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우사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우사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차드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나이지리아 북부와 니제르 남부를 중심으로 여러 아프리카 국가에서 사용된다. 나이지리아, 니제르, 수단, 카메룬 등에서 사용 인구가 많으며, 베냉, 부르키나파소, 가나 등에서는 제2언어로 사용된다. 하우사어는 지리적 분포에 따라 다양한 방언으로 나뉘며, 로마자와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기록된다. 보코는 라틴 문자 기반의 공식 표기법이며, 아자미는 아랍 문자 기반의 표기법이다. 하우사어는 23~25개의 자음과 10개의 모음, 4개의 이중모음으로 구성되며, 성조 언어이다. 명사의 복수형은 다양한 형태소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며, 주어 대명사는 시제, 상, 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메룬의 언어 - 프랑스어
    프랑스어는 프랑스를 포함한 전 세계 29개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속라틴어가 갈리아어 및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국제기구 공용어로서 외교 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 문화, 경제, 교육, 특히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 카메룬의 언어 - 영어
    영어는 앵글로색슨족의 언어에서 유래하여 잉글랜드에서 발전한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대영제국과 미국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며 국제적인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부르키나파소의 언어 - 줄라어
    줄라어는 코트디부아르 북부와 부르키나파소 서부에서 사용되는 만딩어군의 언어로, 상인들의 링구아 프랑카 역할을 하며 밤바라어와 유사하고 다양한 문자 체계로 표기된다.
  • 부르키나파소의 언어 - 밤바라어
    밤바라어는 만데어족에 속하며 약 910만 명이 서아프리카 7개국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2023년 말리 공용어 지위를 획득했고, 라틴 문자, 아랍 문자, 응코 문자 등으로 표기되며 주어-목적어-동사(SOV) 어순을 가진다.
하우사어
지도
나이지리아와 니제르의 하우사어 사용 지역
기본 정보
이름하우사어
로마자 표기Hausa
현지 이름Harshen/Halshen Hausa,
사용 국가나이지리아
니제르
카메룬
베냉
가나
토고
코트디부아르
부르키나파소
사용 지역서아프리카
사용자하우사족
언어 분류
어족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어파차드어파
어군서차드어군
하위 어군하우사-그완다라 (A.1)
사용자 수
모어 화자5382만 9060명 (2021–2023)
제2언어 화자3440만 9020명 (2021–2023)
총 화자 수8823만 8080명 (2021)
문자 체계
문자라틴 문자 (보코 알파벳)
아랍 문자 (하우사어 아자미)
하우사어 점자
공용어 및 소수 언어
공용어나이지리아
니제르
소수 언어베냉
언어 코드
ISO 639-1ha
ISO 639-2hau
ISO 639-3hau
Glottologhaus1257
Linguasphere19-HAA-b
기타
언어학 정보IPA

2. 분류

하우사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차드어군 서차드어파에 속하는 언어다.[6] 나이지리아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며, 니제르, 수단, 카메룬 등 여러 아프리카 국가에서도 사용된다. 특히 나이지리아에서는 1991년 기준 1,852만 5,000명이 사용했고,[8] 니제르에서는 1998년 기준 500만 명이 사용했다. 수단에서는 2001년 기준 48만 9,000명이 사용했으며, 카메룬에서는 1982년 기준 2만 3,500명이 사용했다. 베냉, 부르키나파소, 가나에서는 제2언어로 사용된다.

나이지리아에서는 카노, 카두나, 카치나 등 주요 도시를 포함한 광범위한 지역에서 하우사어가 주요 언어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콰라주, 코기주, 베누에주 등 일부 지역에서는 주요 언어로서의 지위를 확보하지 못했다. 하우사어 사용이 두드러지는 나이지리아 지역으로는 카노, 카두나, 카치나 외에도 다우라, 고비르, 자리아, 소코토, 비르닌 케비, 구사우, 두트세, 하데지아, 바우치, 미사우, 잠파라주, 곰베, 나파다, 마이두구리, 요베주, 욜라, 잘린고, 조스, 라피아, 나사라와, 민나, 콘타고라, 케피, 그리고 아부자 등이 있다.[8]

니제르에서는 인구의 최대 53%가 하우사어를 사용하며,[9] 마라디, 디파, 타우아 등 주요 도시뿐 아니라 진데르, 틸라베리, 도소, 아가데즈 등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카메룬에서는 북부 지역의 응가운데레, 가루아, 마루아 등 도시에서 사용되고,[10] 가나에서는 하우사계 이주민 공동체의 공용어로 사용된다.[11] 베냉의 파라쿠, 칸디, 나티팅구, 주구 등 북부 지역 도시와,[12] 토고의 소코데, 카라, 다파옹 등 북부 지역 도시에서도 사용된다. 차드 남부 지역과 엔자메나에서도 사용되며, 수단의 거의 모든 주(알자지라주, 청나일주, 코르도판, 다르푸르 주, 가다레프 주, 홍해 주, 백나일 주, 나일강 주 등)에서 사용된다.

3. 지리적 분포

지리적 분포

하우사어는 주로 나이지리아 북부와 니제르 남부에서 사용되는 언어다. 하우사족의 모어이기도 하며,[2][1][7] 나이지리아 북부, 니제르 남부 외에도 카메룬 북부, 가나, 베냉, 토고, 차드 남부, 수단 일부 지역에서 공용어로 사용된다.[1] 1991년 기준 나이지리아에서는 1,852만 5,000명이 하우사어를 사용했으며,[8] 1998년 기준 니제르에서는 500만 명이 사용했다. 수단(2001년 기준 48만 9,000명), 카메룬(1982년 기준 2만 3,500명)에서도 사용되지만, 베냉과 부르키나파소, 가나에서는 제2언어로 사용된다.

