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르마게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르마게돈은 히브리어로 '므깃도의 언덕'을 의미하는 단어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기독교에서는 요한 계시록에 언급된 악과 신의 심판이 벌어지는 상징적인 장소로 해석하며, 세대주의에서는 중동에서 벌어지는 일련의 군사 작전을 의미한다고 본다. 다른 종교에서도 종말론적 의미로 사용되며, 현대 문화에서는 SF 작품의 주요 소재로 활용된다. 역사적으로는 종말론을 이용한 사이비 종교 활동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의 전쟁 - 티타노마키아
티타노마키아는 그리스 신화에서 올림포스 신들이 티탄 신들과 벌인 10년간의 전쟁으로, 제우스가 크로노스와 티탄 신들을 물리치고 올림포스 신들의 지배를 확립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신화의 전쟁 - 하늘의 전쟁
하늘의 전쟁은 기독교, 유대교 등에서 천상에서 벌어진 천사들과 악한 세력 간의 싸움을 의미하며, 종말론적 비전이나 영적 전쟁의 은유로 해석되는 종교적 갈등과 도덕적 주제를 다루는 중요한 모티프이다. - 신화의 장소 - 판테온
판테온은 본래 모든 신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여 다신교 사회의 신전이나 신들의 목록을 의미했으나, 르네상스 이후 종교적 의미를 벗어나 사회에 공헌한 위대한 인물들을 기리는 건축물 또는 그러한 인물들의 집합을 의미하는 용어로 확장되었다. - 신화의 장소 - 황천
황천은 고대 중국과 일본 신화에서 죽은 자의 세계를 가리키는 말로, 문화권에 따라 개념과 묘사가 다르며, 지하세계, 요미노쿠니(黄泉國), 요모츠쿠니(ヨモツクニ) 등으로 불리며 삶과 죽음에 대한 상징적 개념으로 해석되고 기독교 문헌에서 지옥을 가리키기도 한다. - 예언 - 종말론
종말론은 죽음, 심판, 인류와 우주의 궁극적 운명을 다루는 신학 및 철학 분야로, 다양한 종교와 사상에서 독특한 종말관을 제시하며, 종교적 경전 해석, 과학기술 발전, 역사의 법칙성 논의 등과 연관되어 복잡한 해석을 갖는다. - 예언 - 징조
징조는 고대 근동에서 시작하여 점복술, 점성술 등 다양한 방법으로 미래를 예측하거나 신의 뜻을 해석하는 데 사용된 현상으로, 고대 그리스와 로마 등에서 새의 행동이나 동물의 내장 상태 등을 통해 해석되었으며 중요한 사건의 예고나 예언으로 받아들여졌다.
하르마게돈 | |
---|---|
일반 정보 | |
구분 | 성경에 나오는 아마겟돈은 세상 종말 때 신과 악마의 군대가 싸우는 최후의 격전지이다. |
어원 | 그리스어: (하르마게돈) 라틴어: 히브리어: (므깃도) |
지리적 위치 | |
위치 | 므깃도 (현재의 텔 메기도) |
성경적 의미 | |
관련 성경 구절 | 요한계시록 16장 16절 |
상징적 의미 | 선과 악의 최종적인 대결, 세상의 종말 |
종교적 해석 | 기독교: 최후의 심판, 신의 승리 이슬람: 종말의 날, 정의의 실현 (으로 언급) |
역사적 해석 | |
므깃도의 역사적 중요성 | 고대 가나안의 요새 도시, 수많은 전투가 벌어진 곳 |
고고학적 발굴 | 여러 문화 층 발견 중요한 역사적 유물 출토 |
문화적 영향 | |
문학 및 예술 | 아마겟돈을 주제로 한 다양한 작품 (소설, 영화, 음악 등) |
대중 문화 | 종말론적 상상력의 주요 요소 |
기타 | |
관련 용어 | 종말론, 묵시록, 최후의 심판 |
2. 어원
고대 그리스어 ‘하르마게돈’은 히브리어로 ‘산·언덕’을 뜻하는 ‘하르’(הַרhe)와 메기도를 가리키는 ‘므깃돈’(מְגִדּוֹןhe)을 합친 말이다.[70] 메기도는 고대 성곽 등이 쌓여 만들어진 언덕인 텔이다.[70] 기원전 609년 유다 왕국의 왕 요시아와 이집트 파라오 네카우 2세 사이의 전투 등 역사적으로 수많은 전투가 벌어진 장소이다.[70]
