오페라 작법에는 장점과 단점이 있다.[242] 양식적으로는 다양한 것이 도입되었는데, 자코모 마이어베어로부터는 합창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을,[337]헨리 8세』에는 튜더 왕조의 음악을 통합했다.[338] 리트모티프를 도입했지만, 그 사용은 신중했다.[340]

3. 5. 피아노

생상은 피아노 음악의 선구자였다. 1904년 6월, 런던의 그래모폰 사(The Gramophone Company)는 프로듀서 프레드 가이스버그(Fred Gaisberg)를 파리로 보내 생상을 녹음하게 했다. 이때 그는 자신의 피아노 독주곡을 녹음했는데, 여기에는 제2번 피아노 협주곡의 일부를 오케스트라 없이 편곡한 버전도 포함되었다.[161] 1919년에도 그는 그 회사를 위해 더 많은 녹음을 했다.[161]

생상은 학생들을 가르칠 때 자신의 제자들을 마음속에 그리면서, 그의 작품 중 가장 유명한 『동물의 사육제(Le Carnaval des animaux)』를 구상했다. 하지만 곡의 완성은 니델메이어 음악학교를 떠난 지 20년이 넘은 1886년까지 기다려야 했다.[220]

3. 6. 합창

생상스는 1890년대에 주로 단편 합창곡을 작곡했다. 이 시기 주요 콘서트용 작품으로는 단악장 환상곡 아프리카(1891년)와 피아노 협주곡 제5번이 있다. 1997년에는 생상스의 가곡 27곡을 모은 음반이 출시되었다.[361]

3. 7. 가곡

생상스는 가곡으로 Mélodies persanes프랑스어(페르시아인의 노래, 1870년), Cinq poèmes de Ronsard프랑스어(롱사르의 5개의 시, 1907~21년), La cendre rouge프랑스어(붉은 재 Op.146, 1914년), Vieilles chansons프랑스어(오래된 노래, 1921년)을 작곡했다.[233]

3. 8. 영화음악

생상스는 1908년에 세계 최초로 영화를 위해 작곡된 음악인 《기즈 공작의 암살(L'Assassinat du duc de Guise)》의 작곡을 담당했다.[276] 이는 앙리 라브단(Henri Lavedan)과 샤를 르 바르지(Charles le Bargy)가 감독을 맡은 영화였다.[276]