나이지리아에서는 북부 지역 전역에서 주요 언어로 사용되지만, 콰라주, 코기주, 베누에주에서는 주요 언어는 아니다. 카노, 카두나, 카치나를 비롯해 다우라, 고비르, 자리아, 소코토, 비르닌 케비, 구사우, 두트세, 하데지아, 바우치, 미사우, 잠파라주, 곰베, 나파다, 마이두구리, 요베주, 욜라, 잘린고, 조스, 라피아, 나사라와, 민나, 콘타고라, 케피, 아부자 등에서 하우사어 사용이 특히 두드러진다.[8]

니제르에서는 인구의 최대 53%가 하우사어를 사용하며,[9] 마라디, 디파, 타우아, 진데르 등 주요 도시에서 널리 사용된다. 카메룬 북부의 응가운데레, 가루아, 마루아 등 도시에서도 사용되고,[10] 가나에서는 하우사계 이주민 공동체의 공용어로 사용된다.[11] 베냉의 파라쿠, 칸디, 나티팅구, 주구 등 북부 지역과 토고의 소코데, 카라, 다파옹 등 북부 지역에서도 사용된다. 차드 남부와 엔자메나에서도 사용되며, 수단의 알자지라주, 청나일주, 코르도판, 다르푸르 주, 가다레프 주, 홍해 주, 백나일 주, 나일강 주 등 거의 모든 주에서 사용된다.

3. 1. 국가별 하우사어 사용 현황

나이지리아에서는 1991년 기준 1,852만 5,000명이 하우사어를 사용하고 있다. 니제르에서는 1998년 기준 500만 명이 사용한다. 수단의 경우 2001년 기준 48만 9,000명이 하우사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메룬에서는 1982년 기준 2만 3,500명이 하우사어를 사용했다. 베냉, 부르키나파소, 가나에서는 제2언어로서 하우사어가 사용되고 있다.

3. 1. 1.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에서는 하우사어가 북부 지역 전역에서 주요 언어로 사용된다. 1991년 기준으로 나이지리아에서만 1,852만 5,000명이 하우사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산된다.[8] 특히 카노, 카두나, 카치나 등 주요 도시를 포함한 여러 지역에서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콰라주, 코기주, 베누에주에서는 주요 언어로 자리잡지 못했다. 하우사어 사용이 특히 두드러지는 지역으로는 카노, 카두나, 카치나 외에도 다우라, 고비르, 자리아, 소코토, 비르닌 케비, 구사우, 두트세, 하데지아, 바우치, 미사우, 잠파라주, 곰베, 나파다, 마이두구리, 요베주, 욜라, 잘린고, 조스, 라피아, 나사라와, 민나, 콘타고라, 케피, 그리고 아부자 등이 있다.[8]

3. 1. 2. 니제르

니제르에서는 인구의 최대 53%가 하우사어를 사용한다.[9] 마라디, 디파, 타우아를 비롯한 진데르, 틸라베리, 도소, 아가데즈 등 주요 도시에서 하우사어는 널리 사용되고 있다.

3. 1. 3. 카메룬

카메룬에서는 북부 지역, 특히 응아운데레, 가루아, 마루아 등의 도시에서 하우사어가 사용된다.[10]

3. 1. 4. 가나

가나에서는 하우사어가 전국적으로 거주하는 하우사계 이주민 공동체의 공용어로 사용된다.[11]

3. 1. 5. 베냉

베냉에서는 북부 지역에서 하우사어가 사용된다. 주요 사용 도시는 파라쿠, 칸디, 나티팅구, 주구 등이다.[12]

3. 1. 6. 토고

토고에서는 북부 지역에서 하우사어가 사용된다. 주요 사용 도시로는 소코데, 카라, 다파옹 등이 있다.

3. 1. 7. 차드

차드에서는 남부 지역에서 하우사어가 사용된다. 엔자메나에서도 하우사어가 사용된다.

3. 1. 8. 수단

수단에서는 알자지라주, 청나일주, 코르도판, 다르푸르 주, 가다레프 주, 홍해 주, 백나일 주, 나일강 주 등 거의 모든 주에서 하우사어가 사용된다.

4. 방언

하우사어는 사용 지역에 따라 다양한 방언으로 나뉘지만, 전반적으로는 매우 균일한 모습을 보인다.[13] 언어학자들은 지역적 특징이 두드러지는 방언 지역들을 구분하고 있다.[14] 전통적으로는 동부 방언(다우란치, 카난치, 바우산치 등), 서부 방언(사크와탄치, 카치난치 등), 북부 방언(아레와치), 남부 방언(자자간치) 등으로 나뉜다. 다우란치와 카난치 방언이 표준어로 여겨지며, BBC 등 주요 방송에서 사용된다.

쿠르와얀치, 다마가람, 아다라와 방언 등 북부 방언들은 니제르 서부와 중부의 북쪽 사헬 지역과 사하라 중부 지역에서 사용된다.[19] 이들 방언은 사크와탄치, 그리고 다소 덜하지만 가아난치와 상호 이해 가능하지만, 주변 자르마족, 풀라족, 투아레그족과의 잦은 접촉과 지리적 차이로 인한 문화적 변화로 인해 어휘와 문법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특히, 비음조 피치 악센트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비음조 현상은 하우사어뿐 아니라 인접 언어의 북부 방언에서도 나타나는데, 송하이어, 소닌케어 등에서도 유사한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20]

가나 하우사 방언(Gaananci)은 가나와 토고에서 사용되는 서부 하우사 방언의 독립적인 그룹이다. 충분한 언어 및 미디어 자료가 존재하지만, 부르키나파소, 말리 북동부 등 다른 지역의 하우사 방언들에 대한 자료는 부족하다. Gaananci는 'ky'를 'c'로, 'gy'를 'j'로 사용하는 등 다른 서부 방언과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는데, 이는 과거 무역 상인들의 후손들이 정착한 지역적 특성 때문이다. 자르마어, 구르어족, 줄라어-밤바라어, 아칸어, 소닌케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주변 언어들과의 접촉으로 인해 다른 하우사 방언들과 고립되어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21] 하지만 Sakkwatanci와의 문법적 유사성은 기원이 소코토 주변의 북서부 하우사 지역임을 시사한다.[22] 비원어민인 구르어족이나 만데계 가나 무슬림들 사이에서도 하우사어가 널리 사용되지만, Gaananci와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

카메룬과 차드의 하우사어 방언은 나이지리아 북부와 니제르의 방언을 기반으로 하며, 아랍어의 영향을 받았다. 서아프리카에서는 하우사어가 교통어로 사용되면서 원어민과 다른 비원어민 발음이 나타났다.[23][24] 비원어민 발음에서는 흡착음과 파열음 자음이 단순화되고, 모음의 길이가 생략되거나 성조가 변경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문법적 성과 문장 구조가 바뀌거나 생략되고, 원어민 하우사어 단어가 현지 언어의 단어로 대체되는 경우도 있다. 비원어민 하우사어 화자는 2,500만 명이 넘으며, 나이지리아 북중부와 북동부 지역에서는 다른 많은 언어를 대체했고, 영화와 음악의 확산으로 인해 아프리카 다른 지역에서도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하우사어 기반의 여러 피진이 존재하는데, 바리칸치어는 과거 군대에서 사용되었고, 기바나와어는 현재 나이지리아 북서부에서 사용된다.[25] 하우사어는 주변 언어로부터 많은 단어를 차용해왔다.[26] 예를 들어 요루바어, 풀라어, 카누리어 등에서 유래한 단어들을 찾아볼 수 있다.