메기도는 구약성경에서 열두 차례 등장하며, 요한계시록 16장 16절에는 왕들이 모이는 장소로 하르마게돈이 언급된다.[62][63] 그러나 군대가 모인다는 직접적인 언급은 없다.[11] 신학자 루서스 존 러쉬두니는 메기도에는 산이 없으므로 구체적인 장소를 떠올리는 것을 막기 위한 표현이라고 주장했다.[71] 제임스 버렐 조던과 메러디스 클라인과 같은 학자들은 하르마게돈이 히브리어로 ‘모임’을 뜻하는 단어 מועד|moed|모에드he에서 왔다고 주장했다.[72]
'아마겟돈'이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신약 성경인 요한 계시록 16:16에 한 번 등장한다. 이 단어는 히브리어 ''har məgīddō'' (הר מגידו|rtl=yeshe)를 그리스어로 음역한 것이다. ''Har''는 "산" 또는 "산맥"을 의미하며, "우뚝 솟아오르다; 산"을 의미하는 ''harar''의 축약형이다. ''Məgīddō''는 아합 왕이 건설하여 예스라엘 평원을 지배했던 요새를 가리키며, 그 이름은 "군중의 장소"를 의미한다.[7][8]
애덤 클라크는 1817년 요한 계시록 16:16에 대한 성경 주석에서 ''아마겟돈''의 원어는 다양하게 형성되었고 다양하게 번역되었다고 썼다. 그는 הר־מגדוןhe ''har-megiddon'', "집회의 산", חרמה גדהוןhe ''chormah gedehon'', "그들의 군대의 파괴", הר־מגדוhe ''har-megiddo'', "메기도 산"과 같은 예를 제시했다.[9]
「요한의 묵시록」이 성립될 당시(기원 90년 전후)는, 로마 제국이 기독교를 탄압하던 시기였다. 요한이 기록한 "신의 심판"은 로마 황제에 대한 제재를 염원하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3. 기독교에서의 아마겟돈
요한계시록에 대한 기독교의 전통적인 해석은 아마겟돈을 악마와 회개하지 않은 죄인에게 신의 심판이 내려지는 상징적인 장소로 본다.[73]
대부분의 전통은 이 성경 예언을, 사탄에게 이끌린 회개하지 않는 죄인들에게 하나님이 그의 공의롭고 거룩한 진노를 쏟아 붓는, 문자적인 세상의 종말 최종 대결에서 "전능하신 하나님의 큰 날"로의 세상의 진전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한다.[14] '아마겟돈'은 하나님의 적들을 신성하게 파멸시키는 것에 관한 성경적 언급을 바탕으로 이 사건에 주어진 상징적 이름이다. 해석학적 방법은 하나님이 메기드에서 그의 선택된 이스라엘의 적을 기적적으로 파괴하는 것을 언급하는 사사기 4장과 5장을 참조하여 이 입장을 뒷받침한다.[15]
기독교 학자 윌리엄 헨드릭슨은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세대주의에서는 하르마게돈을 특정 전투가 아닌 중동에서 벌어지는 일련의 군사 작전으로 해석하며, J. 드와이트 펜테코스트와 같은 신학자들이 이 견해를 지지한다. 펜테코스트는 "하르마게돈의 전쟁"은 고립된 전투가 아니라 환난 기간의 마지막 절반에 걸쳐 이어지는 작전이며, 이 작전의 위치는 "므깃도 언덕"과 "여호사밧 골짜기",[19] "지나가는 자들의 골짜기",[20] 예루살렘 남쪽에 있는 에돔 또는 이두매아, 그리고 예루살렘 자체를 포함한다.[21][22] 펜테코스트는 이와 관련된 지역이 이스라엘 전체를 덮을 것이라고 설명한다.[23][24]
기독교 종말론은 전천년설, 무천년설, 후천년설 등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아마겟돈 전쟁과 곡과 마곡의 전쟁의 관계에 대한 해석도 다르다.[64] 전천년설에서는 두 개의 다른 전쟁으로 보며, 무천년설과 후천년설에서는 동일한 전쟁으로 본다.