참조

[1] 사전 Saint-Saëns, Camille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2] 사전 Saint-Saëns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022-05-17
[3] 사전 Saint-Saëns Merriam-Webster 2022-05-17
[4] 서적
[5] 웹사이트 Doit-on prononcer le "s" final de Saint-Saëns ? http://www.lereveild[...]
[6] 서적
[7] 뉴스 Saint-Saens concert brought together unusual combination of two keyboardists http://www.sdjewishw[...] San Diego Jewish World 2011-02-14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뉴스 It All Came Too Easily For Camille Saint-Saëns The New York Times 1969-01-12
[16] 웹사이트 Saint-Saëns, Camille: Life http://www.oxfordmus[...] Grove Music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2-07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웹사이트 Benoist, François http://www.oxfordmus[...] Grove Music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2-12
[25] 서적
[26] 웹사이트 Halévy, Fromental http://www.oxfordmus[...] Grove Music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2-11
[27] 웹사이트 Camille Saint-Saëns: List of works http://www.oxfordmus[...] Grove Music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2-13
[28] 서적
[29] 서적 2002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뉴스 The composer who disappeared (twice) http://docs.newsbank[...] The Independent 2004-04-19
[48] 웹사이트 Camille Saint-Saëns http://www.classical[...] 2015-02-15
[49] 서적
[50] 뉴스 Paris Universal Exhibition The Morning Post 1867-07-24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웹사이트 Princesse jaune, La http://www.oxfordmus[...] 2015-02-16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웹사이트 Massenet, Jules http://www.oxfordmus[...] 2015-02-15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웹사이트 Timbre d'argent, Le http://www.oxfordmus[...] 2015-02-16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웹사이트 Saint-Saëns, Camille http://www.oxfordmus[...] 2015-02-18
[84] 서적
[85] 뉴스 Royal Opera, Covent-Garden The Era 1898-07-16
[86] 서적
[87] 서적
[88] 뉴스 Philharmonic Society; Music – Philharmonic Society The Times; The Daily News "1886-05-22; 1886-05-27"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뉴스 New Opera by Saint-Saëns The Times 1893-05-25
[95] 서적
[96] 뉴스 M. Saint-Saëns The Times 1896-06-05
[97] 뉴스 Cambridge University Musical Society The Times 1893-06-13
[98] 서적
[99] 뉴스 Gloucester Music Festival The Times 1913-09-12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107] 서적
[108] 웹사이트 The Classical Musician: Igor Stravinsky http://content.time.[...] 1998-06-08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간행물 Encore 1904-01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137] 서적
[138] 서적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142] 웹사이트 Saint-Saëns, Camille: Works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2-18
[143] 서적
[144] 서적
[145] 서적
[146] 서적
[147] 서적
[148] 서적
[149] 서적
[150] 웹사이트 Saint-Saëns, (Charles) Camille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2-21
[151] 서적
[152] 웹사이트 Song without words; Mazurka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2-20
[153] 서적
[154] 서적
[155] 서적
[156] 서적
[157] 서적
[158] 서적
[159] 서적
[160] 서적
[161] 웹사이트 Legendary piano recordings: the complete Grieg, Saint-Saëns, Pugno, and Diémer and other G & T rarities http://www.marstonre[...] 2014-02-24
[162] 서적
[163] 서적
[164] 웹사이트 Songs – Saint Saëns http://www.worldcat.[...] 2015-02-24
[165] 웹사이트 Henry VIII http://www.worldcat.[...] 2015-02-24
[166] 웹사이트 Hélène http://www.worldcat.[...] 2015-02-24
[167] 서적
[168] 간행물 Bru Zane CD sets
[169] 서적
[170] 웹사이트 Saint-Saëns, Camille http://www.ukwhoswho[...]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2-21
[171] 뉴스 M. Saint-Saëns The Times 1921-12-19
[172] 서적
[173] 뉴스 M. Saint-Saëns's Essays The Times Literary Supplement 1910-06-23
[174] 뉴스 Camille Saint-Saëns The Times Literary Supplement 1921-12-22
[175] 웹사이트 Saint-Saëns, Camille Oxford Dictionaries 2019-08-10
[176]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5th ed.) https://www.ahdictio[...]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9-08-10
[177] 웹사이트 Saint-Saëns 2019-08-10
[178] 서적 Rees
[179] 웹사이트 Doit-on prononcer le "s" final de Saint-Saëns ? http://www.lereveild[...] Publihebdos 2015-01-12
[180] 서적 Prod'homme
[181] 웹사이트 Saint-Saens concert brought together unusual combination of two keyboardists http://www.sdjewishw[...] 2011-02-14
[182] 서적 Passport to Jewish Music: Its History, Traditions, and Culture Greenwood Press
[183] 서적 Musical Biographies https://archive.org/[...] Toledo
[184] 서적 Camille Saint-Saens: A Guide to Research Routledge
[185] 논문 Camille Saint-Saëns https://www.jstor.or[...]
[186] 서적 第三帝国と音楽家たち―歪められた音楽 アルファベータ
[187] 서적 Kater
[188] 서적 Rees
[189] 서적 Saint-Saëns
[190] 서적
[191] 서적 Schonberg
[192] 서적 Gallois
