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로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로힘(ʼĕlôhîym)은 히브리어로 "신들"을 의미하는 복수형 명사로, 유대교에서는 하느님을 지칭할 때 단수로 사용된다. 어원은 가나안 신화의 최고신 엘의 가족을 뜻하는 'ʾlhm'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엘로아'에서 파생되었다는 설도 있다. 엘로힘은 유일신론, 삼위일체론, 다신론 등 다양한 신학적 관점에서 해석되며, 몰몬교에서는 하나님 아버지를, 라엘리안 무브먼트에서는 외계 생명체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엘로힘은 히브리어 성서에서 '신' 또는 '신들'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히브리어 문법상 어미 '-임'()은 보통 복수형을 가리키지만, 엘로힘이 유대교의 하느님을 지칭할 때는 단수 동사나 형용사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문법적으로 단수로 이해된다.[8][9]
가장 가능성 있는 어원은 우가리트 문서들에서 나타나는, 가나안의 주신 엘의 가족이나 주위의 신들을 뜻하는 엘로힘('Ihm)으로서, 여러 신을 나타낸다.
2. 어원 및 문법
엘로힘이 복수형 어미를 가짐에도 단수로 취급되는 현상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론이 존재한다.2. 1. 어원
엘로힘의 가장 가능성 있는 어원은 우가리트 문서들에 나타나는 가나안의 주신 엘의 가족이나 주위의 신들을 뜻하는 엘로힘('Ihm)으로, 여러 신을 나타낸다.
조엘 호프만(Joel Hoffman)은 가나안어에 많이 쓰이는 단어인 “엘림”(elim)에 히브리어 모음넣기(mater lectionis)로 중간에 “헤”(''heh'')를 넣어 다른 신들과 다른 이스라엘 유일신을 나타냈을 것이라고 한다. 이는 아브람과 아브라함, 사래와 사라와 같은 변형과 똑같은 형태라고 논한다.[123]
카렐 반 데르 토른(Karel van der Toorn)은 엘로힘이 엘로아의 복수라는 흔한 주장이 맞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D. 파디(D, Pardee)는 엘로아라는 말의 어원이 불분명하다고 주장한다.[124] 엘로아는 구약성서에서 57번 등장한다.
“엘”이나 “울”은 “강하다” 또는 “앞서다”라는 뜻을 나타낸다고 추정한다. 여기에서 “아일”이라는 말(“람”, “무리를 이끄는 자”)이 나왔을 것이다. 따라서 엘로힘은 “엘”의 확장된 복수형일 것이다(그러나 셈어의 어원은 세 자음 어근을 갖는다.).
다른 이들은 엘로힘과 엘로아를 “알라”(두렵게 하는)나 “알리”(alih, 혼란스럽게·두렵게 하는)에서 어원을 찾는다. 이에 따르면, 엘로아와 엘로힘은 따라서 두렵거나 복수의 대상이 되는 존재, 또는 몸둘 곳을 못 찾게 하는 자를 뜻한다.
엘로힘의 어미 “-임”은 남성 복수이지만, 히브리의 신을 나타낼 때는 보통 단수 동사나 형용사를 받고, 거룩한 자를 나타낼 때는 복수로 쓴다(예: 시편 96편 5편, 97편 7편).
''엘로힘'' 또는 ''엘로힘''(''ʼĕlôhîym'')은 문법적으로 복수형 명사로, 성경 히브리어에서 "신들" 또는 여러 다른 단어를 의미한다.[1][2][3][4][5][6][7]
히브리어에서 어미 ''-임''은 일반적으로 남성 복수를 나타낸다. 그러나 유대교의 하느님을 지칭할 때, ''엘로힘''은 일반적으로 문법적으로 단수로 이해된다(즉, 단수 동사 또는 형용사를 지배한다). 현대 히브리어에서는 ''-im'' 어미에도 불구하고 단수로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8][9]
''엘로힘''은 북서 셈어 명사 '''일'''의 확장된 형태인 ''엘로아''(אלוהhe)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진다.[1][2][3][4][5][6] ''엘로아''(אלוהhe)와 ''엘''(אֵלhe)은 고유 명사 또는 일반 명사로 사용되며, 이 경우 ''엘로힘''과 상호 교환 가능하다.[10] 이 용어는 헤가 세 번째 근본 문자로 추가되어 이중 자음 뿌리를 갖는다. ''엘로힘''의 어원에 대한 논의는 본질적으로 이러한 확장에 관한 것이다. 히브리어 외 정확한 동족어는 우가리트어 ''ʾlhm''에서 발견되며, 이는 창조신이자 가나안 판테온의 최고 신인 엘의 가족을 의미한다. 성경 아람어 ''ʼĔlāhā''와 이후의 시리아어 ''Alaha''("하느님"), 그리고 아랍어 ''ʾilāh'' ("신, 신") (또는 "유일신"으로서의 ''알라'')에도 나타난다.[10] "엘"(확장된 뿌리 ''ʾlh''의 기초)은 일반적으로 "강하다" 및/또는 "앞에 있다"는 의미의 뿌리에서 파생된다.[10]
엘로힘은 히브리어 성서에서 「신」 또는 「신들」을 나타낸다. 히브리어 문법에서 어미 은 통상 복수형을 가리킨다.[80][81]
엘로힘은 북서셈어계에서 신을 나타내는 엘로아 에서 파생된 것으로 생각된다.[82] 히브리어 이외의 동계어로는, 가나안 신화의 창조신이며 주신인 엘 , 우가리트어의 일룸 , 성서 아람어의 엘라하 Ĕlāhāarc, 시리아어의 알라하 「신」, 및 아랍어의 일라 「신」, 또는 알라 「(단일의)신」이 있다.
El은 "강해지다" 또는 "앞에 서다"라는 아람어 가 어원으로 생각된다.[83]
2. 2. 문법적 특징
히브리어에서 엘로힘(אלהים|엘로힘he)은 형태론적으로 복수형으로 쓰이지만, 이스라엘의 유일신을 나타낼 때는 단수 동사나 형용사를 취하는 것으로 전통적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성경의 첫 구절인 "베레쉬트 바라 엘로힘(בראשית ברא אלהים 태초에 하나님이)"에서 '바라(ברא|바라he)'는 '(그가) 창조하다'라는 뜻의 3인칭 단수 남성 완료형 동사이다.[1][2][3][4][5][6][7] 만약 엘로힘이 복수를 뜻한다면 복수형 동사인 '바루(בראו|바루he, (그들이) 창조하다)'를 사용했을 것이다.