여호와의 증인은 아마겟돈을 하나님이 지구를 정화하고 의로운 인류만 남기는 수단으로 보며, 1914년부터 시작된 세계 정치 세력의 연합이 아마겟돈으로 이어진다고 믿는다.[43] 제칠일안식일교회는 아마겟돈, 주의 날, 그리스도의 재림을 동일한 사건으로 보며, 영매술, 미국의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교회 간의 연합이 아마겟돈의 배경이 된다고 가르친다.[53] 그리스도델피안은 아마겟돈을 역사의 가장 위대한 절정으로, 민족들이 심판을 받고 하나님의 왕국이 세워지는 사건으로 본다.[57]
3. 1. 한국 개신교의 관점
4. 다른 종교에서의 아마겟돈
비교종교학에 따르면, 아브라함 계통 종교에서 세계의 종말에 벌어지는 최후의 결전 장소를 나타내는 단어이다. 히브리어로 '므깃도의 언덕'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므깃도는 북이스라엘의 지명으로, 전략상의 요충지였기 때문에, 옛날부터 여러 차례 결전의 장소가 되었다(유명한 것으로 투트모세 3세의 므깃도 전투 등). 이 때문에 '므깃도의 언덕'이라는 단어가 이러한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 여겨진다. 세계의 종말적인 선과 악의 전쟁이나 세계의 파멸 그 자체를 가리키는 단어이다.
바하이 문학에서는 하르마게돈 전투와 관련된 기대에 대한 여러 해석을 추론할 수 있다.[58] 그중 세 가지는 세계 대전과 관련된 사건과 관련이 있다.[58]
첫 번째 해석은 바하이 신앙의 창시자인 바하올라가 여러 왕과 통치자에게 보낸 일련의 서판과 관련이 있다.[58] 두 번째이자 가장 잘 알려진 해석은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에 에드먼드 앨런비 장군과 메기도 전투 (1918)와 관련된 사건으로, 세계 열강이 메기도에서 전투를 벌이기 위해 전 세계에서 군인들을 끌어모았다고 한다. 앨런비는 이 전투에서 승리함으로써 바하이 신앙의 지도자였던 압두 바하를 오스만 제국이 십자가형에 처하는 것을 막았다.[59][60] 세 번째 해석은 세계 대전의 전반적인 진행 상황과 전후 세계의 상황을 검토한다.[58]
4. 1. 바하이 신앙
바하이 문학에서는 하르마게돈 전투와 관련된 기대에 대한 여러 해석을 추론할 수 있다.[58] 그중 세 가지는 세계 대전과 관련된 사건과 관련이 있다.[58]첫 번째 해석은 바하이 신앙의 창시자인 바하올라가 여러 왕과 통치자에게 보낸 일련의 서판과 관련이 있다.[58] 두 번째이자 가장 잘 알려진 해석은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에 에드먼드 앨런비 장군과 메기도 전투 (1918)와 관련된 사건으로, 세계 열강이 메기도에서 전투를 벌이기 위해 전 세계에서 군인들을 끌어모았다고 한다. 앨런비는 이 전투에서 승리함으로써 바하이 신앙의 지도자였던 압두 바하를 오스만 제국이 십자가형에 처하는 것을 막았다.[59][60] 세 번째 해석은 세계 대전의 전반적인 진행 상황과 전후 세계의 상황을 검토한다.[58]
5. 아마겟돈과 현대 문화
아마겟돈은 SF 소설, SF 애니메이션, SF 영화 등 다양한 SF 작품, 특히 종말물에서 중요한 모티프로 사용된다. 고토 벤의 저서 『노스트라다무스의 대예언』, 옴진리교 사건 등은 "아마겟돈"이라는 용어를 대중에게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역사적으로 종말론은 컬트 신자 확보나 교주의 자기 실현에 이용되기 쉽고, 미국의 브런치 다비디언 사건이나, 일본의 지하철 사린 사건 등 옴진리교에 의한 일련의 사건과 같은 둠스데이 컬트를 일으키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특히 1995년 지하철 사린 사건은 옴진리교라는 둠스데이 컬트가 아마겟돈을 교리에 이용하여 저지른 사건으로, 한국 사회에도 큰 충격을 주었다.