[193] 서적 Saint-Saëns
[194] 뉴스 It All Came Too Easily For Camille Saint-Saëns The New York Times 1969-01-12
[195] 웹사이트 Saint-Saëns, Camille: Life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2-07
[196] 서적 Rees
[197] 서적 Houziaux
[198] 서적 Houziaux
[199] 서적 ピアニストガイド 青弓社 2006-02-10
[200] 서적 Rees
[201] 서적 Nectoux
[202] 서적 Rees
[203] 서적 Rees
[204] 웹사이트 Benoist, François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2-12
[205] 서적 Saint-Saëns
[206] 웹사이트 Halévy, Fromental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2-11
[207] 웹사이트 Camille Saint-Saëns: List of works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2-13
[208] 서적 Studd
[209] 서적 Ratner
[210] 서적 Smith
[211] 서적
[212] 서적
[213] 서적
[214] 서적
[215] 서적
[216] 서적
[217] 서적
[218] 서적
[219] 서적
[220] 서적
[221] 서적
[222] 서적
[223] 서적
[224] 서적
[225] 서적
[226] 서적
[227] 뉴스 The composer who disappeared (twice) http://docs.newsbank[...] The Independent 2004-04-19
[228] 웹사이트 Camille Saint-Saëns http://www.classical[...] 2015-02-15
[229] 서적
[230] 뉴스 Paris Universal Exhibition The Morning Post 1867-07-24
[231] 서적
[232] 서적
[233] 서적
[234] 서적
[235] 서적
[236] 서적
[237] 서적
[238] 웹사이트 Princesse jaune, La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2-16
[239] 서적
[240] 서적
[241] 서적
[242] 서적
[243] 웹사이트 Massenet, Jules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2-15
[244] 서적
[245] 서적
[246] 서적
[247] 서적
[248] 웹사이트 Timbre d'argent, Le http://www.oxfordmus[...] Oxford Music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2-16
[249] 서적
[250] 서적
[251] 서적
[252] 서적
[253] 서적
[254] 서적
[255] 서적
[256] 서적
[257] 웹사이트 https://archive.is/i[...]
[258] 서적 Queer Episodes in Music and Modern Identity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59] 서적 Camille Saint-Saëns Editions Mardaga
[260] 서적
[261] 서적
[262] 서적
[263] 서적
[264] 서적
[265] 서적
[266] 웹사이트 Saint-Saëns, Camille http://www.oxfordmus[...] Oxford Music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2-18
[267] 서적
[268] 뉴스 Royal Opera, Covent-Garden The Era 1898-07-16
[269] 서적
[270] 서적
[271] 뉴스 Philharmonic Society, Music – Philharmonic Society The Times, The Daily News 1886-05-22, 1886-05-27
[272] 서적
[273] 서적
[274] 서적
[275] 서적
[276] 서적
[277] 뉴스 New Opera by Saint-Saëns The Times 1893-05-25
[278] 서적
[279] 뉴스 M. Saint-Saëns The Times 1896-06-05
[280] 뉴스 Cambridge University Musical Society The Times 1893-06-13
[281] 서적
[282] 서적
[283] 뉴스 Gloucester Music Festival The Times 1913-09-12
[284] 서적
[285] 서적
[286] 서적
[287] 서적
[288] 서적
[289] 서적
[290] 서적 Musical Memories https://archive.org/[...] Small, Maynard & Company
[291] 서적
[292] 서적
[293] 웹사이트 The Classical Musician: Igor Stravinsky http://content.time.[...] 1998-06-08
[294] 서적
[295] 서적
[296] 서적
[297] 서적 サン・サーンスとフォーレ―往復書簡集 1862‐1920 新評論
[298] 서적 The Life of Debuss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9] 서적 音楽のために:ドビュッシー評論集 白水社
[300] 서적
[301] 서적
[302] 서적
[303] 서적 The Lives and Times of the Great Composers Oxford University Press
[304] 서적 The Great Pianists Simon and Schuster
[305] 서적 ピアノ音楽の巨匠たち 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
[306] 서적
[307] 서적
[308] 서적 ニューグローヴ世界音楽大事典 音楽之友社
[309] 서적 フランス音楽史 白水社
[310] 서적 作曲家の肖像 音楽之友社
[311] 서적 フランス音楽史 春秋社
[312] 서적 Saint-Saëns: A Life Chatto & Windus
[313] 서적
[314] 서적
[315] 서적
[316] 서적
[317] 서적
[318] 서적
[319] 서적
[320] 웹사이트 클래식과 영화음악 http://www.nhkso.or.[...] 2019-06-28
[321] 서적
[322] 간행물 Encore 1904-01
[323] 서적 Film Music: A History Routledge
[324] 서적
[325] 서적
[326] 서적
[327] 서적
[328] 서적
[329] 서적
[330] 서적
[331] 서적
[332] 서적
[333] 서적
[334] 서적
[335] 서적
[336] 서적
[337] 서적
[338] 서적
[339] 웹사이트 Saint-Saëns, Camille: Works http://www.oxfordmus[...] 2015-02-18
[340] 서적
[341] 서적
[342] 서적
[343] 서적
[344] 서적
[345] 서적
[346] 서적
[347] 웹사이트 Saint-Saëns, (Charles) Camille http://www.oxfordmus[...] 2015-02-21
[348] 서적
[349] 웹사이트 Song without words, Mazurka http://www.oxfordmus[...] 2015-02-20
[350] 서적
[351] 서적
[352] 서적
[353] 서적
[354] 서적
[355] 서적
[356] 서적
[357] 서적
[358] 웹사이트 Legendary piano recordings: the complete Grieg, Saint-Saëns, Pugno, and Diémer and other G & T rarities http://www.marstonre[...] 2014-02-24
[359] 서적
[360] 서적
[361] 웹사이트 Songs – Saint Saëns http://www.worldcat.[...] 2015-02-24
[362] 웹사이트 Henry VIII http://www.worldcat.[...] 2015-02-24
[363] 웹사이트 Hélène http://www.worldcat.[...] 2015-02-24
[364] 서적
[365] 서적 チャイコフスキー 音楽之友社
[366] 웹사이트 Saint-Saëns, Camille http://www.ukwhoswho[...]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2-21
[367] 뉴스 M. Saint-Saëns The Times 1921-12-19
[368] 서적
[369] 뉴스 M. Saint-Saëns's Essays The Times Literary Supplement 1910-06-23
[370] 뉴스 Camille Saint-Saëns The Times Literary Supplement 1921-12-22
[371] 웹사이트 Doit-on prononcer le «s» final de Saint-Saëns? http://www.lereveild[...]
[372]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