4. 1. 전통적인 방언

동부 하우사 방언에는 다우라의 다우란치(Dauranci), 카노의 카난치(Kananci), 바우치의 바우산치(Bausanci), 카타검, 미사우 및 보르노 주 일부 지역의 구두란치(Gudduranci), 그리고 하데지야의 하데잔치(Hadejanci)가 있다.[15] 서부 하우사 방언에는 소코토의 사크와탄치(Sakkwatanci), 카치나의 카치난치(Katsinanci), 고비르, 아다르, 케비 및 자파라의 아레완치(Arewanci), 그리고 니제르의 쿠르페의 쿠르와이안치(Kurhwayanci)가 있다. 카치나는 동부와 서부 방언의 중간 단계에 있으며, 소코토 방언은 다양한 고전 하우사 문학에 사용되며 종종 고전 하우사어(Classical Hausa)로 불린다.[16] 북부 하우사 방언에는 '북쪽'을 뜻하는 아레와(Arewa)와 아레와치(Arewaci)가 있다. 자자우의 자자간치(Zazzaganci)는 주요 남부 방언이다.[17] 다우라의 다우란치(Dauranchi)와 카노의 카난치(Kananci) 방언은 표준어로, BBC, 도이체 벨레(Deutsche Welle), 라디오 프랑스 인터내셔널(Radio France Internationale), 그리고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는 이 두 방언을 사용하여 국제 뉴스 웹사이트에서 하우사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근 언어 발전에서 자자간치(Zazzaganci)는 하우사어 사용의 쓰기와 말하기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18]

4. 2. 북부 방언과 성조 소실

쿠르와얀치, 다마가람, 아다라와 방언은 하우사어 방언 중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어지는 방언들로, 전통적으로 하우사어 원어민 사회의 북쪽 경계를 이룹니다.[19] 이들 방언은 니제르 서부와 중부의 가장 북쪽 사헬 지역과 사하라 중부 지역, 즉 틸라베리, 타후아, 도소, 마라디, 아가데즈, 징더 지역에서 사용됩니다.[19] 사크와탄치, 그리고 다소 덜하지만 가아난치와 상호 이해 가능하지만, 자르마족, 풀라족, 투아레그족과의 잦은 접촉과 초원 지역과 사막 지역 간의 지리적 차이로 인한 문화적 변화로 인해 약간의 문법적 및 어휘적 차이를 보입니다. 특히, 이들 방언은 비음조 피치 악센트를 가지는 특징을 보입니다.

이러한 비음조와 지리적 위치 간의 연관성은 하우사어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인접 언어의 다른 북부 방언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는데, 예를 들어 송하이어의 경우 팀북투의 비음조 최북단 방언인 코이라 치니와 가오의 코이라보로 세니, 그리고 니제르 서부에서 가나 북부까지 사용되는 음조 남부 자르마어 방언의 차이를 들 수 있습니다. 또한 소닌케어의 경우 모리타니 동중부에서 사용되는 비음조 최북단 방언인 임라구엔어와 네마디, 세네갈, 말리, 사헬의 음조 남부 방언의 차이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20]

4. 3. 가나 하우사 방언

가나 하우사 방언(Gaananci)은 가나와 토고에서 사용되는 서부 하우사 방언의 독립적인 그룹이다. 충분한 언어 및 미디어 자료가 존재한다. 다만, 더 서쪽인 부르키나파소 일부 지역과 말리 북동부의 하우사 풀라니(Haoussa Foulane), 바지 하우사(Badji Haoussa), 게주 하우사(Guezou Haoussa), 안손고(Ansongo) 지역(말리 정부는 소수 언어로 지정)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수의 하우사 사람들이 더 작은 하우사 방언들을 사용하지만, 이들 방언에 대한 언어 자료와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Gaananci는 다른 서부 하우사 방언들과는 구분되는데, 이는 하우사어가 주요 언어인 지역과 떨어져 있고, 'ky'를 'c'로, 'gy'를 'j'로 사용하는 특징 때문이다. 이는 가나의 하우사 인구가 과거 아샨티 제국, 곤자 왕국, 다곰바 왕국의 주요 무역 도시 존고(zongo) 지역에 정착한 하우사-풀라니 상인들의 후손이기 때문이다. 특히 아크라(사본 장고(Sabon Zango), 니마(Nima)), 타코라디, 케이프 코스트 등의 도시가 여기에 포함된다.

Gaananci는 자르마어, 구르어족, 줄라어-밤바라어, 아칸어, 소닌케어의 영향을 받았다. 가나는 사헬/서아프리카 무슬림들 사이에서 하우사어가 주요 공용어인 가장 서쪽 지역이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가나인과 비가나인 존고 이주민들이 포함되며, 이들은 주로 북부 지역 또는 말리와 부르키나파소 출신이다. 가나는 하우사 사람들이 상당수 거주하는 가장 서쪽 경계이기도 하다. 가나의 바로 서쪽과 북쪽(코트디부아르와 부르키나파소)에서는 하우사어가 디울라어-밤바라어로 대체되어 주로 만딩어 지역의 주요 사헬/무슬림 공용어가 되고, 원주민 하우사어 사용자는 매우 소수의 도시 소수 민족으로 줄어든다.