일본에서는 1972년에 연재가 시작된 나가이 고의 만화 『데빌맨』에서 하르마게돈을 다루었지만, 당시에는 이 단어의 의미를 아는 사람은 적었던 것으로 보인다. 1983년에 공개된 카도카와 하루키 제작의 애니메이션 영화 『환마대전』은 "하르마게돈 접근"이라는 캐치프레이즈가 텔레비전과 잡지에서 많이 사용되어, 기독교 신자가 아닌 일본의 젊은이들에게도 이 단어가 널리 퍼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1998년에 개봉한 영화 『아마겟돈』은 20세기 말 지구 대기권을 유성우가 돌파하여 지구 환경이 치명적인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설정으로, 우주 비행사들이 임무를 수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선과 악의 대결을 그린 것은 아니다.
5. 1. 관련 작품
일본에서는 1972년에 연재가 시작된 나가이 고의 만화 『데빌맨』에서 하르마게돈을 다루었지만, 당시에는 이 단어의 의미를 아는 사람은 적었던 것으로 보인다. 1983년에 공개된 카도카와 하루키 제작의 애니메이션 영화 『환마대전』은 "하르마게돈 접근"이라는 캐치프레이즈가 텔레비전과 잡지에서 많이 사용되어, 기독교 신자가 아닌 일본의 젊은이들에게도 이 단어가 널리 퍼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1998년에 개봉한 영화 『아마겟돈』은 20세기 말 지구 대기권을 유성우가 돌파하여 지구 환경이 치명적인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설정으로, 우주 비행사들이 임무를 수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선과 악의 대결을 그린 것은 아니다.6. 아마겟돈과 이단/사이비 종교
역사적으로 종말론은 컬트 신자 확보나 교주의 자기 실현에 이용되기 쉬웠으며, 브랜치 다비디언 사건이나, 옴진리교에 의한 일련의 사건과 같은 둠스데이 컬트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에서도 다미선교회와 같은 시한부 종말론 집단이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바 있다. 이러한 단체들은 성경의 아마겟돈 예언을 자의적으로 해석하여 신도들을 현혹하고, 재산을 갈취하거나 극단적인 행동을 유도하는 경우가 많다.
참조
[1]
웹사이트
Bibletranslation.ws
http://bibletranslat[...]
2009-09-23
[2]
웹사이트
Revelation 16:16 And they assembled the kings in the place that in Hebrew is called Armageddon.
https://biblehub.com[...]
2019-04-01
[3]
서적
Collins English Dictionary
HarperCollins
[4]
웹사이트
Hadith - Book of Tribulations - Sunan Ibn Majah - Sunnah.com - Sayings and Teachings of Prophet Muhammad (صلى الله عليه و سلم)
https://sunnah.com/i[...]
2020-12-24
[5]
뉴스
Amateur Archaeologists Get the Dirt on the Past
http://travel.nytime[...]
The New York Times
2021-03-08
[6]
웹사이트
Maps and pictures of Megiddo mountain and the surrounding plain (in Spanish)
http://www.bloganava[...]
2010-06-22
[7]
웹사이트
Strong's Number 4023 Hebrew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Online Bible with Strong's Exhaustive Concordance, Brown Driver Briggs Lexicon, Etymology, Translations Definitions Meanings & Key Word Studies
http://lexiconcordan[...]
2014-02-25
[8]
서적
BC The Archaeology of the Bible Lands
BBC Publications
[9]
웹사이트
Revelation 16 Clarke's Commentary
https://biblehub.com[...]
[10]
웹사이트
Bible Keyword Search Results: megiddo (KJV)
http://www.biblegate[...]
2011-01-15
[11]
웹사이트
Revelation 16, The Seven Bowls of God's Wrath
http://www.biblegate[...]
2011-01-15
[12]
간행물
Biblical Horizons, No. 85
http://www.biblicalh[...]
2010-08-01
[13]
서적
Thy Kingdom Come: Studies in Daniel and Revelation
[14]
서적
Culture Wars: An Encyclopedia of Issues, Viewpoints, and Voices
Routledge
[15]
웹사이트
Judges 5:19
https://intertextual[...]
2022-01-09
[16]
서적
More Than Conquerors
[17]
성경
Rev. 16:14
[18]
성경
Revelation 16:14
[19]
성경
Joel 3:2
[20]
성경
Ezekiel 39:11
[21]
성경
Zech. 12:2–11; 14:2
[22]
문서
Pentecost, p. 341
[23]
성경
Ezekiel 38:9–16
[24]
성경
Revelation 14:20
[25]
웹사이트
Daniel 11:40–45 (King James Version)
http://www.biblegate[...]
