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루바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루바어는 에데키리어군에 속하는 니제르-콩고어족의 언어로, 나이지리아를 중심으로 서아프리카와 아프리카 대륙 밖에서도 사용된다.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며, 표준 요루바어는 문어 형태로 사용된다. 요루바어는 아랍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하며, 구비 문학과 기록 문학이 발달했다. 음악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고의 언어 - 에웨어
에웨어는 가나와 토고에서 사용되는 Gbe 언어의 방언 클러스터로, 에베족의 언어에서 파생되었으며, 라틴 문자 기반 표기 체계가 개발되었고, 성조 언어로서 SVO형 어순을 가진다. - 토고의 언어 - 프랑스어
프랑스어는 프랑스를 포함한 전 세계 29개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속라틴어가 갈리아어 및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국제기구 공용어로서 외교 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 문화, 경제, 교육, 특히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 베냉의 언어 - 폰어
베냉에서 주로 사용되는 폰어는 미크로네시아 폰페이섬에서 기원하여 독자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특유의 음운 체계와 문장 구조, 그리고 다양한 문자 체계를 통해 베냉의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현재 보존과 진흥을 위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베냉의 언어 - 프랑스어
프랑스어는 프랑스를 포함한 전 세계 29개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속라틴어가 갈리아어 및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국제기구 공용어로서 외교 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 문화, 경제, 교육, 특히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 요루바 문화 - 아프로비트
아프로비트는 1960년대 초 가나에서 시작되어 나이지리아에서 펠라 쿠티에 의해 발전된 음악 장르로, 다양한 아프리카 음악 장르와 요루바 음악 전통에 재즈와 펑크의 영향을 받아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아 아프리카 전역과 서구에 확산되었으며 현재까지 계승되고 있다. - 요루바 문화 - 오리샤
오리샤는 요루바 신화에서 기원하여 아프리카와 아메리카 대륙 등에서 숭배되며, 개인의 운명과 생명력을 중시하는 신적 존재이다.
요루바어 | |
---|---|
언어 정보 | |
언어 인구 | |
언어 계통 | |
문자 및 표기 | |
공용어 | |
언어 코드 | |
추가 정보 | |
언어 이름 표기 | |
2. 역사
요루바어는 에데키리어군에 속하며, 이는 이세키리어와 고립어인 이갈라어와 함께 니제르콩고어족의 볼타-니제르어군에 속하는 요루보이드어군에 포함된다.
요루바어 방언 연속체는 여러 방언으로 구성된다. 요루바 족 거주지의 다양한 요루바어 방언은 북서부, 북동부, 중부, 남서부, 남동부의 다섯 가지 주요 방언 지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9] 명확한 경계를 그을 수는 없지만, 방언 지역의 주변 지역은 종종 인접한 방언과 유사한 점이 있다.
니제르콩고어족의 언어적 통일성은 아주 오래전, 약 1만 1천 년 전(상부 구석기시대 말)으로 거슬러 올라간다.[7] 현재 나이지리아에서는 약 5천만 명의 요루바어 모어 및 제2언어 화자가 있으며, 나이지리아 이외 지역에도 수백만 명의 화자가 있어 아프리카 대륙 밖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아프리카 언어이다. 요루바어는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에서 사용되며 초등, 중등, 고등 교육에서 가르치고 있다.[8] 요루바어로 된 방대한 문헌이 존재하며, 여기에는 책, 신문, 팜플렛 등이 포함된다.[8]
3. 사용 지역 및 방언
-- |
- '''북동부 요루바어''' (NEY)
- * 야그바, 오웨, 이키리, 이주무, 오워로, 그베데, 아부누
- '''남서부 요루바어''' (SWY)
- * 케투, 아워리, 사케테, 이페 (토고), 이다샤, 아나고
- '''남동부 요루바어''' (SEY)
- * 온도, 오워, 레모, 이제부, 이칼레, 동부 아코코 (아코코, 아오), 이라제, 우센
북서부 요루바어는 역사적으로 오요 제국에서 사용되었다. NWY 방언에서는 원시 요루바어의 연구개 마찰음과 순음화된 유성 연구개음 /gʷ/이 /w/로 합쳐졌다. 상위 모음 /ɪ/와 /ʊ/는 /i/와 /u/로 상승하여 합쳐졌고, 그들의 비음 대응어도 마찬가지였다. 그 결과 7개의 구개 모음과 3개의 비음 모음으로 이루어진 모음 체계가 되었다.