히브리어에서 어미 '-임'은 일반적으로 남성 복수를 나타낸다. 그러나 엘로힘은 유대교의 하느님을 지칭할 때 일반적으로 문법적으로 단수로 이해된다 (단수 동사/형용사 사용).[8][9] 현대 히브리어에서도 '-im' 어미에도 불구하고 단수로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엘로힘''은 ''엘로아''[1][2][3][4][5][6]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북서 셈어 명사 '''일'''의 확장된 형태이다.[10] 관련 명사인 ''엘로아''(אלוה|엘로아he)와 ''엘''(אֵל|엘he)은 고유 명사 또는 일반 명사로 사용되며, 이 경우 ''엘로힘''과 상호 교환 가능하다.[10]
히브리어에는 '-im'(남성 복수)과 '-oth'(여성 복수) 어미로 끝나지만, 단수 동사, 형용사, 대명사를 사용하는 명사가 여러 개 있다. 예를 들어, ''바알임''[52], ''아돈임''[53], ''베헤모스''[54]가 있다. 이러한 형태는 "존엄 복수"로 알려져 있으며, 권력이나 존경을 표시한다.[55]
히브리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 중에는 남성 복수 어미를 포함하지만 단수 개념으로 유지되는 단어가 여러 개 있는데, 주요 예시는 다음과 같다.
이 단어들은 "하나의 형태에 얽매이지 않는 것들"을 나타낸다.[59]
3. 가나안 종교와 엘로힘
조엘 호프만은 가나안어에 많이 쓰이는 단어인 “엘림”(elim)에 히브리어 모음넣기(mater lectionis)로 중간에 “헤”(''heh'')를 넣어 다른 신들과 다른 이스라엘 유일신을 나타냈을 것이라고 한다. 이는 아브람과 아브라함, 사래와 사라와 같은 변형과 똑같은 형태라고 논한다.[123]
카렐 반 데르 토른은 흔한 주장이 맞다고 주장한다. 즉 엘로힘은 엘로아의 복수라는 것이다. D. 파디는 그러나 엘로아라는 말의 어원이 불분명하다고 주장한다.[124] 그러나 구약성서에서 57번 등장한다.
“엘”이나 “울”은 “강하다” 또는 “앞서다”라는 뜻을 나타낸다고 추정한다. 여기에서 “아일”이라는 말(“람”, “무리를 이끄는 자”)이 나왔을 것이다. 따라서 엘로힘은 “엘”의 확장된 복수형일 것이다(그러나 셈어의 어원은 세 자음 어근을 갖는다.).
다른 이들은 엘로힘과 엘로아를 “알라”(두렵게 하는)나 “알리”(alih, 혼란스럽게·두렵게 하는)에서 어원을 찾는다. 이에 따르면, 엘로아와 엘로힘은 따라서 두렵거나 복수의 대상이 되는 존재, 또는 몸둘 곳을 못 찾게 하는 자를 뜻한다.
이 엘로힘의 어미 “-임”은 남성 복수이지만, 히브리의 신을 나타낼 때는 보통 단수 동사나 형용사를 받고, 거룩한 자를 나타낼 때는 복수로 쓴다(예: 시편 96편 5편, 97편 7편). 왜 이 단어가 복수인지에 대한 이론도 많다.
단어 ''el'' (단수)은 아람어, 고대 히브리어, 그리고 우가리트어를 포함한 다른 관련 셈어에서 "신"을 나타내는 표준 용어이다. 가나안 신들의 판테온은 ''ilhm''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엘로힘''에 상응하는 우가리트어이다. 예를 들어, 우가리트의 바알 주기는 "아세라의 일흔 명의 아들"을 언급한다. 각 "신의 아들"은 특정 민족의 기원 신으로 여겨졌다 (KTU 2 1.4.VI.46).
엘로힘의 단수형 '''엘'''(、엘)은 아람어, 고대 히브리어, 그리고 우가리트어, 기타 셈어 계 언어에서 "신"을 나타낸다. 가나안인의 신을 모시는 판테온은 일(イル)로 알려져 있었다.[84] 이는 엘로힘에 해당하는 우가리트어이다.[85]
성서 비평가에 따르면 엘로힘은 야훼에 비해 더 오래된 신앙으로, 원래는 셈계 여러 민족에게서 나타나는 다신교에서의 최고신으로, 추상적·관념적인 하늘의 신이었다. 이와 달리 야훼의 기원은 헤브론을 중심으로 한 이스라엘 남부의 신앙으로, 추상적인 엘로힘과 달리, 구체적인 인격신이었다. 양자는 유일신교화하는 과정에서 혼동되어 동일한 신으로 여겨지게 되었다고 한다.[86]
우가리트 신화에서는 최고신 일의 아내인 아세라가 낳은 "70명의 아들"이 등장하는데, 각각이 특별한 기원을 가진 신으로 여겨졌다.[87][88]
4. 히브리어 성경에서의 용법
엘로힘(אֱלֹהִים)은 히브리어 성경에 2,500번 이상 등장하는 단어로,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가장 일반적인 의미는 "신들"이지만,[10] 문맥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 이스라엘의 유일신: 토라에서 엘로힘은 종종 이스라엘의 유일신을 가리키며, 이때는 단수 동사와 함께 쓰인다.
- 여러 신: 엘로힘은 엘로아(אֱלֹהַ)의 복수형으로 사용되어 여러 신을 가리키는 다신교적 개념을 나타내기도 한다.
- 특정 신: 이스라엘의 엘로힘(야훼) 외에도 다른 특정 신을 지칭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
- 초자연적 존재: 세라핌과 같은 초자연적인 존재를 가리키기도 한다.
- 죽은 자의 영혼: 사울 왕의 명에 따라 소환된 죽은 자의 영혼을 가리키기도 한다.[10]
- 왕과 예언자: 왕들과 예언자들을 지칭하기도 한다.[10]
- 천사: 70인역과 신약 성경에서는 엘로힘을 천사로 번역하기도 한다.
- 재판관: 70인역과 킹 제임스 성경(KJV)에서는 엘로힘을 재판관으로 번역하기도 한다.
