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냉은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공화국으로, 1600년 이전에는 다양한 정치 체제와 민족으로 구성된 여러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17세기와 18세기에는 다호메이 왕국이 해안 지역을 점령하며 대서양 노예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고, 포르투갈, 프랑스, 영국 등 유럽 열강의 식민 지배를 받았다.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여 다호메이 공화국이 되었으나, 이후 정치적 혼란을 겪으며 여러 차례 쿠데타와 정권 교체가 일어났다. 1972년에는 마르크스주의 국가인 베냉 인민공화국으로 국명을 변경했으나, 1990년 민주화 이후 베냉 공화국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현재 대통령 중심제의 다당제 공화국이며, 파트리스 탈롱 대통령 취임 이후 권위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베냉 경제는 농업과 면화 생산에 크게 의존하며, 폰족, 아자족, 요루바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냉 - 베냉 인민공화국
베냉 인민공화국은 1972년 쿠데타로 수립되어 1990년까지 존재했던 서아프리카의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였으며, 사회주의 체제를 구축하고 경제난과 쿠데타 시도 실패, 인권 탄압 등을 겪다가 1990년 다당제 민주주의로 전환되어 베냉 공화국으로 변경되었다. - 프랑코포니 회원국 - 세네갈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세네갈 공화국은 다양한 민족과 문화, 이슬람교를 배경으로 농업, 어업, 관광 등의 경제 부문을 기반으로 하며, 프랑스 식민 지배를 거쳐 독립 후 비교적 안정적인 민주주의를 유지하고 있는 다중 언어 국가이다. - 프랑코포니 회원국 - 가봉
가봉은 중앙아프리카 서부에 위치한 대통령 공화제 국가로,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후 봉고 가문이 장기 집권했으나 2023년 쿠데타로 알리 봉고 온딤바 대통령이 축출되었으며, 석유 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성장을 이루었지만 자원 의존적인 경제 구조와 부정부패 문제를 안고 있다. - 아프리카 연합 회원국 - 세이셸
세이셸은 인도양 서부 마다가스카르 북동쪽에 있는 115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섬나라 공화국으로, 포르투갈에 의해 발견된 후 프랑스, 영국을 거쳐 독립했으며,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고 크레올 혼혈인들이 주로 거주하며 세 가지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 아프리카 연합 회원국 - 레소토
레소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둘러싸인 내륙 국가로, 모슈슈 1세가 세운 왕국이 영국의 보호령을 거쳐 1966년 독립했으며, 현재는 입헌군주국으로 레체시 3세가 국가 원수, 샘 마테카네가 총리이다.
베냉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공식 국명 | 베냉 공화국 |
표어 (한국어) | 우애, 정의, 노동 |
국가 (한국어) | 새로운 날의 여명 |
공용어 | 프랑스어 |
국가 언어 | 아랍어 영어 아구나어 아자어 알라다어 폰어 그베어 겐어 군어 페라어 플라어 토핀어 톨리어 와치어 베르바어 카비예어 라마어 루크파어 음벨리메어 모시어 나테니어 응강감어 탐마리어 템어 와마어 욤어 크와어 차코시어 포도어 에데어 이페어 모콜레어 요루바어 요루보이드어 바리바어 덴디어 풀라어 하우사어 |
수도 | 포르토노보 |
최대 도시 | 코토누 |
정부 형태 | 단일 국가 대통령제 공화국 |
대통령 | 파트리스 탈롱 |
부통령 | 마리암 차비 탈라타 |
입법부 | 국민의회 |
독립 | 프랑스로부터 독립 |
독립일 | 1960년 8월 1일 |
면적 순위 | 100위 |
총 면적 | 114,763 km² |
수면 비율 | 0.4% |
인구 추정 년도 | 2022년 |
인구 추정치 | 13,754,688명 |
인구 순위 | 77위 |
인구 밀도 | 94.8명/km² |
GDP (PPP) 추정 | 592억 4100만 달러 |
GDP (PPP) 순위 | 137위 |
1인당 GDP (PPP) | 4,305 달러 |
1인당 GDP (PPP) 순위 | 163위 |
명목 GDP 추정 | 199억 4000만 달러 |
명목 GDP 순위 | 141위 |
1인당 명목 GDP | 1,449 달러 |
1인당 명목 GDP 순위 | 163위 |
지니 계수 | 34.4 |
지니 계수 년도 | 2021년 |
인간 개발 지수 | 0.504 |
인간 개발 지수 년도 | 2022년 |
인간 개발 지수 순위 | 173위 |
통화 | 서아프리카 CFA 프랑 |
통화 코드 | XOF |
시간대 | WAT |
UTC 오프셋 | +1 |
자동차 주행 방향 | 오른쪽 |
국제 전화 코드 | +229 |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 .bj |
주석 | 코토누는 정부 소재지이다. |
인구 통계 | |
민족 구성 | 폰족 (38.4%) 아자족 및 미나족 (15.1%) 요루바족 (12%) 바리바족 (9.6%) 풀라족 (8.6%) 오타마리족 (6.1%) 요아-로크파족 (4.3%) 덴디족 (2.9%) 기타 (2.8%) |
민족 구성 년도 | 2020년 |
종교 | 기독교 (52.2%) 이슬람교 (24.6%) 전통 신앙 (17.9%) 무종교 (5.2%) 기타 (0.1%) |
종교 년도 | 2020년 |
2. 역사
1600년 이전, 현재의 베냉은 다양한 정치 체제와 민족으로 구성된 여러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해안을 따라 위치한 도시 국가(주로 아자족(Aja people)이었고, 요루바족(Yoruba people)과 Gbe어족(Gbe languages) 사람들도 포함됨)와 내륙의 부족 지역(바리바족(Bariba people), 마히족, 게데비족, 카비예족으로 구성됨)이 있었다.[18] 베냉 동쪽에 주로 위치한 오요 제국은 이 지역의 군사 세력으로, 해안 왕국과 부족 지역에 대해 약탈과 조공을 강요했다.[18]
17세기와 18세기에 상황이 변화하면서 대부분 폰족(Fon people)으로 구성된 다호메이 왕국이 아보메이 고원에 건설되었고 해안 지역을 점령하기 시작했다.[19] 1727년까지 다호미 왕국의 아가자 왕은 알라다와 위다의 해안 도시들을 정복했다. 다호미는 오요 제국의 속국이 되었고, 오요와 동맹을 맺은 포르토노보 도시 국가와 경쟁했지만 직접 공격하지는 않았다.[20] 다호미의 부상, 포르토노보와의 경쟁, 북부 지역의 부족 정치는 식민지 시대와 식민지 이후 시대까지 지속되었다.[21]
다호미에서는 어린 사람들이 나이가 들어 군대에 합류할 때까지 나이 많은 군인들에게 수습되어 왕국의 군사 관습을 배웠다.[22] 다호미는 아호시(Ahosi)(왕의 아내들), 미노("우리 어머니들", 폰그베어(Fongbe)), 또는 "다호메이 아마존"으로 다양하게 불리는 정예 여성 군인 부대를 설립했다. 군사 준비와 업적에 대한 이러한 강조는 유럽 관찰자들과 19세기 탐험가인 리처드 버튼 경으로부터 다호미에게 "검은 스파르타"라는 별명을 얻게 했다.[23]
다호미의 왕들은 전쟁 포로들을 대서양 노예 무역에 팔거나[24] 다호메이 연례 관습으로 알려진 의식에서 의례적으로 죽였다. 1750년경 다호미 왕은 아프리카 포로들을 유럽 노예 상인들에게 팔아 연간 약 25만 파운드를 벌었다.[25] 번성하는 노예 무역으로 인해 이 지역은 "노예 해안"이라고 불렸다. 왕국의 전투에서 전쟁 포로의 일부를 참수해야 한다는 궁정 의례는 이 지역에서 수출되는 노예의 수를 감소시켰다. 1780년대 10년 동안 10만 2천 명에서 1860년대에는 10년 동안 2만 4천 명으로 감소했다.[26] 이 감소는 1808년 영국이 대서양 노예 무역을 금지한 1807년 노예 무역 금지법과 다른 국가들의 노예 무역 금지 조치 때문이었다.[25] 이 감소는 노예 제도를 아직 폐지하지 않은 브라질로 마지막 노예선이 현대 베냉 공화국을 떠난 1885년까지 계속되었다. 수도 포르토노보(포르투갈어로 "새로운 항구")는 원래 노예 무역을 위한 항구로 개발되었다.
포르투갈 제국이 구한 상품 중에는 베냉의 장인들이 만든 조각된 소금통, 수저, 사냥용 뿔과 같은 상아 조각품이 있었는데, 이는 해외 판매를 위해 만들어진 이국적인 아프리카 예술품이었다.[27]
유럽 정착민들이 구한 또 다른 주요 상품은 팜유였다. 1856년 영국 회사들이 수출한 팜유는 약 2,500톤이었다.[28]
2. 1. 식민지 이전 시대
1600년 이전, 현재의 베냉은 다양한 정치 체제와 민족으로 구성된 여러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해안을 따라 위치한 도시 국가(주로 아자족(Aja people)이었고, 요루바족(Yoruba people)과 Gbe어족(Gbe languages) 사람들도 포함됨)와 내륙의 부족 지역(바리바족(Bariba people), 마히족, 게데비족, 카비예족으로 구성됨)이 있었다.[18] 베냉 동쪽에 주로 위치한 오요 제국은 이 지역의 군사 세력으로, 해안 왕국과 부족 지역에 대해 약탈과 조공을 강요했다.[18]17세기와 18세기에 상황이 변화하면서 대부분 폰족(Fon people)으로 구성된 다호메이 왕국이 아보메이 고원에 건설되었고 해안 지역을 점령하기 시작했다.[19] 1727년까지 다호미 왕국의 아가자 왕은 알라다와 위다의 해안 도시들을 정복했다. 다호미는 오요 제국의 속국이 되었고, 오요와 동맹을 맺은 포르토노보 도시 국가와 경쟁했지만 직접 공격하지는 않았다.[20] 다호미의 부상, 포르토노보와의 경쟁, 북부 지역의 부족 정치는 식민지 시대와 식민지 이후 시대까지 지속되었다.[21]
다호미에서는 어린 사람들이 나이가 들어 군대에 합류할 때까지 나이 많은 군인들에게 수습되어 왕국의 군사 관습을 배웠다.[22] 다호미는 아호시(Ahosi)(왕의 아내들), 미노("우리 어머니들", 폰그베어(Fongbe)), 또는 "다호메이 아마존"으로 다양하게 불리는 정예 여성 군인 부대를 설립했다. 군사 준비와 업적에 대한 이러한 강조는 유럽 관찰자들과 19세기 탐험가인 리처드 버튼 경으로부터 다호미에게 "검은 스파르타"라는 별명을 얻게 했다.[23]
다호미의 왕들은 전쟁 포로들을 대서양 노예 무역에 팔거나[24] 다호메이 연례 관습으로 알려진 의식에서 의례적으로 죽였다. 1750년경 다호미 왕은 아프리카 포로들을 유럽 노예 상인들에게 팔아 연간 약 25만 파운드를 벌었다.[25] 번성하는 노예 무역으로 인해 이 지역은 "노예 해안"이라고 불렸다. 왕국의 전투에서 전쟁 포로의 일부를 참수해야 한다는 궁정 의례는 이 지역에서 수출되는 노예의 수를 감소시켰다. 1780년대 10년 동안 10만 2천 명에서 1860년대에는 10년 동안 2만 4천 명으로 감소했다.[26] 이 감소는 1808년 영국이 대서양 노예 무역을 금지한 1807년 노예 무역 금지법과 다른 국가들의 노예 무역 금지 조치 때문이었다.[25] 이 감소는 노예 제도를 아직 폐지하지 않은 브라질로 마지막 노예선이 현대 베냉 공화국을 떠난 1885년까지 계속되었다. 수도 포르토노보(포르투갈어로 "새로운 항구")는 원래 노예 무역을 위한 항구로 개발되었다.