남동부 요루바어는 1450년경 이후 베냉 제국의 확장과 가장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10] NWY와는 달리, 혈통과 계보는 대부분 다계통이며 인척적이고, 칭호를 전쟁과 민간으로 나누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언어적으로 SEY는 /ɣ/와 /gw/의 대조를 유지했지만, 비음 모음 /ĩ/와 /ʊ̃/를 각각 /ɛ̃/와 /ɔ̃/로 낮추었다. SEY는 2인칭 및 3인칭 복수 대명사 형태를 축소했다. 따라서 ''àn án wá''는 SEY 방언에서 '너희(복수)가 왔다' 또는 '그들이 왔다'를 모두 의미할 수 있는 반면, 예를 들어 NWY는 각각 ''ẹ wá'' '너희(복수)가 왔다'와 ''wọ́n wá'' '그들이 왔다'를 가지고 있다. 존경의 복수가 나타난 것이 NWY 방언에서 두 가지가 합쳐지는 것을 막았을 수 있다.
중부 요루바어는 어휘가 NWY와 공통점이 많고 SEY와 많은 민족지적 특징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과도기적 지역을 형성한다. 그 모음 체계는 세 가지 방언 그룹 중 가장 전통적인 것으로, 9개의 구개 모음 대조, 6개 또는 7개의 비음 모음, 그리고 광범위한 모음 조화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중부 및 동부(NEY, SEY) 요루바어의 특징은 또한 [ʊ:]로 시작하는 단어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서부 요루바어에서는 이것이 [ɪ:]로 바뀌었다.
4. 표준 요루바어 (문어 요루바어)
문어 요루바어는 표준 요루바어, 요루바 공용어(Yoruba koiné), 일반 요루바어라고도 불리며, 방언 집단의 별개 구성원이다. 이는 언어의 문어 형태이자 학교에서 배우는 표준 변종이며, 라디오 뉴스 진행자가 사용하는 언어이다. 표준 요루바어는 최초의 아프리카계 앵글리칸 주교인 새뮤얼 크로우더(Samuel A. Crowther)가 요루바어 문법을 출판하고 성경 번역을 시작한 1850년대에 기원을 두고 있다. 표준 요루바어는 대부분 오요(Ọyọ)와 이바단(Ibadan) 방언을 기반으로 하지만, 다른 방언의 여러 특징도 포함하고 있다.[11] 또한 단순화된 모음 조화 시스템과 초기 종교 작품 번역에서 유래한 영어의 캘크(calque)와 같은 외래 구조와 같이 그 자체 고유의 특징도 가지고 있다.
표준 요루바어의 사용이 의도적인 언어 정책의 결과가 아니었기 때문에, 무엇이 '진정한 요루바어'를 구성하는지에 대한 많은 논쟁이 있으며, 어떤 작가들은 오요(Ọyọ) 방언이 "순수한" 형태라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작가들은 진정한 요루바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 배우고 미디어에서 사용되는 표준 요루바어는 공통된 요루바 정체성의 출현에 결정적인 통합 요소가 되어 왔다.
5. 문자 체계
17세기에 요루바어는 아랍 문자의 한 형태인 아자미 문자로 쓰였다.[12][13] 일부 이슬람권에서는 여전히 아자미 문자로 쓰이고 있다. 표준 요루바 정서법은 프리타운의 '아쿠'(요루바)족 사이에서 일하는 교회 선교 협회 선교사들의 초기 작업에서 유래했다. 정보 제공자 중 한 명은 새뮤얼 크로우더(Samuel A. Crowther)였는데, 그는 나중에 자신의 모국어에 대한 작업을 계속하게 되었다. 초기 문법 입문서와 영어 성경 일부를 번역할때 크로우서는 음조 표기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라틴 알파벳을 사용했다. 사용된 유일한 구별 부호는 특정 모음 아래에 있는 점으로, 개방 모음 변형 및 즉, 및 을 나타낸다. 수년에 걸쳐 정서법은 다른 것들 중에서 음조를 나타내도록 개정되었다. 1875년, 교회 선교 협회(CMS)는 요루바 정서법에 관한 회의를 조직했다. 거기서 고안된 표준은 다음 70년 동안 꾸준히 흘러나오는 종교 및 교육 문헌 정서법의 기초가 되었다.
현재 요루바어 정서법은 1966년 요루바 정서법 위원회의 보고서와 아요 밤그보셰의 1965년 ''요루바 정서법''에서 유래한다. 이는 이전 정서법에 대한 연구이자 요루바 정서법을 가능한 한 실제 말하기에 맞추려는 시도이다. 이전 정서법과 여전히 유사하지만, 이중자음 및 구별 부호(문자 , , 아래의 밑점 포함)의 사용으로 수정된 라틴 알파벳을 사용한다. 이전에는 ⟨e̩⟩, ⟨o̩⟩, ⟨s̩⟩과 같이 밑줄로 표시가 완전히 가려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수직선이 사용되었지만, 그러한 용법은 더 이상 일반적이지 않다.