"신의 아들들"로 번역되는 ''베네 엘로힘''(בְּנֵי הָאֱלֹהִים)이라는 구절은 우가리트어와 페니키아어 텍스트에서 신들의 회의를 지칭하는 것과 일치한다.[10]
엘로힘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다.
- 엘(신)의 확장된 복수형: "엘" 또는 "울"은 "강하다" 또는 "앞서다"라는 뜻을 가지며, 여기서 "아일"이라는 말("람", "무리를 이끄는 자")이 나왔을 것으로 추정한다.
- 두려움의 대상: 엘로힘과 엘로아를 "알라"(두렵게 하는)나 "알리"(alih, 혼란스럽게·두렵게 하는)에서 어원을 찾기도 한다.
- 가나안의 주신 엘: 우가리트 문서에서 나타나는 가나안의 주신 엘의 가족이나 주위의 신들을 뜻하는 엘로힘('Ihm)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 엘림(elim)의 변형: 조엘 호프만은 가나안어에 많이 쓰이는 단어인 "엘림"(elim)에 히브리어 모음넣기(mater lectionis)로 중간에 "헤"(''heh'')를 넣어 이스라엘 유일신을 나타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23]
엘로힘의 어미 "-임"은 남성 복수이지만, 히브리의 신을 나타낼 때는 보통 단수 동사나 형용사를 받는다는 점이 특이하다. 이에 대한 여러 이론이 존재한다.
- 위엄의 복수: 유일신론자들은 신적인 위엄을 나타낼 때 복수형이 쓰인다고 본다.
- 삼위일체의 증거: 기독교의 삼위일체론에서는 이것이 삼위일체의 증거라고 보기도 한다.
- 다신론의 잔재: 비정통 기독교, 유태인 신학자들과 다신론자들은 이 복수형이 셈 족의 다신론을 반영한 것이라고 본다.
- 하나님 아버지를 나타내는 표현: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에서는 엘로힘을 하나님 아버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본다.[125]
마이모니데스는 엘로힘이라는 용어가 신, 천사, 재판관, 그리고 국가의 통치자들을 의미하는 동음이의어라고 설명했다.[11]
4. 1. 복수 동사와의 사용
히브리어에서 엘로힘은 형태상 복수형이지만, 이스라엘의 유일신을 나타낼 때는 단수 동사나 형용사를 함께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성경의 첫 구절인 "베레쉬트 바라 엘로힘(태초에 하나님이)"에서 '바라'(창조하다)는 3인칭 단수 남성 동사이다. 만약 엘로힘이 복수였다면, 복수 동사인 '바루'(창조하다)를 사용했을 것이다.[12]하지만 히브리 성경에서 엘로힘이 복수 동사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사무엘기상 28장 13절에서 엔돌의 마녀는 사울에게 사무엘의 영을 소환했을 때 땅에서 엘로힘이 올라오는 것('올림', 복수 동사)을 보았다고 말한다.[12] 이 경우 엘로힘은 신뿐만 아니라 영을 가리킬 수 있다.[13] 바빌로니아 탈무드에서는 이들이 둘이었으며, 하나는 사무엘이고 다른 하나는 모세였다고 설명한다.[14] 라시도 이러한 해석을 제시한다.[15] 스포르노는 "모든 무형의 피조물은 엘로힘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기에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알려진 인간의 영혼도 포함된다"고 말한다.[16]
창세기 20장 13절에서 아브라함은 블레셋 왕 아비멜렉 앞에서 "엘로힘( '하나님'으로 번역됨)이 나를 방황하게 하셨다('התעו', 복수 동사)"고 말한다.[17][18][19] 70인역은 단수 동사 형태를 사용했지만, 대부분의 영어 성경은 "하나님이 ~하게 하셨다"로 번역하여 단수와 복수를 구분하지 않는다.[20] 예루살렘 탈무드에서는 아브라함에 관한 모든 이름은 거룩하지만, 이 구절만은 예외라고 말한다.[21] 소페림 논문에서 하닌아 벤 아히 R. 조슈아는 이 단어가 "거룩하다"고 주장했다.[22] 온켈로스 등은 이 단어가 "신들"을 의미하며, 아브라함이 데라의 우상 숭배에 대한 혐오로 인해 집을 떠났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23] 헤제키야 벤 마노아는 엘로힘을 아므라펠과 같은 악한 통치자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한다.[24]
창세기 35장 7절에서 야곱은 엘-벧엘에 제단을 세우며, "그곳에서 엘로힘이 그 자신을 [야곱에게] 나타내셨다(복수 동사)"라고 말한다.[25] 동사 '니글루'(나타내셨다)는 복수형이다.[26][27] 일부 유대교 자료는 엘로힘을 "천사"로 번역하며,[28] 야곱이 사다리를 오르내리는 천사들의 환상을 본 것을 언급한다.[29] 라닥은 천사를 언급하는 것에 동의하지만, 존칭 복수라는 다른 견해도 제시한다.[30] 엘로힘은 시편 등에서 천사를 가리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31][32][33]
4. 2. 단수 동사와의 사용
히브리어에서 엘로힘은 형태상 복수형이지만, 이스라엘의 유일신을 나타낼 때는 단수 동사나 형용사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34] 예를 들어, 성경의 첫 구절인 "베레쉬트 바라 엘로힘(בראשית ברא אלהים, 태초에 하나님이)"에서 '창조하다'를 뜻하는 동사 '바라'(ברא)는 3인칭 단수 남성 완료형이다.[35][36][37] 만약 엘로힘이 복수의 신을 의미했다면 복수형 동사인 '바루'(בראו)를 사용했을 것이다.출애굽기 21장 29절에 나오는 '베알림'(בעלים, 소유자) 역시 복수형이지만 단수 동사와 함께 사용되는 예시 중 하나이다.