주변의 아칸어, 그베어족, 구르어족, 만데어족의 존재 때문에 Gaananci는 역사적으로 다른 하우사 방언들과 고립되어 있었다.[21]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Sakkwatanci와 가나 하우사어 사이의 문법적 유사성은 이 방언과 가나 하우사 사람들 자신의 기원이 소코토 주변의 북서부 하우사 지역에서 유래했음을 보여준다.[22]

하우사어는 비원어민인 구르어족과 만데계 가나 무슬림들 사이에서도 널리 사용되지만, Gaananci와는 다르며, 비원어민 하우사 방언과 일치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4. 4. 기타 토착 방언

카메룬과 차드에서 사용되는 하우사어 방언은 나이지리아 북부와 니제르의 방언들을 기반으로 형성되었다. 특히, 아랍어는 이 지역 하우사어 사용자들의 언어 사용 방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4. 5. 비원어민 하우사어

서아프리카에서 하우사어는 교통어로 사용되면서 원어민 발음과는 다른 비원어민 발음이 생겨났다.[23][24] 비원어민 발음에서는 원어민 하우사 방언의 중요한 흡착음과 파열음 자음(예: 'ɗ', 'ɓ', 'kʼ/ƙ')이 각각 'd', 'b', 'k'로 단순화되어 발음된다. 이 때문에 "daidai"(정확한)와 "ɗaiɗai"(하나하나)처럼 구별되어야 할 단어들을 구분하지 못하는 혼란이 발생한다. 또한 모음의 길이가 생략되고, 원어민 하우사 방언의 표준 성조 언어가 변경된다. 풀라니족과 투아레그족 하우사어 화자는 성조를 완전히 생략하는 반면, 구르어족이나 요루바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화자는 모어와 유사한 추가적인 성조 구조를 사용한다. 남성과 여성 문법적 성 명사와 문장 구조는 생략되거나 바뀌고, 많은 원어민 하우사어 명사와 동사가 현지 언어의 비원어민 용어로 대체된다.

하우사어 비원어민 화자는 2,500만 명이 넘으며, 나이지리아 북중부와 북동부 지역에서는 다른 많은 언어를 대체했다. 하우사어 영화와 음악의 확산으로 아프리카 다른 지역에서도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4. 6. 하우사어 기반 피진

하우사어 기반의 여러 피진이 존재한다. 바리칸치어는 과거 나이지리아 식민지 시대 군대에서 사용되었다. 기바나와어는 현재 나이지리아 북서부 나이지리아 제가에서, 원래 하우사어 사용 지역의 남쪽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25]

4. 7. 차용어

하우사어는 오랜 기간 주변 지역 및 인근 하우사 지역에서 사용되는 다른 언어로부터 많은 단어를 차용해왔다.[26] 예를 들어, ''akwati''(상자), ''agogo''(시계), ''ashana''(성냥)과 같은 단어는 요루바어에서 유래했다. 또한 풀라어에서는 ''dattijo''(노인), ''inna''(어머니), ''kawu''(삼촌) 등의 단어가 차용되었고, 카누리어에서는 ''karatu''(읽기), ''rubutu''(쓰기), ''birni''(도시) 등의 단어가 하우사어에 유입되었다.

5. 음운

== 음운 ==

하우사어는 23~25개의 자음과 10개의 모음(단모음 5개, 장모음 5개), 그리고 4개의 이중모음으로 구성된다. 자음은 양순음, 치경음, 후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순음화 연구개음, 성문음 등으로 분류된다. 하우사어는 성조 언어이며, 저음, 고음, 하강조의 세 가지 성조를 가진다. 성조는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우사어의 자음 중에는 발음 위치에 따라 4~5곳에서 성문 파열음(내파음과 외파음)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음들은 발음 시 성문의 움직임이 필요하며, 짧고 끊어지는 소리를 낸다. 수정된 라틴 문자나 아포스트로피(')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내파음에는 ɓ(/b'/), ɗ(/d'/)가 있으며, 외파음에는 ts'(방언에 따라 [tsʼ] 또는 [sʼ]), ch'(tʃʼ, 카노 방언에는 없음), ƙ(/k'/)가 있다. ƙ(/k'/)의 경우 kʲʼ와 kʷʼ는 별개의 자음으로 구분된다. 또한 ƴ(/'/)는 성문 협착을 동반한 연구개 자음 근사음으로 [j̰]에 해당하며, 소수의 고빈도 단어에서만 발견된다. 역사적으로는 연구개화된 ɗ에서 발전했다.[29]

모음 체계는 단모음 5개(/i, u, e, o, a/)와 장모음 5개(/iː, uː, eː, oː, aː/), 그리고 이중모음 4개(/ai, au, iu, ui/)로 이루어져 있다. 총 14개의 모음 음소가 존재한다. 단모음 /i, u/는 장모음에 비해 중설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ɨ/, /ʉ/와 같이 중앙화되기도 한다. /e/, /o/는 /a/로 중화되는 경향이 있고, 짧은 /a/는 장모음 /aː/와 유사하거나, 슈와 /ə/에 가까운 소리로 발음될 수도 있으며, 그 중간 발음인 /ɐ/ 또는 /ɜ/에 가까운 소리로 발음되기도 한다.

하우사어 모음
전설중설후설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중모음



표준 하우사어 문자에서는 성조를 표기하지 않지만, 최근 언어학 및 교육 자료에서는 프랑스어의 발음 구별 기호를 사용하여 성조를 표시한다. 저음에는 그레이브 악센트(`), 고음에는 액튜트 악센트(′)(하지만 일반적으로 표시하지 않음), 하강조에는 서컴플렉스(ˆ)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 저음: à è ì ò ù
  • 고음: á é í ó ú
  • 하강조: â ê î ô û


다섯 개의 모음(a, e, i, o, u) 각각에 저음, 고음, 하강조 성조가 존재한다. 성조는 상대적인 것이며, 전체적으로는 성조의 변화에 따라 점차 음고가 낮아지는 다운드리프트 현상이 나타난다. 의문문의 경우, 의문사를 사용하지 않는 예/아니오 의문문에서는 문말의 고음 또는 하강 성조에서 음고가 일시적으로 높아졌다가 급격히 낮아지는 특징을 보인다. 반면 의문사를 사용하는 의문문에서는 전체적으로 높은 음고가 유지되면서 문말에서만 음고가 내려간다.

5. 1. 자음

하우사어는 화자에 따라 23~25개의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 다음 표는 하우사어 자음을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표기는 국제 음성 기호(IPA)를 따른다.