A | B | D | E | Ẹ | F | G | Gb | H | I | J | K | L | M | N | O | Ọ | P | R | S | Ṣ | T | U | W | Y |
a | b | d | e | ẹ | f | g | gb | h | I | j | k | l | m | n | o | ọ | p | r | s | ṣ | t | u | w | y |
라틴 문자 , , , , 는 표준 요루바의 공식 정서법의 일부로 사용되지 않는다.
구별 부호가 없는 문자의 발음은 국제 음성 기호 등가물과 거의 일치하지만, 순음-연구개 자음 (로 작성) 및 (로 작성)을 제외하고, 두 자음 모두 순차적으로가 아닌 동시에 발음된다. 모음 아래의 구별 부호는 개방 모음을 나타내며, 혀뿌리가 뒤로 당겨진 상태로 발음된다(는 로, 는 로 발음됨). 는 영어 와 같은 후치경 자음 을 나타내고, 는 영어 와 같은 구개 근사음을 나타내며, 는 많은 아프리카 정서법에서 일반적인 유성 구개 파열음 을 나타낸다.
밑점 외에도, 언어의 음조를 나타내는 데 모음과 음절 비음 자음에 세 가지 추가 구별 부호가 사용된다. 높은 음조에는 악센트 , 낮은 음조에는 그래브 악센트 , 그리고 중간 음조에는 선택적 맥론 이다. 이들은 및 의 밑점 외에도 사용된다. 하나의 음절에 두 개 이상의 음조가 사용되는 경우, 모음은 각 음조에 대해 한 번씩 쓸 수 있다(예: 낮은 음조에서 높은 음조로 상승하는 모음 에 대해 *). 또는 현재 용법에서는 드물지만, 단일 악센트로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승하는 음조에는 카론 가 사용되고(따라서 이전 예는 로 작성됨), 하강하는 음조에는 곡절부호 가 사용된다.
Á | À | Ā | É | È | Ē | Ẹ | Ẹ́ | Ẹ̀ | Ẹ̄ | Í | Ì | Ī | Ń | Ǹ | N̄ | Ḿ | M̀ | M̄ | Ó | Ò | Ō | Ọ | Ọ́ | Ọ̀ | Ọ̄ | Ú | Ù | Ū | Ṣ |
á | à | ā | é | è | ē | ẹ | ẹ́ | ẹ̀ | ẹ̄ | í | ì | ī | ń | ǹ | n̄ | ḿ | m̀ | m̄ | ó | ò | ō | ọ | ọ́ | ọ̀ | ọ̄ | ú | ù | ū | ṣ |
베냉에서는 요루바어가 다른 정서법을 사용한다. 요루바 알파벳은 1975년 국립 언어 위원회에 의해 다른 베냉 언어와 함께 국립 언어 알파벳으로 표준화되었으며, 국립 응용 언어학 센터에 의해 1990년과 2008년에 개정되었다.
A | B | D | E | Ɛ | F | G | Gb | H | I | J | K | Kp | L | M | N | O | Ɔ | P | R | S | Sh | T | U | W | Y |
a | b | d | e | ɛ | f | g | gb | h | I | j | k | kp | l | m | n | o | ɔ | p | r | s | sh | t | u | w | y |
6. 음운
표준 요루바어에는 7개의 구개 모음과 5개의 비음 모음이 있으며, 이중모음은 없다. 모음의 연쇄는 별개의 음절로 발음된다.[16] 방언에 따라 모음의 수는 다르다.
요루바어는 무성 및 유성 순 연구개 파열음인 와 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pápáyo (/k͡pák͡pá/) '밭', gbogboyo (/ɡ͡bōɡ͡bō/) '모든'과 같다. 무성 양순 파열음 는 의성어(예: [pĩpĩ] 자동차 경적 소리)나 최근 차용어(
요루바어에는 음소 가 없다. 문자 은 정자법에서 해당 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지만, 엄밀히 말하면 비음 모음 바로 앞에 오는 의 동소이음을 나타낸다.
자체적으로 음절 핵을 형성하는 음절 비음도 있다. 모음 앞에서는 연구개 비음 이다. (예: n ò lọyo '나는 가지 않았다'). 다른 경우에는 발음 위치가 다음 자음과 동소이다. (예: ó ń lọyo '그는 가고 있다', ó ń fòyo '그는 뛰고 있다').
은 단독으로 음절을 이룬다. 은 및 비음 앞에서 의 변이음이다.