포르투갈 제국이 구한 상품 중에는 베냉의 장인들이 만든 조각된 소금통, 수저, 사냥용 뿔과 같은 상아 조각품이 있었는데, 이는 해외 판매를 위해 만들어진 이국적인 아프리카 예술품이었다.[27]
유럽 정착민들이 구한 또 다른 주요 상품은 팜유였다. 1856년 영국 회사들이 수출한 팜유는 약 2,500톤으로 11만 2,500파운드의 가치가 있었다.[28]
2. 2. 프랑스 식민 통치
1600년대부터 1900년대까지 현재의 베냉에는 다호메이라는 왕국이 있었다. 베냉은 15세기부터 유럽인들과 교류하기 시작했으며, 16세기부터 17세기까지 프랑스, 영국, 포르투갈이 노예 기지를 건설하였다. 19세기 중반까지 다호메이는 약해져 지역 강국으로서의 지위를 잃기 시작했고,[29] 1892년 프랑스는 이 지역을 장악했다.[29] 1899년 프랑스는 프랑스 다호메이라고 불리는 땅을 더 큰 프랑스 서아프리카 식민지 지역에 포함시켰다.[29]
프랑스는 다호메이로부터 이익을 얻고자 했으나, 이 지역은 대규모 자본주의적 개발에 필요한 농업 또는 광물 자원이 부족한 것으로 보였다.[29] 프랑스 정부는 노예의 포획과 매매를 금지했고, 이전 노예 소유자들은 노예에 대한 통제를 토지, 소작농, 혈족 구성원에 대한 통제로 재정의하려고 했다.[26] 이는 1895년부터 1920년까지 토지와 노동에 대한 통제권 재분배를 위한 투쟁을 불러일으켰다.[26]
다호메이 왕국 패배 후, 1904년 이 지역은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의 일부인 프랑스령 다호메이(1904년-1958년)가 되었다.[130] 제2차 세계 대전 후, 프랑스는 다호메이의 정치 참여를 점차 확대해 나갔다.[130] 1958년 프랑스는 다호메이 공화국에 자치권을 부여했고,[30] 1960년 8월 1일 완전한 독립을 허가했다.[30] 국가를 독립으로 이끈 대통령은 위베르 마가였다.[31][32]
2. 3. 독립과 정치적 혼란
1600년대부터 1900년대까지 현재의 베냉에는 다호메이라는 왕국이 있었다. 베냉은 15세기부터 유럽인들과 교류하기 시작했으며, 16세기부터 17세기까지 프랑스, 영국, 포르투갈이 노예 기지를 건설하였다. 1960년 다호메이 공화국으로 독립하였다.[33][34] 1960년 이후 위베르 마가(Hubert Maga), 수루 미강 아피티(Sourou Migan Apithy), 저스틴 아호마데그베(Justin Ahomadégbé), 에밀 데를랭 징수(Émile Derlin Zinsou) 등의 인물이 쿠데타와 정권 교체를 주도했다. 1970년 선거에서 폭력 사태가 발생한 후 이 세 사람은 대통령평의회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1972년 5월 7일, 마가는 아호마데그베에게 권력을 이양했다. 1972년 10월 26일, 마티외 케레쿠(Mathieu Kérékou) 중령이 집권 삼두정을 전복하고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베냉이 "외국의 이데올로기를 모방하는 데 힘을 쏟지 않을 것이며, 자본주의, 공산주의, 사회주의 어느 것도 원하지 않는다"고 선언했다. 1974년 11월 30일, 그는 혁명군사평의회(CMR)의 통제하에 베냉이 공식적으로 마르크스주의 국가임을 선포하고 석유 산업과 은행을 국유화했다. 1975년 11월 30일, 그는 국가 이름을 베냉 인민공화국(People's Republic of Benin)으로 변경했다.[33][34] 베냉 인민공화국 정권은 민족주의 시대(1972-1974), 사회주의 단계(1974-1982), 그리고 서구 국가와의 개방과 경제 자유주의를 포함하는 단계(1982-1990)를 거쳤다.[35]
1974년 정부는 경제의 전략 부문을 국유화하고, 교육 제도를 개혁하고, 농업 협동조합과 새로운 지방 정부 구조를 설립하고, 봉건적 세력(즉, 부족주의)을 근절하기 위한 운동을 벌이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정권은 반대 활동을 금지했다. 마티외 케레쿠는 1980년에 전국혁명의회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1984년에 재선되었다. 중국, 북한, 리비아와 관계를 수립한 그는 거의 모든 기업과 경제 활동을 국가 통제하에 두어 베냉의 외국인 투자가 줄어들게 했다.[36] 케레쿠는 "빈곤은 운명이 아니다"와 같은 자신의 격언을 내세우며 교육을 재편하려고 했다.[36]
1980년대 베냉은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다. 1989년, 정권이 군인들에게 급여를 지급할 돈이 없자 폭동이 일어났다. 은행 시스템이 붕괴되었다. 결국 케레쿠는 마르크스주의를 포기했고, 협약을 통해 정치범을 석방하고 선거를 준비해야 했다.[36] 마르크스-레닌주의는 국가 통치 형태로서 폐지되었다.[37]
새로 구성된 정부의 헌법이 완성된 후 1990년 3월 1일, 국가 이름이 공식적으로 ''베냉 공화국(Republic of Benin)''으로 변경되었다.[38] 1991년 선거에서 케레쿠는 니세포르 소글로(Nicéphore Soglo)에게 패했고, 아프리카 본토에서 선거를 통해 권좌에서 물러난 최초의 대통령이 되었다.[39] 케레쿠는 1996년 투표에서 승리하여 다시 권력을 잡았다. 2001년 선거에서 케레쿠가 다시 당선되었지만, 그의 반대자들은 선거 부정을 주장했다.[40] 1999년 케레쿠는 아프리카인들이 대서양 노예 무역에서 차지했던 중요한 역할에 대해 국가 차원의 사과를 했다.[41]

케레쿠와 전 대통령 소글로는 헌법의 나이와 총 임기 제한으로 인해 2006년 선거에 출마하지 않았다.[42] 2006년 베냉 대통령 선거(Beninese presidential election, 2006)는 토마 보니 야이(Thomas Boni Yayi)와 아드리앵 웅베지(Adrien Houngbédji) 간의 결선 투표로 이어졌다. 결선 투표는 3월 19일에 실시되었고 보니가 승리했으며,[43] 4월 6일에 취임했다.[44] 보니는 2011년 재선되어 1차 투표에서 53.18%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결선 투표를 피했다.[45]
2016년 3월 대통령 선거에서 파트리스 탈롱(Patrice Talon)이 리오넬 징수(Lionel Zinsou)를 제치고 2차 투표에서 승리했다. 탈롱은 2016년 4월 6일에 취임했다.[46] 그는 대통령 임기를 5년 단임으로 제한하는 계획을 논의했다.[47] 2021년 4월, 파트리스 탈롱 대통령은 2021년 베냉 대통령 선거(2021 Beninese presidential election)에서 재선되었다.[48] 선거법 개정으로 탈롱 대통령 지지자들이 의회를 완전히 장악하게 되었다.[49]
2022년 2월, 베냉은 역사상 최대 규모의 테러 공격인 W 국립공원 학살(W National Park massacre)을 겪었다.[50]
2022년 2월 20일, 파트리스 탈롱(Patrice Talon) 대통령은 프랑스가 베냉에 반환한 26점의 성물 예술품 전시회를 개막했다.[51]
2. 4. 사회주의 정권과 민주화
1960년 다호메이 공화국으로 독립한 이후, 베냉은 위베르 마가(Hubert Maga), 수루 미강 아피티(Sourou Migan Apithy), 저스틴 아호마데그베(Justin Ahomadégbé), 에밀 데를랭 징수(Émile Derlin Zinsou) 등의 인물이 주도하는 쿠데타와 정권 교체가 반복되었다.[33] 1970년 선거에서 폭력 사태가 발생한 후, 이 세 명은 대통령평의회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1972년 5월 7일, 마가는 아호마데그베에게 권력을 이양했다.1972년 10월 26일, 마티외 케레쿠(Mathieu Kérékou) 중령이 쿠데타를 일으켜 대통령이 되었다.[33][34] 그는 베냉이 "외국의 이데올로기를 모방하는 데 힘을 쏟지 않을 것이며, 자본주의, 공산주의, 사회주의 어느 것도 원하지 않는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1974년 11월 30일, 케레쿠는 혁명군사평의회(CMR)의 통제하에 베냉이 공식적으로 마르크스주의 국가임을 선포하고 석유 산업과 은행을 국유화했다.[33][34] 1975년 11월 30일, 국가 이름을 베냉 인민공화국(People's Republic of Benin)으로 변경했다.[33][34] 베냉 인민공화국 정권은 민족주의 시대(1972-1974), 사회주의 단계(1974-1982), 그리고 서구 국가와의 개방과 경제 자유주의를 포함하는 단계(1982-1990)를 거쳤다.[35]
케레쿠 정권은 경제의 전략 부문을 국유화하고, 교육 제도를 개혁하고, 농업 협동조합과 새로운 지방 정부 구조를 설립하고, 봉건적 세력(즉, 부족주의)을 근절하기 위한 운동을 벌이는 등 사회주의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정권은 반대 활동을 금지했다.[133] 중국, 북한, 리비아와 관계를 수립한 그는 거의 모든 기업과 경제 활동을 국가 통제하에 두어 베냉의 외국인 투자가 줄어들게 했다.[36][133] 케레쿠는 "빈곤은 운명이 아니다"와 같은 자신의 격언을 내세우며 교육을 재편하려고 했지만, 많은 전문직 종사자들이 해외로 유출되었다.[36][133] 정권은 먼저 소련에서, 나중에는 프랑스에서 핵폐기물 처리 계약을 맺어 재정을 충당했다.[36][133]
1980년대 베냉은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나이지리아와의 국경 폐쇄로 관세와 세수입이 감소하면서 경제 상황이 악화되었다.[35][171] 정부는 공무원 봉급을 지불할 수 없게 되었고, 1989년에는 군인들에게 급여를 지급할 돈이 없어 폭동이 일어났다.[35][132] 은행 시스템이 붕괴되었고, 결국 케레쿠는 마르크스주의를 포기하고 정치범을 석방하고 선거를 준비해야 했다.[36][135] 마르크스-레닌주의는 국가 통치 형태로서 폐지되었다.[37] 시민들의 불안이 고조되고 학생 폭동이 발생하는 등 케레쿠의 권력은 약화되는 조짐을 보였다.[134]
1990년 3월 1일, 새로운 헌법이 완성된 후 국가 이름이 공식적으로 ''베냉 공화국(Republic of Benin)''으로 변경되었다.[38] 1991년 선거에서 케레쿠는 니세포르 소글로(Nicéphore Soglo)에게 패했고, 아프리카 본토에서 선거를 통해 권좌에서 물러난 최초의 대통령이 되었다.[39] 케레쿠는 1996년 투표에서 승리하여 다시 권력을 잡았고, 2001년 선거에서도 재선되었지만, 그의 반대자들은 선거 부정을 주장했다.[40] 1999년 케레쿠는 아프리카인들이 대서양 노예 무역에서 차지했던 중요한 역할에 대해 국가 차원의 사과를 했다.[41]
케레쿠와 전 대통령 소글로는 헌법의 나이와 총 임기 제한으로 인해 2006년 선거에 출마하지 않았다.[42] 2006년 베냉 대통령 선거(Beninese presidential election, 2006)는 토마 보니 야이(Thomas Boni Yayi)와 아드리앵 웅베지(Adrien Houngbédji) 간의 결선 투표로 이어졌다. 결선 투표는 3월 19일에 실시되었고 보니가 승리했으며,[43] 4월 6일에 취임했다.[44] 보니는 2011년 재선되어 1차 투표에서 53.18%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결선 투표를 피했다. 그는 1991년 민주주의 회복 이후 결선 투표 없이 선거에서 승리한 최초의 대통령이었다.[45]
2016년 3월 대통령 선거에서 헌법에 따라 3선 출마가 금지된 보니 야이는 기업가 파트리스 탈롱(Patrice Talon)이 투자 은행가이자 전 총리 리오넬 징수(Lionel Zinsou)를 제치고 2차 투표에서 65.37%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탈롱은 2016년 4월 6일에 취임했다.[46] 헌법재판소가 결과를 확인한 날, 탈롱은 "무엇보다 헌법 개정에 먼저 착수할 것"이라고 말하며, "안주"를 막기 위해 대통령 임기를 5년 단임으로 제한하는 계획을 논의했다. 그는 정부 규모를 28명에서 16명으로 줄일 계획이라고 말했다.[47] 2021년 4월, 파트리스 탈롱 대통령은 2021년 베냉 대통령 선거(2021 Beninese presidential election)에서 투표의 86.3% 이상을 득표하여 재선되었다.[48] 선거법 개정으로 탈롱 대통령 지지자들이 의회를 완전히 장악하게 되었다.[49]
2022년 2월, 베냉은 역사상 최대 규모의 테러 공격인 W 국립공원 학살(W National Park massacre)을 겪었다.[50]
2022년 2월 20일, 파트리스 탈롱(Patrice Talon) 대통령은 식민군에 의해 약탈된 지 129년 만에 프랑스가 베냉에 반환한 26점의 성물 예술품 전시회를 개막했다.[51]
2. 5. 민주화 이후
