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의 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느님의 종'은 성경과 가톨릭 교회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성경에서는 모세, 여호수아, 바울 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며, 가톨릭 교회에서는 시복시성을 위한 조사가 진행 중인 인물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가톨릭 교회에서 '하느님의 종'은 시성 과정의 첫 번째 단계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이며, 교황의 칭호인 '하느님 종들의 종'과는 다른 의미를 지닌다. 한국 가톨릭 교회에서도 이 용어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가톨릭교회에 관한 - 성인 (종교)
성인은 종교에서 이상적인 인격을 갖추거나 종교적 가르침을 실천하여 존경받는 사람을 의미하며, 유교, 불교,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성인을 추앙한다. - 로마 가톨릭교회에 관한 - 시복
시복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이 죽은 이의 덕과 기적을 인정하여 복자로 선포하는 절차로, 초기에는 지역 주교가 권한을 가졌으나 현재는 교황청 시성성에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진행되며, 시복된 이는 특정 지역이나 공동체에서 기념된다. - 하느님의 종 - 마테오 리치
마테오 리치는 16세기 예수회 선교사이자 학자로, 중국에서 유교적 가치관에 기반한 선교와 저술 활동을 통해 서양 학문과 기독교를 소개하고 중국 문화를 유럽에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가경자로 선포되었다. - 하느님의 종 - 서광계
서광계는 명나라 말기의 학자이자 관료로서, 마테오 리치와 교류하며 서양 학문을 받아들이고 《기하원본》을 번역했으며, 농업, 천문학,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기고 《농정전서》를 편찬하여 중국 농학 발전에 기여했다.
하느님의 종 | |
---|---|
의미 | "하느님의 종"이라는 뜻의 라틴어 |
사용 사례 | 교황 비오 7세 시복 또는 시성 절차에 있는 인물 |
시성 단계 | |
시성 절차 단계 | 하느님의 종 → 가경자 → 복자 → 성인 |
2. 용어
“하느님의 종”이라는 표현은 성경에 아홉 번 등장하는데, 다섯 번은 구약 성경에, 나머지 네 번은 신약 성경에 나온다. 히브리어 성경은 모세를 “엘로힘의 종”( עֶֽבֶד הָאֱלֹהִ֛ים|에베드 하엘로힘he) (역대기 상 6:49,[1] 역대기 하 24:9,[1] 느헤미야기 10:29,[1] 다니엘서 9:11[1])이라고 부른다. 판관기 2:8[1]과 디모데후서 2:15[1]는 여호수아를 “야훼의 종”( עֶ֣בֶד יְהוָ֑ה|에베드 야훼he)이라고 부른다.
가톨릭 교회에서 '하느님의 종'(Servant of God)은 시복시성을 위한 조사가 진행 중인 인물을 일컫는 표현이다.[2][3] 이는 교황의 칭호 중 하나인 ‘하느님 종들의 종’(Servus Servorum Dei)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1]
성경
신약 성경은 요한 묵시록 15:3[1]에서도 모세를 “하나님의 종”(τοῦ δούλου τοῦ Θεοῦ|투 둘루 투 테우el)으로 묘사한다. 바오로는 티토에게 보낸 서간 1:1[1]에서 자신을 “하나님의 종”( δοῦλος Θεοῦ|둘로스 테우el)이라고 부르는 반면, 야고보의 편지 1:1[1]에서 야고보는 자신을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종”( θεοῦ καὶ κυρίου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δοῦλος|테우 카이 키리우 예수 크리스투 둘로스el)이라고 부른다. 베드로의 첫째 편지 2:16[1]는 “하나님의 종들”( Θεοῦ δοῦλοι|테우 둘로이el)이 하나님의 뜻 안에서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킹 제임스 성경에서 확립된 용례 관습에 따라 “종”이라는 단어는 결코 대문자로 쓰이거나 귀족의 칭호로 사용되지 않는다. (“종이 주인보다 크지 않다.”)[1]
3. 가톨릭 교회
‘하느님의 종’이라는 용어는 시복시성 과정의 네 단계 중 첫 번째 단계에서 사용된다. 다음 단계는, 해당 인물의 영웅적 덕행이나 순교가 선언됨에 따라 ‘존경받는 이’(venerable)로 선포되는 것이다. 그다음은 시복으로, ‘복자’(Blessed)라는 칭호를 받게 된다. 이후 해당 인물의 전구(intercession)로 인한 기적이 확인되면 마지막 단계인 시성을 거쳐 ‘성인’(saint)이 된다.[4][5] 시성 과정은 교황청 시성성(Congregation for the Causes of Saints)의 관할 하에 있다.
‘하느님의 종’은 가톨릭교회에서 엄격한 의미로는 공식 칭호(예: 존경받는 이, 복자)로 간주되지 않고, 시성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일 뿐이다. 따라서 더 넓은 의미에서 신자 누구든 ‘하느님의 종’이라고 불릴 수 있다.[6]
참조
[2]
뉴스
Pressing Sainthood for a Beloved Archbishop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2004-12-12
[3]
웹사이트
Congregation for the Causes of Saints: New Procedures in the Rite of Beatification
https://www.vatican.[...]
[4]
뉴스
John Paul II declared Venerable, moves one step closer to sainthood
https://www.catholic[...]
CNA
2010-02-28
[5]
뉴스
Mercedarian Missionaries' founder to be beatified
http://www.saipantri[...]
Saipan Tribune
2006-10-05
[6]
서적
Le Cause dei Santi. Sussidio per lo Studi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7]
웹사이트
キリスト教マメ知識 列福・列聖
https://www.pauline.[...]
Laudate 女子パウロ会
2022-11-26
[8]
웹사이트
【解説】「尊者」は信徒の模範、カトリック教会が認定する敬称とは?
http://christianpres[...]
クリスチャンプレス
2022-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