요루바어는 세 가지 높낮이 음(고성조, 저성조, 중성조)과 윤곽 음(상승조, 하강조)을 가진 성조 언어이다. 모든 음절에는 적어도 하나의 성조가 있어야 하며, 장모음을 포함하는 음절에는 두 개의 성조가 있을 수 있다.[22] 성조는 높은 음조에 엑상트(á, ń), 낮은 음조에 그래브 악센트(à, ǹ)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중간 음조는 표시하지 않지만, 음절성 비음에서는 마크롱(ā, n̄)을 사용하여 표시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높음(H): ó bẹ́ [ó bɛ́] '그는 뛰었다', síbí [síbí] '수저'
- 중간(M): ó bẹ [ó bɛ̄] '그는 앞으로 나아가 있다', ara [āɾā] '몸'
- 낮음(L): ó bẹ̀ [ó bɛ̀] '그는 용서를 구한다', ọ̀kọ̀ [ɔ̀kɔ̀] '창'
요루바어 읽기, 쓰기 교육 시에는 음높이를 나타내는 데 음악의 솔페지(do-re-mi) 명칭을 사용한다. 낮은 음은 '도', 중간 음은 '레', 높은 음은 '미'이다.[22]
요루바어는 높낮이의 어휘적, 문법적 용도 외에도 휘파람과 북소리와 같은 다른 맥락에서도 사용된다. 휘파람으로 하는 요루바어는 먼 거리에서 의사소통을 하는 데 사용된다. 화자들이 말하고 동시에 휘파람을 불면 언어가 변형된다. 자음은 무성화되거나 로 바뀌고, 모든 모음은 로 바뀐다. 그러나 모든 높낮이는 변경 없이 유지되어 화자들은 휘파람으로 하는 언어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축제와 중요한 의식 중에 노래를 반주하는 요루바어 토킹 드럼인 ''dùndún'' 또는 ''iya ilu''도 높낮이를 사용한다.[23][24]
자음과 모음이 같더라도 성조가 다르면 의미도 달라지는 단어의 조합이 무수히 존재한다. (예: ọkọ́yo〈쟁기〉, ọkọyo〈남편〉, ọkọ̀yo〈탈것〉).[38]
또한 단어와 단어가 이웃하면 한쪽 모음이 다른 쪽에 동화되어 사라지면서도 원래의 성조는 유지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특히 고성조는 유지되기 쉽다.[38] 예를 들어 k'''ó'''yo〈묶다〉('''고''') + '''ẹ'''rùyo〈짐〉('''중'''저) → k'''ẹ́'''rùyo ('''고'''저) 와 같다.[39]
6. 1. 모음
요루바어에는 7개의 구개 모음과 5개의 비음 모음이 있다. 이중모음은 없으며, 모음의 연속은 각각의 음절로 발음된다. 방언에 따라 모음의 수는 다르다.구개 모음 | 비음 모음 | |||
---|---|---|---|---|
전설 | 후설 | 전설 | 후설 | |
고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중고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
중저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저 | align=center colspan=2 | | () |
- 경우에 따라 이러한 모음의 실제 발음은 기호가 나타내는 것과 다를 수 있다.
- * 구개 는 고전설 이며, 비음 는 고전설 와 준고전설 사이에서 변화한다.[16]
- * 구개 는 고후설 이며, 비음 는 고준후설 , 고후설 , 준고준후설 및 준고후설 사이에서 변화한다.[16]
- * 구개 는 중고 이며, 비음 대응물이 없다.[16]
- * 구개 는 중저 이며, 비음 는 중 과 중저 사이에서 변화한다.[16]
- * 구개 는 준저 이며, 비음 는 중저 와 준저 사이에서 변화한다.[16]
- * 구개 는 중앙 이다.[16]
비음 모음은 기본적으로 모음 글자 뒤에 을 붙여 쓴다. (예: , , , , ) 이러한 형태는 단어 첫머리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표준어에서 는 '그것'을 뜻하는 ''ìyẹn'' ~ ''yẹn''이라는 단어에만 나타난다. 모음은 음운론적으로 대조적이지 않다고 주장되기도 한다.[17] 과 자유롭게 바뀌는 경우가 많다. 철자법적으로, 은 ''ìbọn'' '총'과 같이 순음 및 순음-연구개음 뒤에 사용되고, 은 ''dán'' '빛나다'와 같이 순음이 아닌 자음 뒤에 사용된다. 모든 모음은 자음 뒤에서 비음화되므로, 추가적인 ''n''을 쓰지 않는다 (''mi, mu, mọ''). 또한, 자음 은 비음 모음 앞에서 비음 동소체 를 가지며(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조), 이는 철자에 반영된다: ''inú'' '내부, 배' ( → ).[18][19]
6. 2. 자음
rowspan=2| | 양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무성 | 순음 | |||||
파열음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
마찰음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
접근음 | , | align=center| | align=center| | |||
탄음 | align=center | |
무성 파열음인 와 는 약간의 흡음이 있다. 일부 요루바어 방언에서는 와 가 더 치아음화된다. 설측음은 탄음 [20] 또는 일부 방언(특히 라고스 요루바)에서는 영어의 영향으로 치경 유음 로 발음된다. 이것은 특히 요루바-영어 이중 언어 사용자에게서 흔하게 나타난다.