1972년 마티외 케레쿠(Mathieu Kérékou) 중령이 집권 삼두정을 전복하고 대통령이 되어, 1974년 베냉을 마르크스주의 국가로 선포하고 석유 산업과 은행을 국유화했다.[33][34] 1975년에는 국가 이름을 베냉 인민공화국(People's Republic of Benin)으로 변경했다.[33][34] 1980년대에 경제난과 은행 시스템 붕괴를 겪은 후, 케레쿠는 마르크스주의를 포기하고 정치범 석방 및 선거를 준비했다.[36]1990년 3월 1일, 국가 이름이 ''베냉 공화국(Republic of Benin)''으로 변경되었다.[38][118] 민주화 운동이 고조되던 중, 1990년 2월 각 세력 대표들이 소집되어 ‘국민회의’가 개최되었고, 이 회의에서 민주화 이행 정부 수립이 결정되었다. 니세포르 소글로(Nicéphore Soglo)가 잠정 정부 총리로 선출되었고, 12월에는 다당제, 삼권분립, 대통령제를 골자로 하는 새로운 헌법이 국민투표로 제정되었다.[136] 1991년 선거에서 케레쿠는 니세포르 소글로(Nicéphore Soglo)에게 패배하여 아프리카 본토에서 선거를 통해 권좌에서 물러난 최초의 대통령이 되었다.[39][137]
소글로 정권은 경제 성장을 달성했으나 정권 운영은 불안정했고, 1996년 대통령 선거에서 케레쿠가 다시 대통령으로 복귀했다. 1999년 케레쿠는 아프리카인들이 대서양 노예 무역에서 차지했던 중요한 역할에 대해 국가 차원의 사과를 했다.[41][138] 2001년 선거에서 케레쿠가 다시 당선되었지만, 그의 반대자들은 선거 부정을 주장했다.[40]
케레쿠와 전 대통령 소글로는 헌법의 나이와 총 임기 제한으로 인해 2006년 선거에 출마하지 않았다.[42] 2006년 베냉 대통령 선거(Beninese presidential election, 2006) 결과 토마 보니 야이(Thomas Boni Yayi)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43][139][140] 보니는 2011년 재선되어 1991년 민주주의 회복 이후 결선 투표 없이 선거에서 승리한 최초의 대통령이 되었다.[45][142]
2016년 3월 대통령 선거에서는 파트리스 탈롱(Patrice Talon)이 리오넬 징수(Lionel Zinsou)를 제치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46][149] 탈롱은 대통령 임기를 5년 단임으로 제한하는 헌법 개정을 추진했으나 국회에서 채택되지 못했다.[150][151] 2021년 2021년 베냉 대통령 선거(2021 Beninese presidential election)에서 탈롱 대통령은 86.3% 이상의 득표율로 재선되었다.[48][154]
3. 정치
베냉의 정치는 대통령제 대의민주주의 공화국의 틀 안에서 이루어지며, 베냉 대통령이 국가원수이자 정부수반을 겸임하는 다당제 하에서 운영된다.[52] 행정부가 행정권을 행사하며, 입법부는 정부와 의회가 공동으로 행사한다. 사법부는 공식적으로 행정부와 입법부로부터 독립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탈롱 대통령에 의해 독립성이 점차 훼손되어 왔으며, 헌법재판소는 그의 전직 개인 변호사가 수장을 맡고 있다.[52]
1990년 사회주의 체제에서 민주주의 체제로 이행한 베냉은 한때 높은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형식적으로는 민주주의를 유지하고 있지만,[127] 2016년 탈롱 대통령 취임 이후 권위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121][122] 탈롱 대통령 취임 이후 베냉의 민주주의 체제는 "침식되었다".[52]
2018년, 탈롱 정부는 후보 출마에 대한 새로운 규칙을 도입하고 등록 비용을 인상했다. 탈롱의 동맹 세력으로 가득 찬 선거위원회는 2019년 의회 선거에서 모든 야당을 배제하여 의회를 탈롱 지지자들로만 구성되도록 했다.[55][56][57][58] 이후 의회는 대통령 후보가 베냉 국회의원과 시장의 최소 10%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선거법을 개정했다. 의회와 대부분의 시장직이 탈롱의 통제하에 있기 때문에, 그는 대통령 후보가 될 수 있는 사람을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156]
탈롱 대통령은 자신의 전 개인 변호사였던 조셉 조그베누(Joseph Djogbénou)를 법무·입법·인권부 장관으로 임명한 후 헌법재판소장에 임명했다.[157] 2018년 조그베누는 특별재판소를 설치하여 탈롱 대통령의 정적 세바스티앙 아자본(Sébastien Ajavon)을 마약 밀수 혐의로 결석재판에서 유죄 판결하고 징역 20년을 선고했다.[144]
2019년 총선에서는 이러한 변경으로 야당이 완전히 배제되어 투표율이 23%라는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고, 의석을 확보한 것은 정부 여당인 “진보 연합”과 “공화국 블록”뿐이었다.[158][159][160] 선거 이틀 후, 국제앰네스티는 “정치 활동가와 언론인에 대한 자의적인 체포와 평화적인 시위의 탄압”을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다.[161] 선거 후 며칠 동안 시위대와 치안부대가 격렬하게 충돌하여 사상자가 발생했다.[153][162][163]
2019년 법 개정으로 대통령 후보는 시장과 국회의원의 10%의 추천을 받아야 했다.[156] 2019년과 2020년 선거에서 야당이 배제됨에 따라 탈롱 대통령은 2021년 대선에서 두 명을 제외한 모든 후보를 배제할 수 있었다.[164] 이러한 변화는 국제적인 관찰자들의 비난을 받았고, 미국 정부는 베냉에 대한 개발 원조를 일부 중단하게 되었다.[156][157][165][166]
국경 없는 기자회는 2007년 세계 언론 자유 지수에서 베냉을 169개국 중 53위로 평가했다. 그러나 탈롱 대통령이 취임한 2016년까지 78위로 하락했고, 이후 113위까지 하락했다.[167]
3. 1. 권위주의로의 회귀
베냉의 정치는 대통령제 대의민주주의 공화국의 틀 안에서 이루어지며, 베냉 대통령이 국가원수이자 정부수반을 겸임하는 다당제 하에서 운영된다.[52] 행정부가 행정권을 행사하며, 입법부는 정부와 의회가 공동으로 행사한다. 사법부는 공식적으로 행정부와 입법부로부터 독립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탈롱 대통령에 의해 독립성이 점차 훼손되어 왔으며, 헌법재판소는 그의 전직 개인 변호사가 수장을 맡고 있다.[52]1990년 사회주의 체제에서 민주주의 체제로 이행한 베냉은 한때 높은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형식적으로는 민주주의를 유지하고 있지만,[127] 2016년 파트리스 탈롱 대통령 취임 이후 권위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121][122] 탈롱 대통령 취임 이후 베냉의 민주주의 체제는 "침식되었다".[52]
2018년, 탈롱 정부는 후보 출마에 대한 새로운 규칙을 도입하고 등록 비용을 인상했다. 탈롱의 동맹 세력으로 가득 찬 선거위원회는 2019년 의회 선거에서 모든 야당을 배제하여 의회를 탈롱 지지자들로만 구성되도록 했다.[55][56][57][58] 이후 의회는 대통령 후보가 베냉 국회의원과 시장의 최소 10%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선거법을 개정했다. 의회와 대부분의 시장직이 탈롱의 통제하에 있기 때문에, 그는 대통령 후보가 될 수 있는 사람을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156]
탈롱 대통령은 자신의 전 개인 변호사였던 조셉 조그베누(Joseph Djogbénou)를 법무·입법·인권부 장관으로 임명한 후 헌법재판소장에 임명했다.[157] 2018년 조그베누는 특별재판소를 설치하여 탈롱 대통령의 정적 세바스티앙 아자본(Sébastien Ajavon)을 마약 밀수 혐의로 결석재판에서 유죄 판결하고 징역 20년을 선고했다.[144]
2019년 총선에서는 이러한 변경으로 야당이 완전히 배제되어 투표율이 23%라는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고, 의석을 확보한 것은 정부 여당인 “진보 연합”과 “공화국 블록”뿐이었다.[158][159][160] 선거 이틀 후, 국제앰네스티는 “정치 활동가와 언론인에 대한 자의적인 체포와 평화적인 시위의 탄압”을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다.[161] 선거 후 며칠 동안 시위대와 치안부대가 격렬하게 충돌하여 사상자가 발생했다.[153][162][163]
2019년 법 개정으로 대통령 후보는 시장과 국회의원의 10%의 추천을 받아야 했다.[156] 2019년과 2020년 선거에서 야당이 배제됨에 따라 탈롱 대통령은 2021년 대선에서 두 명을 제외한 모든 후보를 배제할 수 있었다.[164] 이러한 변화는 국제적인 관찰자들의 비난을 받았고, 미국 정부는 베냉에 대한 개발 원조를 일부 중단하게 되었다.[156][157][165][166]
국경 없는 기자회는 2007년 세계 언론 자유 지수에서 베냉을 169개국 중 53위로 평가했다. 그러나 탈롱 대통령이 취임한 2016년까지 78위로 하락했고, 이후 113위까지 하락했다.[167]
4. 행정 구역
베냉은 12개 주(département)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 수도는 포르토노보이며 정치, 경제 수도는 코토누이다.
베냉의 주는 다음과 같다:
- 알리보리주(Alibori)
- 아타코라주(Atacora)
- 아틀랑티크주(Atlantique)
- 보르구주(Borgou)
- 콜린주(Collines)
- 쿠포주(Couffo)
- 동가주(Donga)
- 리토랄주(Littoral)
- 모노주(Mono)
- 우에메주(Ouémé)
- 플라토주(Plateau)
- 주주(Zou)
헌법상 수도는 남부 해안에 위치한 포르토노보(Porto-Novo)이지만, 많은 정부 기관은 포르토노보 서쪽에 있는 최대 도시 코토누(Cotonou)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곳이 사실상의 수도 역할을 하고 있다. 코토누에는 베냉 최대의 항구가 있으며, 베냉 무역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철도와 도로를 이용하여 내륙국인 니제르의 무역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남부 해안의 주요 도시로는 위다(Ouidah)가 있다. 북부에서는 철도의 종착역이자 니제르와의 무역 루트 중계점인 파라쿠(Parakou)와 지구(Djougou)가 주요 도시이다.
베냉의 주요 도시 (2013년)[181] | |||
---|---|---|---|
순위 | 도시명 | 주 | 인구 |
1 | 코토누 (Cotonou) | 리토랄(Littoral) | 679,012 |
2 | 포르토노보 (Porto-Novo) | 우에메주(Ouémé) | 264,320 |
3 | 파라쿠 (Parakou) | 보르구주(Borgou) | 255,478 |
4 | 고드메이(Godomey) | 아틀랑티크주(Atlantique) | 253,262 |
5 | 아보메이-칼라비(Abomey-Calavi) | 아틀랑티크주(Atlantique) | 117,824 |
6 | 지구 (Djougou) | 동가주(Donga) | 94,773 |
7 | 보히콘 (Bohicon) | 주주(Zou) | 93,744 |
8 | 엑페(Ekpè) | 우에메주(Ouémé) | 75,313 |
9 | 아보메 (Abomey) | 주주(Zou) | 67,885 |
10 | 니키(Nikki) | 보르구주(Borgou) | 66,109 |
5. 지리
북동쪽에는 나이저강이 있으며 남쪽에는 베냉만이 있다. 베냉의 고도는 전국가가 거의 비슷해서 별다른 고도 차이가 없다. 대부분의 인구가 남쪽의 해안 평원에 살며 가장 큰 도시인 포르토노보와 코토누 등도 이 부근에 있다. 북쪽에는 사바나 기후와 반건조 고원 지대가 있다.
베냉은 서아프리카에 위치하며,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다. 위도는 북위 6°~북위 13°, 경도는 동경 0°~동경 4° 사이이다. 서쪽으로는 토고, 북쪽으로는 부르키나파소와 니제르, 동쪽으로는 나이지리아, 남쪽으로는 베냉 만과 접한다. 북쪽의 니제르 강에서 남쪽의 대서양까지의 거리는 약 650km이다. 해안선의 길이는 121km이지만, 가장 넓은 지점의 너비는 약 325km에 달한다. 베냉에는 기니 동부 삼림, 나이지리아 저지대 삼림, 기니 삼림-사바나 모자이크, 서수단 사바나 등 4개의 육상 생태 지역이 존재한다.[81] 2018년 산림 경관 무결성 지수 평균 점수는 172개국 중 93위인 5.86/10이었다.[82]
베냉은 적도와 북회귀선 사이, 북위 6도 30분~12도 30분, 동경 1도~3도 40분에 위치한 가늘고 긴 나라이다. 남북 길이는 700km에 달한다. 서쪽은 토고, 북쪽은 부르키나파소와 니제르, 동쪽은 나이지리아와 접한다. 북동쪽은 니제르 강에 면해 니제르와 국경을 이룬다. 서쪽 토고와의 국경 일부는 모노 강과 거의 일치한다. 남쪽은 베냉 만에 면해 121km의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176]
면적은 112,622km²으로 불가리아, 쿠바, 온두라스보다 약간 크고, 일본의 혼슈의 거의 절반 크기이다. 서아프리카에서는 소국의 범주에 속하며, 동쪽 이웃 나이지리아의 8분의 1 정도 크기이고, 서쪽 이웃 토고의 2배 크기이다.