''엘로힘''(Elohim)이 이스라엘의 신을 의미할 때 대부분 문법적으로 단수 취급을 받으며, "신"으로 번역되고 대문자로 표기된다. 예를 들어, 창세기 1장 26절에는 "엘로힘(신으로 번역)이 말했다(단수 동사), '우리(복수)가 우리의(복수) 형상대로 사람을 만들자(복수 동사), 우리의(복수) 모습을 따라'"라고 쓰여 있다.[34] 이 구절에 대한 전통적인 유대교 해석에 따르면, 여기서 '우리'는 신이 신적인 회의에서 천사들과 함께하는 것을 의미한다.[34] 창세기 1장 27절에서도 "신이 자신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셨으니, 신의 형상대로 그를 창조하셨고, 남성과 여성을 창조하셨다"에서 '창조하셨다'는 단수 동사 '바라'(בָּרָא, bārāʾ)가 사용되었다.[35][36][37]
빌헬름 게세니우스를 비롯한 히브리어 문법학자들은 이를 pluralis excellentiaela(탁월성의 복수) 또는 pluralis majestatisla(위엄의 복수)로 설명한다.[38] 게세니우스는 단수 히브리어 용어 ''엘로힘''을 복수 신을 지칭하는 ''elohim''과 구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예외적인 경우도 존재한다. 창세기 20장 13절,[40][41][42][43] 35장 7절,[107] 사무엘하 7장 23절, 시편 58편 11절 등에서는 엘로힘이 복수 동사와 함께 사용되었다. 특히 "살아있는 신"을 뜻하는 '엘로힘 하임'(אלהים חיים)은 복수 형용사이지만 단수 동사를 취한다. (신명기 5장 26절 등)[44]
70인역과 신약 성경 번역에서는 이러한 경우에도 엘로힘을 단수 ὁ θεόςgrc로 번역했으며, 현대 번역본도 이를 따라 "신"으로 번역한다. 사마리아 오경은 이러한 예외 중 일부를 삭제했다.[44]
마크 사메스는 고대 사제들이 이스라엘의 신을 단일하고 이중 성별을 가진 신으로 이해했다는 기욤 포스텔의 이론을 제시했다.[40][41][42][43]
마티 스튜시는 시편 82편 1절에서 엘로힘이 단수 동사와 함께 사용되어 하나님을 지칭하지만, 6절에서는 하나님이 회의의 다른 구성원들에게 '너희[복수]는 엘로힘이다'라고 말하는 부분에서 '엘로힘'이 신들을 의미한다고 해석했다.[60]
마크 스미스는 같은 시편을 언급하며, 신들이 신적 회의에서 만나는 장면을 묘사한다고 설명했다.[61]
H. M. 스티븐슨은 요한복음 10장 34-36절에서 예수님의 논쟁을 언급하며 시편 82편 6-7절을 인용했다.[61]
5. 다양한 종교 전통에서의 엘로힘
엘로힘의 가장 가능성 있는 어원은 우가리트 문서들에 나타나는 가나안의 주신 엘의 가족이나 주위의 신들을 뜻하는 엘로힘('Ihm)으로, 여러 신을 나타낸다.
- 조엘 호프만은 가나안어에 많이 쓰이는 단어인 "엘림"(elim)에 히브리어 모음넣기(mater lectionis)로 중간에 "헤"(''heh'')를 넣어 다른 신들과 다른 이스라엘 유일신을 나타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아브람과 아브라함, 사래와 사라와 같은 변형과 똑같은 형태라고 설명한다.[123]
- 카렐 반 데르 토른은 엘로힘이 엘로아의 복수라는 주장이 맞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D. 파디는 엘로아라는 말의 어원이 불분명하다고 주장한다.[124]
- “엘”이나 “울”은 “강하다” 또는 “앞서다”라는 뜻을 나타낸다고 추정되며, 여기에서 “아일”이라는 말(“람”, “무리를 이끄는 자”)이 나왔을 것으로 본다. 따라서 엘로힘은 “엘”의 확장된 복수형일 것이다.
- 다른 학자들은 엘로힘과 엘로아를 “알라”(두렵게 하는)나 “알리”(alih, 혼란스럽게·두렵게 하는)에서 어원을 찾는다. 이에 따르면, 엘로아와 엘로힘은 두렵거나 복수의 대상이 되는 존재, 또는 몸둘 곳을 못 찾게 하는 자를 뜻한다.

70인역 성경에는 히브리어 엘로힘을 복수 동사와 함께 사용하거나, 문맥상 엘로힘을 가리켜 "천사들 ", "신의 재판관들 " 등, 복수임을 시사하는 기술도 있다.[98] 이는 라틴어 성경인 불가타, 영 제임스 왕의 흠정역성서 (KJV)에서도 복수형 "천사 angeles영어"와 "재판관 judges영어"으로 기록된다. 미국 성서 연구가 제임스 스트롱은 "천사"와 "재판관"을 엘로힘이 복수로 취급되는 예로 들었다. 게제니우스가 편찬한 히브리어 사전과 브라운-드라이버-브리그스 사전에서는, 엘로힘이 신 외에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 천사와 재판관을 든다.
그러나 게제니우스나 독일 신학자 에른스트 빌헬름 헹스텐베르크는 70인역 성경의 신빙성을 의심한다. 게제니우스의 경우, 엘로힘이 의미할 가능성을 제시하면서, 그 자신은 그 해석에 동의하지 않는다.[99] 헹스텐베르크는 히브리어 성경에서는 엘로힘이 "천사"를 가리키는 일은 없는데, 70인역 성경에서 그렇게 번역되는 것의 부자연스러움을 지적했다.[100]
히브리어 성경이나 그 외 문학에서 인용되는 천사와 타락 천사에는 미카엘(대천사), 가브리엘, 사마엘 등, 신을 나타내는 어근 엘(אֵל)을 포함하는 이름도 많이 존재한다.[101]
창세기 6장 2절의 "신의 아들들" 또는 "신들의 아들들"을 뜻하는 히브리어 ''베네이 엘로힘''은 우가릿 신화에서 엘의 아들들(우가릿어: ''b'n il'')인 "신들의 아들들"과 비교된다.[63] 카렐 반 데르 토른은 신들을 집합적으로 ''베네 엘림'', ''베네 엘리온'', 또는 ''베네 엘로힘''으로 부를 수 있다고 말한다.[10]
5. 1. 유대교
엘로힘의 어미 “-임”은 남성 복수이지만, 히브리의 신을 나타낼 때는 보통 단수 동사나 형용사를 받고, 거룩한 자를 나타낼 때는 복수로 쓰인다(예: 시편 96편 5편, 97편 7편).[123] 이 단어가 복수 형태인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이론이 존재한다.- 주로 유일신론자들은 신적인 위엄을 나타낼 때 복수형이 쓰인다고 본다.
- 기독교의 정통 삼위일체론에 따르면, 이것이 삼위일체의 증거라고 보기도 한다.