이 지역의 다른 많은 언어와 마찬가지로 요루바어는 무성 및 유성 순 연구개 파열음인 와 를 가지고 있다. pápáyo '밭', ''gbogboyo'' '모든'. 주목할 만한 점은 무성 양순 파열음 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자동차 경적 소리에 대한 [pĩpĩ]와 같은 의성어와
요루바어에는 또한 음소 가 없다. 문자 는 정자법에서 해당 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지만, 엄밀히 말하면 비음 모음 바로 앞에 오는 의 동소이음을 나타낸다.
또한, 자체적으로 음절 핵을 형성하는 음절 비음이 있다. 모음 앞에 올 때는 연구개 비음 이다: n ò lọyo '나는 가지 않았다'. 다른 경우에는 발음 위치가 다음 자음과 동소이다: ó ń lọyo '그는 가고 있다', ó ń fòyo '그는 뛰고 있다'.
은 단독으로 음절을 이룬다. 은 및 비음 앞에서 의 변이음이다.
6. 3. 성조
요루바어는 세 가지 높낮이 음(고성조, 저성조, 중성조)과 윤곽 음(상승조, 하강조)을 가진 성조 언어이다. 모든 음절에는 적어도 하나의 성조가 있어야 하며, 장모음을 포함하는 음절에는 두 개의 성조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운소가 성조를 지닌 단위라는 것을 의미한다.[22] 성조는 높은 음조에 엑상트(á, ń), 낮은 음조에 그래브 악센트(à, ǹ)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중간 음조는 표시하지 않지만, 음절성 비음에서는 마크롱(ā, n̄)을 사용하여 표시한다.예시는 다음과 같다.
- 높음(H): ó bẹ́ [ó bɛ́] '그는 뛰었다', síbí [síbí] '수저'
- 중간(M): ó bẹ [ó bɛ̄] '그는 앞으로 나아가 있다', ara [āɾā] '몸'
- 낮음(L): ó bẹ̀ [ó bɛ̀] '그는 용서를 구한다', ọ̀kọ̀ [ɔ̀kɔ̀] '창'
요루바어 읽기, 쓰기 교육 시에는 음높이를 나타내는 데 음악의 솔페지(sol-fa) 명칭을 사용한다. 낮은 음은 '도', 중간 음은 '레', 높은 음은 '미'이다.[22]
요루바어는 높낮이의 어휘적, 문법적 용도 외에도 휘파람과 북소리와 같은 다른 맥락에서도 사용된다. 휘파람으로 하는 요루바어는 먼 거리에서 의사소통을 하는 데 사용된다. 화자들이 말하고 동시에 휘파람을 불면 언어가 변형된다. 자음은 무성화되거나 [h]로 바뀌고, 모든 모음은 [u]로 바뀐다. 그러나 모든 높낮이는 변경 없이 유지되어 화자들은 휘파람으로 하는 언어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축제와 중요한 의식 중에 노래를 반주하는 요루바어 토킹 드럼인 ''dùndún'' 또는 ''iya ilu''도 높낮이를 사용한다.[23][24]
자음과 모음이 같더라도 성조가 다르면 의미도 달라지는 단어의 조합이 무수히 존재한다. (예: ọkọ́yo〈쟁기〉, ọkọyo〈남편〉, ọkọ̀yo〈탈것〉).[38]
또한 단어와 단어가 이웃하면 한쪽 모음이 다른 쪽에 동화되어 사라지면서도 원래의 성조는 유지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특히 고성조는 유지되기 쉽다.[38] 예를 들어 k'''ó'''yo〈묶다〉('''고''') + '''ẹ'''rùyo〈짐〉('''중'''저) → k'''ẹ́'''rùyo ('''고'''저) 와 같다.[39]
7. 문법
요루바어는 고립어에 속하는 언어이다.[28] 기본적인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이며,[29] 예를 들어 ''ó nà Adé''는 '그가 아데를 때렸다'라는 뜻이다. 동사 어간만으로 완료된 동작을 나타내는데, 이는 종종 완료 시제로 불린다. 시제와 상은 ''ń''('미완료/현재 진행')이나 ''ti''('과거')와 같은 동사 앞에 붙는 어미로 표시한다. 부정은 동사 앞에 붙는 ''kò''라는 어미로 표현한다. 서아프리카의 많은 다른 언어들처럼, 연쇄 동사 구문이 흔히 사용된다.