양순음치경음후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순음화 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
파열음/파찰음내파음ɓɗ
유성음bd(d)ʒɟɡɡʷ
무성음tckʔ
방출음(t)s’c’k’kʷ’
마찰음유성음z
무성음ɸsʃh
유음설측음l
비설측음rɽ
반모음j, j̰w



/c ɟ cʼ k ɡ kʼ kʷ ɡʷ kʷʼ/ 의 9개 자음은 /a/ (장단모음에 관계없이) 앞에만 나타난다 (예: /cʼaːɽa/ (풀), /kʼaːɽaː/ (늘리다), /kʷʼaːɽaː/ (시어버터)). 전설모음 앞에는 경구개음과 원순화된 연구개음만 나타나고 (예: /ciːʃiː/ (질투), /kʷiːɓiː/ (몸의 측면)), 원순모음 앞에는 원순화된 연구개음만 나타난다 (예: /kʷoːɽaː/ (백선)).[27] [58]

5. 2. 성문 자음

하우사어는 발음 위치에 따라 4~5곳에서 성문 파열음(내파음과 외파음)을 사용한다. 이 음들은 발음 시 성문의 움직임이 필요하며, 짧고 끊어지는 소리를 낸다. 수정된 라틴 문자나 아포스트로피(')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 ɓ / b': 내파음, ɓ, 때로는 ʔb로 표기된다.
  • ɗ / d': 내파음, ɗ, 때로는 dʔ로 표기된다.
  • ts': 외파음, 방언에 따라 [tsʼ] 또는 [sʼ]로 표기된다.
  • ch': 외파음, tʃʼ (카노 방언에는 없음).
  • ƙ / k': 외파음, kʼ. kʲʼ 와 kʷʼ는 별개의 자음이다.
  • ƴ / 'y: 성문 협착을 동반한 연구개 자음 근사음, [j̰]. 소수의 고빈도 단어(예: /j̰áːj̰áː/ "아이들", /j̰áː/ "딸")에서만 발견되며, 역사적으로는 연구개화된 ɗ에서 발전했다.[29]

5. 3. 모음

하우사어의 모음 체계는 단모음 5개(/i, u, e, o, a/)와 장모음 5개(/iː, uː, eː, oː, aː/), 그리고 이중모음 4개(/ai, au, iu, ui/)로 이루어져 있다. 총 14개의 모음 음소가 존재하는 셈이다. 단모음 /i, u/는 장모음에 비해 중설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ɨ/, /ʉ/와 같이 중앙화되기도 한다. /e/, /o/는 /a/로 중화되는 경향이 있고, 짧은 /a/는 장모음 /aː/와 유사하거나, 슈와 /ə/에 가까운 소리로 발음될 수도 있으며, 그 중간 발음인 /ɐ/ 또는 /ɜ/에 가까운 소리로 발음되기도 한다.

하우사어 모음
전설중설후설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중모음



5. 4. 성조

하우사어는 저음, 고음, 하강조의 세 가지 성조를 가진 성조 언어이다.[63] 성조는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표준 하우사어 문자에서는 성조를 표기하지 않지만, 최근 언어학 및 교육 자료에서는 프랑스어의 발음 구별 기호를 사용하여 성조를 표시한다.

저음에는 그레이브 악센트(`), 고음에는 액튜트 악센트(′)(하지만 일반적으로 표시하지 않음), 하강조에는 서컴플렉스(ˆ)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 저음: à è ì ò ù
  • 고음: á é í ó ú
  • 하강조: â ê î ô û


다섯 개의 모음(a, e, i, o, u) 각각에 저음, 고음, 하강조 성조가 존재한다. 성조는 상대적인 것이며, 전체적으로는 성조의 변화에 따라 점차 음고가 낮아지는 다운드리프트 현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의문문의 경우, 의문사를 사용하지 않는 예/아니오 의문문에서는 문말의 고음 또는 하강 성조에서 음고가 일시적으로 높아졌다가 급격히 낮아지는 특징을 보인다. 반면 의문사를 사용하는 의문문에서는 전체적으로 높은 음고가 유지되면서 문말에서만 음고가 내려간다.

6. 형태론

하우사어는 남성과 여성의 성을 구분하지만, 카노 남쪽의 자리아 방언과 바우치 방언은 예외다.[16] 하우사어는 다른 차드어군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아프로아시아어족 언어의 전형적인 특징인 복잡하고 불규칙적인 명사 복수형을 가지고 있다. 명사의 복수형은 접미사, 삽입, 중복, 또는 이러한 과정들의 조합을 통해 만들어진다. 뉴먼(2000)은 하우사어 명사 복수형을 20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30]

다음 표는 뉴먼이 제시한 하우사어 명사 복수형의 몇 가지 예시를 보여준다.

종류접사단수 (예)복수 (예)의미 (예)
1a-asirdìsiràda'안장'
2a-egulbigulàbe'개울'
3a-ukurmìkuràmu'숲'
4-aCewuriwuràre'장소'
5-aimalàmmalàmai'선생님'
6-anniwatàwàtànni'달'
7-awatalàkàtalakawa'평민'
8-ayezomozomàye'토끼'
9-Catabòtabba'흉터'
10-Caitudùtùddai'고지'
11-ce2ciwòcìwàce-cìwàce'병'
12-Cunacikìcikkunà'배'
13-e2camfìcàmfe-càmfe'미신'
14-itàuraròtàuràri'별'
15-oCitagàtagogi'창문'
16-ukujèrakùjèru'의자'
17u-acokàlicokulà'수저'
18-ukalayilayukà'골목'
19-unarìgarigunà'가운'
20X2àkàwuàkàwu-àkàwu'사무원'



하우사어의 주어 대명사는 시제, 상, 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어미가 결합되기도 하며, 주어가 명사로 표현되더라도 동사에는 항상 주어 대명사가 함께 쓰인다.[31] 다음 표는 하우사어 주어 대명사의 예시를 보여준다.[32]

시제, 상, 법
! colspan="2" | 1인칭 ! colspan="3" | 2인칭 ! colspan="3" | 3인칭 ! | 부정
! ! 단수 ! 복수 ! 단수 ! 남 ! 여 ! 단수 ! 복수
완료 ! naː ! mun ! kaː ! kin ! kun ! jaː ! taː ! sun ! an ! an
관계절 ! na ! mukà ! ka ! kikà ! kukà ! ja ! ta ! sukà ! akà ! akà
진행 ! inàː ! munàː ! kanàː ! kinàː ! kunàː ! janàː / ʃinàː ! tanàː ! sunàː ! anàː ! anàː
관계절 ! nakèː / nikèː ! mukèː ! kakèː ! kikèː ! kukèː ! jakèː / ʃikèː ! takèː ! sukèː ! akèː ! akèː
명령법 ! ìn ! mù ! kà ! kì ! kù ! jà ! tà ! sù ! à ! à
미래 ! zân / zaː nì ! zaː mù ! zaː kà ! zaː kì ! zaː kù ! zâi / zaː jà ! zaː tà ! zaː sù ! zaː à ! zaː à
습관적 ! nakàn ! mukàn ! kakàn ! kikàn ! kukàn ! jakàn ! takàn ! sukàn ! akàn ! akàn