베냉의 지형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갈수록 다양한 모습을 보이며, 크게 네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해발 고도의 변화가 적고, 평균 200m 정도의 높이에 있다.
- 가장 낮은 지역인 사질의 해안 평야(최고 고도 10m)는 너비가 최대 10km 정도이다. 이 지역은 습지가 많고, 바다와 연결되는 호수와 석호가 산재해 있다. 해안선 부근은 사질의 해안평야이며, 습지대이고 노케 호와 같은 호수가 산재해 있다.
- 해안선 뒤편에는 베냉 남부의 고원 지대가 있으며(고도 20m에서 200m 사이), 이 지역은 쿠포 강, 주 강, 웨메 강을 따라 남북으로 뻗어 있는 계곡들로 나뉘어져 있다. 기니 삼림-사바나 모자이크가 이 지역을 덮고 있다. 이어서 해발 20~200m의 고원이 된다. 국토를 종단하여 베냉 만으로 흘러드는 쿠포 강, 조 강, 웨메 강을 따라 계곡이 형성되어, 기니아 삼림 사바나 모자이크의 일부를 이룬다.
- 사베에서 니키 주변에는 바위 언덕이 산재한 평평한 지역이 펼쳐져 있으며, 고도는 400m에 달한다.
- 북서쪽 국경과 토고로 이어지는 산맥인 아타코라 산맥이 있다. 최고봉인 몽 소크바로는 658m의 높이를 자랑한다. 국토 중앙부에는 분수령이 있으며, 이보다 남쪽은 대서양으로, 북쪽은 니제르 강 수계에 속한다.
베냉에는 농경지, 맹그로브 숲, 그리고 숲의 잔해가 있다. 나머지 지역은 가시덤불이 우거진 사바나 지대이며, 바오밥나무가 드문드문 서 있다. 일부 강가에는 숲이 늘어서 있다. 베냉 북부와 북서부에는 니제르 W 보호구역과 펜자리 국립공원이 있으며, 아프리카코끼리, 사자, 영양, 하마, 원숭이 등이 서식하고 있다.[85] 펜자리 국립공원은 부르키나파소와 니제르의 인접 공원인 알리 국립공원과 W 국립공원과 함께 서아프리카 사자의 주요 서식지 중 하나이다. W-알리-펜자리 지역에는 약 246~466마리의 사자가 서식하고 있으며, 이는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사자 개체군이다.[86] 역사적으로 베냉은 멸종 위기에 처한 아프리카들개(''Lycaon pictus'')의 서식지였지만,[87] 현재는 지역적으로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지형적 특징으로 인해 베냉은 기후 변화에 취약하다. 대다수의 인구가 해안 저지대에 거주하고 있어 해수면 상승은 경제와 인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83] 북부 지역은 사막화가 더욱 심화될 것이다.[84]
== 기후 ==
베냉의 기후는 남부가 고온다습하며, 일년에 두 번의 우기(4~7월과 9~11월)가 있다. 7월 하순부터 9월 상순까지는 서늘하고 강수량이 적다. 북쪽으로 갈수록 강수량이 감소하여 북부에서는 우기가 일년에 한 번이 된다.[177] 전반적으로 강수량이 많으며, 북단 일부를 제외하고 연간 강수량은 1000mm를 넘는다.[178]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남부와 중부는 사바나 기후(Aw)에 속하며, 북부의 일부만이 스텝 기후(BS)에 속한다. 남부는 열대우림 기후, 북부는 사바나 기후를 띤다. 사바나와 고원을 지나 사헬로 향하면 기온 변동이 커진다. 12월부터 3월까지는 사하라 사막에서 불어오는 건조한 바람인 하르마탄이 분다. 이로 인해 풀이 말라붙고 다른 식물들이 붉은 갈색으로 변하며, 미세한 모래 먼지 베일이 드리워져 하늘이 흐린 날이 많다. 또한, 농민들이 밭의 풀을 태우는 시기이기도 하다.[179]
해안 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은 1300mm이다. 베냉은 연중 두 번의 우기와 두 번의 건기가 있다. 주요 우기는 4월부터 7월 말까지이며, 9월부터 11월까지는 강수량이 적은 짧은 우기가 있다. 주요 건기는 12월부터 4월까지이며, 7월부터 9월까지는 더 서늘한 건기가 있다. 열대 해안 지역은 기온과 습도가 높다. 코토누의 평균 최고 기온은 31°C이고, 최저 기온은 24°C이다.[85]
== 자연 환경 ==
베냉의 야생 생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베냉의 야생 생물 문서를 참고하라.
국토의 약 27.8%가 삼림 지대이다.[180]
국토 북단에는 세계유산인 W 알리 팡자리 자연공원군이 있으며, 사자, 아프리카코끼리, 치타 등 다양한 야생 동물이 서식하는 광대한 자연 보호 구역이다.
베냉의 산림 피복률은 2020년 기준 전체 토지 면적의 약 28%인 3,135,150 헥타르(ha)로, 1990년 4,835,150 헥타르(ha)에서 감소하였다. 2020년 자연적으로 재생된 산림은 3,112,150 헥타르(ha), 조림은 23,000 헥타르(ha)였다.[88][89]
5. 1. 기후
베냉의 기후는 남부가 고온다습하며, 일년에 두 번의 우기(4~7월과 9~11월)가 있다. 7월 하순부터 9월 상순까지는 서늘하고 강수량이 적다. 북쪽으로 갈수록 강수량이 감소하여 북부에서는 우기가 일년에 한 번이 된다.[177] 전반적으로 강수량이 많으며, 북단 일부를 제외하고 연간 강수량은 1000mm를 넘는다.[178]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남부와 중부는 사바나 기후(Aw)에 속하며, 북부의 일부만이 스텝 기후(BS)에 속한다. 남부는 열대우림 기후, 북부는 사바나 기후를 띤다. 사바나와 고원을 지나 사헬(Sahel)로 향하면 기온 변동이 커진다. 12월부터 3월까지는 사하라 사막에서 불어오는 건조한 바람인 하르마탄이 분다. 이로 인해 풀이 말라붙고 다른 식물들이 붉은 갈색으로 변하며, 미세한 모래 먼지 베일이 드리워져 하늘이 흐린 날이 많다. 또한, 농민들이 밭의 풀을 태우는 시기이기도 하다.[179]
국토의 약 27.8%가 삼림 지대이다.[180]
국토 북단에는 세계유산인 W 알리 팡자리 자연공원군이 있으며, 사자(Lion), 아프리카코끼리(African Elephant), 치타(Cheetah) 등 다양한 야생 동물이 서식하는 광대한 자연 보호 구역이다.
5. 2. 자연 환경
베냉의 야생 생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베냉의 야생 생물 문서를 참고하라.6. 경제
베냉의 경제는 저개발 상태로, 농업과 면화 생산에 크게 의존한다. 면화는 GDP의 40%, 공식적인 수출 수입의 80%를 차지하는 주요 작물이다.[90][177] 팜유 등의 수출용 농업 생산 외에, 자급용 옥수수가 재배된다.[178] 북부 중앙부에서는 수출용 농업 생산으로 면화가, 남부 끝 지역에서는 팜유를 위한 아프리카 팜 등이 생산된다. 자급용 작물로는 전국적으로 옥수수가 재배되며, 북부에서는 야미와 수수, 기장, 남부에서는 카사바 등이 재배된다.[178] 카슈넛과 파인애플도 중요한 수출 품목이다.[179]
지난 6년간 성장률은 5% 정도로 유지되었지만, 높은 인구 증가율과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있다.[99] 2008년과 2009년 실질 GDP 성장률은 각각 5.1%와 5.7%로 추산되었다. 2017년 베냉의 전반적인 거시경제 여건은 5.6%의 성장률을 보이며 "긍정적"이었다.[91] 베냉 국립 통계 경제 분석 연구소에 따르면 빈곤층 비율은 2011년 36.2%에서 2015년 40.1%로 증가했다.[100]
베냉은 생물 용량에 대한 접근이 세계 평균보다 낮다. 2016년 베냉은 자국 영토 내에서 1인당 0.9 글로벌 헥타르[93]의 생물 용량을 보유했는데, 이는 1인당 1.6 글로벌 헥타르인 세계 평균보다 낮다.[94] 같은 해 베냉은 1인당 1.4 글로벌 헥타르의 생물 용량을 사용하여, 생물 용량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93]
베냉은 더 많은 외자 도입, 관광 산업 강조, 신식량생산 시스템과 농산품 개발 촉진, 새로운 정보기술과 커뮤니케이션 기술 장려 등을 통해 경제 성장을 지속하고자 한다.[95] 파리 클럽과 양자 채권자들은 베냉의 대외 부채 상황을 완화했지만, 더 빠른 구조 개혁을 촉구하고 있다.[96] "불충분한" 전력 공급은 베냉의 경제 성장에 계속해서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정부는 국내 발전량을 늘리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96]
국제노동총연맹(ITUC)은 베냉의 비공식 경제에 여성 임금 불평등, 아동 노동, 그리고 지속적인 강제 노동 문제 등의 문제가 계속 존재한다고 지적했다.[97] 베냉은 아프리카 사업법 조화 기구(OHADA)의 회원국이다.[98]
코토누에는 베냉 유일의 해상 항구와 국제 공항이 있다. 베냉은 2차선 아스팔트 도로로 이웃 국가(토고, 부르키나파소, 니제르, 나이지리아)와 연결되어 있다. 이동통신 서비스는 전국적으로 이용 가능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ADSL 연결이 가능하다. 베냉은 위성 연결(1998년부터)과 단일 해저 케이블 SAT-3/WASC(2001년부터)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다.
6. 1. 산업
베넹의 경제는 저개발 상태로, 농업과 면화 생산에 크게 의존한다. 면화는 GDP의 40%, 공식적인 수출 수입의 80%를 차지하는 주요 작물이다.[90][177] 팜유 등의 수출용 농업 생산 외에, 자급용 옥수수가 재배된다.[178] 북부 중앙부에서는 수출용 농업 생산으로 면화가, 남부 끝 지역에서는 팜유를 위한 아프리카 팜 등이 생산된다. 자급용 작물로는 전국적으로 옥수수가 재배되며, 북부에서는 야미와 수수, 기장, 남부에서는 카사바 등이 재배된다.[178] 카슈넛과 파인애플도 중요한 수출 품목이다.[179]지난 6년간 성장률은 5% 정도로 유지되었지만, 높은 인구 증가율과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있다.[99] 2008년과 2009년 실질 GDP 성장률은 각각 5.1%와 5.7%로 추산되었다. 2017년 베냉의 전반적인 거시경제 여건은 5.6%의 성장률을 보이며 "긍정적"이었다.[91] 베냉 국립 통계 경제 분석 연구소에 따르면 빈곤층 비율은 2011년 36.2%에서 2015년 40.1%로 증가했다.[100]
베냉은 생물 용량에 대한 접근이 세계 평균보다 낮다. 2016년 베냉은 자국 영토 내에서 1인당 0.9 글로벌 헥타르[93]의 생물 용량을 보유했는데, 이는 1인당 1.6 글로벌 헥타르인 세계 평균보다 낮다.[94] 같은 해 베냉은 1인당 1.4 글로벌 헥타르의 생물 용량을 사용하여, 생물 용량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93]
베냉은 더 많은 외자 도입, 관광 산업 강조, 신식량생산 시스템과 농산품 개발 촉진, 새로운 정보기술과 커뮤니케이션 기술 장려 등을 통해 경제 성장을 지속하고자 한다.[95] 파리 클럽과 양자 채권자들은 베냉의 대외 부채 상황을 완화했지만, 더 빠른 구조 개혁을 촉구하고 있다.[96] "불충분한" 전력 공급은 베냉의 경제 성장에 계속해서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정부는 국내 발전량을 늘리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96]
국제노동총연맹(ITUC)은 베냉의 비공식 경제에 여성 임금 불평등, 아동 노동, 그리고 지속적인 강제 노동 문제 등의 문제가 계속 존재한다고 지적했다.[97] 베냉은 아프리카 사업법 조화 기구(OHADA)의 회원국이다.[98]
코토누에는 베냉 유일의 해상 항구와 국제 공항이 있다. 베냉은 2차선 아스팔트 도로로 이웃 국가(토고, 부르키나파소, 니제르, 나이지리아)와 연결되어 있다. 이동통신 서비스는 전국적으로 이용 가능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ADSL 연결이 가능하다. 베냉은 위성 연결(1998년부터)과 단일 해저 케이블 SAT-3/WASC(2001년부터)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다.