요루바어에는 문법적 성이 없지만,[30] 의문사의 경우 인칭 명사와 비인칭 명사를 구분한다. 인칭 명사에는 ''ta ni''('누구?'), 비인칭 명사에는 ''kí ni''('무엇?')를 사용한다. 소유격/관계 등을 포함하는 결합 구문은 수식어-피수식어 순서로 명사를 나란히 배열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inú àpótí''는 '상자 안쪽'을, ''fìlà Àkàndé''는 '아칸데의 모자'를, ''àpótí aṣọ''는 '옷 상자'를 의미한다.[31] 두 개 이상의 명사를 나란히 배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rélùweè abẹ́ ilẹ̀''(철도 지하)는 '지하철'을,[32] ''inú àpótí aṣọ''는 '옷 상자 안쪽'을 의미한다.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한 경우는 드물지만, 그 경우에는 문맥에 따라 의미를 구분한다. 복수 명사는 복수를 나타내는 단어로 표시한다.[29]
전치사는 ''ní''('~에, ~에서')와 ''sí''('~으로, ~쪽으로') 두 가지가 있다.[33] 전자는 움직임이 없는 위치를 나타내고, 후자는 움직임이 있는 위치/방향을 나타낸다. 위치와 방향은 ''orí''('위'), ''apá''('옆'), ''inú''('안'), ''etí''('가장자리'), ''abẹ́''('아래'), ''ilẹ̀''('아래쪽') 등의 공간적 관계 명사와 전치사를 결합하여 표현한다. 많은 공간적 관계 용어는 역사적으로 신체 부위 용어와 관련이 있다.
요루바어는 형태적 변화가 적은 분석적인 언어이며, 성이나 명사류와 같은 범주에 따른 일치도 없다.
독립 인칭대명사 | 단수 | 복수 |
---|---|---|
1인칭 | èmi | àwa |
2인칭 | ìwọ | ẹ̀yin |
3인칭 | òun | àwọn |
독립 인칭대명사는 명사로 취급된다.
주어 인칭대명사 | 단수 | 복수 |
---|---|---|
1인칭 | mo | a |
2인칭 | o | ẹ |
3인칭 | ó | wọ́n |
주어 인칭대명사(부정) | 단수 | 복수 |
---|---|---|
1인칭 | n/mi | a |
2인칭 | o | ẹ |
3인칭 | 없음 | wọn |
부정어 ''kò'' 앞에서 사용된다.
목적어 인칭대명사 | 단수 | 복수 |
---|---|---|
1인칭 | mi | wa |
2인칭 | ọ/ẹ | yín |
3인칭 | V | wọn |
2인칭 복수를 제외한 목적어 대명사의 성조는 동사 어말의 성조에 따라 결정된다. 어말이 고성조이면 중성조가 되고, 그렇지 않으면 고성조가 된다. 3인칭 단수 목적어 대명사는 동사의 말음과 같은 모음이다.
소유 인칭대명사 | 단수 | 복수 |
---|---|---|
1인칭 | mi | wa |
2인칭 | rẹ/ẹ | yín |
3인칭 | rẹ̀/ẹ̀ | wọn |
명사의 어말 모음이 연장되고, 접속어가 후치된다. 모음 연장은 일반적으로 표기되지 않지만, 1인칭 단수와 2인칭 단수는 저성조이고, 그 외는 중성조이다.
좁은 의미의 전치사는 위치를 나타내는 ''ní''와 방향을 나타내는 ''sí'' 두 개뿐이다. 세세한 위치나 방향을 나타내려면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대부분 신체 부위 명칭이기도 함)를 결합하여 표현한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명사가 뒤에 오는 경우에는 융합하고, n-은 i 이외의 모음 앞에서는 l-이 된다.
- ''nínú'' (안에) ''sínú'' (안으로) (''inú'' (안, 배))
- ''lórí'' (위에) ''sórí'' (위로) (''orí'' (위, 머리))
‘A가 B에게 C를 주다’와 같은 사동 동사에서는 수혜자 B가 직접 목적어로 나타나고, 대상 C는 ''ní''에 의해 이끌리는 간접 목적어로 나타난다. 이는 일본어와는 반대이다.
- ''Mo fún un lẹ́ja.'' (나는 그에게 생선을 주었다.)
:*나 주다 그 (전치사) 생선
- ''O kọ́ mi ní Yorùbá.'' (너는 나에게 요루바어를 가르쳤다.)
:*그 가르치다 나 (전치사) 요루바어
8. 어휘
대부분의 동사 어근은 CV(N) 형태의 단음절이다. 예를 들어 '만들다'는 ''dá'', '닦다'는 ''dán'', '붉다'는 ''pọ́n'' 등이다. 이 패턴을 따르지 않는 동사 어근은 대부분 음절이 생략된 이전의 합성어이다. 예를 들어 '크다'를 뜻하는 ''nlá''는 원래 '가지다'를 뜻하는 ''ní''와 '크다'를 뜻하는 ''lá''의 합성어이며, '휘파람을 불다'를 뜻하는 ''súfèé''는 원래 '바람을 내뿜다'를 뜻하는 ''sú''와 '바람'을 뜻하는 ''òfé'' 또는 ''ìfé''의 합성어이다. 모음은 동사를 명사 형태로 바꾸는 명사화 접두사 역할을 한다.