- 비정통 기독교 또는 유태인 신학자들과 다신론자들은 이 복수형이 셈족의 다신론을 반영한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원래의 뜻은 “신들” 또는 “엘의 아들들”인 초월적 존재이며, 이후 유일신론자들이 단수화했다고 본다.
- 예수그리스도후기성도교회에서는 엘로힘을 하나님 아버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본다.[125]
그리스어 칠십인역(LXX)에서 복수 동사 또는 암시적 복수 문맥을 가진 히브리어 ''elohim''은 몇몇 경우에 ''angeloi''("천사들") 또는 ("하나님의 심판")로 번역되었다.[45] 이러한 구절들은 라틴어 불가타와 영어 킹 제임스 성경(KJV)으로 번역되어 각각 "천사들"과 "판관들"이 되었다. 제임스 스트롱은 그의 ''스트롱 성경 사전''에서 복수 동사를 가진 ''elohim''의 가능한 의미로 "천사들"과 "판관들"을 나열했으며,[1][2] 다른 많은 17~20세기 참고 자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게제니우스의 히브리어 사전과 브라운-드라이버-브리그스 사전[2] 모두 복수 동사와 형용사를 가진 ''elohim''의 가능한 대안적 의미로 "천사들"과 "판관들"을 나열한다.
게제니우스와 에른스트 빌헬름 헹스텐베르크는 칠십인역 번역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게제니우스는 그 의미를 받아들이지 않고 나열했다.[46] 헹스텐베르크는 히브리어 성경 본문이 "천사들"을 지칭하기 위해 ''elohim''을 사용한 적이 없으며, 칠십인역 번역자들이 "신들"에 대한 언급을 "천사들"로 수정했다고 주장했다.[47]
그리스어 신약(NT)은 히브리서 2:6b-8a에서 시편 8:4-6을 인용하며, 7절에 ἀγγέλουςgrc()를 사용한다.[48] 이는 칠십인역의 한 버전에서 ἀγγέλουςgrc를 가진 시편 8:5(LXX에서는 8:6)를 인용하는 것이다.[49] KJV에서 ''elohim''(스트롱 번호 H430)은 시편 8:5에서만 "천사들"로 번역된다.[50]
KJV는 ''elohim''을 출애굽기 21:6에서 "판관들"로, 출애굽기 22:8-9에서 두 번, 사무엘상 2:25에서 "판관"으로, 출애굽기 22:28, 시편 82:1, 82:6, 95:3, 96:4, 97:9, 138:1에서 "신들"로 번역한다.
천사들은 히브리어 성경과 외부 문헌에서 인용되며, 종종 미카엘과 가브리엘과 같은 신명론적 이름에 ''ʾĒl''(אֵלhe)을 포함한다.
마티 스튜시는 ''구약 개론(Chalice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에서 "시편 82편의 첫 구절 '엘로힘이 신적 회의에 자리를 잡았다.'에서 엘로힘은 단수 동사를 사용하며 분명히 하나님을 지칭한다. 그러나 시편 6절에서 하나님은 회의의 다른 구성원들에게 '너희[복수]는 엘로힘이다.'라고 말씀하신다. 여기서 '엘로힘'은 신들을 의미해야 한다."라고 언급한다.[60]
마크 스미스는 ''번역 속의 하나님(God in Translation)''에서 "이 시편은 신들이 신적 회의에서 만나는 장면을 보여준다… 엘로힘은 엘의 회의에 서 있다. 엘로힘들 가운데서 그는 심판을 선언한다…"라고 말한다.
H. M. 스티븐슨은 ''훌시안 강의(Hulsean Lectures)''에서 요한복음 10:34-36에 나타난 예수님의 논쟁에 대해 논하며 시편 82:6-7을 언급한다. (예수는 신성 모독 혐의에 대한 답변으로) "너희 율법에 '내가 이르기를 너희는 신이라 하였노라'라고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하나님의 말씀을 받은 자들을 신이라 하셨거든, 성경은 폐하지 못하나니, 아버지께서 거룩하게 하사 세상에 보내신 자가 나는 하나님의 아들이라 하는 것은 어찌 신성 모독이라 하느냐?" – "이제 이 인용구 '내가 이르기를 너희는 신이라 하였노라'의 요점은 무엇인가? 그것은 '엘로힘이 강한 모임에 자리를 잡았다'로 시작하는 아삽 시편에서 나온 것이다. 엘로힘들 가운데서 그분은 심판하신다."
히브리 성경은 이스라엘의 하느님을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을 사용한다.[66] 문서 가설에 따르면, 이러한 이름의 차이는 토라의 구성을 이루는 다양한 원전과 이야기의 산물이다. ''엘로힘''은 엘로히스트 (E)와 사제 (P) 출처에서 사용되는 하느님의 이름인 반면, ''야훼''는 야위스트 (J) 출처에서 사용되는 하느님의 이름이다.[64][65][66][67][68] 형식 비평은 이름의 차이가 지리적 기원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고 가정한다. 즉, P와 E 출처는 북쪽에서, J는 남쪽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66][67] 모세 시대 이전에는 하느님이 자신의 이름 ''야훼''를 드러내지 않았다는 신학적 관점이 있을 수 있지만, 한스 하인리히 슈미트는 야위스트가 기원전 7세기와 8세기의 예언서들을 알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69]
야위스트 출처는 야훼를 의인화하여 묘사한다. 예를 들어, 에덴 동산을 걸으며 아담과 이브를 찾는다. 엘로히스트 출처는 종종 엘로힘을 더 초월적인 존재로 묘사하며, 천사를 자주 등장시킨다. 엘로히스트 버전의 야곱의 사다리 이야기에서는 구름으로 이어지는 사다리가 있고, 천사들이 오르락내리락하며, 엘로힘이 꼭대기에 있다. 야위스트 버전에서는 야훼가 사다리나 천사 없이 구름 위 하늘에 자리 잡고 있다. 엘로히스트 출처는 천사와 씨름하는 야곱에 대해서도 묘사한다.
5. 2. 기독교
엘로힘의 어미 “-임”은 남성 복수이지만, 히브리의 신을 나타낼 때는 보통 단수 동사나 형용사를 받고, 거룩한 자를 나타낼 때는 복수로 쓰인다.(예: 시편 96편 5편, 97편 7편). 이 단어가 복수형인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이론이 존재한다.[123][124]- 주로 유일신론자들은 신적인 위엄을 나타낼 때 복수형이 쓰인다고 본다.