6. 2. 무역
베넹의 경제는 저개발 상태로, 농업과 면화 생산에 크게 의존한다. 면화는 GDP의 40%, 공식적인 수출 수입의 80%를 차지한다.[90] 팜유 등의 수출용 농산물 외에, 자급용 옥수수가 재배된다. 지난 6년간 5% 정도의 성장률을 유지했지만, 높은 인구 증가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90]2008년과 2009년 실질 GDP 성장률은 각각 5.1%와 5.7%로, 농업 부문과 서비스 부문이 성장을 주도했다.[91] 2017년 베냉의 경제 성장률은 5.6%를 기록했으며, 주요 수출품은 면실, 면화 깻묵, 면화 씨앗, 캐슈, 시어버터, 식용유, 목재 등이다.[92] 생물 용량은 세계 평균보다 낮으며, 2016년 기준 생물 용량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93][94]
베냉은 외국인 투자 유치, 관광 산업 육성, 농산물 개발, 정보통신기술 장려 등을 통해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95] 파리 클럽과 양자 채권자들은 베냉의 대외 부채 상황을 완화했지만, 전력 공급 부족 문제는 여전히 경제 성장의 걸림돌이다.[96] 국제노동총연맹(ITUC)은 비공식 경제에 여성 임금 불평등, 아동 노동, 강제 노동 문제가 존재한다고 지적했다.[97]
코토누에는 베냉 유일의 해상 항구와 국제 공항이 있으며, 이웃 국가들과 도로로 연결되어 있다.[98] 이동통신 서비스와 인터넷 연결도 가능하다. 20년 넘게 GDP 성장률은 4%~5%를 유지했지만, 빈곤은 증가하여 2015년 빈곤층 비율은 40.1%에 달했다.[99][100]
베냉은 아프리카 사업법 조화 기구(OHADA)의 회원국이다.[98] 지리적 위치를 활용하여 인근 국가들과의 무역, 수송, 관광에 힘쓰고 있으며, 코토누 항이 그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179] 특히 나이지리아와의 비공식 무역이 중요하며, 나이지리아로의 재수출 무역이 GDP의 20%를 차지한다.[184][185] 베냉 수입품의 약 80%는 나이지리아로 수출되기 때문에, 나이지리아의 경제 상황과 외교 정책은 베냉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168]
6. 3. 에너지
베냉은 기니아만에 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980년에 소규모 해저 유전이 개발된 이후 석유 개발이 정체되어 에너지 부족이 심각하다.[179] 베냉 인구의 3분의 2는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다.[179] 정부는 민간 부문의 발전을 통해 발전량을 늘리고 나이지리아와 가나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179] 발전소와 수력발전 댐을 통해 충분한 전력 생산을 확보하여 잉여 전력을 인근 국가에 수출하는 계획 또한 세우고 있다.[179]7. 사회
베냉의 인구 대부분은 국토 남부에 거주하고 있다. 평균 수명은 62세이며, 젊은 인구가 많다.[96]
민족 | 비율 |
---|---|
폰족 및 군족 | 38.4% |
아자족 및 미나족 | 15.1% |
요루바족 | 12% |
바리바족 | 9.6% |
풀라족 | 8.6% |
오타마리족 | 6.1% |
요아-록파족 | 4.3% |
덴디족 | 2.9% |
기타 | 2.8% |
베냉에는 40개 이상의 부족(폰족, 아자족, 요루바족 등)과 외국인이 살고 있다.[85] 1,148만 5,000명 주민 대다수는 남부에 거주하고 있으며, 평균 수명은 62세이다.[96]
이 나라에는 약 42개의 아프리카 민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남동부에 거주하는 요루바족(12세기에 나이지리아에서 이주), 북중부에 거주하는 덴디족(16세기에 말리에서 이주), 북동부에 거주하는 바리바족과 풀라족, 아타코라 산맥(Atakora Mountains)에 거주하는 베탐마리베족(Betammaribe)과 솜바족, 남중부의 아보메이(Abomey) 지역에 거주하는 폰족, 그리고 해안에 거주하는 미나족, 크세다족, 아자족(토고에서 이주) 등이 포함된다.[85]
이주로 인해 나이지리아인, 토고인, 말리인을 포함한 다른 아프리카 국민들이 베냉으로 이주해왔다.[60] 외국인 공동체에는 무역 및 상업에 종사하는 레바논인과 인도인이 포함된다.[60] 유럽 대사관과 외국 원조단, 비정부기구, 선교단의 직원들은 5,500명의 유럽 인구의 일부를 차지한다.[85]
7. 1. 인구
베냉에는 40개 이상의 부족(폰족, 아쟈족, 요루바족 등)과 외국인이 살고 있다.[85] 1,148만 5,000명 주민 대다수는 남부에 거주하고 있으며, 평균 수명은 62세이다.[96]이 나라에는 약 42개의 아프리카 민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남동부에 거주하는 요루바족(12세기에 나이지리아에서 이주), 북중부에 거주하는 덴디족(16세기에 말리에서 이주), 북동부에 거주하는 바리바족과 풀라족, 아타코라 산맥(Atakora Mountains)에 거주하는 베탐마리베족(Betammaribe)과 솜바족, 남중부의 아보메이(Abomey) 지역에 거주하는 폰족, 그리고 해안에 거주하는 미나족, 크세다족, 아자족(토고에서 이주) 등이 포함된다.[85]
이주로 인해 나이지리아인, 토고인, 말리인을 포함한 다른 아프리카 국민들이 베냉으로 이주해왔다.[60] 외국인 공동체에는 무역 및 상업에 종사하는 레바논인과 인도인이 포함된다.[60] 유럽 대사관과 외국 원조단, 비정부기구, 선교단의 직원들은 5,500명의 유럽 인구의 일부를 차지한다.[85]
민족 | 비율 |
---|---|
폰족 및 군족 | 38.4% |
아자족 및 미나족 | 15.1% |
요루바족 | 12% |
바리바족 | 9.6% |
풀라족 | 8.6% |
오타마리족 | 6.1% |
요아-록파족 | 4.3% |
덴디족 | 2.9% |
기타 | 2.8% |
7. 2. 민족
베냉에는 40개 이상의 부족(폰족, 아쟈족, 요루바족 등)과 외국인이 살고 있다.[85] 베냉의 1,148만 5,000명 주민 대다수는 남부에 거주하고 있으며, 평균 수명은 62세이다.[96] 이 나라에는 약 42개의 아프리카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85]2013년 자료에 따르면, 민족별 인구 비율은 폰족(38.4%), 아자족(15.1%), 요루바족(12%), 바리바족(9.6%), 풀라족(8.6%) 순이다.[177][190] 주요 민족으로는 12세기에 나이지리아에서 이주한 남동부의 요루바족, 16세기에 말리에서 이주한 북중부의 덴디족, 북동부의 바리바족과 풀라족, 아타코라 산맥(Atakora Mountains)의 베탐마리베족(Betammaribe)과 솜바족, 남중부 아보메이(Abomey) 지역의 폰족, 해안의 미나족, 크세다족, 아자족(토고에서 이주) 등이 있다.[85]
최근 나이지리아인, 토고인, 말리인을 포함한 다른 아프리카 국민들이 베냉으로 이주해왔다.[60][191] 외국인 공동체에는 무역 및 상업에 종사하는 레바논인과 인도인이 포함된다.[60][192]
7. 3. 언어
1990년 12월 11일자 헌법 1조에 "공용어는 프랑스어다"라고 규정했다.[177] 그 외에 폰어 등 각 부족의 말이 사용되고 있다. 베냉은 프랑스어사용국기구(프랑코포니)의 정회원국이다.베냉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여러 현지어를 교육 언어로 사용하며, 후년에 프랑스어를 도입한다. 중등학교 수준에서는 프랑스어가 유일한 교육 언어이다. 베냉 언어는 프랑스어처럼 모음부호를 사용하거나 영어처럼 이중자음을 사용하는 대신 각각의 음운(음소)에 대해 별도의 문자로 "일반적으로 표기"된다. 여기에는 나이지리아에서는 모음부호와 이중자음 모두를 사용하여 쓰이는 베냉의 요루바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에서 ''é, è, ô, o''로 쓰이는 중모음은 베냉 언어에서는 ''e, ɛ, o, ɔ''로 쓰이는 반면, 영어에서 ''ng''와 ''sh'' 또는 ''ch''로 쓰이는 자음은 ''ŋ''과 ''c''로 쓰인다. 비강 모음과 순후두 자음 ''kp''와 ''gb''에는 이중자음이 사용되며, 폰어의 이름 ''Fon gbe'' 에서 볼 수 있듯이, 톤 표시로 모음부호가 사용된다. 프랑스어 출판물에서는 프랑스어와 베냉어 표기법이 혼용될 수 있다.
총 55개의 언어가 사용되며, 그중 50개는 토착 언어이다.[193] 폰어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민족 언어로, 인구의 24%가 사용한다.[194] 베냉 인구의 17% 이상이 모어로 사용한다.[194] 이 언어는 주로 아틀랑티크주, 리토랄주, 콜린주, 주주에서 사용된다.[195] 그 외 중요한 언어로는 요루바어, 바리바어, 미나어, 덴디어, 모콜레어, 욤어가 있다.[196] 수도 포르토노보에서는 요루바어와 귈베어 두 가지 주요 민족 언어가 사용되며, 소수의 웨미어, 세토어, 트리어, 에쿠스와어, 데피어, 토핀어 사용자도 있다.
헌법에 따라 베냉의 모든 공동체는 그들의 고유한 구어와 문어를 사용할 자유가 보장된다. 또한 국가는 상호 소통을 위한 국어의 발전을 촉진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7. 4. 종교
베냉의 종교는 현지 고유의 종교가 50%, 기독교가 30%, 이슬람교가 20%이다.[62] 가장 최근(2020년) 추정치에 따르면 베냉 인구의 52.2%가 기독교인, 24.6%가 무슬림, 17.9%가 토착종교 신자, 5.3%가 다른 종교를 믿거나 종교가 없다고 한다.[62][68] 2013년 인구 조사에서는 베냉 인구의 48.5%는 기독교인(25.5% 로마 가톨릭, 6.7% 그리스도의 천상 교회, 3.4% 감리교, 12.9% 기타 기독교 교파), 27.7%는 무슬림, 11.6%는 보두를 실천하고, 2.6%는 다른 지역 전통 종교를 실천하고, 2.6%는 다른 종교를 실천하고, 5.8%는 종교적 소속이 없다고 주장했다.[2][66]
베냉의 두 주요 종교는 주로 남부와 중부에서 믿는 기독교와, 송하이 제국과 하우사 상인들에 의해 전파되어 알리보리, 보르구, 돈가 주와 요루바족 사이에서 믿는 이슬람교이다.[63][64] 요루바족은 기독교도 믿는다.[63][64] 일부는 여전히 보두와 오리샤 신앙을 유지하며, 보두와 오리샤의 신들을 기독교에 혼합했다. 19세기에 시작된 이슬람교의 한 종파인 아마디야도 이 나라에 존재한다.[65]
전통 종교에는 아타코라 지역의 지역 토착종교와 국가 중남부의 요루바족과 타도족 사이의 보두와 오리샤 숭배가 포함된다. 중앙 해안의 우이다 마을은 베냉 보두 또는 부두의 영적 중심지이다.[69] 아메리카 대륙에서 신앙되고 있는 흑인 종교로 알려진 보두는 다호메이 왕국의 폰족의 신앙에서 유래했다고 여겨지며,[198], 노예 무역의 확산과 아이티 혁명 이후 아이티인(마룬)의 이동과 함께 서인도 제도의 아이티, 쿠바, 브라질, 북아메리카로 퍼져나갔다고 여겨진다. 사회주의 정권 시대에는 보두 신앙이 봉건적 유물이라는 이유로 엄격한 통제를 받았지만, 민주화 이후 베냉 정부는 문화 부흥의 일환으로 보두 신앙에 대한 규제를 철폐했고, 1992년에는 당시 니세포르 소글로 대통령과 베냉 정부에 의해 위다 92라는 보두 예술·문화 축제가 개최되었다.[199] 1997년에는 정부에 의해 매년 1월 10일이 보두 축제일로 제정되었고, 이후 이 날은 국가적으로 보두 공휴일이 되었다.[200]
7. 5. 교육

베냉의 교육 시스템은 초등학교 6년, 중학교 4년, 고등학교 3년, 대학교 3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법적으로 의무교육은 초등학교 6년이다.[201] 최근 공립학교 수업료가 무료화되면서 취학률이 상승하고 있지만, 어린이는 중요한 노동력이며 학교 자체가 없는 지역도 많아 고도의 의무교육은 달성되지 않고 있다.[201] 교육 언어는 프랑스어이다.[201] 2015년 기준 베냉의 읽기 능력률은 38.4%로 추산되며(남성 49.9%, 여성 27.3%)다.[96] 유네스코 통계연구소에 따르면 베냉은 전국 초등 의무교육을 달성했으며 2013년에는 아동의 절반(54%)이 중등 교육에 등록했다.