명사 어근은 대부분 이음절로, 예를 들어 '구유, 헛간'은 ''abà'', '몸'은 ''ara'', '열'은 ''ibà'' 등이다. 단음절 또는 삼음절 어근도 있지만 덜 흔하다.[27]
요루바어는 20진법(20을 기본으로 하는 수 체계)을 사용한다.
수 | 설명 |
---|---|
오군(Ogún) | 20 (기본 수치 단위) |
오고지(Ogójì) | 40 (20 x 2) |
오고타(Ọgọ́ta) | 60 (20 x 3) |
오고린(Ọgọ́rin) | 80 (20 x 4) |
오고룬운(Ọgọ́rùn-ún) | 100 (20 x 5) |
16 (Ẹẹ́rìndínlógún) | 20 - 4 |
17 (Ẹẹ́tàdínlógún) | 20 - 3 |
18 (Eéjìdínlógún) | 20 - 2 |
19 (Oókàndínlógún) | 20 - 1 |
21 (Oókànlélógún) | 20 + 1 |
22 (Eéjìlélógún) | 20 + 2 |
23 (Ẹẹ́tàlélógún) | 20 + 3 |
24 (Ẹẹ́rìnlélógún) | 20 + 4 |
25 (Aárùnlélógún) | 20 + 5 |
30 (Ogbòn) | 20 + 10 |
50 (Aadota) | 60 - 10 |
이슬람교와 기독교와 같은 외래 종교와 문명의 광범위한 수용은 요루바어의 문어와 구어 모두에 영향을 미쳤다. 요루바족 무슬림 학자 아부-압둘라 아델라부(Abu-Abdullah Adelabu)는 그의 저서 ''쿠란과 순나의 아랍어-영어 백과사전''에서 이슬람이 아프리카 언어들을 풍부하게 했는데, 기술적 및 문화적 보강을 제공했으며, 동아프리카의 스와힐리어(Swahili language)와 소말리아어(Somali language), 그리고 서아프리카의 하우사어(Hausa language, Turanci Hausa)와 볼로프어(Wolof language)가 주요 수혜자라고 주장했다. 셰이크 아델라부(Sheikh Adelabu)는 다마스쿠스(Damascus)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인물로, 다음 단어들을 아랍어 어휘에서 유래한 요루바어 단어로 언급했다.[34]
- ''산마(Sanma)'': 하늘, السماءar에서 유래
- ''알루바리카(Alubarika)'': 축복, البركةar에서 유래
- ''알루마니(Alumaani)'': 부, 돈, 자원, المالar에서 유래
- ''아민(Amin)]'': 히브리어 종교 용어
9. 문학
요루바 문학은 구비 문학과 기록 문학으로 나뉜다. 구비 문학에는 이파 오두, 오리키 외에도 에위, 에사, 알로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기록 문학은 새뮤얼 아자이 크로우더(Samuel Ajayi Crowther), 완데 아빔볼라(Wande Abimbola)를 비롯한 여러 작가들에 의해 발전해왔다. 2024년 기준으로, Wikipẹ́díà l'édè Yorùbáyo는 요루바어로 가장 많이 방문되는 웹사이트이다.[36]
9. 1. 구비 문학
요루바어의 구비 문학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종류 |
---|
이파 오두 |
오리키 |
에위 |
에사 |
알로 |
라라 |
이레모제 |
볼로조 |
이잘라 |
아장보데 |
이제케 |
알라모 |
9. 2. 기록 문학
- 새뮤얼 아자이 크로우더(Samuel Ajayi Crowther)
- 완데 아빔볼라(Wande Abimbola)
- 존슨 목사(Reverend Samuel Johnson)
- 예미 엘레부이본(Yemi Elebuibon)
- 다니엘 올로룬페미 파군와(Daniel Olorunfemi Fagunwa)
- 아데바요 팔레티(Adebayo Faleti)
- 아킨운미 이솔라(Akinwunmi Isola)
- 오보 아바 히산자니(Obo Aba Hisanjani)
- 두로 라디포(Duro Ladipo)
- J.F. 오둔조(J.F. Odunjo)
- 아폴라비 올라빔탄(Afolabi Olabimtan)
- 월레 소인카(Wole Soyinka)
- 아모스 투투올라(Amos Tutuola)
- 라우위 오구니란(Lawuyi Ogunniran)
- 콜라 투보순(Kola Tubosun)
2024년 기준으로, Wikipẹ́díà l'édè Yorùbáyo는 요루바어로 가장 많이 방문되는 웹사이트이다.[36]
10. 음악
- 이베이(Ibeyi)는 쿠바 출신 프랑코폰 자매 듀오로, 종종 루쿠미어(산테리아(Santería)에서 사용되는 요루바어의 의례적 변종)로 노래한다.