BibleGateway.com
2007-11-16
[26]
웹사이트
Daniel 11:40 (King James Version)
http://www.biblegate[...]
BibleGateway.com
2007-11-16
[27]
성경
Daniel 11:40
[28]
성경
Zechariah 12:2
[29]
성경
Ezekiel 39, Zechariah 12:4
[30]
성경
Daniel 11:41
[31]
성경
Daniel 11:41–42
[32]
성경
Daniel 11:44, Revelation 16:12
[33]
성경
Daniel 11:45
[34]
성경
Daniel 11:45
[35]
문서
Pentecost, p. 356
[36]
Bibleverse
Revelation 20:8
[37]
Bibleverse
Revelation 20:11–15
[38]
성경
Rev. 19:20; 20:10, 14–15; 21:8
[39]
웹사이트
Matthew 25:41 (King James Version)
http://www.biblegate[...]
2007-11-16
[40]
웹사이트
Matthew 18:8 (King James Version)
http://www.biblegate[...]
2007-11-16
[41]
웹사이트
Mark 9:43–44 (King James Version)
http://www.biblegate[...]
2007-11-16
[42]
웹사이트
Mark 9:46–48 (King James Version)
http://www.biblegate[...]
2007-11-16
[43]
간행물
Armageddon—A Happy Beginning
http://wol.jw.org/en[...]
2005-12-01
[44]
간행물
Armageddon—God's War to End All Wars
http://wol.jw.org/en[...]
2008-04-01
[45]
문서
What Does the Bible Really Teach pp. 215–218 "1914 – A Significant Year in Bible Prophecy"
[46]
웹사이트
The End of False Religion is Near
http://wol.jw.org/en[...]
2015-05-22
[47]
문서
Mankind's Search for God chap. 16 p. 371 par. 13 "the destruction of Babylon the Great will usher in a period of 'great tribulation' that culminates in 'the war of the great day of God the Almighty ... Har–Magedon.#REDIRECT
[48]
간행물
Walk by Faith, Not by Sight!
2005-09-15
[49]
웹사이트
The Marvelous New World of God's Making
http://wol.jw.org/en[...]
2015-05-22
[50]
간행물
Flight to Safety Before the 'Great Tribulation'
1996-06-01
[51]
서적
Millions Now Living Will Never Die
Constable
[52]
서적
A People For His Name
Lulu Enterprises
[53]
문서
"Seventh-day Adventists believe"
Ministerial Association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
[54]
문서
Handbook of Seventh-day Adventist Theology
Review and Herald Publishing Association and the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
[55]
Bibleverse
Revelation 20:2
[56]
Bibleverse
Revelation 21:1
[57]
문서
The Christadelphian (1970), Volume 107, pp. 555–556.
[58]
간행물
Catastrophe, Armageddon and Millennium: some aspects of the Bábí-Bahá'í exegesis of apocalyptic symbolism
http://bahai-library[...]
2007-06-10
[59]
서적
The Servant, the General, and Armageddon
George Ronald
[60]
백과사전
A Concise Encyclopedia of the Bahá'í Faith
https://archive.org/[...]
Oneworld Publications
[61]
서적
よくわかるキリスト教
PHP研究所
[62]
문서
ヨハネの默示録(文語訳) 第16章
s:ヨハネの默示録(文語訳)#第16章
[63]
문서
ヨハネの黙示録(口語訳) 第16章
s:ヨハネの黙示録(口語訳)#第16章
[64]
문서
『子羊の王国』p.182
[65]
문서
『子羊の王国』p.183-184
[66]
문서
『啓示』p.235
[67]
문서
『世の終りが来る』p.180-181
[68]
서적
死後と終末
つのぶえ社
[69]
문서
『ウェストミンスター信仰基準』
[[新教出版社]]
[70]
웹사이트
Amateur Archaeologists Get the Dirt on the Past
http://travel.nytime[...]
The New York Times
[71]
서적
Thy Kingdom Come: Studies in Daniel and Revelation
[72]
웹사이트
Biblical Horizons, No. 85
http://www.biblicalh[...]
2010-08-01
[73]
간행물
Premillennial Dispensationalism
books.google.com/boo[...]
Routledge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