한때 무상이 아니었던 교육 제도는[70] 베냉이 학교 수업료를 폐지하고 2007년 교육 포럼의 권고 사항을 이행함에 따라 변화했다.[71] 정부는 2009년 이후 국내총생산(GDP)의 4% 이상을 교육에 투입했다. 유네스코 통계연구소에 따르면 2015년 공공 교육 지출(모든 수준)은 GDP의 4.4%에 달했다. 이 지출 규모 내에서 베냉은 고등 교육에 GDP의 0.97%를 배정했다.[72]
2009년부터 2011년 사이 대학 등록 비율은 18~25세 인구 집단의 10%에서 12%로 증가했다. 2006년부터 2011년 사이 고등 교육에 등록한 학생 수는 50,225명에서 110,181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이 통계에는 학사, 석사, 박사 과정뿐만 아니라 비학위 대학원 과정에 등록한 학생도 포함된다.[72] 주요 고등교육 기관으로는 아보메이-칼라비 국립대학교와 파라쿠 국립대학교가 있다.
일본과의 관계에서는, 비토 다케시의 전 수행원이자 연예인으로 2012년 베냉 주일 특명전권대사에 취임한 조마옹 루팡에 의해 다케시 초등학교와 아프리카에서는 아직 드문 일본어학교인 다케시 일본어학교가 설립되었다(2003년 9월). 다케시 일본어학교는 2003년 첫 졸업생 로손 레오폴트를 배출한 것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많은 졸업생과 일본 유학생을 배출하고 있다.
2012년 시점의 재일 베냉인의 대부분은 다케시 일본어학교 졸업생이다. 다케시 일본어학교에서는 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 서예 등이 가르쳐지고 있으며, 초급에서는 일본어능력시험 N4, 중급에서는 일본어능력시험 N2 합격을 목표로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베냉은 물론 아프리카 최초의 일본어 교육 전문학교이기 때문에 운영은 난항을 겪고 있으며, 교실 등 시설이 수강 희망자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여 수천 명의 수강 희망자가 대기하는 상태이다. 커리큘럼도 편성 중이며, 고급 코스는 아직 개설되지 않았다.
2010년 이후, 다케시의 협력 요청을 흔쾌히 승낙한 타나카 요시타카에 의해, 타나카가 경영하는 홋카이도가와니시군의 하나바타 목장에서 베냉인을 농업 연수생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7. 6. 보건
1980년대 베냉은 전체 인구의 30% 미만만이 보건 혜택을 누렸으며, 5세 미만 영아 사망률이 1000명 당 203명으로 매우 높았다.[75] 산모의 경우 3명당 1명만이 출산 시 보건 혜택을 누렸다.[75] 바마코 이니셔티브를 통해 지역사회 기반 보건 개혁을 도입하여 서비스 제공의 효율성과 형평성을 높였다.[75] 2013년 유니세프 보고서에 따르면, 여성의 13%가 여성 성기 절제를 경험했다.[77] 모든 의료 분야에 접근 전략이 확대되어 보건 지표 개선, 의료 효율성 및 비용 절감이 이루어졌다.[78]말라리아는 베냉에서 심각한 문제이며, 5세 미만 어린이의 주요 질병 및 사망 원인이다.[74] 2017년 기준 베냉의 영아 사망률은 출생 1,000명당 57명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209] 말라리아는 베냉의 풍토병이며, 5세 미만 아동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210] 발병률은 38.8%에 달한다.[211][212] 정부는 새로운 치료제 도입과 살충제 처리 모기장 배포 등을 통해 예후 개선 및 예방에 힘쓰고 있다.[210]
2013년 기준 베냉의 HIV/AIDS 감염률은 15~49세 성인의 1.13%로 추산되었다.[73] 2020년 추계에 따르면 베냉에는 약 6만 6천 명의 성인과 8천 9백 명의 어린이가 HIV/AIDS와 함께 살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며,[213] HIV 감염률은 2020년 0.9%였다.[214] 어린이의 HIV 감염의 주요 원인은 수직 감염(모자 감염)이다. 세계은행, 세계보건기구, 세계 에이즈·결핵·말라리아 대책 기금 등 국제기구의 지원을 받아 대응하고 있다.
2020년 추계에 따른 베냉의 평균 수명은 62세(남성 60세, 여성 64세)이다.[207] 베냉의 2017년 인구 10만 명당 산모 사망률은 397명으로 꾸준히 감소 추세이다.[208]
2020년 1월 3일부터 2022년 6월 2일까지 베냉에서 COVID-19 확진자 26,914명, 사망자 163명이 WHO에 보고되었다.[216] 2022년 5월 21일 현재 총 3,619,590회분의 백신이 접종되었다.[216]
인권 측정 이니셔티브가 보고한 건강권 달성도 평가에서 베냉은 성인 81.5%[204], 아동 77.5%[205]에 그쳐 저소득 국가 중에서도 하위에 속한다. 2024년 세계 기아 지수에서 베냉은 127개국 중 99위를 차지했다.[80]
8. 문화
}}
베냉은 부두교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197] 아이티의 부두교는 아메리카를 식민지화 할 때 베냉 등지에서 노예로 끌려간 사람들이 그곳에서 발전시킨 것이다.
베냉에서는 고기가 일반적으로 상당히 비싸기 때문에, 음식은 일반적으로 고기보다 식물성 지방을 더 많이 섭취하는 경향이 있다.
베냉 남부에서는 옥수수가 주식이며, 빵 반죽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주로 땅콩이나 토마토를 주재료로 한 소스와 함께 먹는다. 단백질 공급원으로는 생선과 닭고기가 일반적이지만 소고기, 돼지고기, 염소고기, 쥐 고기도 먹는다. 이러한 고기는 종종 팜유 또는 땅콩기름에 튀겨 먹는다. 쌀, 콩, 토마토, 쿠스쿠스도 중요한 식재료이다. 귤, 오렌지, 바나나, 키위, 아보카도, 파인애플, 땅콩 등도 자주 먹는다.
북부에서는 얌이 주식이며, 땅콩이나 토마토를 주재료로 한 소스와 함께 먹는다. 단백질 공급원으로는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사용하며, 이것들도 남부와 마찬가지로 팜유나 땅콩기름에 튀기거나 소스로 조리된다. 북부에서는 치즈도 많이 먹는다. 쿠스쿠스, 쌀, 콩 등은 망고, 오렌지, 아보카도와 같은 과일과 함께 자주 먹는다.
새우와 게는 일반적인 해산물로 먹을 수 있다.[232]
- 대표적인 요리[233]
- * 아로코: 플랜테인을 기름에 튀긴 음식. 인기 있는 간식 중 하나이며, 땅콩과 함께 먹는다.
- * 크리 크리: 으깬 땅콩을 비스킷에 묻혀 기름에 튀긴 음식. 베냉의 대표 음식이다.
- * 다호메이 피시 스튜: 전통적인 요리로, 생선살 튀김에 토마토와 양파를 곁들여 밥과 함께 먹는다.
8. 1. 부두교
베냉은 부두교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197] 아이티의 부두교는 아메리카를 식민지화 할 때 베냉 등지에서 노예로 끌려간 사람들이 그곳에서 발전시킨 것이다.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베냉 인구의 17.3%가 보두 신자이다.[197]기독교는 베냉 중부와 남부, 그리고 아타코라주의 오탕마리 지역에서 주로 신앙되고 있다. 그러나 보두와 오리샤는 계속해서 신앙되고 있으며, 보두와 오리샤의 신화 체계가 기독교 안에 통합되기도 한다.
베냉 만에 접한 위다 도시는 베냉 보두 신앙의 중심지이다.[198] 아메리카 대륙에서 신앙되고 있는 흑인 종교로 알려진 보두는 다호메이 왕국의 폰족의 신앙에서 유래했다고 여겨지며,[198] 노예 무역의 확산과 아이티 혁명 이후 아이티인(마룬)의 이동과 함께 서인도 제도의 아이티, 쿠바, 브라질, 북아메리카로 퍼져나갔다고 여겨진다. 사회주의 정권 시대에는 보두 신앙이 봉건적 유물이라는 이유로 엄격한 통제를 받았지만, 민주화 이후 베냉 정부는 문화 부흥의 일환으로 보두 신앙에 대한 규제를 철폐했고, 1992년에는 당시 니세포르 소글로 대통령과 베냉 정부에 의해 위다 92라는 보두 예술·문화 축제가 개최되었다.[199] 1997년에는 정부에 의해 매년 1월 10일이 보두 축제일로 제정되었고, 이후 이 날은 국가적으로 보두 공휴일이 되었다.[200]
8. 2. 예술
베냉은 부두교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 아이티의 부두교는 아메리카를 식민지화 할 때 베냉 등지에서 노예로 끌려간 사람들이 그곳에서 발전시킨 것이다. 베냉 문학은 프랑스어가 주요 언어가 되기 전까지 구전 전통을 가지고 있었다.[104] 펠릭스 쿠슈로(Félix Couchoro)는 1929년에 첫 베냉 소설인 ''L'Esclave''(노예)를 썼다.독립 이후, 토착 민속 음악은 가나의 하이라이프, 프랑스 카바레, 미국의 록, 펑크, 소울 그리고 콩고의 룸바와 결합되었다.[105] 이그나시오 브라지오 오쇼는 페드로 그노나스 이 수 판초스, 레 볼칸, 피코비 밴드 다보미와 함께 독립 이후 가장 영향력 있는 음악가 중 한 명이었다.[235] 넬 올리버는 1976년 프랑스에서 데뷔하여 아프리카 각지와 미국에서 요소를 차용하여 "아프로 아쿠팔라 펑크"를 만들어냈다. 오케스트라 폴리리즈모 데 코토누는 50장이 넘는 앨범을 발매한 그룹으로, "서아프리카 최고의 댄스 밴드",[236]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펑크 밴드 중 하나"[237]로 평가받고 있다. 베냉의 기타리스트 리오넬 루케는 아프리카의 영향을 불어넣은 재즈계의 가장 중요한 젊은 음악가 중 한 명이다. 현재 뉴욕에 거주하며, 허비 핸콕의 밴드 멤버이기도 하다.[238]
일부 단체와 예술가들의 프로젝트를 계속 이어받은 비엔날레 베냉(Biennale Benin)은 2010년 "Regard Benin"이라는 협업 행사로 베냉에서 시작되었다. 2012년, 이 프로젝트는 현지 협회 연합이 조정하는 2년마다 열리는 행사가 되었다. 2012년 비엔날레 베냉의 국제 전시회와 예술 프로그램은 압델라 카룸(Abdellah Karroum)이 기획했다.[106][107]
8. 3. 스포츠
베냉의 주요 스포츠는 축구, 농구, 골프, 사이클, 야구, 소프트볼, 테니스, 그리고 럭비 유니온이다.[111] 21세기 초에는 야구와 테크볼이 소개되었다.[112][113]베냉에서는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축구가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1969년에 베냉 프리미어리그가 창설되었으며, AS 드라공 FC 드 로에메가 12회로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했다. 유명한 베냉 축구 선수로는 프리미어리그와 리그 1에서 활약한 스테판 세세뇽이 있다. 그는 토트넘 홋스퍼 FC 소속 라이언 세세뇽의 사촌으로도 알려져 있다.[243] 베냉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월드컵에 출전한 경험이 없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2004년 대회에서 처음 출전했으며, 2019년 대회에서는 처음으로 조별 리그를 통과하여 8강에 진출, 국내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2011년 7월 현재 FIFA 랭킹 87위이다.
9. 대한민국과의 관계
베냉은 1961년 8월 1일 대한민국과 수교하였으나 1975년 이 나라에 사회주의 정권이 들어서면서 그 해 단교하였다.[247] 사회주의 정권이 끝난 이후 신정부 수립과 함께 1990년 10월 3일 다시 외교관계를 맺었다.[247] 1988년 서울올림픽 대회에는 외교관계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IOC 정회원국 자격으로 선수 및 임원단을 서울에 파견하였다.[247] 주 가나 대사관이 겸임하고 있다.[247] 2010년 12월 기준으로 15명의 한국인들이 베냉에 거주하고 있다.[247]
참조
[1]
웹사이트
Benin
https://www.cia.gov/[...]
2023-07-07
[2]
웹사이트
PRINCIPAUX INDICATEURS SOCIO DEMOGRAPHIQUES ET ECONOMIQUES
https://www.insae-bj[...]
INSTITUT NATIONAL DE LA STATISTIQUE ET DE L'ANALYSE ECONOMIQUE
2019-12-14
[3]
웹사이트
Religions in Benin {{pipe}} PEW-GRF
http://www.globalrel[...]
2021-04-17
[4]
간행물
Annuaire statistique 2010
http://www.insae-bj.[...]
INSAE
2015-12-17
[5]
웹사이트
2022-09-24
[6]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Benin)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3-10-16
[7]
웹사이트
World Bank Open Data
https://data.worldba[...]
[8]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024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3
[9]
EPD
[10]
뉴스
Dahomey Announces Its Name Will Be Benin
https://www.nytimes.[...]
2020-09-16
[11]
서적
A Directory of African Wetlands
https://books.google[...]
IUCN
2015-10-12
[12]
논문
Mapping a slum: learning from participatory mapping and digital innovation in Cotonou (Benin)
2019
[13]
웹사이트
2022-09-24
[14]
웹사이트
FAO Initiative on Soaring Food Prices
http://www.fao.org/i[...]