- 기독교의 정통 삼위일체론에 따르면, 이것이 삼위일체의 증거라고 보기도 한다.
- 비정통 기독교, 유태인 신학자들, 다신론자들은 이 복수형이 셈 족의 다신론을 반영한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원래의 뜻은 “신들” 또는 “엘의 아들들”인 초월적 존재이며, 이 단어는 나중에 유일신론자들에 의해 단수화되었다고 본다.
- 예수그리스도후기성도교회에서는 엘로힘을 하나님 아버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본다.[125]
그리스어 칠십인역(LXX)에서 복수 동사 또는 암시적 복수 문맥을 가진 히브리어 ''elohim''은 몇몇 경우에 ''angeloi''("천사들") 또는 ("하나님의 심판")로 번역되었다.[45] 이러한 구절들은 라틴어 불가타와 영어 킹 제임스 성경(KJV)으로 들어가 각각 "천사들"과 "판관들"로 번역되었다. 제임스 스트롱은 그의 ''스트롱 성경 사전''에서 복수 동사를 가진 ''elohim''의 가능한 의미로 "천사들"과 "판관들"을 나열했으며,[1][2] 다른 많은 17~20세기 참고 자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게제니우스의 히브리어 사전과 브라운-드라이버-브리그스 사전[2] 모두 복수 동사와 형용사를 가진 ''elohim''의 가능한 대안적 의미로 "천사들"과 "판관들"을 나열한다.
게제니우스와 에른스트 빌헬름 헹스텐베르크는 칠십인역 번역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게제니우스는 그 의미를 받아들이지 않고 나열했다.[46] 헹스텐베르크는 히브리어 성경 본문이 "천사들"을 지칭하기 위해 ''elohim''을 사용한 적이 없으며, 칠십인역 번역자들이 "신들"에 대한 언급을 "천사들"로 수정했다고 주장했다.[47]
그리스어 신약(NT)은 히브리서 2:6b-8a에서 을 인용하며, 7절에 ἀγγέλουςgrc()를 가지고 있다.[48] 이는 또한 칠십인역의 한 버전에서 ἀγγέλουςgrc를 가지고 있는 (LXX에서는 8:6)를 인용하는 것이다.[49] KJV에서 ''elohim''(스트롱 번호 H430)은 시편 8:5에서만 "천사들"로 번역된다.[50]
KJV는 ''elohim''을 에서 "판관들"로, [https://biblehub.com/text/exodus/22-8.htm Exodus 22:8], [https://biblehub.com/text/exodus/22-9.htm Exodus 22:9]에서 두 번, [https://biblehub.com/1_samuel/2-25.htm 1 Samuel 2:25]에서 "판관"으로, 그리고 [https://biblehub.com/exodus/22-28.htm#lexicon Exodus 22:28], [https://biblehub.com/psalms/82-1.htm#lexicon Psalm 82:1], [https://biblehub.com/psalms/82-6.htm#lexicon Psalm 82:6], [https://biblehub.com/psalms/95-3.htm#lexicon Psalm 95:3], [https://biblehub.com/psalms/96-4.htm#lexicon Psalm 96:4], [https://biblehub.com/psalms/97-9.htm#lexicon Psalm 97:9], [https://biblehub.com/psalms/138-1.htm#lexicon Psalm 138:1]에서 "신들"로 번역한다.
천사들은 히브리어 성경과 외부 문헌에서 인용되며, 종종 미카엘과 가브리엘과 같은 신명론적 이름에 관련 명사 ''ʾĒl''(אֵלhe)을 포함한다.
5. 3. 몰몬교
후기 성도 운동과 몰몬교에서 ''엘로힘''은 하나님 아버지를 지칭한다.[70][71] 엘로힘은 예수의 육적, 영적 아버지이며, 태어나기 전 그의 이름은 여호와라고 한다.[70][71][72]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LDS 교회)를 포함한 후기 성도 운동에 속한 기독교 교회와 대부분의 몰몬교 교파에서, ''하나님''이라는 용어는 엘로힘(영원하신 아버지)을 지칭하며,[70][71] ''신격''은 엘로힘(하나님 아버지), 여호와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70][71] 그리고 성신으로 구성된 세 명의 별개의 신들로 이루어진 의회를 의미하며, 이는 비삼위일체론적 신격 개념이다.[70][71] 몰몬교에서 세 인물은 육체적으로 별개의 존재, 즉 개체로 간주되지만 뜻과 목적에 있어서는 하나로 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개념은 주류 기독교의 삼위일체론과는 현저히 다르다.[70][71][73] 따라서 ''신격''이라는 용어는 주류 기독교에서 사용되는 방식과는 다르다.[70][71] 이러한 하나님의 묘사는 19세기 초에 확립된 LDS 교회의 정통 교리를 나타낸다.[70]
아브라함서는 후기 성도 운동의 일부 분파에서 받아들여지는 성경으로, 창세기 1장의 구절을 의역하여 ''엘로힘''을 여러 번 "신들"로 명시적으로 번역한다. 몰몬교 사도 제임스 E. 탤머지는 이를 "명확히 숫자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탁월함이나 강렬함의 복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했지만,[74] 그의 동시대 사도 올슨 F. 휘트니는 "현대 유대인에게 [엘로힘]은 웅장함의 복수를 의미하며, 숫자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후기 성도에게는 둘 다를 의미한다"고 설명했다.[75]
몰몬교에서 엘로힘은 하나님 아버지를 지칭한다. 물리적 차원과 영적 차원 모두에서 예수의 아버지이며, 엘로힘이 육체를 가지기 전의 이름이 "여호와"라고 한다.[117] 말일성도 운동에는 그 창시자이자 선지자 조셉 스미스를 통해 얻은 신성한 가르침이 기록된 아브라함서가 있는데, 거기에는 엘로힘을 "신들"이라고 기록한 창세기의 다른 표현이 있다. 이것은 "수의 구분이 아닌, 탁월성 또는 강도의 복수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라고 설명되어 있다.[118]
5. 4. 라엘리안 무브먼트
1974년 프랑스 언론인 클로드 보릴론(이후 "라엘"로 알려짐)에 의해 창시된 새로운 종교 운동이자 UFO 종교인 라엘리안 무브먼트는[76] 창세기에 나오는 히브리어 단어 ''엘로힘''이 실제로는 "하늘에서 온 자들"을 의미하며, 이는 일종의 외계 생명체를 지칭한다고 주장한다.[77]참조
[1]
서적
Strong's Concordance
Blue Letter Bible
2020-08-01
[2]
웹사이트
"Strong's Hebrew: 430. אֱלֹהִים (elohim) -- God (Strong's Concordance; Englishman's Concordance; NAS Exhaustive Concordance; Brown-Driver-Briggs definition; Strong's Exhaustive Concordance definition; Forms and Transliterations)"
https://biblehub.com[...]