- 사카라 음악(Sakara music)은 나이지리아 오군주(州) 아베오쿠타(Abeokuta)에서 유래한 요루바족 노래이다. 이 음악의 초기 연주자 중 한 명은 1930년대 라고스에서 활동했다.
- 아팔라(Apala)(또는 아크팔라)는 나이지리아의 영국 식민지 시대에 요루바족이 처음으로 개발한 타악기 기반 음악 장르이다. 1970년대 후반에 유래했다.
- 후지 음악(Fuji music)은 인기 있는 현대 요루바 음악 장르이다.
- 주주 음악(Jùjú music)은 전통 요루바 타악기에서 유래한 나이지리아 대중음악의 한 스타일이다.
- Àpíìrì는 에키티주 이도와 이그볼레 에키티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중 음악이다. 악기는 일반적으로 구슬 장식이 달린 칼라바스 조롱박과 꽹과리로 구성되며, 조화로운 가사가 함께한다.
- 펠라 쿠티(Fela Kuti)는 아프로비트(Afrobeat) 창시자이다.
참조
[1]
웹사이트
Yoruba
//www.merriam-webste[...]
2024-04-02
[2]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007
[3]
논문
Yoruba Traditions and African American Religious Nationalism by Tracey E. Hucks (review)
https://muse.jhu.edu[...]
2015-03-04
[4]
논문
Trinidad Yoruba — Notes on Survivals
https://www.jstor.or[...]
1971
[5]
웹사이트
History of Oyotunji
http://www.oyotunji.[...]
2020-10-13
[6]
웹사이트
The Oyotunji Village: a Mini Yoruba Empire in the USA
https://inspireafrik[...]
2020-10-13
[7]
서적
African Languages: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8]
웹사이트
Yoruba language West African, Nigeria, Benin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3-19
[9]
논문
The Yoruba Language in Western Nigeria: Its Major Dialect Areas
1967
[10]
논문
1973
[11]
논문
1967
[12]
웹사이트
Yoruba...written in a version of the Arabic script known as Ajami (or Ajamiyya).
https://www.loc.gov/[...]
[13]
서적
Encyclopedia of the Yoruba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6-06-20
[14]
뉴스
This chief hopes Yorùbá speakers adopt his newly invented 'talking alphabet'
https://globalvoices[...]
2020-03-10
[15]
뉴스
Yoruba Monarchs Commends New Oduduwa Alphabets, Hail Aregbesola
http://www.osundefen[...]
2017-11-01
[16]
논문
1969
[17]
논문
1966
[18]
서적
Dictionary of Modern Yoruba
[19]
서적
Dictionnaire usuel yorùbá–français
Paris – Ibadan
1997
[20]
서적
Concise compendium of the world's languages
https://archive.org/[...]
Routledge
1995
[21]
논문
Englishization of Yoruba phonology
https://onlinelibrar[...]
1991-03
[22]
논문
Hooked on Sol-Fa: the do-re-mi heuristic for Yorùbá speech tones
2018-05
[23]
서적
Encyclopedia of Linguistics
Taylor and Francis
2013
[24]
서적
Acquisition reversal : the effects of postlingual deafness in Yoruba
De Gruyter
2012
[25]
논문
Effects of Diacritics on Web Search Engines' Performance for Retrieval of Yoruba Documents
2014
[26]
논문
1965a
[27]
서적
Grammar and Dictionary of the Yoruba Language: With an Introductory Description of the Country and People of Yoruba
https://books.google[...]
Smithsonian Institution
1858
[28]
서적
Yleinen kielitiede
Helsinki University Press
1998
[29]
서적
Teach Yourself Yoruba
English Universities Press
1969
[30]
서적
The Essentials of the Yoruba Language
University of London Press
1970
[31]
논문
1966
[32]
논문
1973
[33]
서적
1997
[34]
간행물
DELAB International Newsmagazine
2005-11
[35]
간행물
A lecture by Abu-Abdullah Adelabu of AWQAF Africa, London titled: "The History Of Islam in 'The Black History'"
2003-04
[36]
뉴스
Yoruba Wikipedia hits 25 million views in 2023
https://thenationonl[...]
2024-02-17
[37]
논문
Oxford Handbooks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38]
서적 #추정
[39]
서적 #추정,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함.
[40]
서적
熱帯植物要覧
養賢堂
[41]
서적
Plantes médicinales et toxiques de la Côte-d’Ivoire - Haute-Volta
http://www.documenta[...]
Vigot Frères
[42]
서적 #추정,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함.
[43]
웹사이트
Yoruba
https://www.ethnolog[...]
2019
[44]
간행물 #추정
Världens 100 största språk 2007
[45]
간행물 #추정
Metzler Lexikon Sprache
[46]
웹사이트
에스놀로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