표에서 볼 수 있듯이, 하우사어의 주어 대명사는 시제, 상, 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부정형 또한 각 시제, 상, 법에 따라 다르게 표현된다. 이처럼 복잡한 대명사 체계는 하우사어의 문법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단, 각 대명사의 정확한 발음은 표기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6. 1. 명사 복수형

하우사어 명사의 복수형은 다양한 형태소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접미사 첨가, 어간 내부에 형태소 삽입, 어간의 반복(중복)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뉴먼(2000)의 연구에 따르면, 하우사어 명사의 복수형은 최소 20가지 유형이 존재한다고 한다. 각 유형은 명사의 어근과 문법적 성격에 따라 달라진다. 자세한 유형과 예시는 관련 문헌을 참고하는 것이 좋다.

6. 2. 대명사

하우사어는 시제, 상, 법에 따라 다양한 주어 대명사를 사용하며, 때로는 어미가 결합되기도 한다. 주어가 명사로 표현되더라도 동사에는 항상 주어 대명사가 수반된다. [31] 다음 표는 시제, 상, 법에 따른 하우사어 주어 대명사를 보여준다. [32]

시제, 상, 법
! colspan="2" | 1인칭 ! colspan="3" | 2인칭 ! colspan="3" | 3인칭 ! | 부정
! ! 단수 ! 복수 ! 단수 ! 남 ! 여 ! 단수 ! 복수
완료 ! naː ! mun ! kaː ! kin ! kun ! jaː ! taː ! sun ! an ! an
관계절 ! na ! mukà ! ka ! kikà ! kukà ! ja ! ta ! sukà ! akà ! akà
진행 ! inàː ! munàː ! kanàː ! kinàː ! kunàː ! janàː / ʃinàː ! tanàː ! sunàː ! anàː ! anàː
관계절 ! nakèː / nikèː ! mukèː ! kakèː ! kikèː ! kukèː ! jakèː / ʃikèː ! takèː ! sukèː ! akèː ! akèː
명령법 ! ìn ! mù ! kà ! kì ! kù ! jà ! tà ! sù ! à ! à
미래 ! zân / zaː nì ! zaː mù ! zaː kà ! zaː kì ! zaː kù ! zâi / zaː jà ! zaː tà ! zaː sù ! zaː à ! zaː à
습관적 ! nakàn ! mukàn ! kakàn ! kikàn ! kukàn ! jakàn ! takàn ! sukàn ! akàn ! akàn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하우사어의 주어 대명사는 시제, 상, 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부정형 또한 각 시제, 상, 법에 따라 다르게 표현된다. 이러한 복잡한 대명사 체계는 하우사어의 문법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각 대명사의 정확한 발음은 표기법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7. 문자 체계

하우사어는 로마자(보코)와 아랍 문자(아자미)를 사용해서 기록된다. 보코는 1930년대 영국 식민 정부가 도입한 라틴 문자 기반의 공식 철자법이다. 반면 아자미는 17세기 초부터 사용된 아랍 문자 기반의 표기법으로, 표준화되지 않았다. 아자미는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문자의 값이 다를 수 있으며, 모음은 모음 부호를 사용해서 표기한다. 니제르와 나이지리아에서는 와르시와 하프스 두 가지 전통이 있다. 와르시는 북아프리카, 서아프리카, 안달루시아에서 인기 있었고, 하프스는 이집트, 레반트, 아라비아 반도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아자미는 공식적으로 인정되거나 규제된 적이 없어 표준화 과정에서 인접한 아자미 전통과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는 보코 알파벳(라틴 알파벳)의 영향으로 새로운 문자가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이전에는 [b]와 [ɓ] 소리가 '바'(ب)로 표기되었지만, 라틴 알파벳의 영향으로 별개의 아자미 문자가 도입되었다. 아래 표는 와르시와 하프스 관례에서 사용되는 하우사 아자미 문자 목록이다. 베이지색은 아랍어나 유럽어에서 차용된 단어에만 쓰이고, 녹색은 하우사 정서법의 혁신으로 아랍어에는 없는 문자들이다.

하우사 아자미 (와르시 관례)[37][38]
문자
(나스크체)
문자
(하우사위/카누리체)
라틴어 등가물IPA유니코드
اا‌-
A a
//U+0627
بب‌B bU+0628
ݑݑ‌Ɓ ɓU+0751
تت‌T tU+062A
ثث‌C cU+062B
جج‌J jU+062C
حح‌H hU+062D
خخ‌H h
(Kh kh)
U+062E
دد‌D dU+062F
ذذ‌Z zU+0630
رر‌R r/U+0631
زز‌Z zU+0632
سس‌S sU+0633
شش‌Sh sh ()
Ch ch()
U+0634
صص‌S sU+0635
ضض‌L lU+0636
طط‌Ɗ ɗU+0637
ظظZ zU+0638
ڟڟ‌Ts ts/U+069F
عع‌ʼ/U+0639
غغ‌G gU+063A
ڠ‌Gw gw
Gy gy
/U+08C3
(U+06A0)
ࢻـ ࢻࢻـ ࢻ‌F f/U+088B
ڥڥP pU+06A5
ࢼـ ࢼࢼـ ࢼ‌Ƙ ƙU+08BC
ڨࣄـ ࣄ‌Ƙw ƙw
Ƙy ƙy
/U+08C4
(U+06A8)
کک‌K kU+06A9
ݣݣ‌Kw kw
Ky ky
/U+0763
لل‌L lU+0644
مم‌M mU+0645
ࢽـ ࢽࢽـ ࢽ‌N nU+08BD
هـ ههـ ه‌H hU+0647
وو‌W w
O o
U u
()U+0648
یی‌Y y
I i
()U+06CC
ىٰىٰ‌E eU+0649
plus
U+0670
ؿـ ؿؿـ ؿ‌ˈy ()
Ƴ ƴ()
/U+063F