2010-06-29
[15]
웹사이트
Major Industries in Benin
https://www.ariseiip[...]
2024-06-23
[16]
서적
Global Logistics Assessments Reports Handbook
International Business Publications USA
2008
[17]
뉴스
Dahomey Announces Its Name Will Be Benin
https://www.nytimes.[...]
2020-09-16
[18]
서적
Wives of the Leopard: Gender, Politics, and Culture in the Kingdom of Dahomey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19]
서적
Dahomey and Its Neighbors: 1708–1818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논문
Dahomey and the Slave Trade: Reflections on the Historiography of the Rise of Dahomey
[21]
논문
Party Politics and Different Paths to Democratic Transitions: A Comparison of Benin and Senegal
https://zenodo.org/r[...]
2018-04-20
[22]
서적
The Diligent: A Voyage Through the Worlds of the Slave Trade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15-10-12
[23]
서적
Amazons of Black Sparta: The Women Warriors of Dahomey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2015-10-12
[24]
뉴스
African Ambassador Apologizes for Slavery Role
https://www.foxnews.[...]
2003-07-10
[25]
웹사이트
African Slave Owners
http://www.bbc.co.uk[...]
BBC World Service
[26]
서적
Slavery, Colonialism and Economic Growth in Dahomey, 1640–196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This ivory relic reveals the colonial power dynamic between Benin and Portugal History Magazine, National Geographic, 09.02.2021
https://www.national[...]
2021-02-09
[28]
서적
Benin and the Europeans 1485-1897
Humanities Press
1969
[29]
서적
Slavery, Colonialism and Economic Growth in Dahomey, 1640-1960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뉴스
President Sirleaf congratulates Benin on 57th Independence Anniversary
http://apanews.net/e[...]
2018-07-30
[31]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frica and the Middle East: L to Z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5-10-12
[32]
서적
Public Memory of Slavery: Victims and Perpetrators in the South Atlantic
https://books.google[...]
Cambria Press
2015-10-12
[33]
서적
Africa 2012
https://archive.org/[...]
Stryker Post
2013-03-05
[3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Beni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2-12-14
[35]
웹사이트
Bénin, analyse du pays de 1982 a 1997
http://afriqueplurie[...]
2021-12-11
[36]
서적
Benin
https://archive.org/[...]
Marshall Cavendish Benchmark
2007
[37]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of Benin (1974–1990)
http://www.socialist[...]
Socialist.net
2008-05-02
[38]
웹사이트
Benin
http://flagspot.net/[...]
Flagspot.net
2010-05-02
[39]
뉴스
Official Result in Benin Vote Shows Big Loss for Kerekou
https://www.nytimes.[...]
1991-03-26
[40]
뉴스
President Kerekou re-elected in Benin
http://www.afrol.com[...]
2022-06-01
[41]
웹사이트
Ending the Slavery Blame-Game
https://www.nytimes.[...]
2010
[42]
뉴스
President Mathieu Kerekou leaves after 29 years
https://www.thenewhu[...]
2006
[43]
뉴스
Boni wins Benin presidential election: official
https://www.abc.net.[...]
2006
[44]
뉴스
Celebration As Boni Takes Over
https://allafrica.co[...]
[45]
뉴스
Benin's Boni Yayi wins second term - court
https://www.reuters.[...]
2011-03-21
[46]
뉴스
Businessman sworn in as Benin's president
https://www.reuters.[...]
2016
[47]
뉴스
Newly-elected Benin president aims to reduce presidential terms
https://www.reuters.[...]
2016
[48]
웹사이트
Benin's president wins re-election in preliminary results
https://abcnews.go.c[...]
2021-04-14
[49]
웹사이트
Benin vote count begins after opposition groups boycott election
https://www.aljazeer[...]
2021
[50]
뉴스
Five rangers, soldier killed in attack in Benin, park management says
https://news.yahoo.c[...]
2022
[51]
뉴스
Le Bénin expose les vingt-six œuvres restituées par la France : " Regardez la puissance de ces objets ! "
https://www.lemonde.[...]
2022-02-21
[52]
간행물
Benin's democratic beacon dims
https://www.economis[...]
2021-04-12
[53]
웹사이트
2014 Ibrahim Index of African Governance (IIAG)
http://www.moibrahim[...]
Mo Ibrahim Foundation
2014
[54]
웹사이트
Countries Compared by Government, Government corruption rating. International Statistics at NationMaster.com
http://www.nationmas[...]
2011-02-13
[55]
웹사이트
Benin: Freedom in the World 2021 Country Report
https://freedomhouse[...]
2021-12-16
[56]
웹사이트
Press Release: MCC's Board Selects Belize, Zambia for Grant Assistance
https://www.mcc.gov/[...]
2021-12-16
[57]
웹사이트
Recul de la démocratie: les Etats-Unis sanctionnent le Bénin à travers le MCC
https://lanouvelletr[...]
2021-12-16
[58]
웹사이트
Benin's King of Cotton Makes Its Democracy a Sham
https://foreignpolic[...]
2021-04-08
[59]
웹사이트
Statoids - Benin
https://www.statoids[...]
[60]
웹사이트
Benin Population
https://worldpopulat[...]
2020-03-22
[61]
웹사이트
Benin: Departments, Major Cities & Town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citypopulatio[...]
2021-12-07
[62]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2018-08-20
[63]
웹사이트
The Future of World Religions: Population Growth Projections, 2010-2050
https://www.pewresea[...]
Pew Research Center
2015-04-02
[64]
웹사이트
Global Religious Diversity
https://www.pewresea[...]
Pew Research Center
2014-04-04
[65]
웹사이트
Benin
https://www.state.go[...]
2024-03-06
[66]
웹사이트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2007: Benin
https://2001-2009.st[...]
United States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2007-09-14
[67]
웹사이트
Enquête Démographique et de Santé (EDSB-IV) 2011-2012
https://dhsprogram.c[...]
Ministère du Développement, de l'Analyse Économique et de la Prospective Institut National de la Statistique et de l'Analyse Économique (INSAE)
2018-04-20
[68]
웹사이트
Benin
https://www.state.go[...]
2022-11-11
[69]
웹사이트
Off the Grid - Ouidah, Benin - Archaeology Magazine - September/October 2018
https://archaeology.[...]
2024-06-23
[70]
웹사이트
Benin
https://2001-2009.st[...]
U. S. Department of State
2001-02-23
[71]
웹사이트
Benin
http://www.unesco.or[...]
U. N.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10-09-17
[72]
서적
West Africa. In: UNESCO Science Report: towards 2030
http://unesdoc.unesc[...]
UNESCO
2017-06-12
[73]
웹사이트
HIV/AIDS—Adult Prevalence Rate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5-04-16
[74]
웹사이트
Malaria in Benin
http://www.malaria.c[...]
2011-02-24
[75]
웹사이트
Bamako Initiative revitalizes primary health care in Benin
https://www.who.int/[...]
WHO.int
2006-12-28
[76]
웹사이트
Maternal Mortality Rate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5-04-16
[77]
간행물
Female Genital Mutilation/Cutting: A statistical overview and exploration of the dynamics of change
http://www.unicef.or[...]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UNICEF)
2013-07
[78]
학술지
Implementation of the Bamako Initiative: strategies in Benin and Guinea
[79]
웹사이트
Benin
https://dhsprogram.c[...]
USAID
2022-08-27
[80]
웹사이트
Global Hunger Index Scores by 2024 GHI Rank
https://www.globalhu[...]
2024-12-11
[81]
학술지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82]
웹사이트
Anthropogenic modification of forests means only 40% of remaining forests have high ecosystem integrity - Supplementary Material
[83]
웹사이트
Benin UNDP Climate Change Adaptation
https://www.adaptati[...]
2020-04-22
[84]
웹사이트
Climate Change Profile: Benin
https://ees.kuleuven[...]
2020-04-22
[85]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Benin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19-05-22
[86]
학술지
The Lion in West Africa is Critically Endangered
[87]
웹사이트
Painted Hunting Dog: Lycaon pictus
http://globaltwitche[...]
2008
[88]
서적
Terms and Definitions FRA 2025 Forest Resources Assessment, Working Paper 194
https://openknowled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89]
웹사이트
Global Forest Resources Assessment 2020, Benin
https://fra-data.fao[...]
[90]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Benin
https://2009-2017.st[...]
State.gov
2010-02-03
[91]
웹사이트
Benin: Financial Sector Overview
https://www.mfw4a.or[...]
[92]
웹사이트
Benin - Market Overview Privacy Shield
https://www.privacys[...]
[93]
웹사이트
Country Trends
http://data.footprin[...]
Global Footprint Network
2020-06-24
[94]
학술지
Ecological Footprint Accounting for Countries: Updates and Results of the National Footprint Accounts, 2012-2018
2018
[95]
웹사이트
2006 Benin Compact Summary
https://assets.mcc.g[...]
2006
[96]
웹사이트
2022-08-27
[97]
웹사이트
Serious violations of core labour standards in Benin, Burkina Faso and Mali
http://www.icftu.org[...]
[98]
웹사이트
OHADA.com: The business law portal in Africa
http://www.ohada.com[...]
[99]
웹사이트
The World Bank In Benin
http://www.worldbank[...]
2017-10-10
[100]
서적
Benin: Request for a Three-year Arrangement Under the Extended Credit Facility-Press Release; Staff Report; and Statement by the Executive Director for Benin
International Monetary Fund
[101]
웹사이트
Benin Proposes Law to Grant Citizenship to African Descendants
https://www.imidaily[...]
2024-11-09
[102]
서적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Unlocking the Promise of Social Entrepreneurship
https://www.wipo.int[...]
[103]
뉴스
One Applauds AU Malabo Declaration's Recommitment to Agriculture Transformation
https://www.one.org/[...]
2014-07-02
[104]
웹사이트
Benin
http://aflit.arts.uw[...]
[105]
서적
Chapter 2. Making la Musique Moderne
https://muse.jhu.edu[...]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23
[106]
웹사이트
Benin biennials begin with feuds over unethical behaviour
https://www.theartne[...]
2024-01-20
[107]
학술지
Biennale Regard Benin 2012
https://www.frieze.c[...]
2024-01-20
[108]
백과사전
Akwamu: historical state, Africa
https://www.britanni[...]
2022-08-27
[109]
학술지
Energy performance, safety and durability of charcoal cooking stoves commonly used in West Africa: Benin case study
https://www.research[...]
2020-12-01
[110]
웹사이트
THE HIRSHON BENINESE PEANUT SOUP
https://www.thefoodd[...]
2016-04-01
[111]
웹사이트
Sports in Benin {{pipe}} Global Sports Industry Data {{pipe}} Verlete Sports
https://www.verlete.[...]
2024-03-06
[112]
뉴스
Duo develops nonprofit organization, Baseball in Benin
https://www.hometown[...]
APG of East Central Minnesota
2022-08-27
[113]
뉴스
Beninese Teqball Federation targets nationwide engagement
https://www.fiteq.or[...]
FITEQ
2024-01-03
[114]
Response to Information Request
Benin: Kings in northern Benin, specifically in Borgou department; extent of their power in comparison with the power of political and civil authorities; a king's ability to force a woman to marry him; remedies available to a woman who refuses to marry a king (2014-April 2016)
https://www.ecoi.net[...]
Immigration and Refugee Board of Canada
2022-08-27
[115]
웹사이트
Monde: Haïti veut punir les crimes vaudous comme au Benin
http://news.anmwe.co[...]
2017-10-10
[116]
웹사이트
UNdata
http://data.un.org/e[...]
국제연합
2021-10-10
[117]
웹사이트
IMF Data and Statistics
https://www.imf.org/[...]
2021-10-18
[118]
웹사이트
ベナン共和国(Republic of Benin)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일본 외무성
2021-12-04
[119]
뉴스
Benin country profile
https://www.bbc.com/[...]
2022-06-02
[120]
웹사이트
Overview
https://www.worldban[...]
2022-06-02
[121]
웹사이트
The Dismantling of Benin’s Democracy
https://africacenter[...]
2022-06-02
[122]
웹사이트
Authoritarian slide taints West Africa’s ‘model democracy’ as Benin heads to polls
https://www.france24[...]
2022-06-02
[123]
뉴스
Dahomey Announces Its Name Will Be Benin
https://www.nytimes.[...]
2022-06-02
[124]
학술지
Dahomey and the Slave Trade: Reflections on the Historiography of the Rise of Dahomey
https://www.cambridg[...]
1986-07-01
[125]
학술지
Party Politics and Different Paths to Democratic Transitions: A Comparison of Benin and Senegal
http://journals.sage[...]
2005-07-01
[126]
웹사이트
The Story of Africa{{!}} BBC World Service
https://www.bbc.co.u[...]
2022-06-02
[127]
서적
対照的な民主化の歩み ベナンとトーゴ
朝倉書店
2008-04-01
[128]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998-01-01
[129]
서적
Amazons of Black Sparta: The women Warriors of Dahomey
New York University Press
1998-01-01
[130]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998-01-01
[131]
서적
Politics in Francophone Africa
https://www.worldcat[...]