2020-08-01
[3]
간행물
Elohim - Hebrew god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0-08-01
[4]
웹사이트
"'elohiym Meaning in Bible - Old Testament Hebrew Lexicon - New American Standard"
https://www.biblestu[...]
2020-08-10
[5]
간행물
'DIVINE NAMES - 114. "Elōhīm"'
https://archive.org/[...]
Macmillan Company
2020-08-10
[6]
간행물
[7]
웹사이트
Outline of Biblical Usage
https://www.bluelett[...]
2019-08-08
[8]
문서
Glinert, Modern Hebrew: An Essential Grammar, Routledge, p. 14, section 13 "(b) Agreement".
[9]
문서
Gesenius, A Grammar of the Hebrew Language.
[10]
서적
El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11]
문서
Moses Maimonides. Guide for the Perplexed (1904 translation by Friedländer). Starting from the beginning of chapter 2.
http://www.sacred-te[...]
[12]
문서
Brian B. Schmidt, "Israel's beneficent dead: ancestor cult and necromancy in ancient Israelite Religion and Tradition", Forschungen zum Alten Testament, N. 11 (Tübingen: J. C. B. Mohr Siebeck, 1994), p. 217: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MT plural noun 'elohim of v.13 is followed by a plural participle 'olim, a search for the antecedent to the singular pronominal suffix on mah-to'ro in v.14 what does he/it look like? has led interpreters to view the 'elohim ... 'olim as a designation for the dead Samuel, 'a god ascending'. The same term 'elohim ... He, therefore, urgently requests verification of Samuel's identity, mah-to'"ro, 'what does he/it look like?' The ... 32:1, 'elohim occurs with a plural finite verb and denotes multiple gods in this instance: 'elohim '"seryel'ku I fydnenu, 'the gods who will go before us'. Thus, the two occurrences of 'elohim in 1 Sam 28:13,15 – the first complemented by a plural ... 28:13 manifests a complex textual history, then the 'elohim of v. 13 might represent not the deified dead, but those gods known to be summoned – some from the underworld|netherworld – to assist in the retrieval of the ghost.373 ..."
[13]
문서
Bill T. Arnold, Necromancy and Cleromancy in 1 and 2 Samuel, CBQ, 66:2, p.202
[14]
웹사이트
Chagigah 4b:9
https://www.sefaria.[...]
[15]
웹사이트
Rashi on I Samuel 28:13:1
https://www.sefaria.[...]
[16]
웹사이트
Sforno on Deuteronomy 21:23:1
https://www.sefaria.[...]
[17]
서적
Israel and Humanity
Paulist Press International
[18]
서적
Exodus: An Exegetical Commentary
https://books.google[...]
Baker Academic
[19]
문서
'e.g. Genesis 20:13: התעו אתי אלהים מבית אבי , where התעו is from תעה "to err, wander, go astray, stagger", the hif''il|causative plural "they caused to wander".'
[20]
문서
Septuagint|LXX: ἐξήγαγέν με ὁ θεὸς ἐκ τοῦ οἴκου τοῦ πατρός; KJV: "when God caused me to wander from my father's house".
[21]
웹사이트
Jerusalem Talmud Megillah 1:9:17
https://www.sefaria.[...]
[22]
웹사이트
Tractate Soferim 4:6
https://www.sefaria.[...]
[23]
웹사이트
Rabbeinu Bahya, Bereshit 20:13:1
https://www.sefaria.[...]
[24]
웹사이트
Chizkuni, Genesis 20:13:1
https://www.sefaria.[...]
[25]
문서
'NET Bible with Companion CD-ROM, W. Hall Harris, 3rd ed., 2003. "35:14 So Jacob set up a sacred stone pillar in the place where God spoke with him.30 He poured out a 20tn Heb 'revealed themselves'. The verb iVl] (niglu), translated 'revealed himself', is plural, even though one expects the singular."'
[26]
문서
'Haggai and Malachi p36 Herbert Wolf, 1976. "If both the noun and the verb are plural, the construction can refer to a person, just as the statement ''God revealed Himself'' in Genesis 35:7 has a plural noun and verb. But since the word God, ''Elohim'', is plural in form,8 the verb ..."'
[27]
문서
'J. Harold Ellens, Wayne G. Rollins, Psychology and the Bible: From Genesis to apocalyptic vision, 2004, p. 243: "Often the plural form Elohim, when used in reference to the biblical deity, takes a plural verb or adjective (Gen. 20:13, 35:7; Exod. 32:4, 8; 2 Sam. 7:23; Ps. 58:12)."'
[28]
웹사이트
Targum Jonathan on Genesis 35:7
https://www.sefaria.[...]
[29]
웹사이트
Genesis 28:12 Hebrew Text: Westminster Leningrad Codex, Interlinear Bible
https://biblehub.com[...]
[30]
웹사이트
Radak on Genesis 35:7:3
https://www.sefaria.[...]
[31]
웹사이트
Psalms 8:6
https://www.sefaria.[...]
[32]
웹사이트
Psalms 8:5 Hebrew Text: Westminster Leningrad Codex, Interlinear Bible
https://biblehub.com[...]
[33]
웹사이트
Psalms 82
https://www.sefaria.[...]
[34]
웹사이트
Rashi on Genesis 1:26:1
https://www.sefaria.[...]
[35]
웹사이트
Genesis 1:27 Hebrew Text: Westminster Leningrad Codex, Interlinear Bible
https://biblehub.com[...]
[36]
웹사이트
Conjugation of לִבְרוֹא
https://www.pealim.c[...]
[37]
웹사이트
Rashi on Genesis 1:26:2
https://www.sefaria.[...]
[38]
문서
Gesenius, ''Hebrew Grammar''
[39]
서적
The Pentateuch and Haftorahs: Hebrew Text, English Translation and Commentary
https://www.worldcat[...]