하우사 아자미 (하프스 관례)[39]
문자
(나스크체)
라틴어 등가물IPA유니코드
ا‌-
A a
//U+0627
ب‌B bU+0628
ٻ‌Ɓ ɓU+067B
ت‌T tU+062A
ث‌C cU+062B
ج‌J jU+062C
ح‌H hU+062D
خ‌H h
(Kh kh)
U+062E
د‌D dU+062F
ذ‌Z zU+0630
ر‌R r/U+0631
ز‌Z zU+0632
س‌S sU+0633
ش‌Sh sh ()
Ch ch()
U+0634
ص‌S sU+0635
ض‌L lU+0636
ط‌Ɗ ɗU+0637
ظZ zU+0638
ڟ‌Ts ts/U+069F
ع‌ʼ/U+0639
غ‌G gU+063A
ڠ‌Gw gw
Gy gy
/U+06A0
ف‌F f/U+0641
ڥP pU+06A5
ق‌Ƙ ƙU+0642
ڨ‌Ƙw ƙw
Ƙy ƙy
/U+06A8
ک‌K kU+0643
ڭ‌Ƙ ƙ
Ky ky
/U+06AD
ل‌L lU+0644
م‌M mU+0645
ن‌N nU+0646
هـ ه‌H hU+0647
و‌W w
O o
U u
()U+0648
ي‌Y y
I i
()U+064A
ىٰ‌E eU+0649
plus
U+0670
ۑـ ۑ‌ˈy ()
Ƴ ƴ()
/U+06D1

[33][34][35][36][37][38][39]

7. 1. 보코 (로마자)

현대 하우사어는 1930년대 영국 식민정부에 의해 도입된 보코(bōkṑ)라는 라틴 문자 기반 알파벳을 공식 표기법으로 사용한다. 보코는 성조, 모음의 길이, 그리고 /r/과 /ɽ/의 구분(모든 화자가 구분하는 것은 아니다)을 표기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dàɡà/ ("from")와 /dáːɡáː/ ("battle")은 모두 ''daga''로 표기된다. 나이지리아에서는 표준 문어가 카노 방언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니제르에서는 아직 표준 문어가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문자 'ƴ'는 니제르에서만 사용되며 나이지리아에서는 'ʼy'로 표기된다. 영국 식민주의의 잔재로 볼 수 있는 보코 표기법은 하우사어의 다양한 음운론적 특징을 완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진보적인 언어학자들은 하우사어의 다양성을 더 잘 반영하는 새로운 표기법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는 하우사어 사용자들의 언어 주권 확보라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다.

7. 2. 아자미 (아랍 문자)

17세기 초부터 사용된 아랍 문자 기반의 표기법인 아자미(Ajami)는 하우사어를 기록하기 위해 변형된 아랍 문자를 사용한다. 아자미는 표준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필자에 따라 문자의 값이 다를 수 있으며, 모음은 모음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특히, 니제르와 나이지리아에서는 와르시와 하프스 두 가지 전통이 존재한다. 와르시 전통은 북아프리카, 서아프리카, 안달루시아에서 인기가 많았던 반면, 하프스 전통은 이집트, 레반트, 아라비아 반도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아자미 문자는 공식적으로 인정되거나 규제된 적이 없어, 표준화는 여러 단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이는 인접한 아자미 전통과 외부 요인의 영향을 동시에 받았다. 특히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는 보코 알파벳(라틴 알파벳)의 영향으로 새로운 문자가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이전에는 [b]와 [ɓ] 소리가 '바'(ب)로 표기되었으나, 라틴 알파벳의 영향으로 별개의 아자미 문자가 도입되었다.

아래는 와르시와 하프스 관례 모두에서 사용되는 하우사 아자미 문자 목록이다. 베이지색으로 표시된 문자는 아랍어 또는 유럽어에서 차용된 단어에만 사용되고, 녹색으로 표시된 문자는 하우사 정서법의 혁신으로 아랍어에는 없는 문자이다. (표는 원본 소스의 표를 참고하여 재구성하였습니다.)

하우사 아자미 (와르시 관례)[37][38]
문자
(나스크체)
문자
(하우사위/카누리체)
라틴어 등가물IPA유니코드
‌-
A a
//U+0627
‌B bU+0628
‌Ɓ ɓU+0751
‌T tU+062A
‌C cU+062B
‌J jU+062C
‌H hU+062D
‌H h
(Kh kh)
U+062E
‌D dU+062F
‌Z zU+0630
‌R r/U+0631
‌Z zU+0632
‌S sU+0633
‌Sh sh ()
Ch ch()
U+0634
‌S sU+0635
‌L lU+0636
‌Ɗ ɗU+0637
Z zU+0638
‌Ts ts/U+069F
‌ʼ/U+0639
‌G gU+063A
‌Gw gw
Gy gy
/U+08C3
(U+06A0)
‌F f/U+088B
P pU+06A5
‌Ƙ ƙU+08BC
‌Ƙw ƙw
Ƙy ƙy
/U+08C4
(U+06A8)
‌K kU+06A9
‌Kw kw
Ky ky
/U+0763
‌L lU+0644
‌M mU+0645
‌N nU+08BD
‌H hU+0647
‌W w
O o
U u
()U+0648
‌Y y
I i
()U+06CC
‌E eU+0649
plus
U+0670
‌ˈy ()
Ƴ ƴ()
/U+063F



하우사 아자미 (하프스 관례)[39]
문자
(나스크체)
라틴어 등가물IPA유니코드
‌-
A a
//U+0627
‌B bU+0628
‌Ɓ ɓU+067B
‌T tU+062A
‌C cU+062B
‌J jU+062C
‌H hU+062D
‌H h
(Kh kh)
U+062E
‌D dU+062F
‌Z zU+0630
‌R r/U+0631
‌Z zU+0632
‌S sU+0633
‌Sh sh ()
Ch ch()
U+0634
‌S sU+0635
‌L lU+0636
‌Ɗ ɗU+0637
Z zU+0638
‌Ts ts/U+069F
‌ʼ/U+0639
‌G gU+063A
‌Gw gw
Gy gy
/U+06A0
‌F f/U+0641
P pU+06A5
‌Ƙ ƙU+0642
‌Ƙw ƙw
Ƙy ƙy
/U+06A8
‌K kU+0643
‌Ƙ ƙ
Ky ky
/U+06AD
‌L lU+0644
‌M mU+0645
‌N nU+0646
‌H hU+0647
‌W w
O o
U u
()U+0648
‌Y y
I i
()U+064A
‌E eU+0649
plus
U+0670
‌ˈy ()
Ƴ ƴ()
/U+06D1

