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양 허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양 허씨는 고려 현종 때 호부낭장을 지낸 허강안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가락국 허황후의 후손으로 전해지며, 조선 세종 때 좌의정을 지낸 허조를 배출했다. 주요 인물로는 허조, 허임 등이 있으며, 조선 시대에 15명의 문과 급제자를 냈다. 본관은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이며, 간숙공파, 문경공파 등 여러 분파가 있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는 20,608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양 허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하양 허씨 |
| 한자 표기 | 河陽 許氏 |
| 로마자 표기 | Hayang Heo clan |
| 지역 | 경상북도 경산 |
| 창시자 | 허강안 |
| 역사 | |
| 기원 | 허황옥 김해 허씨에서 분파 |
| 위치 정보 | |
| 관향지 |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
| 인구 통계 | |
| 2015년 인구 | 20,608명 |
| 주요 인물 | |
| 조선 시대 | 허임 허조 허성 허후 허계 허관 |
| 현대 인물 | 허주 허재영 허만일 허청일 허용석 허규옥 허윤진 허미미 |
| 집성촌 | |
2. 역사
고려 현종 때 호부낭장(戶部郞將)을 역임하고 말년에 호장(戶長)을 지낸 후 하주자사(河州刺史)가 된 '''허강안'''(許康安)이 하주(河州ㆍ하양의 옛 지명)에 정착하였다.[4] 그는 문헌에 의하면 가락국 허황후의 33세손으로 전하고 있다.
조선 세종 때 좌의정에 오른 허조(許稠)는 사후 세종묘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4]
2. 1. 시조 및 기원
고려 현종 때 호부낭장(戶部郞將)을 역임하고 말년에 호장(戶長)을 지낸 후 하주자사(河州刺史)가 된 '''허강안'''(許康安)이 하주(河州ㆍ하양의 옛 지명)에 정착하였다.[4] 그는 문헌에 의하면 가락국 허황후의 33세손으로 전하고 있다.2. 2. 고려 시대
고려 현종 때 허강안(許康安)은 호부낭장(戶部郞將)을 역임하였으며, 말년에는 호장(戶長)을 지내고 하주자사(河州刺史)가 되어 하주(河州ㆍ하양의 옛 지명)에 정착하였다.[4] 문헌에 의하면 허강안은 가락국 허황후(許黃玉)의 33세손으로 전해진다.2. 3. 조선 시대
허조(許稠)는 조선 세종 때 좌의정에 올랐고 사후 세종묘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4]허임(1570년 ~ 1647년)은 조선 시대 의사였다.[4]
2. 4. 근현대
일제강점기에도 하양 허씨는 독립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들을 배출하였다. 현대에는 르세라핌의 멤버 허윤진과 같이 연예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인물들이 등장하고 있다.3. 본관
경상북도 경산시(慶山市) 북부에 위치한 하양(河陽)은 고려 초 하주(河州)라 불렸으며, 995년(성종 14)에 자사(刺使)가 파견되었다. 1018년(현종 9)에 하양(河陽)으로 개칭되었고, 1413년(태종 13) 현감을 두었다. 1742년(영조 18)에 화성현(花城縣)으로 개칭되었다가,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대구부 하양군(河陽郡)으로 바뀌었고, 1896년 경상북도로 이관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경산군에 편입되어 하양면이 되었고, 1973년에 하양읍으로 승격되었다. 1995년 경산군과 경산시의 통합으로 경산시 하양읍이 되었다.
4. 분파
하양 허씨는 조선시대에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5. 분파도
6. 주요 인물
- 허주(許周, 1359년 ~ 1440년): 고려 시대에 문과에 급제하였고, 조선 시대에 형조참의, 호조좌참, 전라도관찰사, 참지의정부사, 한성부윤, 경기도관찰사 등을 거쳐 1418년(세종 즉위년) 판한성부사에 이르렀다. 시호는 간숙(簡肅)이다.[5]
- 허조(許稠, 1369년 ~ 1439년): 1390년(고려 공양왕 2)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조선 세종 때 좌의정에 이르렀고, 세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6]
- 허성(許誠): 경기도도관찰사, 동지중추부사, 중추원사, 이조판서, 예문관대제학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성격이 강직하고 불의를 참지 못하여 세종의 총애를 받았다.
- 허후(許珝): 예조참판, 경기도관찰사, 형조참판을 거쳐, 예조판서에 올랐으며 《세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좌찬성(左贊成)이 되어 어린 단종을 도왔다. 계유정란을 일으킨 수양대군에 의해 거제도에 유배, 교살되었다.
- 허계(許誡): 밀양부사(密陽府使)로 나가 선정을 베풀어 표리(表裏)를 하사(下賜)받았으며, 병조참의(兵曹參議)를 거쳐 경주 부윤(慶州府尹)을 역임하였다.
- 허임(許任): 조선 선조ㆍ광해군 때의 명의(名醫)이며, 조선 시대 제일의 침의(鍼醫)로 알려졌으며, 1644년에 ≪침구경험방≫을 간행하였다. 저서에 ≪사의경험방≫이 있다.
- 허임 (1570-1647): 조선 시대 의사
- 허윤진 (2001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가수, 르세라핌 멤버
6. 1. 과거 급제자
하양 허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15명을 배출하였다.| 문과 | 무과 | 생원시 | 진사시 |
|---|---|---|---|
7. 왕실과의 관계
근녕군(태종의 서4남)의 부인이 하양 허씨였다.
7. 1.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 근녕군(태종의 서4남) 부인 허씨
8. 인구
| 연도 | 인구 |
|---|---|
| 2000년 | 16,344명 |
| 2015년 | 20,608명 |
대한민국 통계청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하양 허씨 인구는 2000년 16,344명에서 2015년 20,608명으로 증가하였다.
참조
[1]
뉴스
The Indian princess who became a South Korean queen
https://www.bbc.com/[...]
BBC News
2018-11-04
[2]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하양허씨 河陽許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7
[4]
웹인용
하양 허씨
http://www.jokbo.re.[...]
[5]
문서
세종실록 91권, 세종 22년 12월 8일 丁丑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6]
문서
세종실록 87권, 세종 21년 12월 28일 壬寅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