Soncino Press
[40]
서적
The Name: A History of the Dual-Gendered Hebrew Name for God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41]
서적
Tetragrammaton: Western Christians and the Hebrew Name of God.
https://books.google[...]
Brill
[42]
서적
Le thrésor des prophéties de l'univ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43]
서적
Paralipomeni alla illustrazione della sagra Scrittura
https://books.google[...]
Dondey-Dupre
[44]
서적
Handbook of biblical criticism
Westminster John Knox Press
[45]
문서
Septuagint
[46]
간행물
The Biblical Repositor
ed. Edward Robinson
1838
[47]
문서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1848
[48]
웹사이트
Hebrews 2:7 with Greek
http://www.bluelette[...]
2013-03-18
[49]
웹사이트
Psalm 8:5 with Greek (8:6 in the LXX)
http://www.bluelette[...]
2013-03-18
[50]
웹사이트
Elohim as angels in the KJV only in Psalm 8:5 (8:6 in LXX)
http://www.bluelette[...]
2013-03-18
[51]
웹사이트
Elohim as 'judges' in the KJV
http://www.bluelette[...]
2013-03-18
[52]
문서
Exodus 21:34, 22:11, Ecclesiastes 5:10, 7:12, Job 31:39
[53]
문서
Genesis 39:20, 42:30, 42:33, I Kings 16:24
[54]
문서
Job 40:15
[55]
문서
Ask a Scholar: What Does YHWH Elohim Mean?
https://www.nas.org/[...]
2010
[56]
웹사이트
ach and achot
http://www.balashon.[...]
[57]
문서
Genesis 1:1–2
[58]
문서
Genesis 2:4–7
[59]
웹사이트
'But Not in Number': One and Many in Hebrew Grammar
https://www.stateoff[...]
2019-12-24
[60]
서적
Chalice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https://books.google[...]
Chalice Press
[61]
문서
Hulsean Lectures for... lecture 1, page 14
https://books.google[...]
1890
[62]
문서
Genesis 6:2
[63]
서적
El in the Ugaritic texts
Brill
1955
[64]
서적
Who Wrote the Bible?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65]
서적
The Jewish Study Bible: Featuring The Jewish Publication Society TANAKH Transl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66]
서적
What Did the Biblical Writers Know and When Did They Know It?: What Archeology Can Tell Us About the Reality of Ancient Israel
Wm. B. Eerdmans
[67]
간행물
Elohist and Yahwist
[68]
encyclopedia
ELOHIST
http://jewishencyclo[...]
Kopelman Foundation
2020-08-10
[69]
문서
Der Sogenannte Jahwist
TVZ
1976
[70]
서적
An Introduction to Mormon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71]
서적
Encyclopedia of Mormonism
Macmillan Publishing
2021-05-07
[72]
간행물
The Father and the Son
https://www.churchof[...]
Improvement Era, Ensign (LDS magazine)
1916-08
[73]
문서
Lectures on Faith
1834
[74]
서적
Jesus the Christ, (1956 ed.)
1915-09
[75]
문서
Elias: An Epic of the Ages
1914
[76]
서적
Handbook of UFO Religions
Brill Publishers
[77]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New Religious Movem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8]
서적
The Gnostic Bible
http://gnosis.org/na[...]
Shambhala
2009-06-30
[79]
웹사이트
Gnosticism - Apocryphon of Joh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2-01-28
[80]
문서
Modern Hebrew: An Essential Grammar
Routledge
[81]
문서
A Grammar of the Hebrew Language
[82]
서적
Dictionary of deities and demons in the Bible
Brill
1999
[83]
서적
Dictionary of deities and demons in the Bible
Brill
1999
[84]
서적
Dictionary of Deities and Demons in the Bible
1999
[85]
서적
Dictionary of Deities and Demons in the Bible (2nd ed.)
Brill
1999
[86]
서적
モーセと一神教
[87]
문서
KTU
[88]
서적
Yahweh and the gods and goddesses of Canaan
2008
[89]
서적
Dictionary of deities and demons in the Bible
Brill
1999
[90]
문서
Guide for the Perplexed
http://www.sacred-te[...]
1904
[91]
문서
Israel's beneficent dead: ancestor cult and necromancy in ancient Israelite Religion and Tradition
[92]
웹사이트
創世記(口語訳) - Wikisource
https://ja.wikisourc[...]
2019-08-07
[93]
서적
Israel and Humanity
Paulist Press International
[94]
서적
Exodus: An Exegetical Commentary
https://books.google[...]
Baker Academic
[95]
문서
[96]
문서
[97]
문서
Hebrew Grammar
[98]
문서
Septuagint
[99]
문서
The Biblical Repositor
1838
[100]
문서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1848
[101]
문서
Samael
[102]
웹사이트
詩篇(口語訳) - Wikisource
https://ja.wikisourc[...]
2019-08-07
[103]
문서
[104]
문서
[105]
문서
[106]
논문
Ask a Scholar: What Does YHWH Elohim Mean?
https://www.nas.org/[...]
2010
[107]
웹사이트
Genesis / 創世記 -35 : 聖書日本語 - 旧約聖書
https://www.wordproj[...]
2019-08-07
[108]
서적
NET Bible with Companion CD-ROM
2003
[109]
서적
Haggai and Malachi
1976
[110]
서적
Psychology and the Bible: From Genesis to apocalyptic vision
2004
[111]
웹사이트
詩篇(口語訳) - Wikisource
https://ja.wikisourc[...]
2019-08-07
[112]
서적
Chalice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https://books.google[...]
Chalice Press
[113]
서적
God in Translation: Deities in Cross-Cultural Discourse in the Biblical World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mans
[114]
웹사이트
ヨハネによる福音書(口語訳) - Wikisource
https://ja.wikisourc[...]
2019-08-07
[115]
서적
El in the Ugaritic texts
Brill
1955
[116]
서적
Dictionary of deities and demons in the Bible
https://books.google[...]
Brill
[117]
간행물
The Father and the Son
https://www.churchof[...]
1916-08
[118]
서적
Jesus the Christ, (1956 ed.)
1915-09
[119]
문서
[120]
문서
[121]
문서
[122]
문서
[123]
서적
In the Beginning: A Short History of the Hebrew Language
https://archive.org/[...]
[124]
문서
[125]
웹인용
엘로힘(ELOHIM)
https://www.churchof[...]
2024-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