[33][34][35][36][37][38][39]

참조

[1] 백과사전 Hausa language https://www.britanni[...] 2020-10-14
[2] 웹사이트 Spread of the Hausa Language https://worldmapper.[...] 2020-10-14
[3] 웹사이트 Hausa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4-03-27
[4] 웹사이트 The Hausa Language https://www.iaaw.hu-[...] 2022-02-15
[5] 뉴스 Nigerian actress Rahama Sadau banned after on-screen hug https://www.bbc.com/[...] 2020-10-29
[6] 웹사이트 Chadic language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2-15
[7] 서적 Tsarin sauti da nahawun hausa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1999
[8] 웹사이트 List of states in Nigeria predominantly inhabited by the Hausas https://www.legit.ng[...] 2024-07-05
[9] 웹사이트 The Languages of Niger: Hausa https://wellsbringho[...] 2024-07-05
[10] 웹사이트 Hausa - Boston University https://www.bu.edu/a[...] 2024-07-05
[1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Hausa people in Ghana https://www.ghanaweb[...] 2024-07-05
[12] 웹사이트 Nigeria Maps - Perry-Castañeda Map Collection - UT Library Online https://maps.lib.ute[...] 2024-12-17
[13] 서적 U.S. Army Area Handbook for Nigeria. Second Edition, March 1964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4
[14] 웹사이트 Hausa Language Variation and Dialects http://aflang.humani[...] 2020-10-14
[15] 웹사이트 The Hausa Language – Department of African Studies https://www.iaaw.hu-[...] 2020-10-14
[16] 서적 Hausa Grammatical Sketch https://halshs.archi[...] LLACAN 2011
[17] 웹사이트 Nigeria: 'Tribalism' and the nationality question https://punchng.com/[...] 2022-02-17
[18] 웹사이트 Hausa Language: 4 interesting things you should know about Nigeria's most widely spoken dialect https://www.pulse.ng[...] 2022-02-17
[19] 웹사이트 Hausa dialects (part-two) https://www.facebook[...] 2022-02-15
[20] 웹사이트 'The improtance [sic] of Hausa language as a verbal communication to Hausa people' as the research topic http://linguistmam.b[...] 2022-02-15
[21] 학술지 On Language and Development in Africa: The Case of Ghana http://www.njas.hels[...] 2021-07-17
[22] 웹사이트 Multilingualism and language attitudes in Ghana: a preliminary survey http://www.ethnorema[...] 2021-07-17
[23] 웹사이트 Hausa Language Variation and Dialects http://aflang.humani[...] 2024-11-21
[24] 서적 The Power of Babel: Language and Governance in the African Experience https://www.google.c[...]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08-03
[25] 기타
[26] 학술지 Neologisms in Hausa: A Sociological Approach https://www.jstor.or[...] 1963
[27] 서적 Phonologies of Asia and Africa https://scholarworks[...] Eisenbrauns
[28] 웹사이트 Hausa ejectives and laryngealized consonants http://www.phonetics[...]
[29] 서적 The Hausa Language: an encyclopedic reference grammar Yale University Press
[30] 학회 Quantitative methods in African Linguistics – Predicting plurals in Hausa https://mguzmann89.g[...] 2017-04
[31] 웹사이트 Hausa Verb Tense – African Languages at UCLA http://aflang.humani[...] 2021-05-07
[32] 웹사이트 Hausa Grammatical Sketch https://halshs.archi[...] 2015
[33] 웹사이트 Hausa language https://www.britanni[...] 2022-05-31
[34] 뉴스 From Africa, in Ajami http://www.saudiaram[...] 2011-10
[35] 학술지 Hausa ajami literature and script: colonial innovations and post-colonial myths in northern Nigeria https://www.jstor.or[...] 2004
[36] 논문 Studies in Two Transmission of the Qur'an University of St. Andrews
[37] 논문 Standardisation Tendencies in Kanuri and Hausa Ajami Writings
[38] 웹사이트 Hausa (Ajami) orthography notes https://r12a.github.[...]
[39] 서적 Mu Koyi Ajami Da Larabci / مُکُوْیِ أَجَمِ دَ لَارَبْثِی Northern Nigerian Pub
[40] 웹사이트 Salifou Hausa https://scriptsource[...] 2024-04-10
[41] 웹사이트 Hausa alphabet http://www.bisharat.[...]
[42] 웹사이트 L2/22-073 Update on implementation status of African scripts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2022-03-03
[43] 웹사이트 ScriptSource – Salifou Hausa https://scriptsource[...] 2023-07-19
[44] 웹사이트 Hausa alphabet from a 1993 publication http://www.bisharat.[...] 2018-04-20
[45] 웹사이트 Hausa alphabet from a 1993 publication http://www.bisharat.[...] 2018-04-20
[46] 간행물 The Upavon Incident https://books.google[...]
[47] 서적 Hausa Proverbs https://archive.org/[...]
[48] 서적 Hausa Grammar https://archive.org/[...]
[49] 서적 Hausa Folklore, Customs, Proverbs, etc. by Malam Shaihu: Volume 2 https://archive.org/[...]
[50] 논문 Daura and Gender in the Creation of a Hausa National Epic
[51] 서적 Hausa Folklore, Customs, Proverbs, etc. by Malam Shaihu: Volume 1 https://archive.org/[...]
[52] 서적 Hausa Folklore, Customs, Proverbs, etc. by Malam Shaihu: Volume 2 https://archive.org/[...]
[53] 서적 Magana Hausa, to Which Is Added a Translation in English https://archive.org/[...]
[54] 서적 Hausa Folktales: The Hausa Text of the Stories in Hausa Superstitions and Customs, in Folk-lore, and in Other Publications https://archive.org/[...]
[55] 서적 Hausa Superstitions and Customs https://archive.org/[...]
[56] 서적 Hausa Tales and Traditions: An English Translation of Tatsuniyoyi na Hausa https://archive.org/[...]
[57] 서적 Tatsuniyoyi na Hausa https://catalog.hath[...]
[58] 서적 Phonologies of Asia and Africa https://hdl.handle.n[...] Eisenbrauns
[59] 웹사이트 http://www.bisharat.[...]
[60] 웹사이트 http://www.bisharat.[...]
[61] 웹사이트 http://www.bisharat.[...]
[62] 기타 #e17 태그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type을 기타로 설정
[63] 웹사이트 Hausa http://www.omniglo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