2004-01-01
[132]
웹사이트
Benin, analyse du pays de 1982 a 1987
https://web.archive.[...]
2022-06-02
[133]
서적
Benin
https://www.worldcat[...]
Marshall Cavendish Benchmark
2006-01-01
[134]
웹사이트
Benin - Expert Briefing - Africa Research Institute
https://www.africare[...]
2022-06-02
[135]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of Benin (1974 - 1990)
https://www.socialis[...]
2022-06-02
[136]
서적
対照的な民主化の歩み ベナンとトーゴ
朝倉書店
2008-04-01
[137]
뉴스
Official Result in Benin Vote Shows Big Loss for Kerekou
https://www.nytimes.[...]
2022-06-02
[138]
웹사이트
How to End the Slavery Blame-Game - The New York Times
https://web.archive.[...]
2022-06-02
[139]
서적
対照的な民主化の歩み ベナンとトーゴ
朝倉書店
2008-04-01
[140]
뉴스
Boni wins Benin presidential election: official
https://www.abc.net.[...]
2022-06-02
[141]
뉴스
Boni wins Benin presidential election: official
https://www.abc.net.[...]
2006-03-22
[142]
뉴스
Benin's Boni Yayi wins second term - court
https://www.reuters.[...]
2011-03-21
[143]
뉴스
Benin President Boni Yayi 'poison plot': Three charged
https://www.bbc.com/[...]
2012-10-23
[144]
웹사이트
The Testing of Benin’s Democracy
https://africacenter[...]
[145]
뉴스
Benin President Boni Yayi 'poison plot': Three charged
https://www.bbc.com/[...]
2012-10-23
[146]
웹사이트
French court puts off Benin Talon extradition request
https://www.rfi.fr/e[...]
2013-10-24
[147]
웹사이트
Benin president pardons 'poison-plot' businessman who fled to France
https://www.rfi.fr/e[...]
2014-05-15
[148]
웹사이트
Benin businessman accused in poisoning plot back from exile {{!}} Africa Times
https://africatimes.[...]
2015-10-12
[149]
웹사이트
Businessman Patrice Talon to be Benin’s new president
https://www.aljazeer[...]
[150]
뉴스
Newly-elected Benin president aims to reduce presidential terms
https://www.reuters.[...]
2016-03-26
[151]
뉴스
Benin's parliament rejects one-term limit on presidency
https://www.bbc.com/[...]
2017-04-05
[152]
웹사이트
Benin vote count begins after opposition groups boycott election
https://www.aljazeer[...]
[153]
웹사이트
One protester killed in Benin days before polls: Health official
https://www.aljazeer[...]
[154]
웹사이트
Benin's president wins re-election in preliminary results
https://abcnews.go.c[...]
[155]
서적
対照的な民主化の歩み ベナンとトーゴ
朝倉書店
2008-04
[156]
웹사이트
Benin: Freedom in the World 2021 Country Report
https://freedomhouse[...]
[157]
웹사이트
Benin’s King of Cotton Makes Its Democracy a Sham
https://foreignpolic[...]
[158]
웹사이트
Benin vote count begins after opposition groups boycott election
https://www.aljazeer[...]
[159]
웹사이트
Record low turnout at Benin polls with no opposition
https://www.france24[...]
2019-05-01
[160]
뉴스
Au Bénin, l’opposition privée d’élections législatives
https://www.lemonde.[...]
2019-03-06
[161]
웹사이트
Bénin : en l'absence de l'opposition, abstention massive aux législatives
https://www.france24[...]
2019-04-29
[162]
웹사이트
Retour au calme au Bénin après les violences post-électorales
https://www.france24[...]
2019-05-02
[163]
웹사이트
Bénin : heurts autour du domicile de Boni Yayi
https://information.[...]
2019-05-02
[164]
웹사이트
Benin: Freedom in the World 2022 Country Report
https://freedomhouse[...]
[165]
웹사이트
Recul de la démocratie : les Etats-Unis sanctionnent le Bénin à travers le MCC
https://lanouvelletr[...]
2021-12-16
[166]
웹사이트
MCC’s Board Selects Belize, Zambia for Grant Assistance
https://ip-10-10-1-1[...]
[167]
뉴스
Benin’s democratic beacon dims
https://www.economis[...]
[168]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998
[169]
뉴스
仏の略奪美術品 ベナンに返却へ/植民地支配の「戦利品」像・玉座など26点
https://www.asahi.co[...]
2021-10-29
[170]
서적
西部・中部アフリカ
朝倉書店
2017-01-15
[171]
서적
西部・中部アフリカ
朝倉書店
2017-01-15
[172]
웹사이트
「ナイジェリアの国境封鎖、ベナン経済に影響」
https://www.jetro.go[...]
2019-10-10
[173]
간행물
国際裁判による領域紛争の解決 最近の国際司法裁判所の判例の動向
http://www2.jiia.or.[...]
2013-09
[174]
웹사이트
在ベナン日本大使館開設 : News
https://npo-ife.jp/c[...]
[175]
웹사이트
館長挨拶
https://www.bj.emb-j[...]
[176]
웹사이트
Overview
https://www.worldban[...]
2022-06-02
[177]
서적
データブック・オブ・ザ・ワールド2018年版 世界各国要覧と最新統計
二宮書店
2018-01-10
[178]
간행물
ベナン共和国平成11年度食糧増産援助調査報告書
http://open_jicarepo[...]
国際協力事業団
1999-03-00
[179]
웹사이트
Benin
https://2009-2017.st[...]
2022-06-03
[180]
웹사이트
Forest area (% of land area) - Benin Data
https://data.worldba[...]
2022-06-03
[181]
웹사이트
Benin: Departments, Major Cities & Town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s://www.citypopu[...]
2022-06-03
[182]
웹사이트
Benin - Market Overview export.gov
https://www.export.g[...]
2022-06-03
[183]
웹사이트
GNI per capita, Atlas method (current US$) - Benin Data
https://data.worldba[...]
2022-06-03
[184]
웹사이트
Benin: Transit trade with Nigeria accounts for 20% of GDP West Africa Gateway Portail de l'Afrique de l'Ouest
http://www.west-afri[...]
2022-06-03
[185]
웹사이트
西アフリカ物流実走調査(2)アフリカの非公式貿易を象徴するベナン経由の取引
https://www.jetro.go[...]
2018-12-26
[186]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998-00-00
[187]
서적
西部・中部アフリカ
朝倉書店
2017-01-15
[188]
간행물
西アフリカ主要国の石油と天然ガス動向
http://www.pecj.or.j[...]
石油エネルギー技術センター
2015-05-28
[189]
서적
世界の鉄道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2015-10-02
[190]
웹사이트
Benin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2-06-03
[191]
웹사이트
Benin Population 2022 (Demographics, Maps, Graphs)
https://worldpopulat[...]
2022-06-03
[192]
웹사이트
Benin Population 2022 (Demographics, Maps, Graphs)
https://worldpopulat[...]
2022-06-03
[193]
웹사이트
Benin
https://www.ethnolog[...]
2022-06-03
[194]
웹사이트
Bénin ELAN
https://web.archive.[...]
2022-06-03
[19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Benin
https://www.worldcat[...]
Scarecrow Press
2013-00-00
[19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Benin
https://www.worldcat[...]
Scarecrow Press
2013-00-00
[197]
웹사이트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2007: Benin
http://www.state.gov[...]
United States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2007-09-14
[198]
서적
ラテンアメリカにおけるアフリカ系文化
新評論
1995-10-00
[199]
서적
ベナンの政治と伝統宗教 民主化以降の動きを中心として
朝倉書店
2008-04-00
[200]
서적
ベナンの政治と伝統宗教 民主化以降の動きを中心として
朝倉書店
2008-04-00
[201]
웹사이트
諸外国・地域の学校情報 ベナン共和国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2017-11-00
[202]
웹사이트
https://www.cia.gov/[...]
2009-05-31
[203]
웹사이트
Benin's public health services are good, but too weak
https://www.dandc.eu[...]
2022-06-03
[204]
웹사이트
Right to health (adult)
https://rightstracke[...]
2022-06-03
[205]
웹사이트
Right to health (child)
https://rightstracke[...]
2022-06-03
[206]
웹사이트
Female genital mutilation prevalence (%) - Benin Data
https://data.worldba[...]
2022-06-03
[207]
웹사이트
Life expectancy at birth, total (years) - Benin Data
https://data.worldba[...]
2022-06-03
[208]
웹사이트
Maternal mortality ratio (modeled estimate, per 100,000 live births) - Benin Data
https://data.worldba[...]
2022-06-03
[209]
웹사이트
Mortality rate, infant (per 1,000 live births) - Benin Data
https://data.worldba[...]
2022-06-03
[210]
웹사이트
Benin
https://www.severema[...]
2022-06-03
[211]
웹사이트
Incidence of malaria (per 1,000 population at risk) - Benin Data
https://data.worldba[...]
2022-06-03
[212]
웹사이트
Benin
https://www.severema[...]
2022-06-03
[213]
웹사이트
Benin
https://www.unaids.o[...]
2022-06-03
[214]
웹사이트
Prevalence of HIV, total (% of population ages 15-49) - Benin Data
https://data.worldba[...]
2022-06-03
[215]
웹사이트
Adults (ages 15+) and children (ages 0-14) newly infected with HIV - Benin Data
https://data.worldba[...]
2022-06-03
[216]
웹사이트
Benin: WHO Coronavirus Disease (COVID-19) Dashboard With Vaccination Data
https://covid19.who.[...]
2022-06-03
[217]
웹사이트
WASHwatch has ended WASH Matters
https://washmatters.[...]
2022-06-03
[218]
간행물
WHO/UNICEF Joint Monitoring Programme for Water Supply and Sanitation
[219]
웹사이트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regional water poverty index for Benin
https://www.ifpri.or[...]
2022-06-03
[220]
웹사이트
Working Together to Protect U.S. Organizations Overseas
https://www.osac.gov[...]
2022-06-03
[221]
웹사이트
Working Together to Protect U.S. Organizations Overseas
https://www.osac.gov[...]
2022-06-03
[222]
웹사이트
ベナン 安全対策基礎データ
https://www.anzen.mo[...]
[223]
웹사이트
Benin Crime. Safety and crime information on Benin CountryReports - CountryReports
https://www.countryr[...]
2022-06-03
[224]
웹사이트
Working Together to Protect U.S. Organizations Overseas
https://www.osac.gov[...]
2022-06-03
[225]
웹사이트
Benin
https://web.archive.[...]
2008-07-04
[226]
웹사이트
2021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 Explore Benin’s results
https://www.transpar[...]
2022-06-03
[227]
웹사이트
Benin
https://www.state.go[...]
2022-06-03
[228]
웹사이트
Benin
https://www.state.go[...]
2022-06-03
[229]
웹사이트
Benin
https://www.state.go[...]
2022-06-03
[230]
웹사이트
Benin
https://www.state.go[...]
2022-06-03
[231]
웹사이트
Benin
https://www.state.go[...]
2022-06-03
[232]
웹사이트
Benin: Background and Food Culture
https://foreignfork.[...]
2019-05-06
[233]
웹사이트
10 Most Popular Foods in Benin
https://www.pokpokso[...]
2021-10-29
[234]
웹사이트
Benin
http://aflit.arts.uw[...]
2007-09-30
[235]
웹사이트
Music of Benin - Academic Kids
https://academickids[...]
2022-06-03
[236]
웹사이트
Orchestre Poly-Rythmo: Cotonou Club – review
http://www.theguardi[...]
2011-03-24
[237]
뉴스
From West Africa, a Recipe for Spicy Trans-Atlantic Funk
https://www.nytimes.[...]
2010-07-12
[238]
웹사이트
ハンコックが惚れ込んだ西アの天才Lionel Loueke
https://www.hmv.co.j[...]
2022-06-03
[239]
웹사이트
Afropop Worldwide
https://archive.ph/q[...]
2014-03-05
[240]
웹사이트
Hip-hop in Benin
https://www.musicina[...]
2016-09-08
[241]
웹사이트
François Sourou Okioh: «Il n’y a plus de créateur au Bénin... mais des clientélistes»
https://lanationbeni[...]
2016-04-11
[242]
웹사이트
『第41回ユネスコ世界遺産委員会について(概要)』
https://www.bunka.go[...]
2019-12-17
[243]
뉴스
Fulham teen Ryan Sessegnon can rise to challenge as Chelsea, Tottenham and Europe look on
http://www.standard.[...]
2017-01-27
[244]
웹인용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Benin)
https://www.imf.org/[...]
국제 통화 기금
2023-10-10
[245]
웹인용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024
https://hdr.undp.org[...]
유엔 개발 계획
2024-03-13
[246]
서적
베냉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47]
웹인용
국가별 재외동포현황(2011).xls
http://www.mofat.go.[...]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2012-02-25
[248]
일반
[249]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